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는 일본의 아마미오섬, 오키나와섬 북부, 도쿠노섬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쥐속에 속하며, 굴참나무나 가시나무 등의 상록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체장은 22~33cm, 꼬리 길이는 24.6~33cm이며, 잡식성으로 열매, 고구마, 곤충 등을 먹는다. 서식지 감소, 야생 고양이의 포식, 도입된 기생충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1972년 일본에서 천연기념물로, 2016년에는 국내 희귀 야생 동식물 종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기재된 포유류 -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연구와 보존 노력이 필요한 생물종이다. - 1906년 기재된 포유류 - 작은과일박쥐
작은과일박쥐는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누르스름한 갈색 털, 짧고 넓은 주둥이, 큰 눈을 가진 열매를 주로 먹는 중간 크기의 박쥐이다. - 시궁쥐족 - 번짧은꼬리반디쿠트쥐
번짧은꼬리반디쿠트쥐는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며, 멸종 위기에 처했을 가능성 때문에 보존을 위한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 시궁쥐족 - 멧밭쥐
멧밭쥐는 몸길이 55~75mm의 작은 쥐로, 긴 꼬리와 뛰어난 등반 능력을 지니고 초원 지대에 서식하며 벼과 식물의 잎으로 구형 둥지를 만들어 생활하고, 서식지 감소와 환경 변화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iplothrix legata |
명명자 | (Thomas, 1906) |
이명 | Diplothrix legatus Lenothrix legata Thomas, 1906 Musbowersii var. okinavensis Namiye, 1909 Rattus legatus Ellerman, 1941 |
한국어 이름 |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 |
일본어 이름 | 케나ガネズミ |
영어 이름 | Ryukyus Islands tree rat Ryukyu long-furred rat Ryukyu long-haired rat Ryukyu rat Ryukyu long-tailed giant rat |
멸종 위기 등급 (IUCN) | EN |
멸종 위기 등급 (일본) | EN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설치류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시궁쥐족 |
속 | 케나ガネ즈ミ속 (Diplothrix) |
속 명명자 | Thomas, 1916년 |
종 | 케나ガネ즈ミ (D. legata)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 일본, 류큐 열도 |
서식지 |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삼림, 습윤 저지대 숲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취약 |
일본 적색 데이터 북 | 취약 |
기타 | |
화석 범위 | 후기 홍적세 ~ 현재 |
2. 계통 분류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18]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19]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 class="wikitable"
|-
! 쥐아과
|-
|
{| class="wikitable"
|-
! 큰구름쥐족
|-
| 털꼬리쥐속, 루손쥐속, 붓꼬리구름쥐속, 바나하우나무쥐속, 큰구름쥐속
|-
! 시궁쥐족[19]
|-
|
멧밭쥐군 |
---|
연필꼬리나무쥐속, 라니쥐속, 마모셋쥐속, 멧밭쥐속, 긴꼬리나무타기쥐속, 붉은나무타기쥐속 |
동남아시아가시쥐속, 땃쥐쥐속 |
술라웨시가시쥐군 |
술라웨시가시쥐속, 가는뿌리쥐속, 술라웨시돼지코쥐속, 작은술라웨시땃쥐쥐속, 돼지코땃쥐쥐속, 서머술라웨시쥐속, 큰술라웨시땃쥐쥐속, 마마사물쥐속 |
밀러드쥐군 |
민도로나무타기쥐속, 페아나무쥐속, 밀러드쥐속, 긴꼬리자이언트쥐속, 흰배쥐속, 폴린석회암쥐속, 오히야쥐속, 다오반티엔석회암쥐속 |
시궁쥐군 |
루손넓은이빨쥐속, 반디쿠트쥐속, 흰이빨쥐속, 필리핀쥐속, 언덕쥐속,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속, 할마헤라쥐속, 소디나무쥐속, 코모도쥐속, 민다나오산악쥐속, 짧은꼬리반디쿠트쥐속, 스람쥐속, 팔라완부드러운털산악쥐속, 플로레스자이언트쥐속, 술라웨시자이언트쥐속, 플로레스긴코쥐속, 시궁쥐속, 자이언트순다쥐속, 셀레베스쥐속, 긴발쥐속, 루손짧은코쥐속 |
|}
|-
! 물쥐족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쥐족
|-
| 에티오피아등줄쥐속, 생쥐속
|-
! 프라오미스족
|-
|
|}
|-
!
|}
|-
|
{| class="wikitable"
|-
! 밀라르디아족
|-
| 인도바위쥐속, 크럼프쥐속, 블랜포드쥐속, 밀라르디아속
|-
!
