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베르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베르타스(Libertas)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자유의 여신이다. '자유'를 의미하는 라틴어 'lībertās'에서 유래되었으며, 필레우스(모자)와 막대기를 상징으로 한다. 로마 공화국 시대에 숭배되었으며, 아벤티노 언덕, 팔라티노 언덕, 로마 포룸 등에 신전이 건립되었다. 또한, 자유의 여신상은 미국 자유의 여신상, 프랑스 대(大)국장 등 현대적인 상징의 영감이 되었고, 화폐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의 상징 - 자유의 종
    자유의 종은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독립기념관에 보관된 미국의 상징적인 종으로, 1751년 주문 제작 후 파손되어 재주조되었고, 성경 구절이 새겨져 있으며, 미국 독립 전쟁과 노예 폐지 운동 등 역사적 사건과 연관되어 자유와 독립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자유의 상징 - 레퓌블리크 광장
    레퓌블리크 광장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광장으로, 프랑스 공화국을 의인화한 마리안 동상과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2010년부터 보행자 전용 구역으로 개조되었고 테러 공격 이후 시위와 집회가 열린 교통의 요지이다.
  • 로마 여신 - 유스티티아
    유스티티아는 로마 신화의 정의의 여신으로, 권위(칼), 공정성(저울), 객관성(눈가리개)을 상징하며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로마 여신 - 팍스 (신화)
    팍스는 로마 신화에서 평화의 여신으로,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로마 제국의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며, 농업의 풍요, 가정의 화합, 제국의 안정과 번영 등을 구현했지만 기독교 확산과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쇠퇴하며 로마 제국의 권력과 유지를 상징하는 존재로 이해된다.
  • 로마 신화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로마 신화 -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신의 조각상 갈라테이아를 사랑하여 아프로디테 여신의 도움으로 결혼하게 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며, 예술가가 창조물에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원형이자 '피그말리온 효과'와 '피그말리오니즘'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리베르타스
기본 정보
데나리우스에 묘사된 리베르타스
데나리우스에 묘사된 리베르타스
그리스어 상응엘레우테리아
숭배 대상자유의 여신
상징필레우스, 지팡이 (vindicta 또는 festuca)

2. 어원

명사 ''리베르타스''(lībertās)는 '자유'를 뜻하며, 이 신의 이름의 기반이 된다. 라틴어 ''līber'' ('자유로운')에서 파생되었고, 이는 원시 이탈리아어 ''*leuþero-''에서 유래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어 ''*h₁leudʰero-'' ('사람들에게 속한', 따라서 '자유로운')에서 파생되었다.[1]

3. 속성

리베르타스는 자유 해방 노예들이 흔히 착용하는 필레우스와 관련이 있으며,[2] 고대 로마에서는 '막대기에 의한 자유'를 뜻하는 라틴어인 마누미시오 빈딕타(Manumissio vindicta) 의식에 사용된 막대기(''vindicta'' 또는 ''festuca'')로도 인식되었다.[2]

3. 1. 필레우스 (모자)

로마인들에게 펠트 모자는 자유의 상징이었다. 노예가 자유를 얻었을 때, 그는 머리를 깎고 머리카락 대신 염색하지 않은 필레우스를 착용했다.[3] "servos ad pileum vocare"라는 구절은 자유에 대한 소환을 뜻했으며, 노예들은 자유를 약속받고 무기를 들도록 자주 소집되었다.[3]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몇몇 동전(서기 145년 주조)에 묘사된 자유의 여신상은 오른손에 이 모자를 들고 있다.[3]

3. 2. 마누미시오 빈딕타 (Manumissio vindicta)

리베르타스는 자유 해방 노예들이 흔히 착용하는 필레우스와 연관되었다.[2] 로마인들에게 펠트 모자는 자유의 상징이었다. 노예가 자유를 얻었을 때, 그는 머리를 깎고 머리카락 대신 염색하지 않은 필레우스(grc,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Exc. Leg. 22 p625, ed. Wess.; 플라우투스 Amphit. I.1.306; 페르시우스, V.82)를 착용했다. 따라서 "servos ad pileum vocare"라는 구절은 자유에 대한 소환이었으며, 노예들은 자유를 약속받고 무기를 들도록 자주 소집되었다(리비우스 XXIV.32). "서기 145년에 주조된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몇몇 동전에 묘사된 자유의 여신상은 오른손에 이 모자를 들고 있다".[3]

리베르타스는 또한 고대 로마에서 막대기(''vindicta'' 또는 ''festuca'')로 인식되었으며,[2] '막대기에 의한 자유'를 뜻하는 라틴어인 마누미시오 빈딕타(Manumissio vindicta) 의식에 사용되었다. 이 의식은 다음과 같다. 주인은 그의 노예를 마기스트라투스 앞에 데려와서 의도된 해방의 근거(causa)를 진술했다. "마기스트라투스의 릭토르는 노예의 머리에 막대기(festuca)를 대고, 그가 ex Jure Quiritium, 즉 "vindicavit in libertatem"의 자유인임을 선언하는 특정 공식 단어를 덧붙였다." 그동안 주인은 노예를 붙잡고 "hunc hominem liberum volo"라는 말을 발음한 후 그를 돌려보냈다(momento turbinis exit Marcus Dama, 페르시우스, Sat. V.78). 그리고 그를 놓아주었다(emisit e manu, or misit manu, 플라우투스. Capt. II.3.48). 이로부터 해방 행위의 일반적인 이름이 유래했다. 마기스트라투스는 그를 자유인으로 선언했다.[4]

