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두교는 '사나타나 다르마'로 불리며, 영국 식민 통치 시대에 인도의 종교를 통칭하기 위해 사용된 명칭이다. 힌두교는 페르시아어 '힌두'에서 유래, 인더스 강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신두'에서 기원하며, 인더스 강 건너편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지리적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힌두교는 브라만들의 역할과 베단타의 발전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12세기 이후 다양한 종교와 전통의 공통 분모 개념이 발전했다. 19세기에는 힌두교를 단일 세계 종교 전통으로 보는 개념이 널리 퍼졌고, 힌두교 근대주의자들이 인도 문명의 자산으로 재확인하며 개혁 운동을 펼쳤다. 힌두교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힌두교 신자들의 94%가 인도에 거주한다. 주요 교리로는 다르마, 윤회, 카르마, 모크샤 등이 있으며, 우주론, 윤회, 브라흐만, 신, 아트만, 카르마, 다르마, 모크샤 등이 있다. 힌두교는 3대 신(브라흐마, 비슈누, 시바)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들을 숭배하며, 소를 신성하게 여겨 소고기를 먹지 않는 윤리적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신교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다신교 - 신토
신토는 일본 고유의 종교적 관념으로, 창시자나 경전 없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미'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와 신앙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격변을 거쳐 현재는 신사신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힌두교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힌두교 | |
---|---|
기본 정보 | |
![]() | |
종교 이름 | 힌두교 |
배경색 | '#ED1A3D' |
국가/지역 | 인도 네팔 등의 남아시아 및 인도네시아 발리주와 모리셔스 |
성립 연도 | 기원전 13세기경에 전신이 되는 바라문교가 발전 |
창시자 | 없음 (자연 형성) |
숭배 대상 | 다신교 일신교 범신론 불가지론 무신론 |
성전 | 리그베다 등 |
모체 | 해당 사항 없음 |
종파 | 비슈누파 시바파 샥티파 스마르타파 등 |
주요 지도자 | 해당 사항 없음 |
성지 | 바라나시 (인도) 리시케시 (인도) |
발상지 | 고대 인도 |
본거지 | 해당 사항 없음 |
교의 | 윤회 해탈 등 |
신자 수 | 약 11억 명 |
기본 교리 | |
핵심 개념 | 아트만과 브라흐만 범아일여 윤회(산사라) 업 카마 다르마 모크샤 |
신 | |
주요 신 | 브라흐마 시바 (파르바티) 비슈누 (크리슈나) 아수라 바루나 비로차나 마하발리 브리트라 라바나 인드라 나가 나가라자 자간나트 |
성전 | |
슈루티 (천계) | 베다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 아란야카 우파니샤드 부베다 간다르바베다 스타파티아베다 아유르베다 |
스므리티 (성전) | 베다앙가 푸라나 문헌 마하바라타 (바가바드 기타) 라마야나 육파 철학의 제경전 |
법전/율법경 | |
주요 법전 | 마누 법전 야즈냐발키야 법전 |
철학 학파 | |
주요 학파 | 베단타 학파 미맘사 학파 요가 학파 상키아 학파 니야야 학파 바이셰시카 학파 |
종파 | |
주요 종파 | 비슈누파 시바파 샥티파 스마르타파 |
주요 인물 | |
철학자/성인 | 앙기라스 카나다 파니니 파탄잘리 웃달라카 아르니 비야사 야즈냐발키야 샹카라 카비르 라마누자 오로빈도 고쉬 마하리시 마헤쉬 요기 마하트마 간디 슈릴라 프라부파다 라마크리슈나 라마나 마하르시 라다크리슈난 비베카난다 샹카르 |
수행/예배 | |
수행 방법 | 요가 고행/호마 박티 |
관련 용어 | |
주요 용어 | 브라흐마나 삼히타, 구루 인도 신화, 카스트 힌두력 바르나 자티 불가촉천민 사티 힌두트바 아슈라마 힌두 지상주의 |
2. 명칭
'''힌두교'''로 번역되는 영어 '''힌두이즘'''(Hinduism)이라는 명칭은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삼으면서 인도의 종교에 붙인 이름이다.[414] 원래 힌두교 신자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힌두교라고 부르지는 않았으며, 영원한 다르마(법칙)라는 의미의 '''''사나타나 다르마'''(Sanātana Dharmasa)''라고 불렀다.[414]
"힌두(Hindū)"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어근인 "신두(Sindhu)"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인도 북서부의 인더스 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여겨진다.[6] 개빈 플러드에 따르면, "힌두"라는 용어는 인더스 강 너머에 살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페르시아어 지리적 용어로 처음 등장했으며, 기원전 6세기 다리우스 1세의 비문에서 확인된다.[6] 이러한 고대 기록에서 "힌두"라는 용어는 지리적 용어였으며 종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었다.[6]
“힌두(Hindū)”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어근인 “신두(Sindhu)”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인도 아대륙 북서부의 인더스 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여겨진다. 개빈 플러드에 따르면, “‘힌두’라는 용어는 인더스 강(산스크리트어: 신두) 너머에 살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페르시아어 지리적 용어로 처음 등장했다”고 한다.[6] 더 구체적으로는 기원전 6세기 다리우스 1세(기원전 550–486)의 비문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고대 기록에서 “힌두”라는 용어는 지리적 용어이며 종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었다.[6]
13세기까지 “힌두스탄”은 “힌두인의 땅”을 의미하는 인도의 대중적인 대체 이름으로 등장했다. 종교적 의미를 지닌 ‘힌두’에 대한 가장 초기의 알려진 기록 중에는 7세기 서기 중국 텍스트 현장의 『대당서역기』가 있다. 18세기에 유럽 상인과 식민 주민들은 인도의 종교 추종자들을 집합적으로 힌두교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힌두교"라는 용어는 1816년에서 17년 사이에 라자 람 모한 로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840년대까지 "힌두교"라는 용어는 영국 식민주의에 반대하고 무슬림과 기독교인과 자신을 구별하려는 인도인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3. 역사
종교적 의미를 지닌 '힌두'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 중에는 7세기 서기 중국 텍스트 현장의 『대당서역기』가 있다. 18세기에 유럽 상인과 식민 주민들은 인도의 종교 추종자들을 집합적으로 힌두교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11][12] "힌두교"라는 용어는 1816년에서 17년 사이에 라자 람 모한 로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7]
힌두교의 역사는 인도 아대륙에서의 종교 발전과 겹치거나 일치하며, 철기 시대 이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부 전통은 선사 시대 종교 특히 청동기 시대 인더스 문명의 종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학자들은 힌두교를 다양한 인도 문화와 전통의 종합으로 간주한다.[293]
힌두교의 역사는 종종 발전 단계로 나뉜다.
