맨위로가기

미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아는 소아시아 북서부에 위치했던 고대 지역으로, 정확한 경계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로마 시대에는 헬레스폰토스와 마르마라 해 사이, 비티니아, 프리기아, 리디아, 에게 해에 둘러싸인 지역을 차지했다. 주요 산맥으로는 올림포스 산과 이다 산, 테므노스 산이 있었고, 마케스토스 강, 뤼다코스 강, 카이코스 강 등이 주요 강이었다. 주요 도시로는 페르가몬과 키지코스가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로마-시리아 전쟁 이후 로마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도 바울이 선교 여행 중 이 지역을 방문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리케시르주의 역사 - 키지코스
    키지코스는 고대 미시아 지방의 도시로, 펠라스기인 건설 전설과 밀레토스 이주민 정착으로 시작해 펠로폰네소스 전쟁 해상 요충지, 헬레니즘 시대 페르가몬 관계, 로마 지배를 거쳐 아랍 점령과 지진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지만 남았으며, 아르테미스 숭배와 로마 가톨릭 명목상 교구로도 존재한다.
  • 미시아 - 페르가몬
    페르가몬은 미시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 아탈로스 왕조의 수도로서 페르가몬 도서관과 양피지 생산으로 번성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네오코레이트 도시로 번영했으나 쇠퇴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미시아 - 아소스
    아소스는 기원전 1000년에서 900년 사이 아이올리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헤르미아스의 통치 아래 번성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아카데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해방, 스토아 철학자 클레안테스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다.
  • 차나칼레주의 역사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차나칼레주의 역사 - 아소스
    아소스는 기원전 1000년에서 900년 사이 아이올리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헤르미아스의 통치 아래 번성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아카데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해방, 스토아 철학자 클레안테스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다.
미시아
지리
아나톨리아/소아시아의 고대 지역 지도. 미시아 포함.
아나톨리아/소아시아의 고대 지역. 미시아를 포함한 주요 정착지.
기본 정보
위치북서부 아나톨리아
최대 도시페르가몬
거주민미시아인
언어미시아어
역사
아케메네스 제국 사트라피프리지아
로마 속주아시아

2. 지리

소아시아 서북부의 고대 도시들


키지코스의 미시아 주화. 기원전 550~500년경


미시아의 정확한 경계는 정하기 어려운데, 프리기아의 경계는 변동이 심했고 북서쪽의 트로아스는 때때로 미시아에 포함되기도 했다.[1] 북쪽 지역은 "소(小) 프리지아" (μικρὰ Φρυγία|mikra Phrygiagrc; Phrygia Minorla)로 알려졌으며, 남쪽은 "대(大) 프리지아" 또는 "페르가몬 프리지아"라고 불렸다. 미시아는 후대에 헬레스폰토스 프리지아 (Ἑλλησποντιακὴ Φρυγία|Hellespontiake Phrygiagrc; Phrygia Hellesponticala) 또는 "획득한 프리지아" (ἐπίκτητος Φρυγία|epiktetos Phrygiagrc; Phrygia Epictetusla)로도 알려졌는데, 이 지역이 아탈로스 왕국에 병합되었을 때 그렇게 명명되었다.[2]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미시아는 소아시아 북서쪽 구석 전체를 차지했으며, 북쪽으로는 헬레스폰토스와 마르마라해, 동쪽으로는 비티니아프리기아, 남쪽으로는 리디아, 서쪽으로는 에게해와 접해 있었다.[4]

미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는 카이쿠스 강 (바크르차이) 계곡에 있던 페르가몬마르마라해키지코스 (퀴지코스)이다. 해안에는 그리스인 마을이 산재해 있었고, 북부에는 파리온, 람프사코스, 아비도스 (헬레스폰토스)가, 남부에는 아소스, 아드라미티움(에드레미트)이 있었다. 또한 남쪽의 엘라이아만에는 엘라이아, 미리나, 키메가 있었다.

2. 1. 산

미시아의 주요 지형은 두 산맥인데, 북쪽의 올림푸스 산(2316m)과 남쪽의 테므누스 산이다. 테므누스 산은 미시아와 리디아를 어느 정도 거리 동안 분리하며, 이후 미시아를 지나 아드라미티온 만 인근까지 연장된다.[1] 남부의 카이쿠스 강은 테므누스 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에게 해로 들어가며, 페르가몬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진 곳을 지난다.[1]

