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말리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로, 자신이 조각한 상아 조각상에 사랑을 느껴 아프로디테의 도움으로 조각상과 결혼하게 된다. 이 이야기는 이후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숭배와 이상적인 존재에 대한 탐닉을 의미하는 '피그말리오니즘'이라는 용어를 낳았다. 또한, 피그말리온 신화는 '피그말리온 효과'와 같은 심리학적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피그말리온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키프로스의 왕, 조각가 |
배우자 | 갈라테이아 |
자녀 | 파포스 (딸) 또는 키니라스 (아들) |
신화 | |
관련 신화 | 아프로디테 갈라테이아 |
이름 정보 | |
그리스어 | Πυγμαλίων |
로마자 표기 | Pygmaliōn |
2. 그리스 신화 속 피그말리온
그리스 신화에서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다. 키프로스 여인들은 아프로디테의 저주를 받아 나그네들에게 몸을 팔았는데, 피그말리온은 여인들의 천박함을 탄식하며 독신으로 지냈다. 그는 상아로 아름다운 여인을 조각하여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을 붙이고, 마치 진짜 연인처럼 옷을 갈아입히고 몰래 입맞춤을 하며 함께 생활했다.
아프로디테 축제 날, 피그말리온은 제물을 바치며 조각상이 진짜 여자로 변하게 해달라고 소원을 빌었다. 집에 돌아온 그는 에로스가 조각상에 입을 맞추는 것을 보았고, 조각상은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했다. 갈라테이아의 손에는 두 사람의 사랑을 영원토록 지속시킬 에로스의 반지가 생겨났다. 아프로디테가 피그말리온의 사랑에 감동하여 소원을 들어준 것이다.
피그말리온은 아프로디테(베누스) 여신의 축복 아래 갈라테이아와 결혼했고, 아들이 태어나자 고향 이름을 따서 "파포스"라고 지었다.
2. 1.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 10권에 따르면,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의 조각가로 상아로 여인을 조각했다. 고전 이후 자료에서는 그녀의 이름을 갈라테이아라고 한다.[1]오비디우스에 따르면,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의 프로포이데스(Propoetides)들이 매춘을 하는 것을 보고 "여성에게 자연이 부여한 결점들을 극도로 혐오하게" 되었다. 그는 독신으로 지내기로 결심하고 조각에 전념했다. 그는 여성 조각상을 만들었고, 너무나 완벽해서 그 조각상과 사랑에 빠졌다. 피그말리온은 조각상에 키스하고 어루만지며, 선물을 가져다주고 호화로운 침대를 만들어 주었다.
시간이 흘러 아프로디테의 축제 날이 왔고, 피그말리온은 아프로디테의 제단에 제물을 바쳤다. 그는 자신의 욕망을 고백하기에는 너무 두려워 조용히 "내 상아 소녀와 똑같은 살아있는 신부"를 원한다고 기도했다. 집으로 돌아온 그는 상아 조각상에 키스했고, 입술이 따뜻한 것을 느꼈다. 다시 키스하자 상아가 단단함을 잃었다. 아프로디테가 피그말리온의 소원을 들어준 것이다.
피그말리온은 상아 조각상과 결혼했고, 아프로디테의 축복으로 조각상은 여자로 변했다. 오비디우스의 이야기에서 그들은 파포스라는 딸을 낳았는데, 이 이름에서 파포스 도시의 이름이 유래했다.