기원후 1250년부터 1750년부터 힌두교 통치자와 이슬람 통치자 아래에서 힌두교는[294][295]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 있는 바크티 운동의 중요성이 증가했다. 식민지 시대에는 유니테리언교 및 신지학과 같은 서구 운동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힌두교 개혁 운동이 등장했다. 1947년 인도 분할은 종교적 분파를 따라 이루어졌으며, 인도 공화국이 힌두교 다수 민족으로 등장했다. 20세기에는 인도 디아스포라로 인해 모든 대륙에 힌두교 소수 민족이 형성되었으며, 가장 큰 공동체는 미국과 영국에 있다.
20세기-21세기에 ISKCON, 사티야 사이 기구, 베단타 협회와 같은 많은 선교 단체들이 인도 밖으로 힌두교의 핵심 문화를 전파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한 주로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에서 힌두트바 형태로 정치에서 힌두 정체성이 증가했다.
3. 1. 발생
힌두교는 고대 인도에서 발생하였다. 힌두교의 경전인 베다는 기원전 1500년경에 성립되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었다. 좁은 의미에서 힌두교는 브라만교로부터 경전과 카스트 제도를 계승하고, 토착 신들과 숭배 양식을 흡수하면서 점차 형성되어 온 다신교이다. 기원전 2000년경 아리아인이 이란에서 인도 북서부에 침입하였다. 그들은 기원전 1500년경 베다를 완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브라만교를 믿었다.
베다는 “알다”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며, 종교적 지식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그 지식을 집성한 경전류의 총칭이기도 하다. 가장 오래된 『리그베다』는 기원전 1200년에서 1000년경에 인도 북서부의 펀자브 지방에서 아리아인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3. 2. 전파
근대 이전에 힌두교는 인도 주변의 네팔, 인도네시아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근대에는 인도인들의 이주에 따라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293] 힌두교의 신화와 사상은 불교에 큰 영향을 주었고, 불교 전파와 함께 힌두교의 요소들도 함께 전파되었다.[293]
네팔은 2008년까지 힌두교를 국교로 지정했었으나, 2015년 민주화 이후 국교가 아니게 되었다.[293] 인도는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힌두교를 믿는다. 힌두교는 굽타 왕조의 지원 아래 확산되었다.[293]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마다가스카르 동쪽의 모리셔스에서 힌두교가 종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93]
힌두트바 운동은 힌두교의 통합을 광범위하게 주장하며, 차이점을 무시하고 인도를 고대부터 힌두 국가로 간주해 왔다.[62] 힌두 민족주의는 인도에서 정치적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이는 '네오-힌두트바'로도 알려져 있다.[63][64] 네팔에서도 인도와 유사하게 힌두트바의 우세가 증가하고 있다.[65] 요가와 하레 크리슈나 운동과 같은 문화적 영향으로, 특히 ISKCON과 같은 많은 선교 단체를 통해 힌두교의 영향력은 전 세계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인도 힌두교도의 다른 국가로의 이주 때문이기도 하다.[66] 많은 서구 국가와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 힌두교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4. 경전
힌두교의 정전은 베다와 우파니샤드이며 그 외에도 브라마나, 수트라 등의 문헌이 있는데, 이 모든 것들은 인도의 종교적, 사회적 이념의 원천이 되고 있다.[414] 또한 경전에 준하는 것으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라마의 기행)의 2대 서사시가 유명한데, 특히 전자의 일부인 《바가바드 기타》는 널리 애창되고 있다. 이 외에 푸라나, 탄트라, 아가마, 상히타 등이 힌두교 각 파에서 존중되고 있다.[414]
고대 힌두교 경전은 초기에는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후기에는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졌다. 이러한 경전들은 슈루티(Śruti)와 스므리티(Smriti)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슈루티는 아파우루셰야(apauruṣeyā) ()이며, 리쉬(rishis)()에 의해 계시된 것으로 간주되며 최고의 권위를 지닌 반면, 스므리티는 인간이 만든 것이며 부차적인 권위를 지닌다.
슈루티()는 주로 힌두교 경전의 가장 초기 기록이며 영원한 진리로 간주되는 베다를 가리킨다. 고대 현자(리쉬)들에게 계시된 것이다. 네 개의 베다가 있다 – 리그베다(Rigveda), 사마베다(Samaveda), 야주르베다(Yajurveda), 아타르바베다(Atharvaveda)이다. 각 베다는 네 가지 주요 경전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 삼히타(Samhita): 만트라와 축복
- 아라냐카(Aranyakas): 의례, 의식, 희생 제사 및 상징적 희생 제사에 대한 경전
- 브라마나(Brahmanas): 의례, 의식, 희생 제사에 대한 주석
- 우파니샤드(Upanishads): 명상, 철학 및 영적 지식을 논하는 경전
베다의 처음 두 부분은 카르마칸다() (의례적 부분)라고 불렸고, 나머지 두 부분은 냐나칸다() (영적 통찰력과 철학적 가르침을 논하는 지식 부분)를 형성한다.
우파니샤드는 힌두교 철학 사상의 기초이며 다양한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슈루티(베다 문헌) 중 우파니샤드만이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널리 영향력이 있으며, 힌두교의 탁월한 경전으로 간주되며, 그 중심 사상은 힌두교의 사상과 전통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힌두교에는 108개의 무크티카(Muktikā) 우파니샤드가 있으며, 그중 학자들은 10개에서 13개를 주요 우파니샤드(Mukhya Upanishads)로 다양하게 꼽는다.
스므리티()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힌두교 서사시와 푸라나()이다. 서사시는 마하바라타(Mahabharata)와 라마야나(Ramayana)로 구성된다.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는 마하바라타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힌두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성서 중 하나이다. 때때로 기토파니샤드(Gitopanishad)라고 불리며, 내용이 우파니샤드적이기 때문에 슈루티("들리는 것") 범주에 속한다.
