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머릭 소비에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머릭 소비에트는 1919년 4월 아일랜드 리머릭에서 발생한 총파업으로, 아일랜드 독립 전쟁 중 영국군의 대응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IRA의 로버트 번 구출 시도 중 경찰관 사망 사건 이후 영국군이 도시를 특별 군사 구역으로 선포하고 출입 통제를 강화하자, 리머릭 상업 및 노동자 평의회는 총파업을 선언하고 스스로를 소비에트라고 칭하는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는 자체 화폐를 발행하고, 식량 가격을 통제하며, 자체 신문을 발행하는 등 자치적인 운영을 시도했다. 하지만 2주 후, 신 페인 소속 시장과 가톨릭 주교의 파업 중단 호소로 4월 27일 파업이 종료되었다. 리머릭 소비에트는 사회주의 혁명보다는 민족주의적, 인도주의적 동기에서 비롯된 자발적인 항의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의회 공화국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1931년 중국 공산당이 장시성에 수립한 국가로,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다가 국공 합작으로 중화민국에 흡수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이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토대로 평가한다. - 평의회 공화국 -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1919년 3월부터 8월까지 헝가리에서 존속한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혼란 속에서 헝가리 공산당이 수립하여 벨러 쿤을 중심으로 공산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주변국과의 갈등 및 내부 반발로 단명으로 막을 내린 공산주의 정권이다. - 아일랜드 독립 전쟁 -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주간에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아일랜드 독립 전쟁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리머릭 소비에트 | |
---|---|
기본 정보 | |
명칭 | 리머릭 소비에트 |
원어 명칭 | lang-ga: Sóivéid Luimnigh (아일랜드어) lang-en: Limerick Soviet (영어) |
다른 명칭 | 특별 군사 지역 (Special Military Area) |
개요 | |
성격 | 자칭 소비에트 |
위치 | 아일랜드 리머릭 |
기간 | 1919년 4월 14일 ~ 1919년 4월 27일 (2주) |
주요 인물 | 리머릭 노동 조합 협의회 |
역사적 배경 | |
배경 | 아일랜드 독립 전쟁 중 |
원인 | 영국군의 계엄령 선포 정치적 불안 경제적 어려움 |
주요 사건 | |
주요 사건 | 총파업 자체 통치 시도 통화 발행 식량 가격 통제 |
결과 | |
결과 | 2주 만에 종료 영국군의 통제 강화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상징적 사건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Smyth, Patrick (2019년 1월 21일). "When Limerick Workers Seized The City For Two Weeks". The Irish Times. Bureau of Military History 사진 갤러리: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Sunday Pictorial 13 April 1919 - Limerick Bureau of Military History 사진 갤러리: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Daily sketch 17 April 1919 - Riot at Limerick |
2. 역사적 배경
리머릭 소비에트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탄생했다. 아일랜드 공화국군(IRA)과 영국 정부 간의 무력 충돌이 격화되던 중, 리머릭 지역에서 발생한 특정 사건이 도화선이 되었다. 로버트 번(Robert Byrne영어)의 구출 시도와 사망, 그리고 이에 대한 영국군의 강경 대응은 지역 사회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영국 당국이 리머릭 시를 특별 군사 구역으로 지정하고 시민들의 이동을 통제하자, 이에 항의하는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조직되었다. 이 파업을 주도한 노동 위원회는 스스로를 '소비에트'라 칭하며 도시 행정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당시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은 명칭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아일랜드 민족 운동과 노동 운동이 결합하여 영국의 통치에 저항하는 독특한 형태의 자치 기구를 형성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2. 1. 아일랜드 독립 전쟁

