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뤼첸 전투 (181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첸 전투 (1813년)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 이후 결성된 제6차 대프랑스 동맹에 맞서 나폴레옹이 독일로 진격하여 벌인 전투이다. 프랑스군은 20만 명의 병력을 소집했으나, 훈련 부족과 기병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전투는 1813년 5월 2일 뤼첸에서 벌어졌으며, 나폴레옹은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지만, 연합군의 퇴각을 막지 못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에게는 전략적 이점을 가져다주지 못했고, 이후 연합군의 드레스덴 퇴각과 트라첸베르크 작전을 초래했다. 뤼첸 전투를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비가 그로스괴르셴과 뤼첸 일대에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3년 5월 - 바우첸 전투
    바우첸 전투는 1813년 5월 20일과 21일에 러시아-프로이센 연합군과 나폴레옹 휘하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프랑스군의 전술적 승리였으나 미셸 네 원수의 오판과 제라르 뒤로크 장군의 전사, 그리고 플레비츠 휴전으로 연합군에게 재정비 시간을 주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 알렉산드르 1세 - 신성 동맹 (1815년)
    신성 동맹은 1815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가 제안하여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가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유럽의 정치 질서를 재건하고 국제 평화를 목표로 결성되었으나, 자유주의 억압에 이용되면서 쇠퇴하고 해체되었다.
  • 알렉산드르 1세 - 드레스덴 전투
    드레스덴 전투는 1813년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슈바르첸베르크의 제6차 대프랑스 동맹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나폴레옹의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투에서의 패배와 모로 장군의 사망으로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 1813년 - 드레스덴 전투
    드레스덴 전투는 1813년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슈바르첸베르크의 제6차 대프랑스 동맹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나폴레옹의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투에서의 패배와 모로 장군의 사망으로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 1813년 - 카츠바흐 전투
    카츠바흐 전투는 1813년 8월 26일 카츠바흐 강 인근에서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이 에티엔 자크 조제프 알렉상드르 맥도날 휘하의 프랑스군을 격파하여 연합군에 활력을 불어넣고 이후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블뤼허는 "발슈타트 공작" 칭호를 받았다.
뤼첸 전투 (1813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전투 정보
전투 이름뤼첸 전투
관련 전쟁제6차 대프랑스 동맹 중 독일 전역
나폴레옹과 그의 군대
필레쉬만 안드레아 조안의 뤼첸 전투 (1813)
날짜1813년 5월 2일
장소독일 라이프치히 남서쪽 뤼첸 근처
결과프랑스의 승리
영토 변화해당 사항 없음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제국
이탈리아 왕국
헤센 대공국
교전국 2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지휘관
지휘관 1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미셸 네
장드듀 술트
오귀스트 드 마르몽
에두아르 모르티에
앙리 가티앵 베르트랑
자크 맥도날
외젠 드 보아르네
니콜라 우디노
앙투안 드루오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전사)
오라스 세바스티아니
자크 로리스톤
지휘관 2표트르 비트겐슈타인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토르마소프
페르디난트 폰 빈칭게로데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히센
게프하르트 폰 블뤼허
루트비히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사망)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병력 규모
병력 178,000–145,000명
대포 372문
병력 270,000–96,000명
대포 552문
피해 규모
피해 119,655–22,000명
피해 211,500–30,000명

2. 서막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 이후, 영국, 스웨덴, 프로이센, 러시아는 프랑스에 대항하는 새로운 동맹(제6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였다.[3] 이에 나폴레옹은 신병과 스페인 주둔 병력, 수비대 병력 등을 포함하여 20만 명이 넘는 병력을 급히 소집하였다.[3] 그러나 러시아 원정의 여파로 숙련병과 전마(傳馬)는 심각하게 부족했다.[2]

나폴레옹은 라인강을 넘어 독일로 진격하여 대육군의 잔존 병력과 합류하고, 대프랑스 동맹군을 각개 격파하고자 했다.[2] 1813년 4월 30일, 나폴레옹은 잘레 강을 건너 세 개의 종대로 라이프치히로 진군했다.[2] 그의 목표는 동맹군의 취약점을 노려 적군을 분산시키고 이들이 합류하기 전에 각개 격파하는 것이었다.[2]

그러나 기병 부족과 정찰 실패로 인해, 나폴레옹은 블뤼허와 비트겐슈타인이 지휘하는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 73,000명이 프랑스군 우익에 집결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지 못했다.[2] 프로이센 정찰병들은 프랑스군이 나움부르크와 라이프치히 사이에 길게 흩어져 있다고 보고했다.[3] 비트겐슈타인은 뤼첸을 공격하여 나폴레옹의 병력을 둘로 나누고, 나폴레옹에게 큰 피해를 입혀 오스트리아를 동맹에 끌어들이는 승리를 거두고자 했다.[3]

