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4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14세기는 고대 이집트, 히타이트 제국, 그리고 은나라 등 여러 문명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이집트에서는 아멘호테프 3세가 룩소르 신전과 멤논의 거상을 건설했으며, 그의 아들 아크나톤은 종교 개혁을 통해 아텐 신을 숭배하는 일신교를 도입했다. 히타이트 제국에서는 수필룰리우마 1세가 미탄니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은나라에서는 반경이 안양으로 천도했다. 이 시기에는 투탕카멘의 즉위와 사망, 미케네 문명의 발전, 그리고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변화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14세기 | |
---|---|
세기 정보 | |
기원전 | 14세기 |
기간 | 기원전 1400년 ~ 기원전 1301년 |
주요 사건 | |
연도별 사건 | 기원전 1400년경: 베다 시대 시작 (기원전 1400년 ~ 기원전 500년). 기원전 1397년 ~ 기원전 1390년: 히타이트 제국의 왕 아르누완다 1세 통치. 기원전 1390년 ~ 기원전 1352년: 이집트 제18왕조의 아멘호테프 3세 통치. 기원전 1380년경: 이집트인들이 미탄니를 정복. 기원전 1361년 ~ 기원전 1352년: 이집트 제18왕조의 투탕카멘 통치. 기원전 1352년 ~ 기원전 1336년: 이집트 제18왕조의 아이 통치. 기원전 1336년 ~ 기원전 1327년: 이집트 제18왕조의 호렘헤브 통치. 기원전 1320년: 이집트가 시리아를 점령. 기원전 1310년: 이집트의 파라오 호렘헤브가 람세스 1세를 자신의 후계자로 임명. 기원전 1307년 ~ 기원전 1275년: 아시리아의 왕 아다드니라리 1세 통치. 기원전 1303년: 람세스 2세가 이집트를 통치. |
건설 | 아시리아인들이 바빌론을 점령. |
기타 | 미케네 문명이 그리스에서 번성. |
주요 인물 | |
인물 | 아르누완다 1세 (히타이트 왕) 아멘호테프 3세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 (이집트 파라오) 아이 (이집트 파라오) 호렘헤브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1세 (이집트 파라오) 아다드니라리 1세 (아시리아 왕) 람세스 2세 (이집트 파라오) |
발명 및 발견 | |
기술 | 중국에서 바퀴 달린 차량의 사용 증가. 말을 이용한 전차 사용 증가. |
문화 | |
예술 | 미케네 문명의 예술 발전. |
2. 주요 사건
- 기원전 1400년 : 은나라 건국[1]
- 기원전 1406년-기원전 1390년 :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정복하고 이스라엘 지파별로 땅을 분배.[2]
- 기원전 1400년 - 기원전 1250년: 페니키아 도시 우가리트의 전성기.[3] 우가리트 문자 사용.[4]
- 기원전 1400년경
- * 카시트 왕 크리갈루 1세가 엘람의 수도 수사를 정복.[11]
- * 아카이아인 침입으로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 쇠퇴.[11]
- * 중앙 유럽은 중기 청동기 시대 (분묘 문화, 토슈치니에츠 문화).[11]
- * 스칸디나비아 반도 전역에 청동기 문화 확산.[11]
- 기원전 1390년경: 카시트 왕 쿠리갈주 1세가 두르 쿠리갈주의 지구라트 건설.[11]
- 기원전 1386년경: 이집트 아멘호테프 3세 즉위, 약 40년간 통치.[7]
- 기원전 1384년: 은나라 반경이 안양으로 천도.[1]
- 기원전 1380년경: 아무르 왕국 건국.[6]
- 기원전 1372년 - 기원전 1350년: 아케타텐(아마르나) 건설.[7]
- 약 기원전 1380년 - 기원전 1336년: 히타이트 제국 수필룰리우마 1세 통치, 제국 절정기.[5] 미탄니 정복, 아시리아 독립.[6]
- 기원전 1346년경: 아멘호테프 4세 종교 개혁, 아크엔아텐으로 개명.[7]
- 기원전 1343년경: 이집트 수도 테베에서 아마르나로 이전.[7]
- 기원전 1334년경: 아멘호테프 4세와 스멘크카라 사망, 투탕카멘 즉위.[5]
- 기원전 1330년경: 아시리아 독립.[6]
- 기원전 1325년경: 투탕카멘 사망, 아이 즉위.[5]
- 기원전 1320년경: 히타이트 역병 유행, 수필룰리우마 1세 사망, 아르누완다 2세 즉위.[8]
- 기원전 1319년경: 이집트 왕 아이 사망, 호렘헤브 즉위.[5]
- 기원전 1312년 6월 24일: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2세 재위 9년 일식 (무르실리의 일식) 기록.[9]
- 리키아 해적, 키프로스 알라시아 왕국 습격, 카데시 전투 참여.[10]
2. 1. 근동 및 지중해 지역

기원전 14세기에는 근동과 지중해 지역에서 여러 국가들이 흥망성쇠를 겪었다.