4. 신전

로마 공화국은 리베르타스 여신을 숭배하였으며, 이는 타르퀴니우스 왕의 몰락과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가 속한 유니우스 가문과 관련이 있다.[5]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는 기원전 238년 아벤티노 언덕에 리베르타스 신전을 지었고, 신전 안뜰에는 인구 조사표가 보관되었다.[6] 이후 팔라티노 언덕에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가 신전을 건설하였고, 로마 포룸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기리기 위한 리베르타스 여신상이 세워졌다.[7]

4. 1. 아벤티노 언덕 신전

로마 공화국은 리베르타스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성립되었으며, 타르퀴니우스 왕의 축출과 관련이 있다. 리베르타스는 유니우스 가문, 즉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가문에 의해 숭배되었다.[5]

기원전 238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이전에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는 아벤티노 언덕에 리베르타스 신전을 지었다.[6] 인구 조사표는 신전의 안뜰 안에 보관되었다. 그 후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인 팔라티노 언덕에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에 의해 신전이 건설되었다(기원전 58~57년). 클로디우스는 당시 추방된 키케로의 이전 저택 부지에 신전을 짓고 헌정함으로써 그 땅이 법적으로 거주할 수 없도록 했다. 키케로는 귀환 후 헌정이 무효라고 주장하여 땅을 되찾고 신전을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46년, 로마 원로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기리기 위해 리베르타스에게 신전을 짓고 헌정하기로 투표했지만 신전은 지어지지 않았다. 대신 여신의 작은 조각상이 로마 포룸에 세워졌다.[7]

4. 2. 팔라티노 언덕 신전

기원전 58년에서 기원전 57년 사이,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는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인 팔라티노 언덕에 리베르타스 신전을 건설했다.[7] 이 신전은 당시 추방되었던 키케로의 이전 저택 부지에 지어졌는데, 클로디우스는 이를 통해 그 땅이 법적으로 거주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키케로는 귀환 후 헌정이 무효라고 주장하여 땅을 되찾고 신전을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7]

4. 3. 로마 포룸 조각상

로마 공화국은 리베르타스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성립되었으며, 타르퀴니우스 왕의 몰락과 관련이 있다. 리베르타스는 유니우스 가문, 즉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가문에 의해 숭배되었다.[5]

기원전 46년, 로마 원로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기리기 위해 리베르타스 신전을 짓고 헌정하기로 투표했지만, 신전은 지어지지 않았다. 대신 로마 포룸에 여신의 작은 조각상이 세워졌다.[7]

5. 현대의 상징

The Statue of Liberty in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 뉴욕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세계를 비추는 자유'')은 고대 여신 리베르타스에서 유래되었다.


리베르타스는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한 많은 현대적 의인화의 영감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돈에는 리베르타스의 이름이나 이미지가 새겨져 왔으며, 미국의 주화노스캐롤라이나 주 내의 사설 은행 지폐, 스위스의 라펜 액면 동전 등에 묘사되었다.[8][9][10]

미국을 대표하는 컬럼비아, 프랑스를 대표하는 마리안느 등 현대의 많은 인물과 개념들이 리베르타스의 화신으로 창조되었다.

5. 1. 자유의 여신상



여신 리베르타스는 1848년에 제작된 프랑스 대(大)국장에도 묘사되어 있다. 이 이미지는 후에 프랑스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가 그의 조각상인 세계를 비추는 자유를 제작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8]

리베르타스는 다른 로마 여신들과 함께 미국 자유의 섬의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한 많은 현대적인 의인화의 영감이 되었다. 국립공원관리청에 따르면, 자유의 여신상의 로마식 의상은 리베르타스를 연상시키는 주요 특징이며, 조각상이 이름을 따온 자유의 상징이다.[8]

뉴욕 항의 자유의 여신상 (''세계를 비추는 자유'')은 리베르타스의 화신으로 창조되었으며, 인식되고 있다.

5. 2. 화폐 및 기타 상징



여신 리베르타스는 1848년에 제작된 프랑스 대(大)국장에도 묘사되어 있다. 이 이미지는 후에 프랑스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가 그의 조각상인 세계를 비추는 자유를 제작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8]

역사적으로 돈에는 리베르타스의 이름이나 이미지가 새겨져 왔다. "자유"로서 리베르타스는 20세기 초까지 미국의 대부분의 주화 앞면에 묘사되었으며, 이 이미지는 여전히 아메리칸 골드 이글주화에 사용된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는 주 내의 두 개의 사설 은행에서 지폐에 리베르타스를 묘사한 사례를 기록하고 있다.[9][10] 리베르타스는 스위스의 5, 10, 20 라펜 액면 동전에 묘사되어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 컬럼비아와 프랑스를 대표하는 마리안느, 뉴욕 항의 자유의 여신상 (''세계를 비추는 자유'') 등 현대의 많은 인물과 개념들은 리베르타스의 화신으로 창조되었으며, 인식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 Coins http://artgallery.ya[...] 2008-09-01
[2] 서적 Sacred Places of Goddess: 108 Destinations https://books.google[...] CCC Publishing
[3] 문서 Pileus John Murray
[4] 문서 Manumission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5] 서적 The American Catholic Quarterly Review ... https://books.google[...] Hardy and Mahony
[6] 서적 Cultural Memories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6-01-01
[7] 간행물 Libertas http://www.britannic[...] 2008-09-01
[8] 웹사이트 Robe http://www.nps.gov/a[...] National Park Service 2008-09-01
[9] 서적 Ancient history from coin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12-04
[10] 웹사이트 Bank of Fayetteville one-dollar note, 1855 http://dc.lib.unc.ed[...] 2008-09-01
[11]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12] 웹인용 Roman Coins http://artgallery.ya[...] 2008-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