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텐시스 제10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옥타비아누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군단을 본떠 창설한 로마 군단으로, 나울로코스 해전에서 승리하여 '프레텐시스'라는 명칭을 얻었다. 악티움 해전, 마케도니아 속주, 시리아, 파르티아 원정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유대-로마 전쟁에서 예루살렘 공방전을 포함한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유대인 반란 진압 후 예루살렘에 주둔하며 치안을 담당했으나, 바르 코크바의 난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마르코만니 전쟁, 갈리아 제국과의 전쟁에도 참여했으며, 4세기 말에는 아일라로 이동하여 팔레스티나 공작의 지휘를 받았다. 상징으로는 황소, 배, 돌고래 등이 사용되었으며, 예루살렘에서 군단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사다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갈리카 제3군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창설한 갈리카 제3군단은 로마 제국의 주요 사건에 참여하고 시리아 속주에 장기간 주둔하며 동방 지역 안정화에 기여했으며 4세기 초까지 존속했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마케도니카 제5군단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창설되어 악티움 해전 참전 후 '마케도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얻고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존속한 군단 중 하나이다.
프레텐시스 제10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군사 정보
명칭프레텐시스 제10군단
로마자 명칭Legio X Fretensis
하드리아누스 재위 때인 서기 125년의 로마 제국 지도, 서기 73년부터 4세기까지 유대 속주 예루살렘 (히에로솔리마)에 배치된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을 나타냄
하드리아누스 재위 때인 서기 125년의 로마 제국 지도, 서기 73년부터 4세기까지 유대 속주 예루살렘 (히에로솔리마)에 배치된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을 나타냄
활동 기간기원전 41년 - 410년 이후
국가로마 제국
종류로마 군단 (마리우스)
역할불명
규모불명
본부유대 (기원전 20년대)
시리아 (서기 6-66년)
예루살렘 (대략 73년-3세기 말)
아일라 (3세기 말-410년대 이후)
의전 서열불명
별칭Fretensis, "해협의 군단"
후원자불명
모토불명
상징색불명
군가불명
마스코트황소, 배, 넵투누스, 멧돼지
참전나울로코스 해전 (기원전 36년)
악티움 해전 (기원전 31년)
코르불로의 파르티아 원정
제1차 유대-로마 전쟁 (66–73년)
마사다 공방전 (72-73년)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바르 코크바의 난 (132-135년)
주요 지휘관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베스파시아누스 (원정)
티투스
섹스투스 루킬리우스 바수스
트라야누스 (원정)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기념일불명

2. 역사

아우구스투스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제10군단을 참조하여 10이라는 숫자를 부여해 군단을 징집하면서 제10군단 프레텐시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36년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에 대항하여 나울로쿠스 해전에 참전하여 ''프레텐시스''라는 ''코그노멘''을 얻었고, 기원전 31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 맞서 악티움 해전에서 싸웠다. 악티움 해전 이후 내전이 종식되고 옥타비아누스가 권력을 잡았다.

제10군단이 마케도니아 속주로 재배치된 시기는 불확실하나, 스트리몬 강 계곡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병사들이 다리를 건설했음을 알 수 있다.[12] 마케도니아에 주둔하는 동안 기원전 16년에 사르마티아인들과 전투를 벌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시리아 속주로 이동했다.[13] 기원후 14-19년에 팔미라 신전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군단 사령관이 황제 가족 구성원에게 헌정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14] 이를 통해 제10군단이 게르마니쿠스의 동방 원정에 참여하고 파르티아와의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세레우키아 제우그마에 주둔했다고 추정된다.[13]

서기 6년, 시리아 총독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퀴리니우스는 제10군단을 이끌고 헤로데 아르켈라우스의 폐위 이후 발생한 반란을 진압했다. 58-63년에는 네로 황제 치하에서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가 파르티아에 맞서 벌인 원정에 참여했다.[13]

제1차 유대-로마 전쟁 (66–73)에서 베스파시아누스의 최고 사령관 아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66년 알렉산드리아로 이동하여 에티오피아 침공을 계획했으나, 유대아의 반란으로 인해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해안 도시로 이동했다.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 티투스와 함께 반란 진압을 완료했다. 타리차카이와 감라를 정복하고, 요르단강 서쪽에 있는 스퀴토폴리스 (현대 베트셰안)로 이동했다.[10] 68년 여름에는 사해 사본이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쿰란의 수도원을 파괴했다.