1919년 1월부터 아일랜드 독립 전쟁은 신 페인의 다일 에이렌의 지원을 받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과 영국 정부 사이의 게릴라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919년 4월 6일, IRA는 로열 아이리시 경찰(RIC)에 체포된 후 단식 투쟁의 여파로 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로버트 번(Robert Byrne영어)을 구출하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관 마틴 오브라이언(Martin O'Brien영어)이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으며, 다른 경찰관 1명도 중상을 입었다. 번 역시 심각한 부상을 입고 같은 날 사망했다.[2][14]
이 사건에 대응하여 4월 9일, 영국군의 그리핀(Griffin영어) 준장은 리머릭 시를 특별 군사 구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4월 14일 월요일부터 도시를 출입하기 위해서는 RIC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3][14] 영국군과 장갑차가 도시에 배치되었다.[4]
4월 11일 금요일, 로버트 번이 대표로 있었던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 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아일랜드 운송 및 일반 노동자 연합(ITGWU) 대표 션 도울링(Sean Dowling영어)은 노동 조합이 시청을 점거하고 회의를 열 것을 제안했으나, 이 안건은 표결에 부쳐지지 않았다.[5] 4월 12일 토요일에는 렌스다운(Lansdowne)의 클리브스(Cleaves) 공장에서 일하던 ITGWU 소속 노동자들이 파업 돌입을 결정했다. 다음 날인 4월 13일 일요일, 12시간에 걸친 토론과 노동자 대표들의 로비 끝에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는 총파업을 선언했다. 파업 지휘 책임은 4월 14일부터 스스로를 '소비에트'(평의회)라고 칭한 위원회에 위임되었다.[6] 이 위원회는 1913년 더블린 총파업의 사례를 참고했으며, '소비에트'라는 명칭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이끌었던 평의회를 가리키는 용어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6]
2. 2. 로버트 번 구출 작전과 영국 정부의 대응
1919년 1월부터 시작된 아일랜드 독립 전쟁은 아일랜드 공화국군(IRA)과 영국 정부 사이의 게릴라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IRA는 신 페인의 다일 에이렌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같은 해 4월 6일, IRA는 로열 아이리시 경찰(RIC)에 체포된 후 단식 투쟁의 여파로 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Robert Byrne|로버트 번영어을 구출하고자 시도했다. 이 구출 시도 과정에서 경찰관 Martin O'Brien|마틴 오브라이언영어이 치명상을 입었고 다른 경찰관 1명도 중상을 입었다. 로버트 번 역시 부상을 입고 같은 날 사망했다.[2]
이에 대응하여 4월 9일, 영국군의 Griffin|그리핀영어 준장은 리머릭 시를 특별 군사 구역으로 선포했다. 이 조치에 따라 4월 14일 월요일부터 시민들은 도시를 출입할 때 RIC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3] 영국군 병력과 장갑차가 도시에 배치되어 삼엄한 분위기를 조성했다.[4]
4월 13일 일요일, 로버트 번이 대표를 맡고 있던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Limerick United Trades and Labour Council)는 영국군의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총파업을 선언했다.[6] 파업 지휘의 책임은 4월 14일부터 스스로를 소비에트(평의회)라고 칭하는 위원회에 위임되었다.
3. 리머릭 소비에트의 설립과 운영
리머릭 소비에트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 중이던 1919년 4월, 영국군의 특별 군사 구역 선포와 리머릭 시 출입 통제 조치에 항의하여 시작된 총파업 과정에서 탄생했다.[3][14][4]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는 총파업을 주도하며 스스로를 '소비에트'(평의회)라 칭하고 도시 운영에 나섰다.[6]
소비에트는 짧은 기간 동안 리머릭 시의 실질적인 통치 기구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식량 가격을 통제하고 식량과 연료 공급을 관리했으며,[9][10] 영국 실링 기반의 자체 화폐를 발행하여 통용시켰다.[9][10] 또한 The Workers' Bulletin|노동자 게시판eng이라는 자체 신문을 발행하여 파업 소식과 입장을 알렸다.[9][10] 소비에트의 활동은 단순한 파업을 넘어 도시의 일상생활 운영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고, 상점과 영화관 등도 소비에트의 지침 아래 운영되었다.[1][9]
리머릭 소비에트는 사회주의 혁명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영국군의 조치에 대한 민족주의적, 인도주의적 항의의 성격이 강했으며,[12] 가톨릭적 색채도 나타났다.[15][7][8] 당시 리머릭에서 열릴 예정이던 대서양 횡단 항공 경주가 취소되면서 현지에 머물던 많은 외국 저널리스트들에 의해 소비에트의 활동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도 했다.