5. 종파
힌두교는 크게 비슈누파, 시바파, 샤크티파, 스마르타파로 나뉜다.[69] 북쪽 지방과 브라만, 크샤트리아 계급에서는 비슈누파가 많고, 남쪽 지방과 수드라 계급, 불가촉천민인 찬달라에게는 시바파가 많다.
중앙 교리 기관이 없는 힌두교에서는 많은 신자들이 특정 종파에 속한다고 여기지 않지만, 학술 연구에서는 샤이바교, 샤크티교, 스마르타파, 바이슈나바교의 네 가지 주요 종파를 사용한다. 이 종파들은 숭배하는 신, 전통, 구원론적 관점에서 차이를 보인다.[69]
힌두교의 종파는 다른 종교의 종파와 달리, 한 사람이 여러 종파를 믿는 경우가 흔하며, "힌두교 다중 중심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각 종파별 신자 수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70] 2010년 존슨과 그림의 추정에 따르면 비슈누와 그의 아바타를 숭배하는 바이슈나바교가 약 6억 4,100만 명으로 가장 크고, 시바를 중심으로 하는 샤이바교가 2억 5,200만 명, 샤크티 또는 데비를 숭배하는 샤크티교가 3,000만 명, 여러 신을 동시에 숭배하는 스마르타파와 기타 전통이 2,500만 명이다.[71]
6. 교리
"힌두교"는 때로는 상반되고 종종 경쟁적인 다양한 전통들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12] 18세기에 서구 민족지학에서 만들어진 "힌두교"라는 용어는,[12] 다양한 인도 문화와 전통의 융합 또는 종합을 가리킨다.[17] 힌두교는 다양한 근원을 가지고 있으며 창시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17] 이러한 힌두교 종합은 베다 시대 이후, 기원전 500년~200년경과 기원후 300년경 사이, 제2차 도시화 시대와 힌두교의 초기 고전 시대에 서사시와 최초의 푸라나가 편찬되면서 등장했다. 중세 시대에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면서 번성했다.
힌두교는 영성과 전통에 대한 다양한 사상을 포함한다. 힌두교 신자는 다신교적, 범신론적, 유신론적, 범신론적, 일신론적, 일원론적, 불가지론적, 무신론적 또는 인본주의적일 수 있다.[18][19] 힌두교라는 용어가 포괄하는 광범위한 전통과 사상으로 인해 포괄적인 정의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 종교는 "우리가 그것을 정의하고 분류하려는 욕구를 거부한다".
인도에서는 "(힌두)다르마"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서구의 "종교"라는 용어보다 폭이 넓으며, 종교적 태도와 행동, 즉 "올바른 삶의 방식"을 가리키며, 집합적으로 "힌두교"라고 불리는 다양한 전통에 보존되고 전해져 내려온다.
인도와 그 문화 및 종교에 대한 연구와 "힌두교"의 정의는 식민주의의 영향과 서구의 종교관에 의해 형성되었다. 1990년대 이후, 이러한 영향과 그 결과는 힌두교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12]
힌두교 신앙은 광대하고 다양하며, 따라서 힌두교는 종종 하나의 종교라기보다는 종교의 집합체로 여겨진다.[42] 힌두교에는 인도의 다양한 종교 현상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용어이지만, "신앙 선언이나 신조에 담긴 통일된 신앙 체계"는 없다.[42]
힌두교 신앙의 주요 주제로는 다르마(윤리/의무), 윤회(탄생, 삶, 죽음, 윤회의 지속적인 순환), 카르마(행위, 의도 및 결과), 모크샤(집착과 윤회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다양한 요가(경로 또는 수행법) 등이 있다.
'''푸루샤르타'''(Purushārtha)는 삶의 목표를 의미한다. 고전적인 힌두 사상에서는 삶의 네 가지 적절한 목표 또는 목적, 즉 다르마, 아르타, 카마, 그리고 모크샤를 인정한다.[108]
- '''다르마''': 힌두교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여겨진다.[109] 다르마 개념에는 르타(ṛta, 삶과 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질서)[110]에 부합하는 행동이 포함되며, 의무, 권리, 법, 행위, 미덕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111]
- '''아르타''': 의무를 이행하고 경제적 번영을 이루며 충만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 자원, 자산 또는 생계를 추구하는 미덕을 의미한다.
- '''카마''': 욕망, 소망, 열정, 동경, 그리고 감각적 쾌락, 삶의 심미적 향유, 애정과 사랑을 의미하며, 성적 의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118][119]

- '''모크샤''': 힌두교에서 궁극적이고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목샤는 슬픔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삼사라(생과 죽음의 윤회)로부터의 해방과 관련된 개념이다.

힌두교는 다양한 사상 체계로, 신에 대한 개념 또한 복잡하며 개인, 전통, 철학에 따라 다릅니다. 리그베다의 ''나사디야 숙타''(창조 찬가)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중 하나이며, 우주를 창조한 것, 신(들)의 개념, 그리고 하나됨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색을 보여준다.
힌두교 신자들은 모든 생명체가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믿으며, 각 사람의 진정한 "자아"는 ''아트만''이라고 불린다. 힌두교의 아드바이타 학파에 따르면, 삶의 목표는 자신의 자아가 최고의 자아와 동일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이원론적 학파(드바이타 및 바크티)는 브라만을 아트만과 구별되는 최고 존재로 이해한다.[155]
힌두교 경전은 ''데바''(또는 여성형인 ''데비'')라고 불리는 천상의 존재들을 언급하는데, 이는 영어로 ''gods'' 또는 ''heavenly beings''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데바는 힌두교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예술, 건축 및 조각을 통해 묘사된다.

