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시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시나무는 상록 활엽수로서, 최대 20m까지 자라는 키 큰 나무이다. 한국의 전남, 경남 해안 도서지방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바닷가 방풍림이나 관상수로 재배된다.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으며, 4~5월에 암수한그루로 꽃이 피고, 열매는 도토리이다. 가시나무는 단단하고 무거운 목재로, 연료, 기구, 목검 재료로 사용되며, 정원수, 식용, 약용으로도 활용된다. 또한, 참나무 시들음병의 피해를 입기도 하며,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가시나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0년 기재된 식물 - 굴참나무
    굴참나무는 두꺼운 코르크질 껍질을 가진 낙엽성 나무로, 아시아 동남부에 분포하며 목재, 땔감, 코르크 생산에 이용되지만 참나무시들음병에 취약하여 보호받는 거목도 있다.
  • 1850년 기재된 식물 - 신갈나무
    신갈나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잎자루 없이 줄기에 바로 잎이 붙어있고 오래된 나무껍질은 검은빛이 도는 갈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 아시아의 나무 -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장미과 낙엽성 활엽 소교목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달콤하고 새콤한 맛의 사과 열매를 맺으며 목재로도 활용된다.
  • 아시아의 나무 - 미송
    미송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원산의 상록침엽수로, *Pseudotsuga menziesii*라는 학명을 가지며, 가짜전나무속에 속하는 대형 수종으로, 건축 및 가구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활용되지만 무분별한 벌채로 서식지 감소가 우려되어 IUCN 적색 목록에서 재평가가 필요한 상태이다.
  • 참나무과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참나무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가시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2. 특징

한국전라남도, 경상남도 해안 도서지방, 진도와 제주도에 자생하는 상록수 참나무이다.[6] 다 자라면 높이가 20m, 지름은 1m 정도이다.

잎은 길이가 60–110 mm, 너비는 18–40 mm인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위쪽 가장자리에만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10–25 mm이다.[6]

개화기는 4월에서 5월이다. 꽃은 4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전해에 난 가지에서 밑으로 처져 달리고, 그보다 짧은 암꽃이삭은 새로 생긴 가지에 곧게 서서 달린다.

열매인 도토리는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견과로, '가시'라고도 하며 달걀 모양에서 타원체 모양이다. 크기는 14–25 mm × 10–15 mm이고 털이 없으며 둥근 정점을 가지고 있다. 평평한 흉터는 직경이 약 6mm이다. 뚜껑처럼 생긴 각두(깍정이)가 열매를 1/3~1/2 정도 감싸고 있다. 각두(컵)의 크기는 5–8 mm × 10–18 mm이며, 포는 정점에서 합쳐지지 않는다.[6] 각두에는 줄이 6~9개 있다.

바닷가에 방풍림으로 심거나 관상수로 재배하며, 열매를 먹는다.

3. 형태

상록 활엽수의 키 큰 나무로, 다 자라면 높이는 20m, 지름은 1m 정도에 이른다. 수피는 녹색을 띤 흑색이나 짙은 회색이며, 표면에는 갈라짐이 없이 매끄럽지만 피목이 세로로 배열되어 점차 거칠어진다.[6] 어린 가지는 짙은 녹색이다.[6]

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 길이는 10mm~25mm이다. 잎몸은 길이 60mm~110mm, 너비 18mm~40mm 정도의 긴 타원형 또는 좁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혁질(가죽질)로 두껍다.[6] 잎 가장자리의 윗부분(상반부)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다.[6] 잎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옅은 녹색이지만 굴참나무처럼 하얗지는 않다.[6] 새로 싹이 트는 잎은 붉은 기를 띤다.[6]

은 암수한그루로 4월에서 5월 사이에 핀다.[6] 수꽃이삭은 길이 6cm~9cm의 미상화서(꼬리 모양 꽃차례) 형태로 황갈색을 띠며, 지난해에 난 가지에서 밑으로 처져 달린다.[6] 암꽃이삭은 새로 생긴 가지에 몇 개의 암꽃이 모여 위를 향해 곧게 선다.[6]

