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오클레티아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44년에 태어나 311년에 사망한 로마 황제이다. 하층민 출신으로 경호대장을 거쳐 황제가 되었으며, 3세기의 위기를 극복하고 제국의 통치권을 확립했다. 사두 정치 체제(테트라르키아)를 도입하여 제국을 동서로 분할 통치하고, 내정 개혁과 군사력 증강을 추진했다. 그는 기독교를 박해한 황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말년에는 은퇴 후 궁전에서 채소를 키우며 지냈다. 그의 사후 사두 정치 체제는 붕괴되었지만, 그의 조세 제도와 행정 개혁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44년 출생 - 전황후
    전황후는 오나라 황제 손량의 황후이며, 손노반의 추천으로 손량과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나, 손량 폐위와 함께 폐위되어 후관에서 지내다 사망했다.
  • 312년 사망 - 안티오케이아의 루키아노스
    안티오케이아의 루키아노스는 시리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순교자로, 안티오크에서 장로로 활동하며 신학교를 설립하고 성경 개정 작업에 참여했지만, 신학적 논쟁으로 추방과 복권을 겪은 후 박해 시대에 순교하여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312년 사망 - 막센티우스
    막센티우스는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아들로 로마 군대의 지지를 받아 306년부터 312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사망했으며, 건축 사업 추진과 기독교 관용 정책 등의 업적에도 불구하고 폭군으로 묘사되는 등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로마 제국의 노예 - 에픽테토스
    에픽테토스는 프리기아 출신의 스토아 철학자로, 노예 생활을 겪었으나 철학을 공부하여 자유민이 되었고, 로마에서 철학을 가르치다 추방 후 니코폴리스에 학교를 세워 자기 인식, 선택, 구분을 강조하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철학을 펼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제국의 노예 - 교황 비오 1세
    교황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에 재임한 제10대 교황으로, 부활절 날짜 문제와 영지주의 이단자들의 활동에 대처했으며, 축일은 7월 11일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관을 쓰고 있는 남성 두상 조각상
디오클레티아누스 것으로 추정되는 머리 조각상, 코로나 키비카를 쓰고 있음
로마자 표기Gaius Aurelius Valerius Diocletianus
그리스어 표기Διοκλητιανός (Diokletianós)
일본어 표기ディオクレティアヌス
한국어 표기디오클레티아누스
본명Diocles
전체 이름Gaius Valerius Diocles
Gaius Aurelius Valerius Diocletianus
즉위명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출생일242년 ~ 243년경 12월 22일
출생지살로나, 달마티아, 로마 제국
사망일311년/312년 12월 3일 (향년 약 68세)
사망지아스팔라토스, 달마티아, 로마 제국
매장지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종교로마 시민 숭배의 폰티펙스 막시무스
배우자프리스카
자녀발레리아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 시작284년 11월 20일
재위 종료305년 5월 1일 (동방)
단독 통치284년 11월 20일 ~ 286년 4월 1일
공동 통치286년 4월 1일 ~ 305년 5월 1일
선임 황제카리누스
후임 황제갈레리우스 (동방)
콘스탄티우스 1세 (서방)
공동 황제막시미아누스 (서방)
재위 기간284년 11월 20일 ~ 286년 4월 1일 (단독 통치), 286년 4월 1일 ~ 305년 5월 1일 (동방)
참고

2. 생애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44년 달마티아 지방의 스플리트 근처 살로나(Salona, 현재의 크로아티아 솔린)에서 태어났으며, 황제가 되기 전 이름은 디오클레스였다.[1] 하층민 출신으로 보이며, 전임 황제 누메리아누스의 경호대장이었다.[2] 282년 황제 카루스가 그를 ''프로텍토레스 도메스티치''로 임명하면서 그의 행적이 확인된다.[3][4]

284년 사산 왕조 페르시아 원정 중 누메리아누스 황제가 니코메디아에서 살해되자, 휘하 군단은 디오클레스를 황제로 옹립했다.[5] 그는 누메리아누스 암살 혐의로 아페르를 처형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로 개명했다.[1] 이후 카리누스가 살해되면서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285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장군 막시미아누스를 부제(''Caesar'')로 임명했다. 같은 해 6월, 마르구스 전투에서 카리누스 황제를 전사시키고 정식 황제에 올랐다.[6] 286년 4월 1일, 막시미아누스를 정제(''Augustus'')로 승격시켜 공동 통치 체제를 구축했다.[7]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도나우강 방위선을 정비하고 동방으로 이동, 288년 페르시아 국왕 바흐람 2세로부터 메소포타미아 지방 절반을 양도받고 아르메니아 왕국에 친로마파 티라다테스 2세를 즉위시켰다.[8]