일본 (아마미오섬, 오키나와섬 북부, 도쿠노섬)에 서식하는 고유종이다.[8][9]
체장은 22~33cm,[8][9][10] 꼬리 길이는 24.6~33cm이다.[9] 등쪽은 2.9cm의 털로 덮여 있으며, 5~6cm의 긴 강모와 길이 2.5cm의 편평한 가시 모양의 털이 섞여 있다.[8] 꼬리는 0.3~0.4cm의 털로 덮여 있다.[8][10] 등쪽 털색은 황갈색, 배쪽 털색은 암갈색이다.[8] 꼬리는 흑갈색이지만, 끝부분(꼬리의 2/5)은 흰색이다.[8][9] 뒷발 길이는 4.9~6cm이다.[8][9]
굴참나무나 가시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상록 활엽수림에 서식하며,[8][9] 수목에서 생활하는[8] 야행성 동물이다.[9] 나무 구멍에 나뭇가지나 마른 잎을 조합하여 직경 30cm에 달하는 구형 둥지를 만든다.[8]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는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아마미오섬에서는 도오지로, 도쿠노섬에서는 주주 또는 야마아라시라고 부른다.[8] 오키나와섬에서는 야마아지 또는 야마아지라고 한다.[10]
|}
|}
|}
형태와 미토콘드리아 DNA 시토크롬 b의 분자 계통 추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쥐속에 근연종으로 여겨진다.[9]
3. 분포
모식 표본의 산지(기준 산지·모식 산지)는 오키나와섬이다.[7] 나하시 사키히카와 조개 무덤에서 발굴된 사례가 있어, 조몬 시대에는 오키나와섬 광역에 분포했을 가능성이 있다.[9]
4. 형태
5. 생태
잡식성으로, 시이류의 열매, 고구마, 곤충 등을 먹으며,[8] 민달팽이류나 지렁이류를 먹은 사례도 보고되었다.[10]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가을부터 초겨울에 교미하며, 늦가을부터 겨울에 출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한 배에 2~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8][9]
6. 인간과의 관계
1980년대 이후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는 아마미오섬 중부에서 남서부, 오키나와섬(구니가미촌), 도쿠노섬 북부 및 중부에 한정되어 분포했다.[9] 2009년에는 아마미오시마와 오키나와섬에서 혼획 사례가 급증하기도 했다.[9]
6. 1. 보존 상태
이 종은 서식지 감소, 야생 고양이의 포식 (연구에 따르면 이 쥐는 아마미오섬에서 야생 고양이 식단의 23%를 차지한다)에 의해 위협받고 있으며,[3] 도입된 선충 및 헬민스 기생충에 의해서도 위협받고 있다.[4][5]
삼림 벌채, 사탕수수, 파인애플 농지 개발, 목초지 전환에 따른 서식지 파괴, 도로 건설에 따른 서식지 분단, 교통사고, 인위적으로 유입된 개, 고양이, 갈색몽구스 등에 의한 포식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9] 도로 건설은 교통사고[9] 외에도 개와 고양이가 본 종의 분포 지역에 침입하기 쉬워지는 문제도 있다.[10] 갈색몽구스 방제 사업으로 아마미오섬에서는 2000년 이후 (2008년에는 아마미오섬 북서부에서도 분포가 확인되었다), 오키나와섬에서는 2009년 이후 분포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9] 반면 몽구스 구제 사업으로 인해 혼획되어 죽는 문제도 있으며, 아마미오섬에서는 혼획을 줄이기 위해 덫 개량 및 일부 지역에서는 덫 설치 시기를 제한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10][11] 적어도 오키나와섬에서는 2000년 이후 목격 사례가 증가했지만, 2014년 이후 목격 사례가 급감하고 있다.[10] 아마미오섬에서는 개체 수 회복에 따라 2020년경부터 로드킬도 증가했으며, 시내에서도 목격되는 경우가 늘었다.[12]
일본에서는 1972년에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9][10] 2016년에는 종의 보존법에 의해 국내 희귀 야생 동식물 종으로 지정되었다.[13] 2017년 현재 오키나와현 레드 리스트에서는 멸종 위기 IA류로 판정받고 있다.[10]
참조
[1]
간행물
Diplothrix legata
2016
[2]
웹사이트
Diplothrix legata
https://www.uniprot.[...]
[3]
논문
Feral cat diet and predation on endangered endemic mammals on a biodiversity hot spot (Amami–Ohshima Island, Japan)
[4]
논문
Angiostrongylus cantonensis (Nematoda: Metastrongylidae) in the Ryukyu Islands Tree Rat (Diplothrix legata)
[5]
논문
Alien parasitic infections in the endangered Ryukyu long-furred rat (Diplothrix legata) on Amami-Oshima Island, Japan
[6]
간행물
Diplothrix legata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7]
논문
日本産齧歯類(野鼠及び家鼠)の分類学史的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8]
서적
ケナガネズミ
東海大学出版会
[9]
서적
ケナガネズミ
株式会社[[ぎょうせい]]
[10]
서적
ケナガネズミ
[11]
논문
奄美マングースバスターズによる奄美大島の外来マングース根絶の快挙まであと少し
日本造園学会
[12]
뉴스
国内希少野生動植物種・国指定天然記念物ケナガネズミの 市街地出没に関する注意について
https://kyushu.env.g[...]
環境省沖縄奄美自然環境事務所
2023-08-02
[13]
웹사이트
国内希少野生動植物種一覧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04-23
[14]
저널
Diplothrix legata
http://dx.doi.org/10[...]
IUCN
[15]
서적
ケナガネズミ
株式会社[[ぎょうせい]]
[16]
웹사이트
Diplothrix legata
http://www.uniprot.o[...]
[17]
문서
[18]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19]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