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샤바나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샤바나타는 자이나교의 창시자로, 자이나교 우주론에 따르면 시간의 순환 속에서 나타나는 24명의 티르탄카라 중 첫 번째 인물이다. 그는 수백만 년 전에 태어났으며, 자이나교 연대기에서는 그의 키가 1500미터에 달하고 10224년 전에 태어나 8,400,000 푸르바년 동안 살았다고 묘사한다. 리샤바나타는 결혼, 직업, 문명을 창시하고, 출가하여 깨달음을 얻었으며, 9만 9천 년 동안 자이나교의 원리를 설파한 후 열반에 들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황소, 연화좌 자세, 긴 머리카락으로 묘사되며, 인도 전역에 그의 상징과 사원이 존재한다. 힌두교와 불교 경전에서도 리샤바나타가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르탕카라 - 마하비라
    마하비라는 기원전 6세기 고대 인도에서 활동한 자이나교의 마지막 티르탕카라이며, 비폭력, 진실, 도둑질하지 않음, 순결, 비소유의 다섯 가지 서약을 설파하며 자이나교의 핵심 교리를 정립하고 윤회와 업의 개념, 해탈을 위한 고행을 강조했다.
  • 바가바타 푸라나의 등장인물 - 브야사
    브야사는 베다와 푸라나를 정리한 힌두교 전통의 존경받는 인물로, 본명은 크리슈나 드바이파야나이며, 마하바라타의 저자이자 18개의 푸라나와 브라흐마 수트라를 저술했다.
  • 바가바타 푸라나의 등장인물 - 크리슈나
    크리슈나는 힌두교의 주요 신이자 비슈누의 아바타로, 《마하바라타》의 주요 인물이며 《바가바드 기타》에서 아르주나에게 가르침을 주며, 인도 전역과 동남아시아, 서구 세계에까지 널리 영향을 미친다.
  • 비슈누의 형태 - 상카르샤나
  • 비슈누의 형태 - 자간나타
리샤바나타
지도
기본 정보
이름티르탕카라 리샤바나타
출생명리샤바
다른 이름아디나타
아데슈바라 (첫 번째 정복자)
아다르샤 푸루샤 (완벽한 사람)
이크슈바쿠
종교자이나교
성별남성
상징황소
색상금색
배우자수망갈라/야샤스와티
수난다/난다
아버지쿨라카라 나비
어머니마루데비
자녀아들 100명 (차크라바르티 바라타, 왕자 나미, 카마데바 바후발리 포함)
딸 2명: 브라미, 순다리 (마하사티)
500 다누스(1,500 미터)
수명840만 푸르바 (592.704 x 1018년)
나무벵골보리수
전임자삼프랏티 (이전 시간 주기의 마지막 티르탕카라)
후임자아지타나타
출생지아요디아
해탈 장소아슈타파다
숭배자이나교
대표 그룹티르탕카라
살라카푸루샤
아리한트
싯다
축제악샤야 트리티야
만트라옴 리샤바데바 나마하, 옴 스리 아디나타야 나마하
경전아디 푸라나
마하푸라나
바크타마라 스토트라
리샤바나타
구자라트주 바브나가르구 팔리타나 사원의 리샤바나타상.

2. 역사적 배경

자이나교 전통에서 리샤바나타는 까마득한 옛날, '보가-부미'(bhoga-bhumi) 시대에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리샤바나타는 아디나타(Adinatha), 아디슈와라(Adishwara), 유가데바(Yugadeva), 나브헤야(Nabheya) 등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

자이나 우주론(Jain cosmology)에 따르면, 우주는 시작과 끝이 없이 영원히 순환한다. 시간의 순환은 아바사르피니(avasarpiṇī)와 우트사르피니(utsarpiṇī)라는 두 반주기로 나뉘며, 각 반주기에는 여섯 개의 ''아라스(aras)''(살)가 있다. 매 반주기마다 24명의 티르탄카라(tirthankara)가 나타나며, 현재 시간 순환에서 리샤바나타는 첫 번째 티르탄카라로 여겨진다. 그는 세 번째 반주기(''수카마-두카마(sukhamā-dukhamā)'' 에라)의 끝에 태어났기 때문에 예외적이다.