290년에는 시리아 지방의 사라센 도적을 토벌하고, 291년 이집트에서 원주민들을 진압했다. 292년에는 도나우 지방에서 사르마티아족을 격퇴했다. 이로써 3세기의 위기 동안 불안했던 제국의 통치권은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살로나의 원형극장 파노라마


몬테마르티니 미술관에 있는 카리누스의 흉상


|thumb|left|디오클레티아누스의 아우레우스(Aureus), 약 288년경 주조됨]]

|thumb|upright=0.7|세르비아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Serbia)에 있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흉상으로 추정되는 조각]]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가 그려진 아우레우스(서기 287년)


카라우시우스, 반란 황제(로마 브리타니아). 카라우시우스 통치에 대한 증거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질이 좋은 그의 주화에서 나온다.


|thumb|right|230px|디오클레티아누스상(머리 위쪽)]]

최고가격령의 단편(베르가몬 박물관 소장)

2. 1. 어린 시절과 권력 장악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44년 달마티아 지방의 스플리트 근처 살로나(Salona, 현재의 크로아티아 솔린)에서 태어났으며, 황제가 되기 전 이름은 디오클레스였다.[1] 하층민 출신으로 보이며, 전임 황제 누메리아누스의 경호대장이었다.[2] 282년 황제 카루스가 그를 ''프로텍토레스 도메스티치''로 임명하면서 그의 행적이 확인된다.[3][4]

284년 사산 왕조 페르시아 원정 중 누메리아누스 황제가 니코메디아에서 살해되자, 휘하 군단은 디오클레스를 황제로 옹립했다.[5] 그는 누메리아누스 암살 혐의로 아페르를 처형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로 개명했다.[1] 이후 카리누스가 살해되면서 제국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285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장군 막시미아누스를 부제(''Caesar'')로 임명했다. 같은 해 6월, 마르구스 전투에서 카리누스 황제를 전사시키고 정식 황제에 올랐다.[6] 286년 4월 1일, 막시미아누스를 정제(''Augustus'')로 승격시켜 공동 통치 체제를 구축했다.[7]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도나우강 방위선을 정비하고 동방으로 이동, 288년 페르시아 국왕 바흐람 2세로부터 메소포타미아 지방 절반을 양도받고 아르메니아 왕국에 친로마파 티라다테스 2세를 즉위시켰다.[8]

290년에는 시리아 지방의 사라센 도적을 토벌하고, 291년 이집트에서 원주민들을 진압했다. 292년에는 도나우 지방에서 사르마티아족을 격퇴했다. 이로써 3세기의 위기 동안 불안했던 제국의 통치권은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thumb|left|디오클레티아누스의 아우레우스(Aureus), 약 288년경 주조됨]]

|thumb|upright=0.7|세르비아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Serbia)에 있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흉상으로 추정되는 조각]]

|thumb|right|230px|디오클레티아누스상(머리 위쪽)]]

2. 2. 로마 제국의 개혁: 테트라르키아(사두정치)

293년 5월 1일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사두 정치 체제(테트라르키아)를 시작했다. 제국을 동서로 양분하여 두 명의 정제(''Augustus'')가 통치하고, 각 정제는 부제(''Caesar'')를 두어 방위를 분담하는 방식이다. 동방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정제, 갈레리우스가 부제를 맡았고, 서방은 막시미아누스가 정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부제를 맡았다.

각 황제와 부제의 담당 지역은 다음과 같다:

테트라르키아


테트라르키아의 개선문, 스베이트라, 튀니지


사두 정치 체제에서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을 '''세니오르'''로 부르며 다른 황제들과 구별했고, 제국 전체에 대한 중요한 결정은 혼자 결정했다.