3. 1. 총파업 선언과 소비에트 구성
1919년 1월부터 시작된 아일랜드 독립 전쟁은 신 페인의 아일랜드 의회(다일 에이렌)의 지원을 받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과 영국 정부 사이의 게릴라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919년 4월 6일, IRA는 왕립 아일랜드 경찰대(RIC)에 체포되어 단식 투쟁 후 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로버트 번(Robert Byrne영어)을 구출하려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관 마틴 오브라이언(Martin O'Brien영어)이 치명상을 입었고 다른 경찰관 한 명도 중상을 입었다. 번 역시 부상을 입고 같은 날 사망했다.[2]
이에 대응하여 영국군의 그리핀(Griffin영어) 준장은 4월 9일 리머릭 시를 특별 군사 구역으로 선포하고, 4월 14일 월요일부터는 도시 출입 시 RIC의 허가를 받도록 조치했다.[3][14] 영국군 병력과 장갑차가 도시에 배치되었다.[4]
4월 11일 금요일, 사망한 번이 대표로 있었던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Limerick United Trades and Labour Council)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아일랜드 운송 및 일반 노동자 연합(ITGWU) 대표 션 도울링(Seán Dowling영어)은 노동 조합이 시청을 점거하고 회의를 열 것을 제안했으나, 이 안건은 표결에 부쳐지지 않았다.[5] 다음 날인 4월 12일 토요일, 렌스다운(Lansdowne) 지역 클리브스 공장(Cleves Factory)의 ITGWU 소속 노동자들은 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4월 13일 일요일, 12시간에 걸친 토론과 노동자 대표들의 로비 끝에, 리머릭 연합 노동 위원회(리머릭 상업 및 노동자 평의회)는 총파업을 선언했다. 파업 지휘 책임은 4월 14일부터 스스로를 '소비에트'(평의회)라고 칭한 위원회에 위임되었다.[6] 이 위원회는 1913년 더블린 총파업 사례를 참고했으며, 당시 '소비에트'라는 용어는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이끌었던 노동자·병사 평의회를 연상시키며 널리 사용되던 명칭이었다.
3. 2. 자체 통화, 식량 통제, 신문 발행
파업이 군대에 대한 보이콧으로 확대되면서, 특별 파업 위원회가 구성되었다.[9][10] 이 위원회는 식량 가격을 통제하고 식량과 연료 공급을 조직했다.[9][10] 또한 영국 실링을 기반으로 자체 화폐를 발행했으며, 도시의 사업체들은 이 파업 통화를 받아들였다.[9][10]위원회는 '노동자 게시판'(The Workers' Bulletineng)이라는 자체 신문을 발행했다.[9][10] 1919년 4월 21일 자 '노동자 게시판'은 "영리하고 재능 있는 정신에 의해 새롭고 완벽한 조직 시스템이 고안되었으며, 곧 우리는 아일랜드 노동자들이 스스로의 자원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세상에 보여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9] 부활절 월요일 발행된 신문에서는 "파업은 노동자의 파업이며 다른 파업보다 신 페인(Sinn Féin)과는 더 이상 관련이 없다."라고 밝혀 독자적인 노선을 강조했다.[9]
이 외에도 소비에트는 일상생활 운영에 관여했다. 영화관은 "파업 위원회의 권한으로 운영"이라는 표지판을 게시하고 문을 열었으며,[1] 지역 신문은 "파업 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발행"이라는 문구를 달고 일주일에 한 번 발행이 허용되었다.[9]
리암 카힐(Liam Cahill)은 소비에트의 사유 재산에 대한 태도가 본질적으로 실용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상점 주인들이 소비에트의 지시에 협조하는 한, 그들의 재산을 강제로 징발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11] 그는 또한 일부에서 파업을 혁명으로 묘사했지만, "결국 소비에트는 사회주의적 또는 심지어 노동 조합의 목표가 아닌 본질적으로 민족주의적이고 인도적인 근거에 대한 감정적이고 자발적인 항의였다"고 분석했다.[12]