- 이집트: 아멘호테프 3세는 기원전 1386년경 즉위하여 40년 가까이 통치하며 룩소르 신전과 멤논의 거상을 조성했다. 그의 아들 아멘호테프 4세는 아크엔아텐으로 개명하고 종교 개혁을 단행, 아텐 숭배를 도입하고 수도를 아마르나로 옮겼다. 투탕카멘 즉위 후 아문 신앙이 부활하고 수도가 테베로 돌아왔다.
- 히타이트: 수필룰리우마 1세 통치 기간(기원전 1380년경~기원전 1336년)에 제국이 절정에 달했고, 미탄니를 정복했다. 기원전 1320년경 역병으로 수필룰리우마 1세가 사망했다.
- 미탄니: 히타이트에게 공격받아 왕이 살해당하고, 히타이트와 아시리아가 각각 다른 왕을 옹립하며 대립했다. 기원전 1330년경, 아시리아가 독립했다.
이 시기에는 울루부룬 난파선 침몰(기원전 1320년경 - 기원전 1295년), 카라벨 석비 건립 등 사건도 있었다.
2. 1. 1.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4세기의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여러 파라오들이 통치했다. 아멘호테프 3세는 기원전 1386년경부터 약 40년간 이집트를 다스렸으며, 이 시기에 룩소르 신전과 멤논의 거상이 건설되었다.[7] 2021년에는 룩소르 인근 테베 네크로폴리스의 나일강 서안에서 "아텐(Thehen Aten)"이라는 도시가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되었다.[7]아멘호테프 3세 사후, 그의 아들 아멘호테프 4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미탄니 왕 투슈라타의 딸 Tadukhipa|타두키파영어와 결혼했다. 아멘호테프 4세는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스스로를 아크엔아텐(이크나톤)이라 칭하고, 아멘 신 중심의 다신교 대신 태양신 아텐을 숭배하는 일신교(아텐주의)를 도입했다.[7] 기원전 1343년경에는 수도를 테베에서 아마르나로 옮겼다. 아마르나에서는 이 시기 외교 문서인 "아마르나 문서"가 발견되었고, 왕비 네페르티티의 흉상(베를린 국립 박물관 소장)도 이 시대의 유물이다.
기원전 1334년경,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와 스멘크카라가 사망하고 투탕카멘이 즉위하면서 수도는 다시 테베로 돌아왔고, 아문 신앙이 부활했다.[5] 투탕카멘은 기원전 1325년경 사망하여 왕가의 계곡에 묻혔는데, 그의 무덤은 1922년 하워드 카터에 의해 거의 온전한 상태로 발견되었다.[5] 투탕카멘의 왕비 앙케세나멘은 아이와 결혼하기 전 히타이트 왕자 잔난자를 요청했으나, 잔난자는 암살당했다.
기원전 1319년경, 아이가 사망하고 장군 호렘헤브가 왕위에 올라 아마르나 시대 왕들의 업적을 지웠다.
2. 1. 2. 히타이트 제국
수필룰리우마 1세의 통치 기간(약 기원전 1380년 ~ 기원전 1336년) 동안 히타이트 제국은 절정에 달했다.[5] 수필룰리우마 1세는 약화된 후르리 왕국 미탄니를 정복했다.[6]기원전 1350년경,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 1세는 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를 공격하여 미탄니는 패주했고, 그 과정에서 투슈라타 왕은 아들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이 혼란으로 히타이트는 아르타타마 2세를, 아시리아는 슈타르나 3세를 미탄니의 새로운 왕으로 옹립하여 대립했다. 히타이트는 아시리아에 승리하여 미탄니의 새로운 왕 샤티와자를 옹립하고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는 인도-아리아계 베다의 신 미트라, 바루나, 인드라, 나사티야의 신명이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1320년경, 이집트로부터의 역병으로 수필룰리우마 1세가 사망하자 아들 아르누완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같은 시기, 아나톨리아 서부의 Arzawa|아르자와영어국은 Ahhiyawa|아히야와영어국과 반 히타이트 동맹을 체결했다.