296년 페르시아의 나르세 1세가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침공하여 아르메니아 왕국의 친로마파 국왕을 몰아냈다. 갈레리우스가 유프라테스강 근처에서 3차례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하지만 297년 티그리스강 유역에서 페르시아군을 격파하고 나르세 1세의 처첩과 자식들을 포로로 잡았다. 이후 페르시아와 휴전을 맺고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완전히 차지하여 동방의 안전을 확보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내정 개혁에도 적극적이었다. 로마 원로원의 입법 기능을 상실시키고, 집정관 임명과 법안 의결을 황제 칙령으로 바꾸면서 전문 관료 제도를 도입했다. 문관과 무관의 분리가 심해졌고, 관료의 숫자는 늘어갔으며, 황제 속주와 원로원 속주의 구별도 사라졌다.

로마 군단 병력도 증강되었는데, 이는 외적의 침입 방지와 네 명의 황제가 각각 병력을 증강시킨 결과였다. 이러한 개혁으로 재정이 확대되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새로운 세금을 신설하고, 세금 면제 혜택을 받던 이탈리아에도 세금을 부과했다.

새로운 세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황제가 1년에 한 번씩 필요한 재정 액수를 결정하여 납세자에게 부과
  • 모든 세무는 통합하여 중앙 정부가 관할
  • 농경지에 부과하는 '토지세'(''jugatio'')와 사람에게 부과하는 '인두세'(''capitatio'')로 양분하고, 액수는 5년에 한 번씩 사정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데나리우스 은화를 폐지하고 새로운 은화와 동화를 발행했으나, 인플레이션을 막을 수 없었다. 301년 가격 통제 칙령을 공포하여 모든 물품과 용역의 상한선을 정했으나, 로마 경제는 위축되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가격 통제 제도로 보인다.

2. 3. 기독교와의 관계: 대박해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 제국 역사상 마지막이자 가장 강력한 기독교 박해를 주도한 황제로 알려져 있다.[49] 303년 2월, 기독교 탄압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 교회와 성물, 성전을 파괴하고 기독교인들의 모임을 금지했다.[49]

제국 동방 지역에서는 기독교가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저항이 일어났고, 소아시아에서는 기독교인들의 봉기가 발생했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군대를 동원하여 진압했다. 그는 사제와 주교들을 체포하여 감옥에 가두었고, 로마 신에게 제사를 지내면 풀어주었다. 304년의 마지막 칙령은 기독교인들을 고발 없이도 추적하고 고문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모든 사람에게 로마 신에게 제사를 지낼 것을 명령하고, 이를 어기면 사형이나 강제 노역에 처했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순교자가 발생했지만, 배교자도 많이 나왔다. 기독교 측 자료에 따르면 약 3,000명에서 3,500명이 순교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정확한 순교자 수는 확인되지 않는다. 일부 연구자들은 "대박해 시대"라고 불리는 시기임에도 순교자 수가 너무 적다고 지적한다.[49]

299년, 니시비스 조약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갈레리우스는 안티오키아로 돌아왔다. 그들은 제사와 점복 의식에 참여했는데, 점술가들이 희생된 동물의 내장을 해석할 수 없게 되자 궁궐 내 기독교인들을 비난했다. 황제들은 모든 궁정 구성원들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명령하고, 군대에도 제사를 강요하며 불응 시 제대하도록 했다.[22]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종교 문제에 보수적이었고, 전통적인 로마 신앙을 중시했다.[22] 그러나 유세비우스, 락탄티우스, 콘스탄티누스는 갈레리우스가 박해의 주요 지지자였다고 주장한다.[24]

라비카나 가도(Via Labicana)에 있는 성 마르켈리누스와 성 페트로스 카타콤베. 베드로와 바울 사이에 그리스도가 있다. 측면에는 고르고니우스, 베드로, 마르켈리누스, 성 티부르티우스 순교자들이 있다.


302년 가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안티오키아로 돌아와 법정 명령에 불복하고 희생 제사를 방해한 카이사레아의 로마누스 집사의 혀를 자르라고 명령했다. 로마누스는 감옥에 갇혔다가 처형되었다. 그 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갈레리우스와 함께 니코메디아로 떠났다.[23] 락탄티우스에 따르면, 디오클레티아누스와 갈레리우스는 기독교 정책에 대해 논쟁을 벌였고, 디디마의 아폴로 신탁에 조언을 구했다. 신탁은 지상의 불경한 자들(기독교인) 때문에 아폴로가 조언을 할 수 없다고 답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전면적인 박해를 결정했다.[23]

303년 2월 23일,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니코메디아의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불태우며 귀중품을 압수하라고 명령했다. 다음 날, "기독교인에 대한 칙령"이 발표되어 제국 전역의 기독교 성경과 예배 장소를 파괴하고 예배를 금지했다. 황궁에 화재가 발생하자 갈레리우스는 기독교인들을 방화범으로 지목했고, 조사가 시작되었지만 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형은 계속되었고, 니코메디아의 안티무스 주교를 포함한 6명이 참수되었다. 두 번째 화재 이후 갈레리우스는 니코메디아를 떠났고, 디오클레티아누스도 곧 뒤따랐다.