영국과 미국에서 온 저널리스트들은 소비에트를 취재하고 지도자들과 인터뷰했다. 시카고 트리뷴의 루스 러셀(Ruth Russell)은 평의회의 가톨릭 성향에 주목하며 "근처 성 마틴 교회의 종이 계시를 알리고, 붉은 휘장의 관리인들은 모두 자신을 높이고 축복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5]
3. 3. 언론의 주목
리머릭 소비에트가 활동하던 시기에 리머릭주 보언모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대서양 횡단 항공 경주가 취소되었다. 이로 인해 영국과 미국에서 온 많은 기자들이 리머릭에 머물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리머릭 소비에트의 소식을 취재하여 보도했다. 기자들은 소비에트 조직자들을 인터뷰했으며, 노동 조합 위원장이었던 존 크로닌은 언론 보도에서 "소비에트 아기"의 아버지 등으로 묘사되었다.특히 ''시카고 트리뷴''의 기자 루스 러셀은 파업 위원회의 종교적 성향에 주목했다. 그녀는 "근처 성 문친 교회의 종이 삼종기도를 알리자 붉은 배지를 단 모든 경비병들이 일어나 십자 성호를 그었다"고 기록했다.[7][8] 한편, 당시 리머릭 시장이었던 폰스 오마라 (신 페인 소속)는 러셀 기자에게 "이곳 사람들은 가톨릭 신자이기 때문에 사회주의의 전망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7][8]
4. 리머릭 소비에트의 성격과 의미
리머릭 소비에트의 성격과 그 역사적 의미를 둘러싸고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이를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 노동자들의 자치 시도이자 사회주의 혁명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으로 평가한다. 당시 노동자들이 자체적으로 통화를 발행하고 도시 질서를 유지하며 사실상의 정부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암 카힐(Liam Cahill|리암 카힐영어)과 같은 분석가들은 리머릭 소비에트가 이념적 목표보다는 당면한 문제 해결에 집중한 실용적인 성격이 강했다고 본다. 특히 사유 재산에 대한 태도에서 이러한 점이 드러나는데, 상점 주인들이 소비에트의 지시에 협조하는 한 재산을 강제로 징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11][16] 카힐은 더 나아가 소비에트의 본질이 사회주의나 노동 조합 운동의 목표 달성보다는, 영국 군 당국의 비인도적인 통제에 대한 민족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감정에서 비롯된 자발적 항의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2][17]
이러한 다양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리머릭 소비에트는 영국 제국주의 통치 하에서 아일랜드 민중이 보여준 저항 정신과 자치 능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기억된다. 비록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노동자들이 스스로를 조직하여 지역 사회를 운영하려 했던 시도는 아일랜드 노동 운동 역사뿐만 아니라 독립 투쟁사에서도 독특한 의미를 지닌다.
4. 1. 실용주의적 접근
리암 카힐(Liam Cahill|리암 카힐영어)은 리머릭 소비에트의 사유 재산에 대한 태도가 본질적으로 실용적이었다고 분석한다. 그는 "상점 주인들이 소비에트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려는 의지가 있는 한, 그들의 구내를 강제 징발할 실질적인 이유는 없었다"고 주장하며[11][16], 소비에트가 혁명적 원칙보다는 현실적인 운영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시사한다.일부에서는 이 파업을 혁명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카힐은 "결국 소비에트는 사회주의적 또는 심지어 노동 조합의 목표가 아닌 본질적으로 민족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근거에 대한 감정적이고 자발적인 항의였다"고 덧붙이며 파업의 성격을 규정했다.[12][17] 이는 소비에트의 활동이 이념적 목표 달성보다는 당시의 억압적인 상황에 대한 저항과 지역 사회의 자치적 운영에 더 중점을 두었음을 보여준다.