''아바타''라는 단어는 베다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베다 이후 문헌에서 동사 형태로, 그리고 특히 6세기 이후 푸라나 문헌에서 명사로 나타납니다.[165]

6. 1. 기본 교리
힌두교의 기본 교리는 우주의 법칙과 인간의 윤회를 근간으로 한다. 힌두교의 교리를 이루는 기본 개념들은 대부분 이후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인도에서 발원한 다른 종교에 도입되었다.- 기본 교리
- * 우주론
- * 윤회(संसार Samsarasa)
- * 브라ഹ്만(ब्रह्मन् Brahmansa)
- * 신(ब्रह्मन् Brahmansa)
- * 아트만(आत्मञ् Atmansa)
- * 카르마(कर्म Karmasa)
- * 다르마(धर्म Dharmasa)
- * 모크샤(मोक्ष Mokṣasa)

신봉자들에게 힌두교는 전통적인 삶의 방식이다.[27] 많은 실천자들은 힌두교의 "정통" 형태를 ''사나타나 다르마'', 즉 "영원한 법" 또는 "영원한 길"이라고 부른다.[28] 힌두교도들은 힌두교가 수천 년 된 것으로 여긴다. 푸라나 연대기는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그리고 푸라나에 기술된 대로, 기원전 30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힌두교와 관련된 사건들의 연표를 제시한다. 여기서 ''다르마''라는 단어는 원래 산스크리트어 의미가 아닌 현대 인도-아리아어족과 유사한 ''종교''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부(artha), 욕망의 충족(kama), 해탈(moksha)과 같은 힌두교 삶의 모든 측면은 "올바른 삶의 방식"과 그 성취에 있어 영원한 조화로운 원리를 포함하는 "다르마"의 일부로 여겨진다.[29] 힌두교에 대한 ''사나타나 다르마''라는 용어의 사용은 힌두교 경전에 드러난 것처럼 힌두교의 기원이 인류 역사 너머에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 현대적인 용법이다.
''사나타나 다르마''는 "시간 초월적인, 영원한 진리의 집합"을 의미하며, 힌두교도들이 자신의 종교의 기원을 보는 방식이다. 그것은 인류 역사 너머의 기원을 가진 영원한 진리와 전통, 즉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인 베다에 신성하게 계시된(Shruti) 진리로 여겨진다. 많은 힌두교도들에게 힌두교는 적어도 고대 베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전통이다.
''사나타나 다르마''는 역사적으로 힌두교에서 종교적으로 규정된 "영원한" 의무, 즉 정직, 살아있는 존재를 해치지 않는 것 (''ahiṃsā''), 순수, 친절, 자비, 인내, 관용, 자제, 관대함, 금욕 등의 의무를 가리켰다. 이러한 의무는 힌두교도의 계급, 카스트 또는 종파에 관계없이 적용되었으며, 계급 또는 카스트 (''varṇa'')와 삶의 단계 (푸루샤르타)에 따라 자신의 "의무"인 스바다르마와 대조되었다.[31]
발간가다르 틸락은 그의 저서 ''기타 라하스야''(1915)에서 "베다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구원의 길이 다양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숭배해야 할 신의 수가 많다는 진실을 깨닫는 것"으로 힌두교를 정의하였다. 이것은 1966년과 1995년에 인도 대법원에서 "'적절하고 만족스러운 정의'"로 인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힌두교의 법적 정의로 여겨진다.
힌두교 신앙은 광대하고 다양하며, 따라서 힌두교는 종종 하나의 종교라기보다는 종교의 집합체로 여겨진다.[42] 힌두교에는 인도의 다양한 종교 현상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용어이지만, "신앙 선언이나 신조에 담긴 통일된 신앙 체계"는 없다. 인도 대법원에 따르면, "세계의 다른 종교들과는 달리, 힌두교는 어떤 한 예언자도 주장하지 않으며, 어떤 한 신도 숭배하지 않고, 어떤 한 철학적 개념도 믿지 않으며, 어떤 한 종교 의식이나 행위도 따르지 않는다. 사실, 힌두교는 전통적인 종교 또는 신조의 특징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힌두교는 삶의 방식일 뿐이다."라고 한다.
'힌두교'라는 용어에 대한 단일한 정의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힌두교에 창시자가 없다는 사실이다. 힌두교는 다양한 전통들의 종합체이다.
힌두교 신앙의 주요 주제로는 다르마(윤리/의무), 윤회(탄생, 삶, 죽음, 윤회의 지속적인 순환), 카르마(행위, 의도 및 결과), 목샤(집착과 윤회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다양한 요가(경로 또는 수행법) 등이 있다.
푸루샤르타(Purushārtha)는 삶의 목표를 의미한다. 고전적인 힌두 사상에서는 삶의 네 가지 적절한 목표 또는 목적, 즉 다르마, 아르타, 카마, 그리고 목샤를 인정한다.[108]
다르마는 힌두교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여겨진다.[109] 다르마 개념에는 르타(ṛta, 삶과 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질서)[110]에 부합하는 행동이 포함되며, 의무, 권리, 법, 행위, 미덕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111] 힌두교 다르마에는 각 개인의 종교적 의무, 도덕적 권리와 의무뿐만 아니라 사회 질서, 올바른 행동 및 미덕 있는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행동이 포함된다. 다르마는 모든 존재가 세상의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받아들이고 존중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본성과 진정한 소명을 추구하고 실행하여 우주적 조화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112] 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다르마보다 높은 것은 없다. 약자는 다르마로 강자를 극복한다. 마치 왕을 극복하듯이. 참으로 그 다르마는 진리(Satya)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진실을 말하면 "그는 다르마를 말한다"라고 하고, 만약 그가 다르마를 말하면 "그는 진실을 말한다"라고 한다. 둘 다 하나이기 때문이다.
마하바라타에서 크리슈나는 다르마를 현세적이고 내세적인 일을 모두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Sanātana"라는 단어는 "영원한", "불변의", 또는 "영원한"을 의미한다. 따라서 "Sanātana Dharma"는 시작도 끝도 없는 다르마를 의미한다.[115]
아르타(Artha)는 의무를 이행하고 경제적 번영을 이루며 충만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 자원, 자산 또는 생계를 추구하는 미덕을 의미한다. 이는 정치 생활, 외교 및 물질적 안녕을 포함한다. 아르타 개념에는 삶의 모든 "수단", 즉 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과 자원, 부, 직업, 재정적 안정이 포함된다. 아르타를 적절히 추구하는 것은 힌두교에서 인간 삶의 중요한 목표로 여겨진다.
