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메스 아라비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메스 아라비쿠스는 로마 제국이 아라비아 국경 지대에 구축한 방어 시설을 지칭한다. 세베루스 왕조 시기에 요새와 도로를 건설하며 방어 체계를 강화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아라비아 속주를 분할하고 군사력을 확장하여 리메스 팔라이스티나를 구축했다. 이 지역에는 카스텔룸과 군단 주둔지가 건설되었으며, 6세기 초에는 병력이 철수하고 토착 아랍인 포이데라티로 대체되었다. 611년 사산 왕조와의 전쟁으로 점령당했으며, 현재 유적을 통해 로마 제국의 국경 방어 체계를 연구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국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122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건설한 브리타니아 섬 횡단 방벽으로, 로마 제국의 국경을 표시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로마의 국경 - 리메스
    리메스는 라틴어로 경계를 의미하며, 로마 제국이 국경 방어를 위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건설한 일련의 방어 시설을 지칭한다.
리메스 아라비쿠스
개요
위치로마 제국의 사막 변경
역사적 맥락
건설 시기트라야누스 황제 시기 (100년 ~ 116년) 이후
지리적 범위
길이약 1,500 km
범위시리아에서 아라비아를 거쳐 팔레스타인까지
구조
주요 시설요새
성벽
도로

감시 초소
목적
주 목적변경 방어
무역로 보호
유목민 통제
고고학적 연구
연구 시작20세기 초
주요 연구자S. 토마스 파커
추가 정보
중앙 리메스 아라비쿠스 프로젝트1980년 시작, 초기 보고서 발표
길이 (추정)약 430 km (중앙 지역)
역할로마 제국의 동쪽 변경을 보호하는 역할 수행

2. 요새 시설

세베루스 왕조 (193년~235년) 때 로마는 아라비아 속주 국경의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와디 시르한 북서쪽 끝에 여러 카스트라(요새)를 건설하고 도로를 정비했다. 주요 요새로는 카스르 아즈락과 후메이마(라틴어: Auara)가 있었는데, 후메이마는 페트라에서 아일라까지 이어진 비아 트라아나 노바에 위치하여 최대 500명의 보조군이 주둔할 수 있었다. 이 요새는 4세기에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3]

2. 1.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군사 확장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옛 아라비아 속주를 분할하여 남쪽 지역을 팔라이스티나로 변경하였다. 그는 트라이아나 노바 가도 동쪽 사막 경계를 따라 다수의 카스텔룸(요새)과 망루, 요새들을 건설하며 군비를 확장했다.[13] 이 방어선은 다마스쿠스 남쪽에서 와디 알하사까지 뻗어 있었다.

와디 무지브에서 와디 알하사에 이르는 지역에는 카스텔라 네 채와 군단 주둔지 하나가 있었다. 아일라(아카바)까지 이어지는 와디 알하사의 남쪽 국경 지대는 '리메스 팔라이스티나'(Limes Palaestina)라고 불렸을 수 있다.[13] 이 지역에서는 카스텔룸 10채와 군단 주둔지 한 곳이 확인되었다.

2. 2. 리메스 팔라이스티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옛 아라비아 속주를 분할하여 남부 지역을 팔라이스티나로 변경하였다. 와디 알하사 남쪽 국경 지대는 '리메스 팔라이스티나'라고 불렸을 수 있는데,[13] 이 지역에서는 카스텔룸 10채와 군단 주둔지 한 곳이 확인되었다.

'리메스 팔라이스티나'는 네게브 사막 북부에 있는 연속된 요새 시설과 도로,[14] 혹은 팔라이스티나 속주 군 통수권자(dux Palaestinae)의 통제 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15]

3. 인원

100km마다 방어 및 통제 목적으로 카스트라가 설치되었다.[16] 페트라 동쪽 아드루(우드흐루흐)에는 페라타 제6군단이 주둔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군단 요새가 있었다.[17] 아일라(아카바)에도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군단 주둔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6세기 초, 리메스 아라비쿠스의 병력은 점차 철수되었고, 그 자리는 주로 가산인을 포함한 토착 아랍 포이데라티로 대체되었다.[18]

3. 1. 군단 배치

카스트라는 방어 및 통제선을 만들기 위해 100km마다 설치되었다.[7] 남쪽에는 페트라 바로 동쪽에 있는 우드루에 군단 요새가 있었다. 이곳은 아마도 레기오 6 페라타가 주둔했던 곳으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라준 (오늘날의 이스라엘)에서 옮겨졌다.[8] 이곳은 규모(12acre)와 설계 면에서 베토루스 (오늘날의 요르단 알 라준)와 유사하며, 와디 무지브 남쪽의 모압 평원에 위치해 있다. 이 유적을 발굴한 알리스테어 킬릭은 이곳을 2세기 초로 추정하지만, 파커는 3세기 말 또는 4세기 초로 추정한다.