2. 2. 강과 호수

미시아의 주요 지형은 북쪽의 올림푸스 산(약 2,316m)과 남쪽의 테므누스 산 두 산이다. 테므누스 산은 미시아와 리디아를 어느 정도 거리 동안 분리하며, 이후 미시아를 지나 아드라미티온 만 인근까지 연장된다. 이 지역 북부의 주요 강은 마케스투스 강과 그 지류인 린다쿠스 강으로, 두 강 모두 프리지아에서 발원하여 미시아를 가로질러 넓게 흐르다가, 아폴로니아티스 호 아래에서 합류하여 프로폰티스에서 약 24.14km 떨어진 곳에 이른다.[1] 남쪽에 있는 카이쿠스 강은 테므누스 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에게 해로 들어가며, 페르가몬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진 곳을 지난다. 이 지역 북부에는 아르티니아 호 또는 아폴로니아티스 호(Abulliont Geul)와 아프니티스 호(Maniyas Geul) 두 개의 큰 호수가 있으며, 각각 동쪽과 서쪽에서 마케스투스 강으로 물을 흘려보낸다.[1]

북부의 주요 강으로는, 모두 리디아를 기원으로 하며 프로폰티스 해에서 약 24km 떨어진 아폴로니아(Apollonia) 호수에서 합류하는 마케스토스 강(현재 Susurluk Çayı), 뤼다코스 강(린다쿠스 강, Rhyndakos, 현재 Adırnaz Çayı)이 있었다. 남부의 카이코스 강(현재 Bakırçay)은 테므노스를 기원으로 하며, 페르가몬을 지나 서쪽의 에게 해로 흘러 들어갔다. 북부에는 동쪽과 서쪽에서 마케스토스 강으로 흘러드는 두 개의 큰 호수인 아르티니아(또는 아폴로니아티스, 현재 Apolyont Gölü)와 아프니티스(현재 마니야스 호, Manyas Gölü)가 있었다.

3. 역사

프리기아어로 기록된 여러 미시아 비문과 아이올리아 그리스에 나온 미시아 토착의 루테스칸어 문헌도 약간 존재한다.[3]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소아시아 북서쪽 모퉁이는 "프리지아 소국"이라고 불렸고 그리스인들은 "헬레스폰토스"라고 불렀다.

기원전 192년부터 188년까지의 로마-시리아 전쟁에서 로마가 안티오코스 대왕을 격파한 후, 셀레우코스 제국이 점유했던 이 지역은 로마의 동맹국인 아탈로스 왕국으로 넘어갔다.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3세 왕이 사망하면서 로마에 귀속되어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으며,[1] 나중에는 "'''헬레스폰투스'''"라고 불리는 별도의 로마 속주가 되었다.[4]

사도행전에 따르면,[5] 사도 바울, 실라, 티모테오는 바울의 두 번째 선교 여행 동안 미시아에 왔거나 지나갔다.[6] 이 기록은 그들이 여행의 이 부분에서 어디로 가야 할지 확신하지 못했고, "성령이 그들에게 아시아에서 말씀을 전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7] 얼마 후 바울은 사도들에게 서쪽으로 마케도니아로 가도록 초대한 "마케도니아 남자"의 환상을 보았다.

3. 1. 신화 시대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관련 에피소드에 따르면, 그리스 함대가 트로이로 착각하여 미시아에 상륙했다. 아킬레우스는 텔레포스에게 상처를 입혔고, 텔레포스는 나중에 아킬레우스에게 상처를 치료해 달라고 간청한다.[3] 텔레포스가 다스리는 이 해안 지역은 그리스 신화에서 "토이토라니아"라고도 불리는데, 토이토라스 왕이 다스렸기 때문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미시아인들은 트로이의 동맹으로 묘사되며, 미시아 군대는 엔노무스(예언자)와 크로미우스가 이끌었는데, 이들은 아르시노오스의 아들이다. 호메로스의 미시아는 역사적인 미시아보다 훨씬 작았던 것으로 보이며, 헬레스폰트나 프로폰티스 북쪽까지 확장되지 않았다. 호메로스는 미시아의 도시나 랜드마크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호메로스의 미시아가 정확히 어디에 위치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아마도 트로아스 (미시아 북서쪽)와 리디아/마에오니아 (남쪽) 사이 어딘가에 위치했을 것이다.

