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곤 던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곤 던칸은 미국의 복음주의 신학자이자 목사이다. 그는 사우스캐롤라이나 그린빌 출신으로, 퍼먼 대학교, 코버넌트 신학대학원,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던칸은 개혁신학대학교(RTS)의 조직신학 석좌교수이자 총장을 역임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중시하는 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그는 남녀의 역할에 대한 상호보완론적 관점을 가지며, 저술 및 편집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또한 미국 개혁 장로교회(PCA) 총회 의장과 고백적 복음주의 연합의 전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빌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 - 존 B. 왓슨
존 B. 왓슨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로, 의식 연구를 비판하며 자극과 반응에 주목하는 심리학을 주창했고, 리틀 앨버트 실험을 통해 감정의 조건화 가능성을 탐구했으며, 광고계에서 커피 브레이크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이다. - 그린빌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 - 블라인드 윌리 워커
블라인드 윌리 워커는 1930년대 초반에 활동한 미국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독특한 기타 연주 스타일과 다장조 선호로 블루스 음악에 기여했으며 "South Carolina Rag"와 "Dupree Blues" 등의 곡을 남기고 선천성 매독으로 사망했다. - 퍼먼 대학교 동문 -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의 정치인 알렉산데르 스투브는 국민연합당 소속으로 유럽 의회 의원, 핀란드 외무부 장관, 총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2024년 핀란드 대통령에 당선되어 NATO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하고 있다. - 퍼먼 대학교 동문 - 존 B. 왓슨
존 B. 왓슨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로, 의식 연구를 비판하며 자극과 반응에 주목하는 심리학을 주창했고, 리틀 앨버트 실험을 통해 감정의 조건화 가능성을 탐구했으며, 광고계에서 커피 브레이크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이다. - 에든버러 대학교 동문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 에든버러 대학교 동문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리곤 던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J. 리곤 던칸 3세 |
원어명 | Jennings Ligon Duncan III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60년 11월 29일 |
출생지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 |
국적 | 미국 |
학력 | |
학사 | 퍼먼 대학교 (1983년) |
목회학 석사 | 커버넌트 신학교 (1986년) |
박사 | 에든버러 대학교 (1995년) |
신학적 관점 | |
교단 | 장로교, 칼뱅주의 |
주요 관심사 | 칼뱅주의 언약 신학 성경 무오설 성 역할 |
주요 사상 | 언약 신학 상보주의 |
경력 | |
직업 | 신학자 목사 |
소속 | 제일 장로교회 |
현재 직책 | 리폼드 신학교 총장 |
2. 교육
던컨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 출신이다.[1] 1979년 그린빌 시니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3년 퍼먼 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코버넌트 신학대학원에서 1986년 목회학 석사(M.Div.) 학위와 1987년 역사 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0년에는 개혁신학대학교(Reformed Theological Seminary)에서 수학했으며, 1995년 에든버러 대학교 뉴 칼리지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던컨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존중하고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을 중시한다. 그는 남성과 여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보수적인 상호보완론을 고수하며, 2017년에는 내슈빌 선언에 서명했다.[10]
3. 신학
또한 던컨은 에릭 메이슨 박사의 저서 "Woke Church"의 서문을 썼는데, 이 책은 기독교 교회가 흑인 생명 운동을 지지해야 하며 이슬람 국가가 흑인 자긍심을 고취한다고 주장한다.
3. 1. 성 역할에 대한 관점
던컨은 보완주의적인 성 역할 관점을 견지한다.[11] 그는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고 말하는 고린도전서 14장 34절이 디모데전서 2장 12절에서와 같이 여자가 남자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고 믿는다.[12] 이는 웨인 그루뎀과 돈 카슨이 주장하는, 여성이 교회에서 공개적으로 예언을 판단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일반적인 견해와는 다르다.[13] 던컨이 섬기는 교회에서는 남성이 혼합 성인 주일학교 수업을 가르치지만, 부부가 육아나 결혼과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해 함께 가르치는 것은 허용한다.[14]
4. 목회 경력
던컨은 20대 초반, 신학 대학원 재학 중에 목회 경력을 시작했다. 24세에 캘버리 장로회(PCA)로부터 설교 허가를 받았다.[9] 그 후 장로교, 네덜란드 개혁 교회, 침례교, 회중 교회, 성공회, 감리교, 독립 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설교했다.[9] 영국에 있는 동안 던컨은 스코틀랜드 교회,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 잉글랜드 장로회에서 강단을 제공했다.[9]
그의 목회 사역은 40년 동안 네 곳의 교회에서 이어져 왔다.[9]
-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의 코버넌트 장로 교회[9]
- 미시시피 주 잭슨의 트리니티 장로 교회[9]
- 미시시피 주 야주 시티의 제일 장로 교회[9]
- 미시시피 주 잭슨의 제일 장로 교회 (18년 동안 봉사)[9]
1990년 던컨은 미국 장로교(PCA)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9] 1996년에는 미시시피 주 잭슨에 있는 제일 장로 교회(1837년)의 담임 목사가 되었으며, 2013년까지 봉사했다.[9]
5. 기관 및 단체 활동
던칸은 1990년 미시시피주 잭슨에 있는 개혁신학대학교(RTS)의 조직신학 교수로 합류했다. 2014년부터는 개혁신학대학교 총장직을 맡아 조직신학부에서 계속 가르치고 있다.[3][4]
던칸은 미국 개혁 장로교회(PCA)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했다.[5]
6. 저서 및 출판 활동
- ''The Westminster Confession into the 21st Century Volum I, II, III'' (총괄 편집자)
6. 1. 저서 및 공저
- 《은혜는 겨울에 가장 잘 자라는가?》 (J. 니콜라스 리드와 공저). P & R 출판사, 2009.