군단 야영지는 1994년부터 파커에 의해 발굴된 아카바 (오늘날의 아카바)에도 존재했을 수 있다. 이 도시는 아카바 만 북단에 위치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였다. 여러 육상로도 이곳에서 교차했다. 원래 예루살렘에 주둔했던 레기오 10 프레텐시스는 비아 노바의 종착역으로 이곳으로 이전되었다. 지금까지 돌로 된 커튼월과 돌출 탑이 확인되었지만, 이것들이 아일라의 도시 성벽의 일부인지 요새의 일부인지는 불확실하다. 이 증거는 요새가 4세기 말 또는 5세기 초에 건설되었음을 시사한다.

6세기 전반에 병력이 점차적으로 ''아라비쿠스 변경 지역''에서 철수하고, 그 자리는 주로 가산 왕조를 포함한 토착 아랍 ''포데라티''로 대체되었다.[9] 레반트의 이슬람 정복 이후, ''아라비쿠스 변경 지역''은 대부분 사라지도록 방치되었지만, 몇몇 요새는 이후 몇 세기 동안 사용되고 강화되었다.

3. 2. 포이데라티

6세기 초, 리메스 아라비쿠스의 병력은 점차 철수되었고, 그 자리는 주로 가산 왕조를 포함한 토착 아랍 세력인 포이데라티로 대체되었다.[18]

4. 역사

페라타 제6군단이 주둔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군단 요새가 페트라 바로 동쪽에 있는 아드루(우드흐루흐)에 있었다. 이곳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명으로 라이윤(현재 이스라엘)에서 이동해 왔다.[17] 베토루스(현재 요르단의 알라이윤)와 크기(4.9 헥타르) 및 형태가 유사했고, 와디 무집의 남쪽인 모아브 평야에 위치했다. 앨리스테어 킬릭(Alistair Killick)은 이곳의 추정 시기를 2세기 초로 잡았으나, S. 토머스 파커는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로 추정했다.

아카바만의 북쪽 끝에 위치하여 해상 교통의 중심지였던 아일라(아카바)에도 군단 주둔지가 있었을 수 있다. 일부 육상 무역로가 이곳을 지나갔다. 원래는 예루살렘에 배치됐던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이 트라이아나 노바 가도의 종점인 이곳으로 옮겨졌다. 현재 석제 막벽과 돌출된 감시탑이 확인되었으나, 이것들이 아일라의 도시 외벽인지 군단 요새의 일부인지는 불확실하다. 이 증거들은 이 요새가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건설되었음을 시사한다.

6세기 초, 병력들이 리메스 아라비쿠스에서 점차 철수하였고, 토착 아랍인, 그중에서도 주로 가산인들로 된 포이데라티로 대체되었다.[18] 무슬림들의 아랍 정복 이후, 리메스 아라비쿠스는 대부분 사라졌으나, 일부는 이후 몇 세기 동안에도 사용되고 보강되었다.

611년, 사산 왕조와의 전쟁 중에 ''리메스''는 점령당했다.

참조

[1]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the 1980 Season of the Central "Limes Arabicus" Project 1982-07-01
[2]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3] 웹사이트 None http://www.vkrp.org/[...]
[4] 문서 1986
[5] 문서 1991
[6] 문서 1990
[7] 웹사이트 None http://www.vkrp.org/[...]
[8]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John Wiley & Sons 2008
[9] 웹사이트 None http://www.vkrp.org/[...]
[10]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the 1980 Season of the Central "Limes Arabicus" Project 1982-07-01
[11]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12] 웹사이트 Roman castra of Humeima http://www.vkrp.org/[...] 2012-12-09
[13] 문서 1986
[14] 문서 1991
[15] 문서 1990
[16] 웹사이트 Purpose of Roman castra in Arabia http://www.vkrp.org/[...] 2013-04-16
[17]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John Wiley & Sons 2008
[18] 웹사이트 End of Limes Arabicus http://www.vkrp.org/[...] 2012-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