2. 1. 3. 미탄니 왕국
히타이트의 수필룰리우마 1세가 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를 공격했다.[6] 이 과정에서 미탄니 왕 투슈라타는 아들에게 살해당했고, 히타이트는 아르타타마 2세를, 아시리아는 슈타르나 3세를 왕으로 옹립하며 대립했다.[6] 이후 히타이트가 승리하여 샤티와자를 미탄니 왕으로 옹립하고 조약을 체결했다.[6] 기원전 1330년경, 미탄니의 지배를 받던 아시리아의 아수르-우발리트 1세는 독립했다(중 아시리아 시대).[6]2. 1. 4. 기타
- 울루부룬 난파선
- * 기원전 1320년경 - 기원전 1295년: 오늘날 카스 남쪽 지중해에서 울루부룬 난파선 침몰.[8]
- * 터키 남부 안탈리아 주의 울루부룬 곶에서 무역선이 침몰. 이 침몰선은 1982년에 발견되었으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침몰선으로 여겨진다.[8]
- 카라벨 석비
- * 이즈미르 근교의 카라벨 고개에 있는 상형 문자 루위어로 된 카라벨 석비가 세워짐.
- ** 이 석비에 새겨진 인물상은 현재 아르자와계 밀라의 왕 타르카스나와로 여겨진다.
2. 2. 유럽
- 기원전 1400년 ~ 기원전 1300년:
- 이탄 늪을 통해 티롤 빙하의 빙상 상승이 확인된다.[11]
- 그리스 청동기 시대 III A기에 미케네 문명과의 접촉이 타프소스, 시라쿠사, 타란토 만의 스코글리오 델 토노, 티레니아 해 연안의 이스키아에서 이루어진다.[13][14]
- 기원전 1380년 ~ 기원전 1120년: 필라코피에 미케네 신전이 건설된다.[16]
- 기원전 1370년경: 크레타에서 하기아 트리다 사르코파구스가 제작된다.[20]
- 기원전 1400년경: 아카이아인의 침입으로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이 쇠퇴하였다.
2. 2. 1. 미케네 문명
기원전 1400년 ~ 기원전 1370년: 그리스 후기 헬라드 시대 III A1기였다.[15] 티린스와 필로스에 궁전이 건설되었다.[16] 미케네 그리스어의 고대 형태를 기록한 선 문자 B가 후기 미노아 시대 III A1기 말에 크노소스 궁전에 나타났다.[17]기원전 1370년 ~ 기원전 1340년: 그리스 후기 헬라드 시대 III A2기였다.[15]
기원전 1340년 ~ 기원전 1190년: 그리스 후기 헬라드 시대 III B기였다.[15] 에피루스와 테살리아에 벌집 무덤이 건설되고,[18] 아테네에 궁전이 건설되었다.[19]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330년경: 전설적인 왕과 여왕인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통치 하에 미케네의 궁전과 키클로페스식 울타리가 재건되어 절정에 달했다.[21]
2. 2. 2. 청동기 시대 유럽
중앙 유럽은 중기 청동기 시대로, 서부에는 분묘 문화가, 동부에는 토슈치니에츠 문화가 발달하였다.[11] 스칸디나비아 반도 전역에는 청동기 문화가 퍼졌다.[11] 이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유물들이 제작되었다.[11]2. 3. 동아시아
기원전 1400년경 은나라가 건국되었다. 은나라는 갑골문을 사용했으며, 반경이 안양으로 도읍을 옮기기도 했다.2. 3. 1. 은나라
2. 4. 기타 지역
- 기원전 1350년영어 – 기원전 1250년영어: 멕시코의 산 로렌소 테노치티틀란 유적에서 바히오 단계의 대규모 공공 건축물이 건설되었다.[1]
- 중앙아시아의 스텝 지역에서 유목이 발달하여 말을 탄 채로 소를 돌보았다.[2]
- 기원전 1400년경영어
- * 중앙 유럽은 중기 청동기 시대로, 서부는 분묘 문화, 동부는 토슈치니에츠 문화가 있었다.
- * 스칸디나비아반도 전역에 청동기 문화가 퍼졌다.
- * 스웨덴 스코네 주 남동부에 있는 "키비크의 왕릉"이 제작되었다.
3. 인물
- 아멘호테프 3세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86년 - 기원전 1349년)
- 아멘호테프 4세 (아크나톤)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334년)
- 네페르티티 - 이집트 제18왕조 아멘호테프 4세의 왕비
- 투탕카멘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34년 - 기원전 1325년)
- 수필룰리우마 1세 - 히타이트 왕 (재위 기원전 1355년경 - 기원전 1320년경)
- 반경 - 은나라 19대 왕, 안양으로 천도
3. 1. 이집트
- 기원전 1386년 - 기원전 1349년: 아멘호테프 3세가 이집트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재위했다.
-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334년: 아멘호테프 4세 (아크나톤)가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재위했다.
- 기원전 1346년경: 아멘호테프 4세가 종교 개혁을 시작하여 스스로 아크엔아텐(이크나톤)으로 개명했다. 그는 아멘 신 중심의 다신교 숭배를 폐지하고, 세계 최초의 일신교로도 불리는 태양신 아텐 숭배(Atenism|아텐주의영어)를 도입했다.
- 기원전 1343년경: 이집트의 수도가 테베에서 아마르나로 옮겨졌다.