전투 전날 밤, 프랑스군 원수 장바티스트 베시에르는 리파흐 근교를 정찰하던 중 유탄에 맞아 전사했다.[2]

베시에르 원수 사망

2. 1. 프랑스군의 배치

나폴레옹은 잘레 강을 건너 라이프치히로 진격하면서, 병력을 뤼첸 주변에 배치했다. 원수의 제3군단은 뤼첸 주변에서 우익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제3군단은 5개 보병 사단과 1개 기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3개 사단은 뤼첸 주변에, 1개 사단은 동남쪽의 카야, 클라인괴르셴, 그로스괴르셴 및 라흐나 4개 마을에, 나머지 1개 사단은 이들 서쪽 1마일 지점인 스타르지델에 배치되었다.[3]

마르몽 원수의 제6군단은 서쪽의 리파흐(Rippach)에[3], 베르트랑의 제4군단과 황실 근위대는 바이스엔펠스 남쪽에[3], 맥도날의 제11군단과 제1기병군단은 뤼첸 북쪽에 배치되었다.[3]

2. 2.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의 배치

5월 1일, 프로이센군과 러시아군은 엘스터 강과 프라이세 강 사이에서 합류했다.[2]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와 프로이센 국왕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5월 2일 이른 아침 2시, 보르나를 떠나 뤼첸으로 진군하는 연합군을 직접 지휘하기 위해 오전 4시 30분에 페가우에 도착했다.[2] 블뤼허 대장이 이끄는 프로이센군 우익은 보르나에서 엘스터 강을 건너 도렌으로 향했다.[2] 한편 치텐 소장의 여단과 돌프스 대령의 예비 기병 여단은 페가우로 진군했다.[2]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Gebhard Leberecht von Blücher) 원수


슈토르크비츠에서는 하부 슐레지엔 여단이 강을 건넜고, 그 뒤를 베르크 백작 중장이 이끄는 러시아 보병 군단이 따랐다.[2] 프로이센의 요르크 군단에 속하는 혼 여단과 휠러바인 여단은 츠벤카우에서 아우디가스트로 이동하여 엘스터 강을 건넜다.[2] 토르마소프 대장이 이끄는 예비대는 프로브루크에서 주력군의 뒤를 따랐다.[2]

3. 전투

러시아 원정에서 대패한 나폴레옹 1세는 20만 명이 넘는 신병을 모아 라인강을 넘어 독일로 향했다. 그러나 경험 부족과 전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4월 30일, 나폴레옹은 할레강을 건너 라이프치히로 진군하며, 대프랑스 동맹군을 각개 격파하려 했다. 그러나 네 원수의 군단이 뤼첸에서 블뤼허비트겐슈타인이 지휘하는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에게 기습당했다. 이 전투 전날 밤,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원수는 정찰 중 유탄에 맞아 전사했다.

나폴레옹은 1632년 뤼첸 전투 현장을 방문하던 중 포성을 듣고, 네 원수에게 뤼첸으로 퇴각하며 적을 유인하는 함정을 설치하도록 지시했다. 나폴레옹은 지원군을 보내 뤼첸 남부의 두 마을 근교에서 방어 태세를 갖추게 하고, 주력 부대를 이끌고 동맹군의 측면을 공격했다.

휘하의 스아므 사단은 브르니에, 지라르, 리카르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정오쯤 블뤼허 군단의 기습을 받았다. 프로이센군은 초반 네 마을을 모두 점령했으나, 오후에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후퇴했다. 치텐 여단이 증원될 때까지 클뤽스 대령의 여단이 버텼다. 스아므 사단장은 증강된 부대로 격렬한 반격을 시작했고, 블뤼허는 치텐 중장 휘하의 상슐레지엔 여단을 투입해야 했다. 샤른호르스트 소장 등 프로이센군 장교들은 클라인게르셴과 라흐나 전투에 직접 참가했다. 돌프스 대령의 예비 여단은 슈타르지델을 공격했고, 프로이센 공자 빌헬름도 흉갑기병 연대와 함께 전투에 참여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의 계속된 증원으로 비트겐슈타인은 주도권을 잃었다.