열매견과도토리로, 10월에서 11월경에 익는다.[6] 모양은 달걀 모양에서 타원체이며, 크기는 길이 14mm~25mm, 지름 10mm~15mm 정도이다.[6] 털이 없고 끝은 둥글며, 밑부분의 평평한 흉터는 지름이 약 6mm이다.[6] 깍정이(총포, 각두)는 높이 5mm~8mm, 지름 10mm~18mm 정도로 열매의 1/3에서 1/2 정도를 감싸고 있으며, 겉에는 6~9개의 줄무늬가 있고 깍정이를 이루는 포 조각들은 끝에서 합쳐지지 않는다.[6]

겨울눈은 길쭉한 달걀 모양(장란형)으로 표면에 가는 털이 있으며, 잎이 떨어진 자리 바로 위(잎겨드랑이)에 붙는다.[6] 가지 끝에 나는 눈인 정아(頂芽)는 보통 바로 옆에 붙는 눈인 정측아(頂側芽)를 함께 가진다.[6] 겨울눈을 싸고 있는 눈비늘조각(아린, 芽鱗)은 여러 개이며, 끝부분은 짙은 갈색을 띤다.[6] 잎이 떨어진 자국인 잎자국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관다발 자국은 3~5개 있거나 불분명하다.[6] 턱잎(탁엽)이 떨어진 자국도 남아 있다.[6]

4. 생태

한국전라남도, 경상남도 해안 도서 지방, 진도, 제주도 등지에 자생한다.[1] 상록 활엽수의 키 큰 나무로, 다 자라면 높이는 20m 정도이다. 수피는 녹색을 띤 흑색이나 짙은 회색이며, 표면은 매끄럽지만 피목이 세로로 배열되어 점차 거칠어진다. 어린 가지는 짙은 녹색이다.

은 어긋나기하며 길이는 4cm에서 13cm 정도의 장타원형 또는 좁은 장타원형이다. 잎몸은 가죽처럼 두껍고, 위쪽 가장자리에만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옅은 녹색이다. 새로 돋는 잎은 붉은 기를 띤다. 겨울눈은 장란형으로 가는 털이 있으며, 잎자국은 반원형이나 타원형이다.

다른 참나무과 수목과 마찬가지로 균류와 나무의 뿌리가 공생하여 균근을 형성한다. 균근 형성을 통해 나무는 균류가 만드는 유기산이나 항생물질로 영양분 흡수를 촉진하고 병원 미생물로부터 보호받으며, 균류는 나무의 광합성 산물을 얻는 상리공생 관계를 맺는다. 토양 속 균근은 균사를 통해 같은 종 또는 다른 종 식물과 연결된 광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11][12][13][14][15][16]

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은 길이 6cm에서 9cm 정도의 미상화서로 황갈색을 띠며 아래로 처지고, 암꽃은 몇 송이가 새로 난 가지에 위를 향해 핀다. 꽃은 수수하며, 꽃가루는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풍매화(anemophily)이다. 참나무과의 풍매화는 진화 과정 후기에 획득한 형질로 보인다.[22]

열매견과의 일종인 도토리로, 10월에서 11월경에 익는다. 도토리는 뚜껑처럼 생긴 각두(깍정이)가 1/3~1/2 정도를 감싸고 있으며, 각두에는 6~9개의 줄이 있다. 종자는 주로 중력에 의해 산포되지만, 동물의 영향도 크다. 반달가슴곰이나 멧돼지는 침 속의 성분으로 도토리의 탄닌을 중화할 수 있으며[23][24], 류는 도토리를 땅속에 저장하는 행동을 통해 발아에 기여한다.[25] 쥐는 탄닌에 대한 내성을 시기에 따라 조절한다.[26] 어치(''Garrulus glandarius'', 까마귀과)의 저장 행동 역시 장거리 분포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9] 외생균근, 풍매화, 중력 및 동물 산포는 서로 연관되어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0]