힌두 철학의 중심 전제는 모든 사람이 기쁨과 즐거움으로 충만한 삶을 살아야 하며, 모든 사람의 욕구가 인정되고 충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의 욕구는 충분한 수단이 있을 때만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아르타는 기쁨과 즐거움으로 충만한 삶에 필요한 수단을 추구하는 것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117]
카마(산스크리트어: काम)는 욕망, 소망, 열정, 동경, 그리고 감각적 쾌락, 삶의 심미적 향유, 애정과 사랑을 의미하며, 성적 의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118][119]
현대 인도 문학에서는 카마가 종종 성적 욕망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고대 인도 문학에서는 카마의 의미가 훨씬 넓어 예술로부터 얻는 즐거움과 같은 모든 종류의 즐거움과 쾌락을 포함한다. 고대 인도 서사시인 마하바라타는 카마를 다섯 가지 감각 중 하나 이상이 그 감각과 관련된 어떤 것과 상호 작용하여 생성되는 모든 유쾌하고 바람직한 경험으로 묘사하며, 이는 다른 인생의 목표(다르마, 아르타, 목샤)와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힌두교에서 카마는 다르마, 아르타, 목샤를 희생하지 않고 추구할 때 인생의 필수적이고 건전한 목표로 여겨진다.[121]
목샤() 또는 묵티()는 힌두교에서 궁극적이고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목샤는 슬픔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많은 유신론적 힌두교 학파에서는 삼사라(생과 죽음의 윤회)로부터의 해방과 관련된 개념이다. 유신론적 힌두교 학파에서는 사후 이러한 종말론적 순환으로부터의 해방을 목샤라고 한다.[112]
힌두교에서는 아트만이 영원하며 푸루샤(우주적 자아 또는 우주적 의식)의 개념이 있기 때문에,[123] 죽음은 영원한 아트만이나 푸루샤에 비하면 무의미하게 여겨질 수 있다.[124]
"카르마"(Karma)는 문자 그대로 "행위", "일", 또는 "행동"으로 번역되며,[131] "인과응보의 도덕적 법칙"에 대한 베다적 이론을 가리키기도 한다.[132][133] 이 이론은 (1) 윤리적이거나 비윤리적일 수 있는 인과 관계, (2) 윤리화, 즉 선행이나 악행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것, 그리고 (3) 윤회를 결합한 것이다.[134] 카르마 이론은 개인의 현재 상황을 과거 행위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행위와 그 결과는 현재 삶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힌두교의 일부 학파에 따르면 과거 삶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134][135] 탄생, 삶, 죽음, 그리고 윤회의 이러한 순환은 "삼사라"라고 불린다. 묵샤(moksha)를 통한 삼사라로부터의 해탈은 지속적인 행복과 평화를 보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힌두교 경전은 미래가 자유 의지에서 비롯된 현재의 인간 노력과 상황을 설정하는 과거의 인간 행위의 함수임을 가르친다.[137] 윤회 또는 삼사라의 개념은 『리그베다』와 같은 초기 힌두교 경전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138][139] 윤회와 카르마의 개념은 후기 베다 시대의 우파니샤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붓다와 마하비라 이전의 것이다.[144]
힌두교는 다양한 사상 체계로, 신에 대한 개념 또한 복잡하며 개인, 전통, 철학에 따라 다릅니다.
리그베다의 ''나사디야 숙타''(창조 찬가)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중 하나이며, 우주를 창조한 것, 신(들)의 개념, 그리고 하나됨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색을 보여준다. 리그베다는 다양한 신들을 찬양하지만, 일신교적인 방식으로 어느 것도 우월하거나 열등하지 않습니다.[150] 찬가들은 반복적으로 하나의 진리와 하나의 궁극적인 실재를 언급한다.
힌두교 신자들은 모든 생명체가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각 사람의 진정한 "자아"는 ''아트만''이라고 불립니다. 자아는 영원하다고 믿어진다. 힌두교의 일원론/범신론적(비이원론적) 신학(예: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파)에 따르면, 이 아트만은 최고의 영 또는 궁극적 실재인 브라만과 구별되지 않습니다.[152] 아드바이타 학파에 따르면, 삶의 목표는 자신의 자아가 최고의 자아와 동일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즉, 최고의 자아는 모든 것과 모든 사람에게 존재하며, 모든 생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모든 생명에는 하나됨이 있다는 것이다. 이원론적 학파(드바이타 및 바크티)는 브라만을 아트만과 구별되는 최고 존재로 이해한다.[155] 그들은 종파에 따라 비슈누, 브라마, 시바 또는 샤크티로 다양하게 최고 존재를 숭배합니다. 신은 ''이슈바라'', ''바가반'', ''파라메슈와라'', ''데바'' 또는 ''데비''라고 불리며, 이러한 용어들은 힌두교의 여러 학파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힌두교 경전은 다신론적 틀을 받아들이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생명력과 활기를 무생물 자연 물질에 부여하는 신성한 본질 또는 광채로 개념화됩니다.[158] 모든 것, 즉 인간, 동물, 나무, 강에 신성함이 있습니다. 강, 나무, 일의 도구, 동물과 새, 떠오르는 태양, 친구와 손님, 선생님과 부모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158][156][157] 그 자체로 신성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것들 안에 있는 신성함이 각각을 신성하고 존경할 만하게 만듭니다.