3. 1. 프로이센군의 공격

프로이센군은 블뤼허가 오전 11시 30분경에 군단을 이끌고 늦게 공격을 시작했다. 블뤼허는 그로스괴르셴에 접근했을 때, 단지 2천 명의 프랑스군을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한 개 사단 전체가 있었다. 블뤼허는 공격을 멈추고 포병을 소환하여 정오경에 포격전을 시작했다. 40분간의 포격 후, 블뤼허는 한 개 여단을 투입하여 프랑스군을 그로스괴르셴에서 몰아냈고, 그 다음 다른 여단과 기병대를 투입하여 클라인괴르셴과 라흐나를 점령했다. 는 뤼첸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그의 사단 중 하나를 지휘하여 반격을 가하여 클라인괴르셴과 라흐나를 탈환했다. 블뤼허는 오후 2시경에 마지막 여단을 투입했고,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클라인괴르셴에서 쫓겨났고, 그 다음 카야로 진격했다. 블뤼허는 부상을 입었고, 프로이센군은 요르크 장군에게 지휘권을 넘겼다.

3. 2. 프랑스군의 반격

나폴레옹은 1632년 전투의 전장을 방문하던 중 포성을 듣고 즉시 현장으로 달려갔다. 오후 2시경, 그는 상황을 파악하고 병력을 집중시키는 명령을 내렸다. 나폴레옹은 원수에게 지원군을 보내 뤼첸 남쪽 마을 주변에 방어 태세를 강화하도록 했다.[1] 연합군의 진격이 멈추자, 나폴레옹은 반격을 개시했다.[1]

나폴레옹은 를 지원하는 동시에, 드루오 장군에게 약 100문의 대포를 집중시켜 ''그랑데 바테리''를 구성하고, 비트겐슈타인의 중앙에 파괴적인 포격을 가하도록 했다.[1] 이 포격 뒤에는 황실 근위대를 집결시켰고, 오후 6시경 모르티에 원수의 지휘 하에 연합군 중앙에 돌격을 개시하여 마을에서 연합군을 몰아냈다.[1]

나폴레옹과 지휘하의 부대. 1813년 5월 2일, 그로스게르셴 전투의 모습. 안드레아 요한 플라이슈만(1811년-1878년)의 그림.


그러나 프로이센 기병대의 공격과 어둠으로 인해 프랑스군의 공세는 늦춰졌고, 연합군은 질서 정연하게 후퇴할 수 있었다. 프랑스군은 기병대가 부족하여 추격하지 못했다.[1]

3. 3. 전투의 결과

프랑스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내면서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다.[2] 연합군은 궤주 상태에서 벗어나 무사히 퇴각했다. 양측은 각각 2만 명 정도의 사상자를 냈다고 하며, 어느 쪽의 피해가 더 컸는지는 논쟁거리이다. 황혼 무렵 비트겐슈타인과 블뤼허는 퇴각했고, 나폴레옹은 뤼첸과 그 근교를 장악했다. 프랑스군의 기병 부족으로 인해 추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나폴레옹은 원수 한 명을 포함하여 2,757명이 전사하고 16,898명이 부상을 입어 총 19,655명의 병력을 잃었으며, 프로이센군은 최소 8,500명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고, 러시아군은 3,500명이 전사, 부상 또는 실종되었다. 하지만 사상자는 훨씬 더 많았을 수도 있다.

5월 8일, 연합군은 드레스덴에서 철수하여 엘베강을 건너 실레지아로 물러났다. 작센 전역은 다시 나폴레옹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헤센-홈부르크 공자 레오폴트는 전사했고, 샤른호르스트 중장도 무릎에 총상을 입어 치료 부족으로 8주 후에 사망했다.

4. 전투의 영향

뤼첸 전투는 프랑스군에게 결정적인 전략적 승리가 될 수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전술적 승리에 그쳤다. 연합군은 드레스덴으로 퇴각한 후, 트라첸베르크 작전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채택했다. 이 전략은 나폴레옹의 주력 부대와의 직접적인 교전을 피하고, 대신 하위 부대를 찾아 각개격파하여 프랑스군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2]

프로이센의 장군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는 뤼첸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고, 결국 상처가 악화되어 사망했다. 뤼첸 전투에서의 승리는 나폴레옹에게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지 못했다. 오히려 이 전투와 이후 바우첸 전투에서 발생한 대규모 병력 손실은 나폴레옹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1813년 6월 4일, 나폴레옹은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와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임시 휴전에 합의했다. 이 휴전은 연합군에게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을 제공했으며, 영국이 러시아와 프로이센에 700만파운드의 전쟁 보조금을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오스트리아가 연합국에 합류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5. 전투 기념비