일부 이야기에서는 파포스가 아들이었고, 그들은 메타르메(Metharme)라는 딸도 있었다.[2]
오비디우스가 파포스를 언급한 것은 2세기경의 헬레니즘 신화집인 슈도-아폴로도로스(Pseudo-Apollodorus)의 『비블리오테케』(Bibliotheke)에서 피그말리온을 잠깐 언급한 것보다 더 자세한 이야기를 참고했음을 시사한다.[3] [4] 아마도 그는 클레멘트 오브 알렉산드리아가 요약한 필로스테파누스의 상실된 이야기를 참고했을 것이다.[5]
2. 2. 다른 그리스 신화와의 유사성
피그말리온 이야기처럼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모티프는 다른 그리스 신화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다이달로스는 수은을 사용하여 자신의 조각상에 목소리를 부여하거나 움직이게 만들었으며,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작업장을 위해 자동인형을 만들었다.[1] 제우스의 명령으로 진흙으로 만들어진 판도라와 청동으로 만들어진 인조인간 탈로스 역시 비슷한 예시이다.폴리비우스가 전하는 "나비스의 아페가"라는 이야기는 폭군의 아내를 닮은 기계 모형이 사람들을 껴안아 압사시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각상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묘사는 고대 예술 작품에서 자주 사용된 수사 기법이었다. 이러한 표현 기법은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 관련 저술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겨울 이야기''에서 왕비의 조각상이 사실은 살아있는 왕비였다는 설정 등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3. 피그말리오니즘
자신의 조각상과 사랑에 빠진 피그말리온 신화는 후대에 들어와 많은 사랑 이야기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실 관계에서 고립되어 자신의 원망을 투사한 가상의 이상적 존재에 탐닉하는 것을 가리킬 때 피그말리오니즘이란 말을 사용한다.[42]
4. 피그말리온 이야기의 재해석
피그말리온 이야기는 중세 시대에는 우상 숭배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후대에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 자신이 만든 창작물이 사람이 되고, 그 창작물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는 회화, 소설, 희곡, 영화 등 여러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6]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키프로스의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여성의 결점을 혐오하여 독신으로 지내기로 결심했다. 그는 상아로 완벽한 여성 조각상을 만들고 사랑에 빠졌다. 아프로디테 축제 날, 피그말리온은 여신에게 "상아 소녀와 똑같은 살아있는 신부"를 달라고 기도했고, 아프로디테는 그의 소원을 들어주어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피그말리온은 조각상과 결혼하여 파포스라는 딸(또는 아들)을 낳았다.[1][2]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이야기는 다이달로스, 헤파이스토스, 탈로스, 판도라 등 다른 신화적 사례와 유사하다. 또한, 너무나 생생하여 움직일 것처럼 보이는 조각상에 대한 묘사는 고대 예술 작품에 대한 수사 기법으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이후 예술가들에게도 계승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겨울 이야기''에서 시칠리아 왕이 선물 받은 아내의 조각상이 실제로는 오랫동안 죽었다고 여겨졌던 그의 아내였다는 설정이 그 예시이다.
후대에 이 상아 조각에서 사람이 된 여인은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괴테는 이 여인의 이름을 ‘엘리제’라고 했다.
피그말리온 신화는 수 세기에 걸쳐 예술 분야에서 널리 전파되고 표현되어 왔으며, 아뇰로 브론지노, 장 레옹 제롬(''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오노레 도미에, 에드워드 번 존스, 오귀스트 로댕, 어니스트 노르망, 폴 델보, 프란시스코 고야, 프란츠 폰 슈투크, 프랑수아 부셰, 에두아르도 치차로 이 아구에라, 토마스 로랜드슨 등 많은 화가들의 주목할 만한 그림의 소재가 되었다. 또한 "각성"을 묘사한 수많은 조각상들이 있다.