- 《두려워하지 말라!》 (제리 브리지스 서문). 크리스천 포커스, 2008.
- 《웨스트민스터 총회: 기본 서지 안내》 (데이비드 W. 홀과 공저). 개혁 학술 출판사, 1993.
- 《웨스트민스터 총회 간략 역사》 (윌리엄 베버리지와 공저/편집). 개혁 학술 출판사, 1993.
- 《창세기 논쟁: 창조의 날들에 대한 세 가지 관점》 (데이비드 W. 홀, 메러디스 클라인, 리 아이언스, 휴 로스, 글리슨 아처와 공저). 크룩스 출판사, 2000.
- 《우리는 교회를 떠나야 하는가?》 (마크 탤벗과 공저). P&R, 2004.
- 《지역 교회 여성 사역》 (공저). 크로스웨이, 2006.
6. 2. 편집
- 《Matthew Henry’s Method for Prayer영어》(편집자). Christian Focus Publications영어/Christian Heritage영어, 1994.
- 《The Westminster Confession in the 2lst Century: Essays in Remembrance of the 350th Anniversary of the Westminster Assembly영어》(총괄 편집자 및 기고자) Mentor영어, 제1권, 2003년; 제2권, 2004년; 제3권, 2008년.
- 《Give Praise to God: A Vision for Reforming Worship영어》(편집자 및 기고자) P&R, 2003.
- 《매튜 헨리의 기도 방법》(편집자). 크리스천 포커스 출판사/크리스천 헤리티지, 1994.
- 《21세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웨스트민스터 총회 350주년 기념 에세이집》(총괄 편집자 및 기고자) 멘토, 제1권, 2003년; 제2권, 2004년; 제3권, 2008년.
- 《하나님께 찬양을: 예배 개혁을 위한 비전》(편집자 및 기고자) P&R, 2003.
6. 3. 기고
제목 | 출판사 | 연도 |
---|---|---|
고백적 구독의 실행 | 아메리카 대학교 출판사 | 1995 |
복음 회복과 교회 개혁 | 파운더스 프레스 | 2003 |
디모데에게 보내는 편지 | 파운더스 프레스 | 2004 |
우리의 소망을 고백하며 | GPTS 프레스 | 2004 |
헌신된 삶: 청교도 고전으로의 초대 | IVP | 2004 |
십자가 설교 | 크로스웨이 | 2007 |
두려워 말라: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죽음과 사후 세계 | 크리스천 포커스 | 2008 |
내 자리에 그가 서다 | 크로스웨이 | 2008 |
참조
[1]
웹사이트
Reverend J. Ligon Duncan III
https://web.archive.[...]
First Presbyterian Church of Jackson, Mississippi
2011-12-09
[2]
간행물
Covenant idea in ante-Nicene theology
https://www.era.lib.[...]
1995
[3]
웹사이트
RTS Appoints Pastor-Theologian as New Chancellor: Duncan has a longtime connection with RTS.
http://www.rts.edu/f[...]
2008-08-22
[4]
웹사이트
RTS Appoints Pastor-Theologian as New Chancellor: Duncan has a longtime connection with RTS.
https://www.rts.edu/[...]
[5]
웹사이트
Monergism.com
http://www.monergism[...]
2008-08-22
[6]
Webarchive
Ligon Duncan
http://www.alliancen[...]
Alliance of Confessing Evangelicals
2012-05-05
[7]
웹사이트
Reformation21
http://www.reformati[...]
2008-08-22
[8]
웹사이트
The Gospel Coalition
https://web.archive.[...]
2008-08-22
[9]
웹사이트
About Ligon Duncan
https://ligonduncan.[...]
[10]
웹사이트
Initial Signatories
https://cbmw.org/nas[...]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2017-09-02
[11]
문서
Recovering: Chapter 2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Women in the Church and Silence in the Church
http://www.cbmw.org/[...]
2004-12-15
[13]
문서
see Question 25, also see footnote on p144 in Wayne Grudem's book ''Countering the Claims of Evangelical Feminism'' (or the footnote on p233 in the full length version ''Evangelical Feminism and Biblical Truth'') for references to more detailed treatments of this question.
http://www.cbmw.org/[...]
[14]
웹사이트
Question and Answer Session
https://web.archive.[...]
2009-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