9세기 산스크리트어 시가인 아디 푸라나와 아디카비 팜파가 찬푸 양식으로 지은 10세기 칸나다어 주석서는 리샤바나타와 그의 두 아들의 10가지 전생을 다룬다. 11세기 슈베탐바라 승려 아차리아 바르다만수리는 프라크리트어로 릿샤바나타의 일대기를 다룬 1만 연 길이의 ''아디나타차리트(Adinathcharit)''를 저술했다. 마하푸라나, 아차리아 헤마찬드라의 ''트리샤스티-살라카-푸루샤-차리트라'', 바드라바후의 ''칼파 숩트라'', ''잠부드비파-프라즈냐프티'' 등에서도 릿샤바나타의 삶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아차리아 마나퉁가의 박타마라 스토트라(Bhaktamara Stotra)는 릿샤바나타를 언급하는 중요한 기도문 중 하나이다.

힌두교 경전인 리그베다, 비슈누 푸라나, 바가바타 푸라나 등에도 리샤바(Rishabha)가 언급된다. ''바가바타푸라나''에서는 그를 비슈누의 아바타(avatar)이자, 뛰어난 성자로 묘사한다. 불교 경전에서도 릿샤바나타를 언급하며, ''다르모타라프라디파''라는 경전에서는 그를 압타(Apta, 티르탄카라)로 칭한다.

리샤바(ऋषभ)는 산스크리트어로 수소를 의미하며, 상징적으로도 수소로 표현된다.

2. 1. 시간관

자이나 우주론(Jain cosmology)에 따르면, 우주는 시작과 끝이 없이 영원히 순환하는 시간의 흐름을 가진다. 이러한 시간의 순환은 아바사르피니(avasarpiṇī)와 우트사르피니(utsarpiṇī)라는 두 개의 반주기로 나뉘며, 각 반주기에는 여섯 개의 ''아라스(aras)''(살)가 존재한다. 이 순환은 영원히 반복된다.[3] 매 반주기마다 24명의 티르탄카라(tirthankara)가 나타나며, 각 반주기가 끝날 때 다르마(dharma)가 파괴된 후 첫 번째 티르탄카라가 자이나교(Jainism)를 다시 창시한다.

현재 시간 순환에서 리샤바나타는 첫 번째 티르탄카라로 여겨진다. 일반적인 티르탄카라들은 반주기의 네 번째 살에 태어나지만, 리샤바나타는 예외적으로 세 번째 반주기(''수카마-두카마(sukhamā-dukhamā)'' 에라)의 끝에 태어났다.[3]

자이나교 전통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현재 아브사르피니(Avsarpini)(시간 순환)에서 자이나교의 창시자이다.[3] 자이나교 연대기는 리샤바나타를 수백만 년 전에 살았던 인물로 묘사한다.[3] 그는 10224년 전에 태어나 8,400,000 푸르바(purva) (592.704 × 1018년) 동안 살았다고 전해진다.[3] 그의 키는 500보 (약 1500미터)였다고 묘사된다.[3]

이러한 비현실적인 수치 때문에, 대부분의 인도학자와 학자들은 초기 티르탄카라들을 역사적 인물이 아닌 신화적 존재로 간주한다.[3] 그러나 일부 자이나교 저술가들과 인도 학자들은 초기 티르탄카라들 중 일부가 역사적 인물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며, 과장된 수치는 신화적인 요소로 해석한다.[3]

인도 대통령(President of India)을 역임한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Sarvepalli Radhakrishnan)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에 리샤바나타가 숭배되었다는 증거가 있으며, 야주르베다(Yajurveda)는 리샤바나타를 포함한 세 명의 티르탄카라의 이름을 언급하고, 바가바타 푸라나(Bhāgavata Purāṇa)는 리샤바나타를 자이나교의 창시자로 지지한다고 한다.[3]