힌두교 경전은 ''데바''(또는 여성형인 ''데비'')라고 불리는 천상의 존재들을 언급하는데, 이는 영어로 ''gods'' 또는 ''heavenly beings''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데바는 힌두교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예술, 건축 및 조각을 통해 묘사되며, 그에 대한 이야기는 특히 인도 서사시와 푸라나에서 경전에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종종 개인적인 신인 이슈바라와 구별되며, 많은 힌두교 신자들은 특정한 모습으로 이슈바라를 그들의 ''이슈타 데바타'', 즉 선택된 이상으로 숭배합니다. 선택은 개인의 취향[161]과 지역 및 가족 전통의 문제입니다. 데바의 다수는 브라만의 현현으로 간주됩니다.[163]
''아바타''라는 단어는 베다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베다 이후 문헌에서 동사 형태로, 그리고 특히 6세기 이후 푸라나 문헌에서 명사로 나타납니다.[165] 신학적으로 환생의 개념은 가장 흔히 힌두 신 비슈누의 ''아바타''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신들에게도 적용되었습니다.[166] 가루다 푸라나의 10가지 다샤바타라와 바가바타 푸라나의 22가지 아바타를 포함하여 힌두교 경전에는 비슈누의 아바타 목록이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후자는 비슈누의 화신이 무수히 많다고 덧붙입니다. 비슈누의 아바타는 바이슈나바 신학에서 중요합니다. 여신 기반의 샤크티즘 전통에서는 데비의 아바타가 발견되며 모든 여신은 동일한 형이상학적 브라만[167]과 샤크티 ''(에너지)''의 다른 측면으로 간주됩니다.[168][169]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이유로 힌두교의 여러 학파에서 유신론적 및 무신론적 사상이 모두 풍부합니다. 예를 들어 초기 냐야 힌두교 학파는 무신론자/불가지론자였지만,[171] 후대 냐야 학파 학자들은 신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논리 이론을 사용하여 증거를 제시했습니다.[172][173] 다른 학파들은 냐야 학자들과 의견이 달랐습니다. 상크야,[174] 미맘사[175] 및 찰바카 힌두교 학파는 무신론자/불가지론자였으며, "신은 불필요한 형이상학적 가정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요가 힌두교 학파는 "개인적인 신"의 개념을 받아들였고 힌두교 신자에게 자신의 신을 정의하도록 남겨 두었습니다.[180]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신이나 신격을 위한 공간이 없는 일원론적이고 추상적인 자아와 모든 것의 하나됨을 가르쳤다. 베단타의 바크티 하위 학파는 각 인간과 구별되는 창조주 신을 가르쳤습니다.[155]
힌두교에서 신은 종종 여성적이고 남성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신성한 존재에서 여성적인 개념은 훨씬 더 두드러지며 시바와 파르바티(아르다나리슈바라), 락슈미와 함께하는 비슈누, 라다와 크리슈나, 시타와 라마의 짝짓기에서 분명하게 나타납니다.[182]
6. 2. 우주론
힌두교에 따르면 우주는 생성, 발전, 소멸을 반복한다. 브라흐마 신이 우주를 생성하고 비슈누 신이 우주를 유지하며, 시바 신이 우주를 소멸시킨다.[24][25][26] 마치 계절이 바뀌듯 우주의 시간도 바뀌어 결국에는 낡은 우주가 소멸되고 새로운 우주가 만들어진다.6. 3. 윤회
윤회(संसार|samsārasa)는 돌아간다는 뜻으로, 흔히 수레바퀴로 상징된다. 수레바퀴가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가듯 인간 역시 이번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힌두교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우주 안에서 끊임없이 태어나고 죽기를 반복하며 윤회한다고 믿는다. 다음 생에는 짐승이나 천신으로 태어날 수도 있다. 이처럼 수없이 많은 윤회의 과정에서, 사람은 한 인생을 살면서 쌓은 업(कर्म|karmasa)에 의해 다음 생애가 결정된다. 다르마에 따른 삶을 살면 다음 생에 더 고귀한 존재로 태어나고, 다르마에 어긋나는 삶을 살면 다음 생에 비천한 존재로 태어난다.
6. 4. 브라흐만
Brahmansa은 우주의 진리 또는 우주 자체를 가리킨다. 힌두교의 최상위 목표는 '참된 나'인 아트만이 '우주의 진리'인 브라흐만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카스트 제도의 가장 상위 계층을 브라만이라고 칭한 것은 이들이 스스로 브라흐만을 구하는 것이 자신들의 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42]6. 5. 신

힌두교는 다신교로, 브라만교로부터 경전과 카스트 제도를 계승하고 토착 신들과 숭배 양식을 흡수하면서 점차 형성되었다.
근세의 교리로 불리는 삼신일체(Trimurti)에서는 중심이 되는 3대 신, 즉
- '''브라마(Brahma)''':우주와 세계에 실존과 실재의 장을 주는 신
- '''비슈누(Vishnu)''':우주와 세계의 유지, 평안을 관장하는 신
- '''시바(Shiva)''':우주와 세계를 창조하고, 그 수명이 다했을 때 파괴와 멸망을 관장하는 신
은 하나를 이룬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는 브라마 신을 믿는 사람이 줄어들고, 비슈누 신과 시바 신이 이원신으로 나란히 불리며 많은 신자를 가지고 있다. 비슈누 신을 믿는 비슈누파는 '''비슈누교''', 시바 신을 믿는 시바파는 '''시바교'''라고도 불리며, 시바교는 일신교이다.[351] 힌두교는 다신교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이것은 표면적인 견해이며, 깊은 신앙(박티(Bhakti))이 존재하는 장면에서는 신자는 일신교적 신앙을 가지고 있다.
3대 신(트리무르티)는 각각 신비(신의 배우자)를 가지고 있으며, 부부 모두 다양한 화신을 지닌다.
- 비슈누 신(Viṣṇu): 세계 유지의 신, 자애의 신으로, 비루자나(毘盧遮那), 루자나(盧遮那)라고도 불린다. 가루다(Garuḍa)라는 새를 타고 다닌다. 10대 화신(다사바타라)이라고 불리는 많은 분신을 가지고 있지만, 각 분신은 비슈누 신으로서의 자아를 가지고 있지 않고, 각자 독립된 자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석가모니는 석가모니이면서 동시에 석가모니가 아닌, 비슈누 신이기도 하다. 10대 권현(十代権現)이라는 개념이 더 이해하기 쉽다.
- 라마(Rāma): 비슈누 신의 화신. 서사시 『라마야나(Rāmāyaṇa)』에서 큰 활약을 한다.
- 크리슈나(Kṛṣṇa): 비슈누 신의 화신. 서사시 『마하바라타(Mahābhārata)』의 영웅이며, 민간에서 인기 있는 신이다.
- 석가(Śākya):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는 힌두교에서는 비슈누 신의 아홉 번째 화신으로 여겨진다.
- 락슈미(Lakṣmī): 비슈누 신의 신비, 부와 행운의 여신. 대승불교(북전불교)에서는 길상천(吉祥天)이다.
- 시바 신(Śiva): 창조와 파괴의 신으로, 탈것으로 황소 난딘(Nandi)을 타며, 호랑이 가죽을 걸치고 목에는 코브라를 감고 있다. 흔히 결가부좌(結跏趺坐)하여 명상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북전불교에서는 대자재천(大自在天)(항삼세명왕에게 항복하여 불교로 개종했다고 여겨짐)이다.
- 마하카라(Mahākāla): 시바 신의 화신. 티베트 불교 등 불교에서도 숭배된다. 북전불교에서는 대흑천(大黒天)이다.
- 파르바티(Pārvatī): 시바 신의 신비로, 히말라야 신의 딸이다. 온화하고 마음씨가 착하다.