도토리는 도토리거위벌레나 잎말이벌레 같은 곤충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이는 종자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 연구에서는 곤충으로 인한 종자 사망률이 70%에 달했다. 충해를 입어도 일부는 발아하지만, 묘목은 다소 작게 자란다.[31] 쥐는 건전한 도토리를 선호하지만, 충해를 입은 것도 먹는다.[32]

도토리는 가을에 땅에 떨어지면 즉시 뿌리를 내리고, 이듬해 봄에 본잎을 펼친다. 떡잎은 땅속 도토리 안에 남는 지하성 발아를 하며, 쥐가 이 떡잎을 파먹기도 한다.[33] 종자는 떨어지자마자 뿌리를 내리므로 토양 시드 뱅크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그늘에 강한(내음성) 묘목을 땅 위에 많이 준비해 두었다가 숲에 빈틈(갭, gap)이 생기기를 기다리는 음수(陰樹)의 생존 전략을 따른다. 건조한 환경에도 견디지만(내건성), 주로 조건이 좋은 계곡에서 우세한 군락을 이룬다.

가시나무와 달리 석회암질 토양을 싫어한다.

상록 참나무과 식물의 잎은 부전나비족(Tribe Arhopalini) 부전나비 유충의 먹이가 된다. 가시나무 잎을 먹는 대표적인 종은 암청색부전나비(''Narathura japonica'')이다. 이 나비의 유충은 몸에서 단물을 분비하여 개미공생한다.[35][36]

4. 1. 참나무 시들음병

참나무 시들음병(ブナ科樹木萎凋病일본어, Japanese oak wilt영어)은 가시나무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참나무과 수목에 고사 피해를 일으키는 병이다. 원인은 균류(버섯, 곰팡이)에 의한 감염증으로, 1998년에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으며[38], 어리나무좀이라는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38] 물참나무와 떡갈나무는 이 병에 특히 민감하여[39], 고사 피해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과 참나무 시들음병의 만연으로 인해, 관동 지방 이서에서는 소나무·떡갈나무 숲에서 가시나무 숲으로 식생 천이가 급속히 진행되는 지역이 있다.[40][41] 여기에는 증가하는 사슴의 포식압의 영향도 언급되고 있으며, 사슴이 싫어하는 식물과 개체수가 많은 식물이 우세해질 것으로 추측된다.[42]

5. 분포

한국에서는 전남경남의 해안 도서 지방, 진도, 제주도에 자생한다.

일본에서는 후쿠시마현니가타현 서쪽 지역인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산지에도 자생하지만, 주로 간토 지방조엽수림대에 많다. 조엽수림의 북쪽 한계선 부근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혼슈 남해안 이남에서는 수가 적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6. 인간과의 관계

가시나무는 목재, 조경, 식용 및 약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단단하고 무거운 목재는 예로부터 장작이나 목탄 등 연료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각종 도구나 목검 등을 만드는 데에도 쓰인다.

사계절 푸른 잎을 유지하는 상록성이며 강인하고 잘 자라 정원수나 방풍림, 생울타리, 가로수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잎은 요로 결석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가을에 열리는 도토리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6. 1. 목재

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단단한 나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단단하고 무거운 목재이다. 기건비중은 평균 0.9 정도이며, 성장이 좋은 양질의 목재일수록 더 단단하고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도관의 배치에 따른 분류로는 방사공재에 속하며, 나이테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변재와 심재의 구분 역시 불분명하다.