『칼파 수트라(कल्पसूत्र)』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코살라국(कोसल)의 수도 아요디야(अयोध्या)에서 나비 왕과 마르데비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200만 년 동안 왕자로, 그 후 630만 년 동안 왕으로 지내면서 사람들에게 다양한 학문, 예술, 직업을 가르쳤다. 그 후 출가하여 1000년 동안 유행 생활과 명상을 한 후 완전지를 얻었으며, 9만 9천 년 동안 설법을 하고, 카일라사 산에서 840만 살에 입멸하여 니르바나(निर्वाण)에 이르렀다고 한다.[20]

좀 더 새로운 전승에서는 리샤바나타가 인류 최초의 왕이며, 불과 농업 기술 등 다양한 것을 발명하고, 직업을 구분했다고 한다. 리샤바나타는 출가하기 전에 쌍둥이 자매인 수만갈라와 결혼하여 바라타(자이나교)(भारत)라는 아들을 낳았으며, 바라타는 최초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되었고, 인도아대륙을 뜻하는 바라타바르샤라는 이름은 그에게서 유래한다. 리샤바나타는 또한 수난다를 아내로 두고, 바후발리(자이나교)(बाहुबली)와 그의 쌍둥이 자매인 순다리, 그리고 다른 94명의 아들을 낳았다.[22]

2. 2. 탄생과 가계

리샤바나타는 차이트라 달의 그믐 9일째(''caitra krişna navamĩ'')에 아요디아에서 나비 왕과 마루데비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12] 아요디아는 힌두교에서 라마의 탄생지로 여겨지는 것처럼, 자이나교도들에게도 리샤바나타가 태어난 성스러운 도시로 여겨진다.[12]

자이나교 전통에 따르면, 티르탄카라의 탄생은 어머니가 꾸는 14가지 길조의 꿈으로 표시된다.[13] 마루데비 왕비는 자이나력의 아샤다(Ashadha) 달 이틀째 그믐(Krishna paksha|''krishna'')에 이 꿈을 꾸었다고 전해진다.[13] 인드라(Indra)가 마루데비에게 설명한 바에 따르면, 이 꿈들은 차크라바르틴(전륜성왕) 또는 티르탄카라의 탄생을 의미했다.[13]

마루데비(Marudevi) 여신과 함께 있는 리샤바나타(Rishabha)의 조상 (팔리타나(Palitana) 사원)


리샤바나타는 수난다(Sunanda)와 수망갈라(Sumangala)라는 두 명의 아내를 두었다.[14] 수망갈라는 아흔아홉 명의 아들(그중 장남은 바라타)과 브라흐미라는 딸 하나를 낳았다.[14] 수난다는 바후발리와 순다리(Sundari)의 어머니로 여겨진다.[15] 자이나교 경전에는 리샤바나타가 그의 딸들인 브라흐미와 순다리에게 각각 브라흐미 문자와 수학(Ank-Vidya)을 가르쳤다고 나와 있다.[14]

그의 장남인 바라타는 아요디아를 수도로 하여 고대 인도를 통치한 최초의 전륜성왕이었다.[16] 그는 자이나교 경전에서 부와 악덕에 얽매이지 않은 정의롭고 친절한 통치자로 묘사된다.[17] 인도 아대륙을 뜻하는 '바라타바르샤'라는 이름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다.[22]

3. 생애와 가르침

리샤바나타는 모든 것이 풍족한 시대인 ''보가-부미''(bhoga-bhumi)에 태어났다.[1] ''칼파브리크샤(kalpavriksha)''라 불리는 기적적인 소원을 들어주는 나무들 덕분에 아무도 일을 할 필요가 없었다.[1] 시간이 지나면서 나무들의 효능이 감소하자 사람들은 왕에게 도움을 청했고,[1] 리샤바나타는 여섯 가지 주요 직업을 가르쳤다. 그것은 (1) ''아시(Asi)''(보호를 위한 검술), (2) ''마시(Masi)''(서기술), (3) ''크리시(Krishi)''(농업), (4) ''비디야(Vidya)''(지식), (5) ''바니지야(Vanijya)''(무역과 상업), (6) ''실프(Shilp)''(공예)이다.[2]