싱켈의 피라미드


헤센-홈부르크 기념비


베르거의 묘비


슈타지델의 기념비


그로스괴르셴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그로스괴르셴과 뤼첸 일대에는 여러 기념비가 세워졌다. 주요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 샤른호르스트 기념비: 전투 100주년 기념 행사 때 세워졌다.
  • 싱켈의 기념비: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전몰자를 추모하기 위해 설계했다.
  • 헤센-홈부르크 기념비: 마리안네가 레오폴트 공자를 기리기 위해 설립했다.
  • 베르거의 묘: 라나 마을에 있는 프로이센군 엽병 베르거의 묘이다.
  • 네 원수관: 카야 마을에 있으며, 네 원수가 전투 당시 본부로 사용했던 곳이다.
  • 리프크네히트의 묘: 클라인게르셴 묘지에 있는 헤센 대공국 근위 연대 소위 리프크네히트의 묘이다.
  • 슈타지델의 기념비: 그로스괴르셴과 슈타지델 사이에 있다.
  • 에투알 개선문: 파리에 있으며, "LUTZEN"이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다.

파리의 에투알 개선문에 새겨진 "LUTZEN"의 명칭

  • 잠자는 사자상: 글라이비츠 시립 공원에 있었으나 현재는 해체되었다.

5. 1. 샤른호르스트 기념비



그로스괴르셴의 샤른호르스트 기념비는 전투 100주년 기념 행사 때 세워졌다. 조각가는 Schkopau영어 출신 파울 유코프이다. 기념비 광장의 두 개의 석조 벤치에는 샤른호르스트의 좌우명인 "목표는 식별되었고, 힘은 모였다"(Ziel erkannt – Kräfte gespannt)가 새겨져 있다.[1]

5. 2. 싱켈의 기념비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전몰자를 기념하기 위해 설계한 주철 비석은 1813년과 1815년의 전장에 세워진 일곱 개의 비슷한 기념비 중 하나이다.[2] 비문에는 "감사를 담아 국왕과 조국은 전몰한 영웅에게 경의를 표한다. 그들은 평화 속에서 안식을 취한다. 그로스게르셴, 1813년 5월 2일"이라고 새겨져 있다.[2] 낡은 원래 비석은 그로스게르셴 남쪽 약 3km 지점에 있었지만, 현재 같은 장소에는 비문이 새겨진 받침대만 남아 있다.[2] 현재의 복제품은 1985년 샤른호르스트 기념비 근처에 설치되었다.[2]

5. 3. 헤센-홈부르크 기념비

싱켈이 설계한 헤센-홈부르크 기념비는 레오폴트 공자의 전몰 2년 후, 그의 여동생 마리안네가 설립했다. 이 기념비는 1974년 노후화로 인한 내부 부식으로 인해 철거되었으나, 1999년 5월 2일에 새로운 복제품이 제막되었다.

5. 4. 기타 기념물


  • 베르거의 묘: 브레슬라우 출신의 프로이센군 자원 엽병이었던 Christian Gottlieb Berger (Soldat)|크리스티안 고틀리프 베르거de의 묘가 라나 마을에 있다. 그는 26세에 이마에 총탄을 맞고 전사했으며, 묘 위에는 기념 석비가 세워져 있다.
  • 네 원수관: 그로스게르셴의 한 지구인 카야 마을에 있으며, 1813년 5월 1일부터 5월 2일까지 네 원수가 밤을 보낸 곳이자 본부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현재는 작은 박물관이 있다.
  • 리프크네히트의 묘: 클라인게르셴 묘지에 나폴레옹을 따라 싸우다 18세의 나이로 전사한 헤센 대공국 근위 연대 소위 프란츠 빌헬름 리프크네히트의 묘가 있다.
  • 슈타지델의 기념비: 그로스게르셴과 슈타지델을 잇는 길 옆에 있으며, "1813년 5월 1일과 5월 2일 그로스게르셴 전투에서 프로이센-러시아 연합군 전몰 영웅에게 감사하며 기념한다"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 파리에투알 개선문 최상부에는 30개의 방패가 늘어서 있으며, 그 중 하나에는 "LUTZEN"이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다.

  • 글라이비츠 시립 공원의 Schlafender Löwe (Gliwice)|잠자는 사자상de: "1813년부터 1814년에 걸쳐 글라이비츠의 야전병원에서 그로스게르셴과 Battle of Bautzen (1813)|바우첸 전투영어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고, 독립과 정의를 위한 그들의 용감한 전투 무대에서 멀리 떨어져, 이곳에서 이 성스러운 휴식의 장소를 찾은 프로이센의 용감한 아들들을 기념하며. 글라이비츠, 1849년 10월 15일"이라는 비문은 1945년 제거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기념비는 해체되었다.

참조

[1] 서적 Preußen – Aufstieg und Niedergang 1600–1947 Phanteon Verlag 2008
[2] 문서
[3] Youtube 行進曲『ドイツ皇帝近衛隊』– 演奏例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