곧은결에는 호랑이 무늬와 같은 목리가 나타나는데, 이는 아름답다고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이 목리는 '호반' 또는 '호반목'이라고 불리며,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반사 정도가 달라져 은색으로 보이기도 해 '은목'이라고도 불린다[43]。 또한, 판목면에는 방사 조직이 눈에 띄어 나타나는 깨알 같은 무늬인 '가시메(樫目)'가 보인다. 목재의 건조는 어렵고 뒤틀리기 쉬운 편이다[44]

가시나무는 싹트는 능력이 뛰어나 정기적으로 여러 번 수확할 수 있어 연료용으로 매우 우수하다. 인가 근처에서 자라는 점, 단단하고 무거운 재질로 인해 불이 오래 지속된다는 점 때문에 장작이나 목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굽는 방법에 따라 검은 숯이나 백탄 모두 만들 수 있다. 미야자키현 북부에서는 우바메가시가 아닌 아라카시를 사용하여 만든 백탄(備長炭)이 있으며, '미사토정 비장탄 제탄 기술 보존회'의 비장탄 제탄 기술은 2021년 3월 미야자키현 지정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다[45]

재질은 일본산 가시나무류 중에서도 특히 좋은 것으로 평가받으며, 각종 기구나 목검의 재료로 사용된다.

6. 2. 정원수

1년 내내 푸르름을 즐길 수 있으며, 방풍림, 생울타리, 공원수, 가로수, 정원수 등의 식재에 자주 사용된다. 참나무류는 모두 각지에서 숲의 수종으로 이용되었으며, 이식에도 강하고, 강인하며 가지치기에도 잘 견디고, 성장이 빨라 사용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상록 활엽수 중에서도 높이에 비해 줄기가 가늘어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압박감을 주지 않는다.

6. 3. 식용 및 약용

가시나무의 잎은 떡갈나무 잎과 마찬가지로 요로 결석을 녹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또한, 가을에 익는 열매인 도토리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7. 종류

도토리가 달리는 나무는 크게 상록성과 낙엽성으로 나눌 수 있다. 상록성 참나무류에는 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가 있으며, 낙엽성 참나무류에는 갈참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가 있다.

가시나무는 키가 20m까지 자라는 상록수 참나무이다. 잎은 길이 60mm~110mm, 너비 18mm~40mm이며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고, 잎자루의 길이는 10mm~25mm이다. 도토리는 달걀 모양에서 타원체이며, 길이 14mm~25mm, 지름 10mm~15mm이고 털이 없으며 둥근 꼭대기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토리가 떨어진 자리의 평평한 흉터는 직경이 약 6mm이다. 도토리를 감싸는 각두(殼斗)는 높이 5mm~8mm, 지름 10mm~18mm 정도로 도토리의 1/3에서 1/2 정도를 감싸며, 각두를 이루는 포(苞) 조각들은 끝부분에서 서로 합쳐지지 않는다.[6]

8. 유래

가시나무는 그 이름 때문에 나무에 가시가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가시가 없다. 가시나무라는 이름은 '가서목(歌舒木)→가서나무→가시나무'로 변화된 것이다. 가서목(歌舒木)에서 '가(哥)'는 언니(형)를, '서(舒)'는 '떨다'를 의미하며, '목(木)'은 나무를 뜻한다. 이는 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떠는 것처럼 보인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이름 유래로는 잎 뒷면이 희끄무레하기 때문이라는 설과 재목이 흰색이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별칭으로는 가시, 호소바가시라고도 불리며, 수피가 검은색이어서 크로가시라는 이름도 있다. 중국어명은 소엽청강(小叶青冈)[9]이다.