4. 1. 문학
후대에 이 상아 조각에서 사람이 된 여인은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는다. 괴테는 이 여인의 이름을 ‘엘리제’라고 했다. 자신이 만들어낸 창작품이 사람으로 변하고 또 그 창조물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는 이 피그말리온 이후 수많은 예술작품(회화, 소설, 희곡, 영화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6]'''문학 작품'''
작가 | 작품 |
---|---|
카를로 콜로디 | 피노키오 |
메리 셸리 | 프랑켄슈타인 |
너대니얼 호손 | "출생표시", 라파치니의 딸 |
버나드 쇼 | 희곡 피그말리온 |
H.P. 러브크래프트 | "허버트 웨스트 - 부활자" |
톰마소 란돌피 | "고골의 아내" |
존 업다이크 | "피그말리온" |
E. T. A. 호프만 | "모래사장"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원형 유적" |
아이작 아시모프 | 갈라테아 (아자젤에 수록) |
마들린 밀러 | '갈라테아' |
윌리엄 헤이즐릿 | 리버 아모리스: 혹은 새로운 피그말리온 (1823) |
로이드 C. 더글러스 | "인비테이션 투 리브" (1940) |
리처드 파워스 | 갈라테아 2.2 |
아만다 필리파치 | 베이퍼 |
에디스 워튼 | 웃음의 집[30] |
헨리 제임스 | 레이디의 초상 (1880–81)[30] |
조지 맥도널드 | 판타스테스[31] |
에드가르 네빌 | 가을에 금지된 것 |
타우피크 엘-하킴 | 피그말리온 |
윌리엄 슈웬크 길버트 |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 |
윌리 러셀 | 리타 교육하기 |
장 자크 루소 | Pygmalion (Rousseau)프랑스어 |
빌리에 드 릴 아담 | 미래의 이브 |
하신토 그라우 | 엘 세뇨르 데 피그말리온 (1921) |
윌리엄 셰익스피어 | 겨울 이야기 (1611) |
피트 웬츠 | 《폴 아웃 토이 웍스》 |
그랜트 모리슨 | 프로페서 피그, 《배트맨과 로빈》에 등장 |
와다 신지 | 판타지 만화 『피그마리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 마지막 장면에서, 헤르미온 여왕의 조각상이 살아나는 것이 드러나면서 극은 화해로 결론을 맺는다.
조지 버나드 쇼의 1913년 희곡 ''피그말리온''은 이 신화의 현대적인 변형으로, 하층 계급 꽃장수인 엘리자 두리틀이 음성학 교수인 헨리 히긴스에 의해 비유적으로 "살아나는" 이야기이다. 히긴스는 그녀에게 억양과 대화를 다듬고 사교 상황에서 상류층 예절을 갖추도록 가르친다.
P. L. 데시판데의 희곡 ''티 풀라니'' ("꽃의 여왕") 또한 쇼의 ''피그말리온''을 바탕으로 한다. 마두 라이는 ''피그말리온''을 구자라트어로 ''산투 랑길리''(1976)로 각색했다.
장 자크 루소는 희곡 Pygmalion (Rousseau)프랑스어를 썼으며, 이를 원작으로 하는 오페라가 여러 편 있다(루이지 케루비니의 Pimmalioneit 등). 조각상에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루소의 작품이 처음이다.[41]
윌리엄 S. 길버트는 희곡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를 남겼다.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의 바탕이 된 조지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은 이 전설을 소재로 한 것이다. 또한, 와다 신지의 판타지 만화 『피그마리오』에서도 돌이 된 정령 갈라테이아라는 모티브가 사용되고 있다.
영화 『리타와 대학교수』의 원작 Educating Rita영어는 쇼의 『피그말리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4. 2. 영화 및 뮤지컬
조지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은 이 신화의 현대적인 변형으로, 하층 계급 꽃장수인 엘리자 두리틀이 음성학 교수인 헨리 히긴스에 의해 비유적으로 "살아나는" 이야기이다. 히긴스는 그녀에게 억양과 대화를 다듬고 사교 상황에서 상류층 예절을 갖추도록 가르친다.[6] 이 희곡은 1938년 영화, 1956년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 1964년 영화로 각색되었다.피그말리온을 소재로 하거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영화:
- 《피그말리온》 (1935년, 독일)
- 《피그말리온》 (1937년, 네덜란드)
- 《피그말리온》 (1938년, 영국)
- 《수르조 컨나 (Surjo Konna)》 (방글라데시)[37]
- 《피그말리온》 (1983년, TV 영화)
- 《현기증》 (1958년)
- 《마네킹》 (1987년)
- 《마이 페어 레이디》 (1964년, 미국)
- 《바이센테니얼 맨》 (1999년, 미국)
- 《그 여자는 나를 사랑한다 (She's All That)》 (1999년)
- 《라이프 사이즈》 (2000년, TV 영화)
- 《루비 스팍스》 (2012년)
- 《엑스 마키나》 (2014년)
- 《리타와 대학교수》 (원작: )
- 우디 앨렌의 ''마이티 아프로디테'' (1995년)
- ''라스와 진짜 소녀'' (2007년)[6]
- TV 드라마:
- 《피그말리온》 (1948년, 영국)
- ''맨 프롬 언클'' 시즌 3 "갈라테아 사건" (1966년)
- ''버블검 크라이시스: 도쿄 2040''
- 디즈니 ''헤라클레스''
- ''스타 트렉'': "상속", ''메투셀라를 위한 레퀴엠''[36]
- ''다크 섀도우''
- ''고담'' 시즌 4
- 킹 오브 더 힐 시즌 7 에피소드 9 "피그말리온"
- 희곡:
- 윌리엄 S. 길버트의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 장 자크 루소 『』 (오페라: 루이지 케루비니의 『』 등)[41]
4. 3. 오페라 및 발레
- 장필립 라모의 1748년 오페라 《피그말리온》(Pigmalion)은 피그말리온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 게오르크 벤다의 1779년 단막극(monodrama) 《피그말리온》(Pygmalion) 역시 피그말리온 이야기를 다루었다.