이후 더욱 가혹한 칙령들이 발표되었지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처벌을 피했고, 이교도들조차 박해에 동정적이었다. 순교자들의 고난은 오히려 기독교인들의 결의를 강화했다. 콘스탄티우스와 막시미아누스는 칙령을 적용하지 않아 서방의 기독교인들은 무사했다. 갈레리우스는 311년에 칙령을 폐지했고, 박해가 기독교인들을 전통 종교로 되돌리는 데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영토 확장과 분담 통치로 인해 민중의 국가 귀속 의식이 약해지는 것을 우려하여 황제 숭배와 로마 신 숭배를 의무화했다. 초기에는 기독교 신앙 유지를 허용하는 온건 정책을 펼쳤지만, 기독교도 병사들의 군 이탈 등 반역 행위가 빈발하자 303년 강제 개종, 성직자 체포 등의 칙령을 발표했다. 전국적으로 탄압이 이루어졌고, 성경이 소각되고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공개적으로 반항한 기독교인들은 처형되었다. 기독교 측에서는 이를 "마지막 대박해"라고 부른다.

2. 4. 은퇴와 말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05년 5월 1일, 막시미아누스와 함께 니코메디아와 밀라노에서 각각 은퇴를 선언했다. 후임으로는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정제로, 막시미누스 다이아와 세베루스가 부제로 승격되어 제2차 사두 정치가 시작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달마티아의 스트라툼(현재 크로아티아의 스플리트)에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을 짓고 은퇴하여, 그곳에서 조용히 채소를 키우며 만년을 보냈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궁전이 305년 완공 당시의 모습은 어니스트 에브라르가 재구성한 그림에서 볼수 있다.

오늘날 스플리트 시 중심부에 위치한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2012년)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크로아티아 스플리트)의 페리스틸 현대 모습


하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 퇴위 후 제2차 사두 정치 체제는 빠르게 붕괴되었고, 수많은 내전 과정에서 막시미누스 다이아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외동딸과 아내를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항의하였으나, 막시미누스 다이아는 이들을 석방한 후에도 재산을 몰수하고 추방하였다. 이후 막시미누스 다이아가 리키니우스에게 패하고 죽자, 이들은 리키니우스에게 갔으나 오히려 살해당했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종교의 자유가 인정되면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정책도 폐기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03년 로마에 입성하여 통치 20주년 등을 기념했으나, 로마인들의 태도에 염증을 느껴 로마 체류를 단축하고 라벤나로 떠났다. 라벤나에서 다뉴브 강으로 이동하여 원정에 참여하던 중 병을 얻었고, 상태가 악화되어 니코메디아로 돌아왔다. 304년 11월, 궁전 옆 서커스 개장을 기념하기 위해 공개 석상에 나타났으나 곧 쓰러졌고, 이후 건강 악화와 갈레리우스의 압박으로 305년 5월 1일 사임을 발표했다.

그는 자발적으로 칭호를 포기한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 은퇴 후 카르누툼에서 다시 왕위에 복귀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자신이 심은 양배추를 언급하며 거절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4년 더 궁전 정원에서 시간을 보내다, 사분정치 체제의 실패와 막시미아누스의 최후를 지켜보았다. 병으로 고생한 후, 311년 12월 3일에 사망했다.[25]

3. 유산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1년 동안 통치한 후 자발적으로 퇴위하고 남은 생애를 평화롭게 보낸 몇 안 되는 로마 황제 중 한 명이었다. 그의 퇴위 후 4두정치 체제는 붕괴되었고, 제국은 내전에 휩싸였다. 324년 콘스탄티누스리키니우스를 패배시킨 후 안정이 찾아왔다.