참조

[1] IUCN Quercus myrsinifolia 2024-04-18
[2] 웹사이트 Quercus myrsinifolia Blume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03-04
[3] Tropicos Quercus myrsinifolia
[4]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03-07
[5] 웹사이트 植物和名ー学名インデックス YList - The YList Botanical Name - Scientific Name Index http://ylist.info/yl[...] 2017-03-22
[6] eFloras 2012-06-17
[7] 웹사이트 Quercus myrsinifolia http://oaks.of.the.w[...] 2012-06-17
[8] 웹사이트 Appendix 2.1: An updated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oaks https://figshare.com[...] 2023-02-24
[9] YList 2024-02-17
[10] YList 2024-02-17
[11] 논문 菌根菌との相互作用が作り出す森林の種多様性
[12] 논문 境界の地下はどうなっているのか : 菌根菌群集と実生更新との関係
[13] 논문 外生菌根菌の生活様式
[14] 논문 森林生態系における外生菌根の生態と応用
[15] 논문 外生菌根菌ネットワークの構造と機能
[16] 논문 土壌真菌群集と植物のネットワーク解析 : 土壌管理への展望
[17] 논문 アカマツ(''Pinus densiflora'')の種子サイズがチチアワタケ(''Suillus granulatus'')による菌根形成と実生の初期成長に及ぼす影響
[18] 논문 ニセアカシア林内におけるクロマツ実生の天然更新について クロマツ実生の菌根と生存率の評価
[19] 논문 異なる下層植生の海岸クロマツ林内でのクロマツ菌根の出現頻度
[20] 서적 ニセアカシアの生態学 : 外来樹の歴史・利用・生態とその管理 文一総合出版
[21] 서적 植物と環境ストレス コロナ社
[22] 웹사이트 陸上植物の進化 真正双子葉類 > バラ群 > ブナ目 https://www.nibb.ac.[...] 2024-07-25
[23] 논문 ツキノワグマ(''Ursus thibetanus'')はタンニン結合性唾液タンパク質の分泌能を有するか
[24] 논문 西日本の照葉樹林におけるイノシシ(''Sus scrofa'')のタンニン結合性唾液タンパク質産生量の季節変化
[25] 논문 ササ群落と岩塊地の境界部における野ネズミのミズナラ堅果運搬・貯蔵行動と実生の分布
[26] 논문 堅果とアカネズミとの関係―タンニンに富む堅果をアカネズミが利用できるわけ―
[27] 논문 黒毛和種繁殖牛におけるドングリ中毒の集団発生
[28] 논문 Suspected acorn toxicity in nine horses
[29] 논문 Patterns of invasion by ''Quercus glauca'' in a coppice forest of pine and deciduous oaks as a function of topography at a hilly site in Toyota City, Aichi Prefecture, Japan
[30] 논문 Joint evolution of mutualistic interactions, pollination, seed dispersal mutualism, and mycorrhizal symbiosis in trees
[31] 논문 羊ケ丘天然林のミズナラ種子食昆虫 : 主要種の生活史と発芽能力への影響
[32] 논문 正常および虫害のミズナラ堅果に対するヒメネズミの選択性
[33] 논문 ミズナラの天然更新における野ネズミとササの複合作用
[34] 논문 ブナ・ミズナラ移植実生の生残過程における捕食者ネズミ類の生息地選択の影響
[35] 서적 原色昆虫大圖鑑. 第1巻(蝶・蛾篇)新訂 北隆館
[36] 서적 日本の鱗翅類 : 系統と多様性 東海大学出版会 2011
[37]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in parasitoid communities and the cause of enemy-free space in a range-expanding myrmecophilous lycaenid butterfly 2024
[38] 논문 ナラ類集団枯損被害に関連する菌類 1998
[39] 논문 ブナ科樹木萎凋病菌 ''Raffaelea quercivora''に対するブナ科9樹種の感受性 2020
[40] 논문 愛知県海上の森におけるナラ枯れ被害林分の森林動態 2016
[41] 논문 広島市におけるアカマツ二次林の遷移段階とマツ枯れ被害度 1992
[42] 논문 ナラ枯れ後の広葉樹二次林の動態に及ぼすニホンジカの影響 2015
[43] 논문 虎斑の現れたミズナラ材表面の視覚特性 2011
[44] 간행물 高比重材(コナラ)の乾燥 富山県木材試験場報告 1985
[45] 웹사이트 美郷町備長炭製炭技術保存会の備長炭製炭 https://www.miyazaki[...] 2024-08-08
[46] 논문 Phylogeny, Biogeography, and Processes of Molecular Differentiation in ''Quercus'' Subgenus ''Quercus'' (Fagaceae) 1999
[47] 논문 An Updated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Oaks: Review of Previous Taxonomic Schemes and Synthesis of Evolutionary Pattern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