- 칼 빌헬름 람러(Karl Wilhelm Ramler)의 시 《피그말리온》(Pygmalion)은 1772년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J.C.F. Bach)에 의해 아리아로, 1784년 프리드리히 벤다(Friedrich Benda)에 의해 칸타타로 각색되었다.
-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첫 오페라 《피그말리오네》(Il Pigmalione)는 피그말리온을 주제로 하고 있다.
- 프로멘탈 알레비(Fromental Halévy)는 1820년대에 《피그말리온》(Pygmalion)이라는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공연되지는 않았다.
- 프란츠 폰 주페는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Galatea)의 등장인물을 바탕으로 한 오페레타 《아름다운 갈라테이아》(Die schöne Galathée)를 작곡했다.
- 인형 제작자가 실물 크기의 춤추는 인형을 만드는 이야기를 다룬 발레 《코펠리아》(Coppélia)는 피그말리온 이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Marius Petipa)와 작곡가 니키타 트루베츠코이 공작(Prince Nikita Trubetskoi)은 《피그말리온, 혹은 키프로스의 조각상》(Pygmalion, ou La Statue de Chypre)이라는 4막 발레를 제작했다. 이 발레는 1895년 발레리나 피에리나 레냐니(Pierina Legnani)에 의해 부활했다.
- 장 자크 루소는 희곡 《Pygmalion (Rousseau)|피그말리온영어》를 썼으며, 이를 원작으로 하는 오페라가 여러 편 있다(루이지 케루비니의 《Pimmalione|핌말리오네영어》 등). 조각상에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루소의 작품이 처음이다.[41]
4. 4. 기타
후대에 이 상아 조각에서 사람이 된 여인은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는다. 괴테는 이 여인의 이름을 ‘엘리제’라고 했다.[6]중세시대에 피그말리온의 이야기는 우상숭배의 표상으로 여겨졌으나 후대에 와서는 수많은 사랑이야기의 소재로 쓰이게 되었다. 자신이 만들어낸 창작품이 사람으로 변하고 또 그 창조물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는 이 피그말리온 이후 수많은 예술작품(회화, 소설, 희곡, 영화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
이러한 주제의 변형은 나무 인형이 "진짜 소년"으로 변신하는 ''피노키오''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인형은 변신하기 전에 이미 지각력을 가지고 있다. 기적을 위해 신성한 힘에 간청하는 것은 목각 인형 제작자인 제페토가 아니라 인형 자신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 마지막 장면에서, 헤르미온 여왕의 조각상이 살아나는 것이 드러나면서 극은 화해로 결론을 맺는다.