- 아마르나의 아멘호테프 궁전에서는 이 시대(아마르나 시대)의 외교 자료인 "아마르나 문서"가 발견되었다.
- 왕비 네페르티티의 흉상(베를린 국립 박물관 소장)은 이 시대의 것이다.
- 기원전 1334년경: 아멘호테프 4세와 스멘크카라가 사망하고, 투탕카멘 왕이 즉위했다. 이 시기까지 수도가 아케타톤에서 테베로 돌아왔고, 아문 신앙이 부활하고 아텐 신앙은 폐지되었다.
- 기원전 1325년경: 투탕카멘이 사망하고, 왕족 아이가 남겨진 왕비 앙케세나멘과 결혼하여 왕위에 올랐다.
- 투탕카멘은 왕가의 계곡의 묘에 매장되었는데, 이 묘는 1922년 하워드 카터의 발굴 전까지 거의 도굴되지 않은 상태였다.
- 앙케세나멘은 결혼이 확정되기 전에 히타이트 왕자 잔난자의 파견을 요청했지만, 잔난자는 암살당했다.
- 기원전 1319년경: 이집트 왕 아이가 사망했다. 장군 호렘헤브가 공주 Mutnedjmet|무트네주메트영어를 아내로 맞아 왕이 되어, 아말나 시대의 여러 왕들의 업적을 삭제했다.
- 기원전 1310년경: 이집트 "사자의 서"의 대표작인 『후네페르의 파피루스』가 제작되었다.
3. 2. 히타이트
수필룰리우마 1세는 히타이트 제국을 절정에 이르게 한 왕으로, 기원전 1380년경부터 기원전 1336년경까지 통치했다.[5] 그는 약화된 후르리 왕국 미탄니를 정복했다.[6] 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를 공격하여 미탄니를 패주시키고, 투슈라타 왕은 그 과정에서 아들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히타이트는 아시리아에 승리하여 미탄니의 새로운 왕 샤티와자를 옹립하고 조약을 체결했다.기원전 1320년경에는 이집트로부터의 역병으로 수필룰리우마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아르누완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3. 3. 은나라
반경은 은나라의 제19대 왕으로, 안양으로 도읍을 옮겼다.[1]3. 4. 기타
- 기원전 1386년경 - 아멘호테프 3세가 이집트에서 즉위하여 약 40년간 통치하였다. 이 시기에 룩소르 신전과 멤논의 거상이 조성되었다. 2021년에 발견이 보고된 룩소르 인근 테베 네크로폴리스의 나일강 서안 도시 "아텐"도 이때 조성되었다.
- 기원전 1384년 - 은나라의 반경이 안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 기원전 1380년경 - 아부디 아실타를 왕으로 하는 아무르 왕국이 시리아 산악 지역에 건국되었다.
- 아멘호테프 3세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86년 - 기원전 1349년)
-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50년 - 기원전 1334년)
- 네페르티티 - 이집트 제18왕조 아멘호테프 4세의 왕비
- 투탕카멘 -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334년 - 기원전 1325년)
- 수필룰리우마 1세 - 히타이트 왕 (재위 기원전 1355년경 - 기원전 1320년경)
- 반경 - 은나라 19대 왕, 안양으로 천도
4. 사망
참조
[1]
서적
Supplement to the Handbook of Middle American India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
서적
Asie centrale
Editions Marcus
[3]
서적
Chronologie de l'histoire ancienne
Éditions Jean-paul Gisserot
[4]
서적
Les 22 clés de l'alphabet hébraïque
Desclée De Brouwer
[5]
서적
La Mésopotamie
Seuil
[6]
서적
L'apogée du nouvel empire hittite
L'Harmattan
[7]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European Bronze Age
OUP Oxford
[9]
서적
The Mediterranean Context of Early Greek History
John Wiley & Sons
[10]
서적
L'art et la chasse
Renaissance Du Livre
[11]
서적
Les glaciers du Mont-Blanc
La Fontaine de Siloë
[12]
서적
Les Grecs et la Méditerranée orientale : des siècles "obscurs" à la fin de l'époque archaï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3]
서적
Précis d'histoire grecque
Armand Colin
[14]
서적
The Etruscan World
Routledge
[15]
서적
Mycenaean Civilization
McFarland & Company
[16]
서적
La Grèce préclassique
Points
[17]
서적
Des signes pictographiques à l'alphabet : la communication écrite en Méditerranée : actes du colloque, 14 et 15 mai 1996, Villa grecque Kérylos, Fondation Théodore Reinach (Beaulieu-sur-mer)
Karthala
[18]
서적
La Civilisation égéenne : Le Bronze récent et la civilisation mycénienne
Albin Michel
[19]
서적
Athènes, espaces urbains et histoire
Hachette Éducation
[20]
서적
L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Guide grec antique
Hachette Éducation Techniq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