폴 던다스(Paul Dundas)에 따르면, 자이나교에서 리샤바나타는 단순한 영적 스승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지식을 창시한 인물이다.[6] 그는 현재의 우주 순환에서 문화 영웅의 한 형태로 묘사된다.[6]

전통적인 자료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비니타나가라(Vinitanagara)''(아요디야)에 수도를 세운 최초의 왕이었다.[7] 그는 왕에 의한 통치를 위한 최초의 법을 제정했다고 알려져 있다.[7] 그는 ''크샤트리아(kshatriyas)''(전사), ''바이샤(vaishyas)''(상인), ''수드라(shudras)''(장인)로 구성된 직업 기반의 삼분 계급 제도를 확립했다고 한다.[8]

『칼파 수트라(कल्पसूत्र)』에 따르면 리샤바의 업적은 마하비라의 업적과 매우 유사하며, 고유 명사와 연대만 다를 뿐 거의 동일하다. 고트라(गोत्र)는 둘 다 카샤파였다. 리샤바는 코살라국(कोसल)의 수도 코살라(아요디야(अयोध्या))에서 나비 왕과 그의 왕비 마르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인류에게 문명을 가르친 14명의 크라칼라(마누(मनु)에 해당하는 자이나교의 고대 현인) 중 마지막 사람이었다. 마르데비가 리샤바를 출산하기 전에 본 꿈은 마하비라의 경우와 같았지만, 첫 번째 꿈에서 코끼리가 아닌 수소였다는 점이 달랐다. 리샤바는 200만 년 동안 왕자로, 그 후 630만 년 동안 왕으로 지내면서 사람들에게 다양한 학문, 예술, 직업을 가르쳤다.[20]

3. 1. 문명의 전수

기원전 2세기 마투라의 ''칸칼리 틸라''에 있는 고대 자이나교 유적. 리샤바나타의 삶에서 닐란자나의 춤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리샤바나타는 모든 것이 풍족한 시대인 ''보가-부미''(bhoga-bhumi)에 태어났다.[1] 당시에는 ''칼파브리크샤(kalpavriksha)''라는 소원을 들어주는 기적적인 나무들 덕분에 아무도 일할 필요가 없었다.[1]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나무들의 효능이 감소하자 사람들은 왕에게 도움을 청했다.[1] 이에 리샤바나타는 백성들에게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요 직업을 가르쳤다.[2]

직업설명
아시(Asi)검술 (보호)
마시(Masi)서기 (글쓰기)
크리시(Krishi)농업
비디야(Vidya)지식
바니지야(Vanijya)무역과 상업
실프(Shilp)공예



이러한 가르침을 통해 리샤바나타는 예술과 직업을 창시하여 가정을 부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행위의 시대인 ''카르마-부미''(karma-bhumi)를 열었다고 여겨진다.[3] 그는 자이나교에서 불을 발명하고 요리와 인간 생활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가르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자에게는 72가지, 여자에게는 64가지 과학을 가르쳤다고 한다.[4] 또한 수난다와의 결혼을 통해 결혼 제도가 생겨났다고 전해진다.[5] 폴 던다스(Paul Dundas)에 따르면, 자이나교에서 리샤바나타는 단순한 영적 스승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지식을 창시한 문화 영웅으로 묘사된다.[6]

전통적인 자료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비니타나가라(Vinitanagara)''(아요디아)에 수도를 세운 최초의 왕이었으며,[7] 왕에 의한 통치를 위한 최초의 법을 제정했다고 알려져 있다.[7] 그는 전사(''크샤트리아''), 상인(''바이샤''), 장인(''수드라'')으로 구성된 직업 기반의 삼분 계급 제도를 확립했고,[8] 후에 바라타(Bharata)가 네 번째 계급인 ''브라만(brahmin)''을 추가했다고 한다.[9]