- 두르가(Durgā): 파르바티의 화신 중 하나로 아름다운 전쟁의 여신. 호랑이를 타고 수소로 변신한 악마를 물리치는 아름다운 신상으로 유명하다.
- 칼리(Kālī): 파르바티의 화신 중 하나로 난폭한 살육의 신. 흔히 많은 목을 머리와 허리에 두르고 살육에 미쳐 날뛰는 사나운 신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콜카타(칼카타) 지명은 칼리에서 유래했다.
- 브라흐마 신(Brahmā): 형이상학적 그리고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실존적 인연을 주는 신으로, 신이든 사람이든 실존한다면 브라흐마의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신학적 철학의 근원이다. 의인화되어 백조(Hamsa)를 탄 노인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북전불교에서는 범천(梵天)이다. 신의진언종에서는 대일여래(大日如来)이다. 석가모니도 자주 언급했다고 한다.
- 사라스바티(Sarasvatī): 브라흐마 신의 신비로, 북전불교에서는 변재천(弁才天)이다.
3대 신은 신자 개인의 신앙에서는 동등하게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바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사람에게는 "비슈누 신"은 하위 신이지만 경배해야 할 신이다. 또한 신화 속에서 3대 신의 화신과 함께 활약하는 신이나 3대 신의 자식 신도 숭배되고 있다.
- 가네샤(Gaṇeśa): 시바 신의 아들로 코끼리 머리를 가진 신, 쥐를 탄다. 부와 번영, 지혜와 학문을 관장한다. 북전불교에서는 환희천(歓喜天)(성천(聖天))이다.
- 하누만(Hanūmān): 원숭이 모습의 신으로,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라마 왕자를 도와 활약한다. 몸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 손오공(孫悟空)의 원형이 되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 인드라(Indra): 천둥의 신, 하늘의 신. 『리그베다(Ṛgveda)』의 중심적인 신으로, 고대 브라만교 시대에는 활발하게 숭배되었다. 북전불교에서는 제석천(帝釋天)이다.
- 카마(Kāma) (카마데바(Kāmadeva)): 연애, 성애, 화합을 관장하는 신.
6. 6. 아트만
아트만(आत्मञ्,Atmansa)은 '나'를 말한다. 힌두교에서 ''생명''은 ''숨''과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아트만의 원래 뜻은 숨쉰다는 뜻이다. 한국에서 생명을 목숨으로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끊임없이 윤회하는 삶에서 지금의 나는 '참된 나'가 아니다. 지금의 나는 과거의 윤회를 거치는 동안 내가 쌓은 카르마(업, Karmasa)에 의한 것이다. '참된 나'는 윤회의 과정에서 계속하여 존재하여 없어지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는 '나라는 생명의 본질'을 뜻한다.6. 7. 카르마
Karmasa는 '업'(業)으로 한역(漢譯)된다. 살아가면서 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업에는 Dharmasa에 맞는 업과 다르마를 거스르는 업이 있다. '선업'(善業)은 다르마에 맞는 업을 쌓는 것을 의미하며, 선업을 쌓으면 다음 윤회에 보다 존귀한 존재가 된다. 다르마를 거스르는 '악업'(惡業)을 쌓으면 다음 윤회에 보다 미천한 존재가 된다.[32]"카르마"(Karma)는 문자 그대로 "행위", "일" 또는 "행동"으로 번역되며,[131] "인과응보의 도덕적 법칙"에 대한 베다적 이론을 가리키기도 한다.[132][133] 이 이론은 (1) 윤리적이거나 비윤리적일 수 있는 인과 관계, (2) 윤리화, 즉 선행이나 악행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것, 그리고 (3) 윤회를 결합한 것이다.[134] 카르마 이론은 개인의 현재 상황을 과거 행위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행위와 그 결과는 현재 삶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힌두교의 일부 학파에 따르면 과거 삶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134][135]
6. 8. 다르마
다르마(धर्म, Dharma)는 힌두교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여겨지며, 우주의 영원한 법칙이자 모든 생명이 따라야 할 본질이다.[109] 다르마 개념에는 르타(ṛta, 삶과 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질서)에 부합하는 행동이 포함되며, 의무, 권리, 법, 행위, 미덕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110][111] 힌두교 다르마에는 각 개인의 종교적 의무, 도덕적 권리와 의무뿐만 아니라 사회 질서, 올바른 행동 및 미덕 있는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행동이 포함된다.[111]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는 다르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마하바라타에서 크리슈나는 다르마를 현세와 내세의 일을 모두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Mbh 12.110.11)
바르나라고 불리는 카스트 제도에 따라 각 신분에는 고유한 다르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브라만은 의식을 집행하고, 크샤트리아는 왕이나 귀족으로서 무력과 정치력을 행사하며, 바이샤는 상업, 농업 등에 종사하고, 슈드라는 노동에 종사한다.[360][361]
6. 9. 모크샤
목샤(मोक्ष|mokṣasa) 또는 묵티(मुक्ति|muktisa)는 힌두교에서 궁극적이고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목샤는 슬픔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많은 유신론적 힌두교 학파에서는 삼사라(생과 죽음의 윤회)로부터의 해방과 관련된 개념이다. 유신론적 힌두교 학파에서는 사후 이러한 종말론적 순환으로부터의 해방을 목샤라고 한다.[112][122]힌두교에서는 아트만이 영원하며 푸루샤(우주적 자아 또는 우주적 의식)의 개념이 있기 때문에,[123] 죽음은 영원한 아트만이나 푸루샤에 비하면 무의미하게 여겨질 수 있다.[124]
7. 윤리
힌두교의 윤리에서 소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힌두교인들은 소고기를 먹지 않는데, 이는 절대인격신 바가반 크리슈나가 소를 사랑하고 돌보는 목동이었기 때문이다. 크리슈나는 바가바드 기타 9장 28절에서 "나에게 꽃과 잎 한 송이, 물 혹은 우유를 바치면 난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겠다"고 말하며 유제품을 사랑했음을 보여준다.