조지 버나드 쇼의 1913년 희곡 ''피그말리온''은 이 신화의 현대적인 변형으로, 하층 계급 꽃장수인 엘리자 두리틀이 음성학 교수인 헨리 히긴스에 의해 비유적으로 "살아나는" 이야기이다. 히긴스는 그녀에게 억양과 대화를 다듬고 사교 상황에서 상류층 예절을 갖추도록 가르친다. 이 희곡은 1938년 영화 각색과 1956년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 그리고 1964년 영화 각색에 영감을 주었다.
2007년 영화 ''라스와 진짜 소녀''는 인형을 사서 진짜 사람처럼 대하는 남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세상과 다시 연결되기 위해 그렇게 한다. 비록 인형이 살아나지는 않지만, 그는 인형이 진짜라고 믿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공동체와 더 많은 유대감을 형성한다. 더 이상 인형이 필요 없게 되자, 그는 인형을 놓아준다. 이것은 피그말리온 신화의 역설이다.[6]
다음은 피그말리온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이다.
작품 종류 | 작품명 | 작가 | 비고 |
---|---|---|---|
소설 | 피노키오 | 카를로 콜로디 | |
소설 | 프랑켄슈타인 | 메리 셸리 | |
단편 소설 | "출생표시" (The Birth-Mark) | 너대니얼 호손 | |
희곡 | 피그말리온 | 버나드 쇼 | |
뮤지컬 및 영화 | 마이 페어 레이디 | 1964년 영화 | |
영화 | 마이티 아프로디테 | 우디 앨렌 | 1995년 |
코믹 시리즈 | 《폴 아웃 토이 웍스》(Fall Out Toy Works) | 피트 웬츠(Pete Wentz) | |
만화 | 《배트맨과 로빈》(Batman and Robin) | 그랜트 모리슨(Grant Morrison) | 프로페서 피그(Professor Pyg) 등장 |
희곡 | Pygmalion (Rousseau)|피그말리온영어 | 장 자크 루소 | 조각상에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루소의 작품이 처음이다.[41] |
오페라 | Pimmalione|핌말리오네영어 | 루이지 케루비니 | |
오페레타 | 『아름다운 갈라테이아』 | 프란츠 폰 주페 | |
소설 | 『미래의 이브』 | 빌리에 드 릴라당 | |
희곡 |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 윌리엄 S. 길버트 | |
만화 | 『피그마리오』 | 와다 신지 | 돌이 된 정령 갈라테이아라는 모티브가 사용 |
영화 | 『리타와 대학교수』 | 원작 Educating Rita|리타의 교육영어은 쇼의 『피그말리온』을 바탕으로 함 |
윌리엄 멀턴 마스턴 박사는 갈라테이아와 피그말리온 신화에서 영감을 얻어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Hippolyte)가 딸 원더우먼(갈라테이아 역할)을 점토로 만들고 아프로디테의 숨결로 생명을 불어넣는 원더우먼의 점토 탄생에 대한 우화를 만들었다. 마스턴의 의도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창조적인 사랑의 힘을 표현하는 것이었고, 원더우먼은 어머니의 양육의 산물이며, 따라서 어머니의 독립성, 자립성, 강한 성격, 제한 없는 신념 등 많은 특성을 의인화한 것이다.
공상과학/호러 팟캐스트인 《Dining In The Void》의 주인공 중 한 명은 갈라테아 아이보리라는 모델인데, 하얀 피부와 빼어난 미모로 유명하다.[39] 쇼에서 그녀의 주요 이야기 중 하나는 그녀의 외모와 악당 조에 의해 어떻게 손상되는가에 관한 것이다. 6화 "Aligning Their Goals"에서 갈라테아는 그녀의 매니저가 피그말리온이라고 밝히고, 그는 촬영장에서 가끔 그녀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고 한다. 하지만 아벨린 라이온이 그것이 통제적인 행위인지 묻자, 그녀는 피그말리온이 자신의 경력을 위해 신경 써주는 것이라고 그를 변호한다.[40]
5. 피그말리온 효과
참조
[1]
서적
Mythology
https://4.files.edl.[...]
Tridibesh Basu
1953-06-01
[2]
문서
Bibliotheke
[3]
문서
Galatea (mythology)
[4]
문서
Bibliotheke
[5]
문서
Exhortation to the Greeks
[6]
웹사이트
The Metamorphoses of the Pygmalion Myth: A Narrative Critique of Lars and the Real Girl
http://citation.alla[...]