후대 전승에서 리샤바나타는 더욱 중요한 인물로 묘사된다. 9세기 디가암바라파(दिगम्बर) 승려 지나세나는 라슈트라쿠타 왕조(राष्ट्रकूट) 아모가바르샤 1세(अमोघवर्ष)의 보호 아래 『아디 프라나(आदिप्राण)』를 저술하여 브라만(ब्राह्मण)과 베다(वेद) 및 신들의 권위를 부정하고 리샤바를 최초의 왕으로 찬양했다. 백의파(白衣派) 학자 헤마찬드라(हेमचन्द्र)는 『트리샤슈티 샤라카 푸르샤 차리타』(63위인전)에서 리샤바나타를 인류 최초의 왕이자 불과 농업 기술 등 다양한 것을 발명하고, 크샤트리아(क्षत्रिय)·바이샤(वैश्य)·슈드라(शूद्र) 직업을 구분한 인물로 묘사했다 (''브라만(ब्राह्मण)''은 그의 아들 바라타(자이나교)(भारत)가 만들었다). 리샤바나타는 출가 전 쌍둥이 자매 수만갈라와 결혼하여 아들 바라타(자이나교)(भारत)를 낳았는데, 바라타는 최초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되었고 인도아대륙을 뜻하는 바라타바르샤라는 이름이 그에게서 유래한다. 바라타의 쌍둥이 자매 브라흐미는 리샤바로부터 최초의 문자 브라흐미 문자(ब्राह्मी)를 배웠다. 리샤바나타는 수난다를 또 다른 아내로 맞아 바후발리(자이나교)(बाहुबली)와 그의 쌍둥이 자매 순다리, 그리고 다른 94명의 아들을 낳았다.[22]

3. 2. 출가와 깨달음

자이나교 전설에 따르면, 인드라가 리샤바나타의 왕궁 연회에서 천상의 무희들의 춤을 주최했다.[6] 무희 중 한 명인 닐란자나(Nilanjana)는 격렬한 춤 동작 중에 사망했다.[7][8][9] 닐란자나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리샤바나타에게 세상의 무상함을 일깨워 주었고, 왕국, 가족, 물질적 부를 버리고 출가하게 만들었다.[6][7][8]

그 후 리샤바나타는 왕국을 백 명의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었다.[6] 바라타는 아요디아를, 바후발리는 탁실라와 간다라 왕국(슈베탐바라 전통)[6][7][8] 또는 보다나푸르(디감바라 전통)를 물려받았다.[6][9] 리샤바나타는 아요디아 외곽의 시다르타 정원에서 출가했다.[6]

리샤바나타가 모든 것을 아는 깨달음을 얻은 후 연꽃 위를 걷는 모습


리샤바나타는 푸리마틀라 마을의 반얀나무 아래에서 천 년 동안 고행을 한 후, 그의 모든 네 가지 가티-업을 제거하고 '케발라 지냐나'(깨달음)를 얻었다.[10] 그 후, 데바들이 그를 위해 '사마바사라나'라 알려진 신성한 설법장을 만들었다.[11] 그는 승려들을 위한 다섯 가지 주요 서원과 재가자들을 위한 12가지 부수적인 서원을 제정했다고 한다.[12]

3. 3. 설법과 열반

리샤바나타는 널리 자이나교의 원리를 설파했다고 전해진다.[11] 그는 네 가지 아가티 카르마(aghati-karma)를 모두 소멸시켜 열반(Nirvana) 또는 묵샤를 얻었다고 여겨진다.[12] 이는 그의 영혼이 끝없는 윤회의 순환에서 해방되어 영원히 시달로카(siddhaloka)에 머무르는 것을 의미한다. 자이나교에서는 그의 죽음이 힌두력 마가(Magha) 밝은 달 14일에 아슈타파다(카일라스 산으로도 알려짐)에서 일어났다고 믿는다.[13] 당시 그의 총 나이는 84락흐 푸르바(lakh purva)년으로 추정되며, 세 번째 유가(era)가 끝나기까지 3년 8개월 반이 남았다고 한다.[14]

리샤바나타의 열반(Nirvana) 장소인 카일라스 산 또는 아슈타파다.