70년에는 예루살렘 포위전을 시작하여 5개월 만에 도시를 점령하고 파괴했다. 포위 공격 중에 제10군단은 약 25kg의 돌을 400m 이상 던질 수 있는 전쟁 기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다.[10]

71년, 섹스투스 루킬리우스 바수스가 유대아에서 "잔당 소탕"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임명되었고, 제10군단은 헤로디움을 점령하고 마케루스 요새를 점령했다. 바수스가 질병으로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고,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실바가 그를 대신하여 마사다를 점령했다.

유대 반란이 끝난 후, 제10군단은 예루살렘에 주둔했으며, 주요 캠프는 서쪽 언덕에 배치되었다. 당시 제10군단은 유대아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배정된 유일한 군단이었으며, 군단의 레가투스가 지방 총독을 겸했다.[16]

트라야누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한 후, 바르 코흐바의 난 (132-135)에 휘말렸다. 시몬 바르 코크바가 반란을 일으켜 로마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나,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베타르를 포위하면서 전쟁이 끝났다. 제10군단은 이 반란 과정에서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19]

이후 제10군단의 벡실라티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마르코만니 원정에 참전했다.[20] 193년, 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대항하여 페스케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으며,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지역 분쟁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21] 카라칼라 또는 엘라가발루스 시대에도 예루살렘에 주둔하고 있었다.

갈리에누스 치하에서, 제10군단의 또 다른 벡실라티오가 골 제국과의 전쟁에 투입되었으나, 적에게 투항했다.[21]

군단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 시기인 서기 300년경에 현대 아카바 근처의 아일라로 이동했으며,[22] 390년대에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이 편찬될 당시에도 그곳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팔레스티나 공작 휘하에서 복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3]

2세기 말 아부 고쉬의 베네딕토 수도원에서 발견된 라틴 비문에는 제10군단 ''프레텐시스''의 ''벡실라티오'' 분견대의 존재를 나타낸다.

:VEXILLATIO
LEG X FREla

"L.X.F" 표시가 있는 일부 조각은 예루살렘의 다윗 탑에 존재하며, 예루살렘 서쪽에 있는 군단 도자기 공장에서도 제10군단 ''프레텐시스''의 표식이 있는 도자기가 대량으로 발견되었다.[25]

2. 1. 창설과 초기 활동

아우구스투스로 알려진 옥타비아누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명한 제10군단을 나타내는 10이라는 숫자를 부여하여 군단을 모집했다.

기원전 36년, 제10군단은 옥타비아누스 지휘하에 나울로코스 해전에서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와 교전했고, 이 전투에서 ''프레텐시스''라는 ''코그노멘''을 얻었다. 이 명칭은 이 전투가 메시나 해협 (''Fretum Siculum'') 인근 해상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나타낸다.[27]

기원전 31년에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 맞서 악티움 해전에 참전했다. 악티움이 해상에서 일어난 전투이긴 하지만, 코버스라고 알려진 철로 된 갈고리를 수단으로, 가까이 고정된 적들의 배에 올라탈 수 있었다.[28] 이 전투에서 군단에게 중요한 점은 군단의 상징 중 하나인 트리레메를 군단이 사용했다는 이유일 것이다. 악티움 해전은 내전 종료와 몇 년 뒤에 아우구스투스라 선포된 옥타비아누스의 권력 획득을 나타냈다.

제10군단이 언제 마케도니아로 이동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스트리몬강 유역에서 발견된 한 비문이 제10군단의 병사 한 무리가 다리를 지었다고 나타내고 있다.[29] 마케도니아 속주에 배치된 동안, 기원전 16년에 마케도니아를 침입한 사르마티아인들과 교전했다. 얼마 안 있어,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시리아로 보내졌다.[30] 서기 14-19년의 것으로 보고, 10군단의 지휘관이 세운, 팔미라에 있는 신전의 한 비문은 황제의 가문 출신원에게 헌정되었다.[31] 이 비문은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이 게르마니쿠스의 동방 원정에 참전했고, 뿐만 아니라 파르티아와 국경을 안정시키기 위해 셀레우키아에 배치되었다고 전문가들이 믿게 했다.[30]

서기 6년에, 시리아 총독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퀴리누스는 ''프레텐시스'' 제10군단, ''갈리카'' 제3군단, ''페라타'' 제6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폐위 후에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이끌었다.

네로 때인 서기 58-63년에,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다.[30]

2. 2. 유대-로마 전쟁

67년에 ''프레텐시스'' 제10군단에게 정복된 도시 감라의 폐허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이 정복한, 유대인 반란 요새 중 하나인 헤로디움.