3. 2. 고대 ~ 헬레니즘 시대

가장 중요한 도시는 카이코스 계곡의 페르가몬과 프로폰티스의 키지코스였다. 전체 해안에는 그리스 마을이 산재해 있었고 그중에는 중요한 장소가 있었다. 그리하여 북부는 파리움, 람프사코스와 아비도스, 남부는 아소스, 아드라라미티움을 포함하였다. 더 남쪽 엘라이아 만에는 엘라이아와 미리나, 그리고 키메가 있었다.[1]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함대가 미시아에 상륙하고는 그곳을 트로이라 오인하였다고 한다. 아킬레우스는 그들의 왕 텔레포스를 부상시켰다. 텔레포스는 아킬레우스에게 항복하였다.[1]

일리아스에서 호메로스는 미시아를 트로이의 동맹으로 묘사하였다.[1]

미시아의 동전,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 전쟁의 작은 에피소드에 따르면, 그리스 함대가 미시아에 상륙하여 트로이로 착각했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인을 죽인 텔레포스에게 상처를 입혔고, 텔레포스는 나중에 아킬레우스에게 상처를 치료해 달라고 간청한다. 텔레포스가 다스리는 이 해안 지역은 그리스 신화에서 "토이토라니아"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이전에 토이토라스 왕이 다스렸기 때문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미시아인들은 트로이의 동맹으로 묘사되며, 미시아 군대는 엔노무스(예언자)와 크로미우스가 이끌었는데, 이들은 아르시노오스의 아들이다. 호메로스의 미시아는 역사적인 미시아보다 훨씬 작았던 것으로 보이며, 헬레스폰트나 프로폰티스 북쪽까지 확장되지 않았다. 호메로스는 미시아의 도시나 랜드마크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호메로스의 미시아가 정확히 어디에 위치했는지 불분명하지만, 아마도 트로아스 (미시아 북서쪽)와 리디아/마에오니아 (남쪽) 사이 어딘가에 위치했을 것이다.[3]

미시아 비문 중 다수가 프리지아어 방언으로 살아남았으며, 프리지아 문자의 변형을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또한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자료에는 미시아 토착어인 루테스칸어에 대한 언급이 소수 존재한다.[3]

3. 3. 로마 제국 시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 전쟁의 작은 에피소드에 따르면, 그리스 함대가 트로이로 착각하여 미시아에 상륙했다. 아킬레우스는 텔레포스에게 상처를 입혔고, 텔레포스는 나중에 아킬레우스에게 상처를 치료해 달라고 간청한다. 텔레포스가 다스리는 이 해안 지역은 그리스 신화에서 "토이토라니아"라고도 불리는데, 토이토라스 왕이 다스렸기 때문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미시아인들은 트로이의 동맹으로 묘사되며, 미시아 군대는 엔노무스(예언자)와 크로미우스가 이끌었다.[3]

미시아의 사트라프인 오론테스의 동전, 아드라미티온 – 기원전 357–352년


로도스의 멤논의 동전, 미시아. 기원전 4세기 중반


페르시아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소아시아 북서쪽 모퉁이는 "프리지아 소국"이라고 불렸고 그리스인들은 "헬레스폰토스"라고 불렀다.

로마가 기원전 192년부터 188년까지의 로마-시리아 전쟁에서 안티오코스 대왕을 격파한 후, 디아도코이 셀레우코스 제국이 점유했던 이 지역은 로마의 동맹국인 아탈로스 왕국으로 넘어갔고,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3세 왕이 사망하면서 로마에 귀속되어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으며[1], 나중에는 "'''헬레스폰투스'''"라고 불리는 별도의 로마 속주가 되었다.[4]

사도행전에 따르면,[5] 사도 바울, 실라, 티모테오는 바울의 두 번째 선교 여행 동안 미시아에 왔거나 지나갔다.[6]

4. 주요 도시

카이코스 계곡의 페르가몬과 프로폰티스에 위치한 키지코스가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해안 전체에는 그리스 도시들이 흩어져 있었으며, 그중 여러 곳이 상당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다. 북부 지역에는 파리움, 람프사코스, 아비도스가 있었고, 남부 지역에는 아소스, 아드라미티움이 있었다. 더 남쪽, 엘레아틱 만에는 엘라에, 미리나, 키메가 있었다.[1]

5. 고대 교량

다음은 미시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로마 다리 유적이다.


  • 아이에푸스 다리는 아이에푸스 강(오늘날 ''괴넨 차이'')을 가로지른다.
  • 콘스탄티누스 다리는 린다쿠스 강(오늘날 ''아드르나스 차이'')을 가로지른다.
  • 마케스토스 다리는 마케스토스 강(오늘날 ''수수르루크 차이'')을 가로지른다.
  • 화이트 다리는 그라니쿠스 강(오늘날 ''비가 차이'')을 가로지른다.

참조

[1] EB1911
[2] 서적 Geographia
[3] 서적 Synopsis of Greek and Roman Civilization Cambridge MA 1926
[4] 서적 New Classical Dictionary of Biography, Mythology, and Geography https://books.google[...]
[5] 성경
[6] 성경
[7]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