『칼파 수트라』에 따르면 리샤바의 업적은 마하비라의 업적과 매우 유사하며, 고유 명사와 연대만 다를 뿐 거의 동일하다. 고트라는 둘 다 카샤파였다. 리샤바는 9만 9천 년 동안 설법을 했으며, 리샤바세나를 선두로 하는 8만 4천 명의 사문 등 많은 제자를 두었다. 아슈타파다 산(카일라스 산)에서 840만 살에 입멸하여 니르바나에 이르렀다.[20]

4. 상징과 숭배

리샤바나타는 자이나교에서 가장 숭배받는 티르탄카라 중 한 명으로, 아디나타(Adinatha), 아디슈와라(Adishwara) 등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

리샤바나타는 현재 겁(劫)의 하강기(아바사르피니) 제3기 말에 출현했다. 나머지 23명의 티르탄카라는 제4기에 출현했고, 마지막 티르탄카라인 바르다마나의 입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제5기가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9]

『칼파 수트라(कल्पसूत्र)』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고트라(गोत्र)가 카샤파였으며, 코살라국(कोसल)의 수도 아요디야(अयोध्या)에서 나비 왕과 그의 왕비 마르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20] 새로운 전승에 따르면 리샤바나타는 인류 최초의 왕이며, 불과 농업 기술 등을 발명하고, 크샤트리아(क्षत्रिय)·바이샤(वैश्य)·슈드라(शूद्र)의 직업을 구분했다고 한다.[21]

4. 1. 상징

리샤바나타는 보통 연화좌(lotus position) 또는 카요츠알가(kayotsarga) 자세로 묘사된다. 리샤바나타의 특징은 어깨까지 내려오는 긴 머리카락과 조각상에 새겨진 황소 이미지이다.[9] 그의 상징은 황소(수소)이며, 냐그로다(Nyagrodha) 나무, 고무카(Gomukha) (황소 얼굴) 약샤(Yaksha), 그리고 차크레슈바리(Chakreshvari) 약시(Yakshi)와 관련이 있다.[13]

찬데리에 있는 암석 절단 조각상

4. 2. 주요 성지

팔리타나 사원


인도 전역에는 리샤바나타를 모신 다양한 자이나교 사원 단지들이 있으며, 이들은 자이나교의 중요한 순례지이다.[1] 샤트룬자야 산은 인도 구자라트 남부의 구릉지대로, 24명의 티르탄카라 중 23명이 설법을 했던 곳으로 여겨지며, 리샤바도 그곳에 있었다고 한다.[2] 많은 수도승들이 그곳에서 윤회의 고리를 벗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단지 내에 있는 큰 사원은 아요디아에서의 리샤바의 깨달음을 기념하여 그에게 봉헌되었다.[2] 이 단지의 중앙에 있는 리샤바 상은 아디나타(Adinatha) 또는 단순히 '다다'(Dada, 할아버지)라고 불린다. 존 코트(John Cort)에 따르면, 이 상은 모든 무르티푸자카(murtipujaka) 상 중에서 가장 숭배받는 상이며, 자이나교 전통의 일부 사람들은 기적을 행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2] 자이나교 경전에 따르면, 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군티(Kunti)와 판다바 5형제는 산 정상에 와서 예를 표하고 샤트룬자야에 리샤바의 상을 봉헌했다.[3]

주요 리샤바 사원 단지는 다음과 같다.

  • 팔리타나 사원
  • 딜와라 사원
  • 쿨팍지(Kulpakji)
  • 쿤달푸르(Kundalpur)
  • 파포라지(Paporaji)
  • 소니지 키 나시얀(Soniji Ki Nasiyan)
  • 리샤브데오(Rishabhdeo)
  • 상기지(Sanghiji)
  • 하누만탈 바다 자이나 만디르(Hanumantal Bada Jain Mandir)
  • 트릴로크 티르트 댐(Trilok Teerth Dham)
  • 파바가드(Pavagadh)
  • 사르보다야 자이나 사원(Sarvodaya Jain temple)


카주라호 아디나타 사원(Adinatha temple, Khajuraho),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비말 바사히(Vimal Vasahi), 딜와라 사원(Dilwara temples)

5. 다른 종교에서의 언급

힌두교의 푸라나 경전 중 비슈누 푸라나에서는 최초의 마누인 스바얀부바 마누를 시조로 하여 아버지에서 아들로 프리야브라타, 아그니드라, 나비, 리샤바로 이어졌으며, 리샤바에게는 바라타를 장남으로 하는 100명의 자식이 있었고, 바라타의 자손이 사는 땅을 바라타 바르샤(भारत वर्ष, 인도를 의미함)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23]