이스라엘 마사다에 있는 ''프레텐시스 10군단''의 주둔지.


예루살렘에 있는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의 축약어 "LEGXF" 가 있는 비문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베스파시아누스의 최고 지휘하에, 제1차 유대-로마 전쟁(66-73년)에 중점적으로 개입했다.[10] 66년에 ''프레텐시스'' 제10군단과 ''마케도니카'' 제5군단네로가 기획한 에티오피아 침공을 위해 알렉산드리아로 보내졌으나, 유대 지역의 반란 진압을 위해 재배치되었다.

''프레텐시스'' 제10군단과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프톨레마이스 아케(오늘날 아크레)에서 겨울을 보낸 후, 해안 도시 카이사레아 마리티마로 이동했다(67/68년). 같은 해 겨울, 이들은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주둔지에서 이듬해에 로마로 돌아가 황제가 된 베스파시아누스를 접대했다.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 티투스가 반란 진압을 완료했다.[10]

타리카이아와 감라가 정복된 후,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요르단강 바로 서쪽에 있는 스키토폴리스(오늘날 베트셰안)로 이동했다. 68년 여름,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사해 문서가 쓰였다고 여겨지는 쿰란의 수도원을 파괴했다. 군단의 겨울 주둔지는 예리코였다.[10]

70년, 예루살렘마사다를 포함한 소수의 요새들을 제외한 유대 지역의 모든 반란 세력이 진압되었다. 같은 해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마케도니카'' 제5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 ''아폴리나리스'' 제15군단과 합류하여 예루살렘 포위 공격을 시작했다. 제10군단은 올리브산에 주둔했다. 포위전 기간에 10군단은 여러 공성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명성을 얻었다. 이들은 1탈렌트(대략 25kg) 무게의 돌들을 400m 이상 날려 보낼 수 있었다고 한다. 10군단의 발리스타 발사체들은 방어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요세푸스에 의하면(요세푸스의 저서 유대전쟁사 제3권), 라르키우스 레피두스(Larcius Lepidus)가 10군단의 지휘관이었다. 예루살렘 공방전은 다섯 달간 지속됐고, 포위된 사람들은 끔찍한 기아를 겪었다. 결국 로마 군단들의 연합 공격으로 도시는 점령되었고, 파괴되었다.[10]

71년 봄, 티투스는 로마로 돌아갔고, 섹스투스 루킬리우스 바수스가 유대 지역의 군사 총독으로 임명되어 "잔당 소탕" 임무를 받았다.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헤로디움을 점령하고, 마카이루스 요새를 점령하기 위해 요르단강을 건넜다. 바수스는 지병으로 임무를 완료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실바가 그의 자리를 대신했고, 72년 가을에 최후의 유대인 요새 마사다로 이동했다. 그는 10군단과 보조군, 수천 명의 유대인 포로들을 사용했다. 항복 명령이 거부되자, 실바는 마사다 요새 주위에 주둔지와 포위벽을 구축했다. 로마군이 마사다 성벽을 돌파했을 때, 유대인 방어군은 대량 자살을 택한 상태였다.[10]

유대인들의 반란 종결 후, 10군단은 예루살렘에 배치되었다. 10군단의 주요 주둔지는 옛 건물들이 모두 평탄해진, 현재의 구도시 남쪽에 있던 서산에 위치했다. 10군단의 주둔지는 티투스의 명령으로 허물어진 헤로데 왕궁의 벽들의 남은 부분들로 만들어졌다. 로마인들이 파괴된 예루살렘의 일부를 로마 다신교 도시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재건했을 때, 군단의 주둔지는 ''카르도 막시무스''의 끝에 지어졌다.[15]

이 당시에 10군단은 유대 지역의 치안을 맡은 유일한 군단이었고, 10군단의 레가투스이기도 한 유대 지역 총독의 직속하에 있었다.[16] 그러나 유대 지역에 두 번째 군단이 할당되자, 유대 속주는 집정관 지위로 상승했고, 10군단의 레가투스의 정치적 지위는 "두 번째 군단 지휘관처럼 유대의 총독에게 종속되었다."라고 Dabrowa가 언급한 것처럼 떨어지고 말았다.[18]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한 후, ''프레텐시스'' 군단은 바르 코크바의 난(132-135년)에 참전하였다. 이 반란의 주 원인은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예루살렘에 유피테르 신전을 짓기로 한 결정이었을 것이다. 시몬 바르 코크바는 반란을 시작했고 로마인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이 전쟁은 ''프레텐시스'' 군단과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지휘하의 다뉴브 병력들을 포함한 로마군이 유대 지역 전체 영토를 재정복하고 최후의 유대인 거점 베타르 요새를 성공적으로 공격해내면서 종료되었다.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은 이 반란 기간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19]