NCA 95th Annual Convention
2018-05-02
[7]
문서
Galatea (mythology)
[8]
서적
The Works of John Marston
https://archive.org/[...]
John Russell Smith
2016-11-25
[9]
서적
The Works of John Dryden, Volume VII: Poems, 1697-1700
https://books.google[...]
2016-11-25
[10]
서적
The Poetical Works of Thomas Lovell Beddoes: Memoir. Poems collected in 1851 ...
https://books.google[...]
2016-11-25
[11]
서적
Remains in Verse and Prose of Arthur Henry Hallam: With a Preface and Memoir
https://archive.org/[...]
Ticknor and Fields
2016-11-25
[12]
서적
Sammlung
https://books.google[...]
2016-11-25
[13]
웹사이트
The Earthly Paradise (March–August) Index
http://www.sacred-te[...]
2016-11-25
[14]
웹사이트
Poems about Pygmalion and Galatea
http://shslboyd.pbwo[...]
2016-11-25
[15]
서적
Pygmalion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6-11-25
[16]
서적
Daphne and Other Poem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6-11-25
[17]
웹사이트
http://www.sksmith.o[...]
2016-11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5
[19]
서적
A Sculptor, and Other Poems
https://archive.org/[...]
K. Paul, Trench & Company
2016-11-25
[20]
서적
The Minor Poems of Schiller of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With a Few of ...
https://books.google[...]
2016-11-25
[21]
웹사이트
Poezii Romanesti
http://www.romanianv[...]
2016-11-25
[22]
서적
Poems
https://archive.org/[...]
Ticknor, Reed, and Fields
2016-11-25
[23]
웹사이트
Galatea
http://www.harpers.o[...]
2016-11-25
[24]
웹사이트
Hermione by Edward Rowland Sill - Famous poems, famous poets. - All Poetry
http://oldpoetry.com[...]
2016-11-25
[25]
서적
Collected Poems, 1912-1944
https://books.google[...]
2016-11-25
[26]
학술지
Pygmalion
Poetry Foundation
1979-04-01
[27]
웹사이트
Galatea Encore by Joseph Brodsky - Famous poems, famous poets. - All Poetry
http://oldpoetry.com[...]
2016-11-25
[28]
웹사이트
Galatea Poem by Katherine Solomon
https://twitter.com/[...]
2019-10-18
[29]
웹사이트
Galatea by Madeline Miller - short story
http://madelinemille[...]
2021-10-12
[30]
학술지
The American Galate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971-05-01
[31]
서적
Phantastes: a faerie romance
https://archive.org/[...]
2016-11-25
[32]
서적
Pygmalion: scčne lyrique
https://books.google[...]
2016-11-25
[33]
웹사이트
the albums – lunatic soul
http://lunaticsoul.c[...]
2016-11-25
[34]
뉴스
Dance: In Wonderbound's latest, Greek gods play matchmaker during The Depression
https://theknow.denv[...]
2018-04-24
[35]
웹사이트
SCENE II. The street before the prison.
http://shakespeare.m[...]
[36]
논문
The Pinocchio Syndrome: Revisited
http://www.shadowser[...]
2012-08-00
[37]
웹사이트
Surjokonna {{!}} সূর্য কন্যা {{!}} Bulbul Ahmed {{!}} Razashree Bose {{!}} Ahsan Ali {{!}} Jayashree Roy {{!}} Bengali Movie
https://www.youtube.[...]
[38]
웹사이트
Bicentennial Man
https://www.imdb.com[...]
[39]
웹사이트
Characters {{!}} Dining in the Void
https://www.diningin[...]
2018-07-06
[40]
웹사이트
6. Aligning Their Goals [Transcript]
https://docs.google.[...]
2018-07-06
[41]
논문
The Name Galatea in the Pygmalion Myth
[42]
서적
정보사회의 이해, 2011, 이항우 외 3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