바가바타 푸라나(10-11세기경)에서는 리샤바를 비슈누아바타라 중 하나로 여겼다.[24]

불교 경전에서는 릿샤바나타와 함께 파드마프라바, 찬드라프라바, 푸시파단타, 비말라나타, 다르마나타, 네미나타 등 여러 티르탄카라들을 언급한다.[12] ''다르모타라프라디파(Dharmottarapradipa)''에서는 릿샤바나타를 압타(Apta, 티르탄카라)로 언급한다.[12]

6. 한국과의 관련성 (한국적 관점)

리샤바나타의 가르침은 직접적으로 한국에 전해지지는 않았지만, 평등 사상, 생명 존중 등 그의 가르침은 불교를 통해 한국 사회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한국에는 자이나교 신자가 많지 않지만, 일부 자이나교 사원과 공동체가 존재하며 리샤바나타를 숭배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Indian Philosophy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K.K. Publications 2021-09-11
[2] 서적 The Oldest Cure in the World: Adventures in the Art and Science of Fasting https://books.google[...] Abrams 2022-09-06
[3] 웹사이트 Rajendrasuri Smarak Granth https://jainqq.org/e[...] 2024-05-31
[4] 서적 Holiday Symbols & Customs, 5th Ed. https://books.google[...] Infobase Holdings, Inc 2015-07-01
[5] 서적 Fasting: an Exceptional Hum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2-20
[6] 서적 The Religions of India: A Concise Guide to Nine Major Faith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7] 서적 Kalyana Mitra: Volume 6: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Blue Rose Publishers 2023-01-31
[8] 서적 Nagabharana: Recent Trends in Jainism Studies https://books.google[...] Blue Rose Publishers 2022-02-24
[9] 웹사이트 Part 1: Ṛṣabha's initiation https://www.wisdomli[...] 2024-05-31
[10] 웹사이트 Search, Seek, and Discover Jain Literature. https://jainqq.org/e[...] 2024-12-15
[11] 웹사이트 Kamat's Potpourri: History of the Kannada Literature -II http://www.kamat.com[...] 2012-11-04
[12] 웹사이트 Shri Bhaktamara Mantra (भक्तामर स्त्रोत) http://www.digambarj[...] 2015-08-15
[13] 뉴스 Amit Shah felicitated by Jain community http://www.thestates[...] 2016-12-17
[14] 뉴스 Guinness Book to certify Mangi Tungi idol http://timesofindia.[...] 2016-12-17
[15] 뉴스 108-feet Jain Teerthankar idol enters "Guinness book of records" http://thehindu.com/[...] 2016-12-17
[16] 뉴스 Palitana 108 feet high statue of Adinath dada http://www.bhaskar.c[...] Dainik Bhaskar 2017-03-11
[17] 뉴스 On a spiritual quest http://m.deccanheral[...] 2017-03-08
[18] 뉴스 Country’s largest museum dedicated to Jain philosophy inaugurated 50 km from Pune https://www.hindusta[...] Hindustan Times 2024-11-06
[19] 문서 渡辺(2005) pp.102-103,159-161
[20] 문서 Jacobi (1884) pp.281-285
[21] 문서 Jaini (1977) pp.322,331-333
[22] 문서 Jaini (1977) pp.322-324
[23] 서적 The Vishńu Puráńa 2 https://archive.org/[...] Trübner
[24] 문서 Jaini (1977) p.321,324-327,331
[25] 서적 Indian Philosophy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K.K. Publications 2021-09-11
[26] 서적 The Oldest Cure in the World: Adventures in the Art and Science of Fasting https://books.google[...] Abrams 2022-09-06
[27] 웹인용 Rajendrasuri Smarak Granth https://jainqq.org/e[...] 2024-05-31
[28] 서적 Holiday Symbols & Customs, 5th Ed. https://books.google[...] Infobase Holdings, Inc 2015-07-01
[29] 서적 Fasting: an Exceptional Hum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