4. 2. 자발적인 항의
리암 카힐(Liam Cahill)은 리머릭 소비에트의 사유 재산에 대한 태도가 기본적으로 실용주의적이었다고 분석한다. 그는 "상점 주인들이 소비에트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려는 의지가 있는 한, 그들의 구내를 강제 징발할 실질적인 이유는 없었다"고 주장했다.[11][16] 일부에서는 이 파업을 혁명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카힐은 소비에트가 사회주의나 노동 조합 운동의 목표보다는 본질적으로 민족주의와 인도주의에 기반한 감정적이고 자발적인 항의였다고 평가한다.[12][17]5. 종말과 영향
리머릭 소비에트는 외부의 압력과 내부의 논의 끝에 2주 만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 짧은 기간의 실험은 아일랜드 노동 운동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지만, 전국적인 지지를 확보하지는 못하고 지역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수도 더블린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나, 다른 주요 지역에서는 호응이 미미했다.[9][10]
5. 1. 파업 종료 선언
파업이 시작된 지 2주 후, 신 페인 소속의 리머릭 시장 알파운서스 오마라(Alphonsus O'Mara)와 가톨릭 사제 데니스 할리난(Denis Hallinan)이 파업 중단을 호소했다. 이에 파업 위원회는 1919년 4월 27일 파업 종료를 선언했다.5. 2. 다른 지역과의 관계
리머릭 소비에트의 파업은 아일랜드 내 다른 지역에서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수도인 더블린에서는 어느 정도 공감과 지지를 얻었으나,[9][10] 아일랜드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인 벨파스트 주변 지역에서는 거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특히 전국 철도 노동자 연합(The National Union of Railwaymen)의 지지도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9]참조
[1]
뉴스
When Limerick Workers Seized The City For Two Weeks
https://www.irishtim[...]
2019-01-21
[2]
웹사이트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Sunday Pictorial 13 April 1919 – Limerick
http://photogallery.[...]
Bureau of Military History
2013-07-24
[3]
서적
The Story of the Limerick Soviet
Limerick Soviet Commemoration Committee
[4]
웹사이트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Daily sketch 17 April 1919 – Riot at Limerick
http://photogallery.[...]
Bureau of Military History
2013-07-24
[5]
서적
Limerick Soviet 1919: the Revolt of the Bottom Dog
Thomond Publishing
[6]
웹사이트
The Limerick Soviet: 100 Years On
https://www.rebelnew[...]
2019-01-31
[7]
간행물
The Limerick Soviet—a review article
1992
[8]
서적
Bitter Freedom: Ireland in a Revolutionary World 1918-1922
Faber & Faber
[9]
웹사이트
The Munster Soviets and the Fall of The House of Cleeve
http://www.limerickc[...]
2024-12-07
[10]
웹사이트
The Limerick Soviet April 1919: The Triumph of the Limerick Trades Council
http://www.limerickc[...]
2024-12-07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http://robertnielsen[...]
[14]
서적
The Story of the Limerick Soviet
Limerick Soviet Commemoration Committee
[15]
간행물
[16]
서적
Forgotten Revolution; Limerick Soviet 1919
O'Brien Press
[17]
서적
[18]
웹인용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Sunday Pictorial 13 April 1919 - Limerick
http://photogallery.[...]
Bureau of Military History
2013-07-24
[19]
웹인용
P28: Events of national interest 1919-1920 - Daily sketch 17 April 1919 - Riot at Limerick
http://photogallery.[...]
Bureau of Military History
2013-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