2. 3. 후기 활동

동방 속주들에 배치된 다른 부대와 함께,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의 벡실라티오 혹은 분견대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마르코만니족 원정에 참전했다. 그러나 이 벡실라티오들이 언제 도착했고 원정에서 무슨 역할을 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7]

193년에, 제10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맞서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고,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간의 지역 분쟁에 관여했을 수 있다.[38] 10군단은 카라칼라 (재위 211–217) 혹은 엘라가발루스 (재위 218–222) 시기 때 여전히 예루살렘에 있었다.

갈리에누스 (재위 253–268) 시기에, ''프레텐시스'' 군단의 또다른 분견대가 갈리아 제국과 맞서는 전쟁에 싸우도록 동원되었다. 그러나 이 부대가 갈리아 제국 측에도 보내졌다.[38]

10군단은 아마 디오클레티아누스 개혁 시기 (대략 300년)에 아일라 (오늘날 아카바 근처)로 보내졌고,[39] 390년대 ''노틸리아 디그니타툼'' 편집 시기에 여전히 그곳에 배치되었다고 기록되었으며, 이때 ''Dux Palaestinae''의 지휘하에 있었다고 기록되었다.[40]

3. 상징과 유물

군단의 상징은 황소, 배 (특히 트리레메), 돌고래, 멧돼지, 넵투누스 신이었다.

아부고시의 교회 (예루살렘에서 서쪽으로 15km 위치)에서 발견된 2세기 말의 라틴어 비문은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의 ''벡실라티오'' (분견대) 존재를 나타낸다.[41]

VEXILLATIO
LEG X FRE|벡실라티오
레그 X 프레la

"L.X.F" 표시가 있는 일부 파편들이 예루살렘 다윗탑에 존재한다. 로마법은 모든 도자기에 제작자의 도장을 찍도록 요구했으며, 예루살렘 서쪽에 있는 군단 도자기 공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의 표식이 있는 대량의 도자기가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41]

"LE X FR" 표시 역시도 제10군단의 도기류에 사용되었다.[42]

참조

[1] 서적 Roman Arabia University Press 1983
[2] 간행물 Natural History
[3] 간행물 Jewish Antiquities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Natural History
[7] 간행물
[8] 간행물
[9] 서적 The Eagle and the Sun John Murray 1951
[10] 서적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Franz Steiner 1993
[11] 서적 The Mediterranean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34
[12] AE
[13] 서적 Legio X Fretensis
[14] AE
[15] 간행물 The Camp of the Tenth Legion in Jerusalem: An Archaeological Reconsideration 1984
[16] CIL
[17] 서적 Legio X Fretensis
[18] 서적 Legio X Fretensis
[19] 서적 The Second Jewish Revolt: The Bar Kokhba War, 132-136 CE Brill 2016
[20] 서적 Legio X Fretensis
[21] 서적 Legio X Fretensis
[22] 간행물 Onomasticon
[23] Notitia dignitatum
[24] 서적 Jerusalem : history of a global city 2022
[25] 간행물 The Kilnworks of the Tenth Legion Fretensis
[26] 간행물 Notice de trois monuments épigraphiques se rapportant au séjour de la dixième légion Fretensis en Israel 1872
[27] 서적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Franz Steiner 1993
[28] 서적 The Mediterranean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34
[29] AE
[30] 서적 Legio X Fretensis
[31] AE
[32] 간행물 The Camp of the Tenth Legion in Jerusalem: An Archaeological Reconsideration 1984
[33] CIL
[34] 서적 Legio X Fretensis
[35] 서적 Legio X Fretensis
[36] 서적 The Second Jewish Revolt: The Bar Kokhba War, 132-136 CE Brill 2016
[37] 서적 Legio X Fretensis
[38] 서적 Legio X Fretensis
[39] 문서 Onomasticon
[40] 문서 Notitia dignitatum in partibus orientis
[41] 간행물 The Kilnworks of the Tenth Legion Fretensis
[42] 간행물 Notice de trois monuments épigraphiques se rapportant au séjour de la dixième légion Fretensis en Israel 18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