콘스탄티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업적을 일부 계승하였는데, 국경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로마 정부의 관료적 변혁을 완료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궁정 의식을 더욱 과장된 것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콘스탄티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안정적인 은화 유통 정책을 폐기하고 금화인 ''솔리두스''를 주요 통화로 사용했다. 또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는 관용 정책으로 바뀌었고, 이후 기독교는 380년에 공식 종교가 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조세 제도와 행정 개혁은 몇 가지 수정을 거쳐 630년대 무슬림의 출현까지 지속되었다. 국가 전제주의와 국가 종교의 결합은 유럽 대부분, 특히 정교회 기독교를 채택한 지역에 뿌리내렸다.

알렉산드리아 교회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 시작을 기준으로 하는 "순교자 시대"(라틴어: ''anno martyrum'') 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 (라틴어: ''anno Diocletiani'')라는 연도 계산 방법을 사용했다.[38]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우스는 기독교인을 박해한 폭군의 기억을 계속하고 싶지 않아 이 시대를 ''anno Domini'' 시대(서력)로 대체했다.[38]

세르비아 신화의 주요 악당인 두클얀은 하느님의 적으로 묘사되며, 역사적 인물인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신화적 반영으로 여겨진다.[39][40] 탈무드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원래 돼지치기였으며, 젊은 유대인들에게 놀림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다.[41][42]

알렉산드리아 세라페움에 있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념비적인 화강암 기둥인 "폼페이의 기둥"은 높이 20.75m이다. 298년~303년에 건설되었다.

참조

[1] 서적 Diokletian und die Tetrarchie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2
[2]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3] 서적 A History of Rome Under the Empero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서적 Imperial Rome AD 284 to 363: The New Empir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5] 간행물 Roman Imperial Coinage
[6] 간행물 Roman Imperial Coinage
[7] 서적 Ammianus Marcellinus and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Reality Cornell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Codex Justinianus
[9] 간행물 Fragmenta Vaticana
[10] 서적 Midrash Rabba
[11] 웹사이트 New Empires http://www.dot-domes[...]
[12] 서적 Layers of Loyalty in Latin Panegyric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Panegyrici Latini
[14] 간행물 Panegyrici Latini
[15] 웹사이트 The Roman Empire and the Tetrarchy of Diocletian, 293 - 305 CE https://www.worldhis[...]
[16] 서적 Chronicon Paschale https://archive.org/[...]
[17] 웹사이트 Chapel of Imperial Cult https://madainprojec[...]
[18] 서적 The Roman Imperial Court in the Principate and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1-23
[19] 간행물 Ammianus Marcellinus
[20] 간행물 Eutropius https://archive.org/[...]
[21] 서적 Rome Resurgent: War and Empire in the Age of Justinian Oxford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Sossianus Hierocles and the Antecedents of the "Great Persecution"
[23] 서적 Life of Constantine
[24] 서적 Divinae Institutiones
[25] 학술지 When Did Diocletian Die? New Evidence for an Old Problem https://www.jstor.or[...] 2003-07
[26] 서적 Egypt in Late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Laterculus Veronensis
[28] 서적 The Empire of the Tetrarchs: Imperial Pronouncements and Government A.D. 284–324 Clarendon Press
[29] 서적 The Making of a Christian Aristocracy: Social and Religious Change in the Western Roman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Power and Status in the Roman Empire, AD 193–284 Brill
[31] 서적 Galerius and the Will of Diocletian Routledge
[32] 서적 Lives behind the Laws: The World of the Codex Hermogenianus Indiana University Press
[33] 서적 State Correspondence in the Ancient World: From New Kingdom Egypt to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Fundamentals of Roman Private Law Springer
[35] 서적 The Edinburgh Companion to Ancient Greece and Rome Edinburgh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De Mensibus https://www.roger-pe[...]
[3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Yea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О називу Диоклeје пре Немањића https://web.archive.[...] Project Rastko 2007-09-06
[40] 서적 https://propolisbook[...] Nolit
[41] 웹사이트 Genesis Rabbah 8:4 https://www.sefaria.[...] Sefaria
[42] 웹사이트 The Legends of King Diocletian https://rmbhanes.wix[...] Rabbi Meir Ba'al Ha'nes Synagogue
[43] 서적 イタリアの中世都市 山川出版社
[44] 간행물 New Empire
[45] 간행물 New Empire
[46] 간행물 New Empire
[47] 저널 When Did Diocletian Die? New Evidence for an Old Problem 2003-07
[48] 간행물 New Empire
[49] 서적 로마인 이야기: 제13권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