베다에 따르면, 선한 삶을 산 사람은 다음 생에 더 높은 단계의 존재로 태어나고, 악한 삶을 산 사람은 더 낮은 단계로 떨어진다. 인간은 가장 높은 단계의 생물이며, 악마와 같은 사악한 존재는 가장 낮은 단계이다. 악마에서 인간이 되기까지는 86번의 환생을 거쳐야 하는데, 인간 바로 전 단계의 생물이 소이다. 또한 소 한 마리에는 3억 명 이상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어, 소를 죽이거나 먹는 행위는 신성모독으로 간주되어 다음 생에 벌을 받게 된다.[416]
이러한 믿음 때문에 소는 신성한 가축으로 여겨지며, 아힘사(비폭력)는 사나타나 다르마의 기본 윤리로서 동물을 살생하지 않는 중요한 원칙이다.
힌두 사회에서 소는 숭배 대상이다. 힌두교도이자 인도 사상 연구가인 크시티모한 센은 대중 힌두교에서 소 숭배의 기원을 알 수 없다고 말한다.[363] 시바 신의 탈것(바하나)인 난딘 황소처럼 신화에도 소가 자주 등장한다. 현실에서 황소는 이동, 운반, 농경에 사용되고, 암소는 우유를 제공하며, 말린 소똥은 귀중한 연료(소똥 케이크)가 된다. 단, 신성시되는 것은 주로 혹소(Zebu)이며, 물소는 숭배 대상이 아니다.[363]
힌두 신학에서 소의 신성은 윤회와 연결된다. 힌두교의 윤회 사상은 87단계의 계단 구조로, 최상단인 인간으로 윤회하기 바로 전 단계가 소이다. 소를 죽인 자는 윤회의 계단 최하단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364] 힌두 신학자들은 소에 3억 3천만의 신들이 깃들어 있으며, 소를 섬기고 기도하면 21대에 걸쳐 열반을 얻는다고 믿는다.
소에 대한 대중의 숭배는 세포이 항쟁의 계기가 되었다고도 하며, 마하트마 간디가 소에 대한 귀의를 언급한 것은 그가 대중에게 성인과 같은 명성을 얻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7. 1. 개요
"힌두교"는 때로는 상반되고 경쟁적인 다양한 전통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12] 18세기에 서구 민족지학에서 만들어진 "힌두교"라는 용어는,[16] 다양한 인도 문화와 전통의 융합[17] 또는 종합을 가리킨다. 힌두교는 다양한 근원을 가지고 있으며 창시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힌두교 종합은 베다 시대 이후, 기원전 500년~200년경과 기원후 300년경 사이, 제2차 도시화 시대와 힌두교의 초기 고전 시대에 서사시와 최초의 푸라나가 편찬되면서 등장했다. 중세 시대에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면서 번성했다. 힌두교의 신앙과 전통의 다양성 때문에 전통적인 서구적 관점에서 종교로 정의하기 어렵다.힌두교는 영성과 전통에 대한 다양한 사상을 포함한다. 힌두교 신자는 다신교적, 범신론적, 유신론적, 범신론적, 일신론적, 일원론적, 불가지론적, 무신론적 또는 인본주의적일 수 있다.[18][19] 마하트마 간디에 따르면, "신을 믿지 않는 사람도 스스로를 힌두교 신자라고 부를 수 있다." [20] 웬디 도니거에 따르면, "신앙과 삶의 방식에 대한 모든 주요 문제 – 채식주의, 비폭력, 윤회 사상, 심지어 카스트 – 는 논쟁의 대상이지 교리가 아니다."
힌두교라는 용어가 포괄하는 광범위한 전통과 사상으로 인해 포괄적인 정의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 종교는 "우리가 그것을 정의하고 분류하려는 욕구를 거부한다". 힌두교는 종교, 종교적 전통, 일련의 종교적 신념, 그리고 "삶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서구적 어휘론적 관점에서 힌두교는 다른 신앙과 마찬가지로 종교로 적절하게 언급된다. 인도에서는 "(힌두)다르마"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서구의 "종교"라는 용어보다 폭이 넓으며, 종교적 태도와 행동, 즉 "올바른 삶의 방식"을 가리키며, 집합적으로 "힌두교"라고 불리는 다양한 전통에 보존되고 전해져 내려온다.
인도와 그 문화 및 종교에 대한 연구와 "힌두교"의 정의는 식민주의의 영향과 서구의 종교관에 의해 형성되었다.
7. 2. 소고기
힌두교인들은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절대인격신 바가반 크리슈나가 소를 돌보는 목동이었고 소를 아주 사랑했기 때문이다. 크리슈나는 유제품을 사랑했으며 "나에게 꽃과 잎 한 송이, 물 혹은 우유를 바치면 난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라고 바가바드 기타 9장 28절에 기록되어 있다.베다에 따르면, 선한 생을 산 사람은 다음 생에 보다 윗 단계의 존재로 태어나고, 악한 생을 산 사람들은 다음 생에 그보다 아랫단계의 존재로 떨어진다. 가장 낮은 단계의 생물은 악마와 같은 사악한 일을 하는 존재이며 가장 높은 단계의 생물은 인간이다. 악마에서 인간이 되기까지는 86번의 환생을 거쳐야만 하며, 이 과정에서 인간의 바로 전 단계의 생물을 소로 보고 있다. 거기에 한 마리의 소 안에 3억 명 이상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고 있는데, 소를 죽이거나 먹은 사람은 신성모독 취급을 받아 다음 생에 무조건 벌을 받게 된다.[416]
따라서 소는 신성한 가축으로 여겨지며, 아힘사 즉 비폭력은 사나타나 다르마의 기본 윤리이기에 절대 동물을 살생하지 않는다.
힌두 사회에서 소는 숭배의 대상이다. 힌두교도이자 인도 사상 연구가인 크시티모한 센은 대중 힌두교에서 소의 신성시 기원은 전혀 알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363] 신화에서도 소는 자주 등장하는데, 예를 들어 시바 신의 탈것(바하나)은 난딘이라는 황소이다. 현실 사회에서도 황소는 이동, 운반, 농경에 사용되고, 암소는 우유를 제공하며, 말린 소똥은 귀중한 연료(소똥 케이크)가 된다. 단, 신성시되는 것은 주로 혹소(Zebu)이며, 물소는 숭배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363]
힌두 신학에서는 소의 신성은 윤회와 연결되어 있다. 힌두교의 윤회 사상은 상하 87단의 계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최상단에 있는 인간으로 윤회하기 바로 전 단계가 소이며, 소를 죽인 자는 윤회의 계단 최하단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364] 또한, 힌두 신학자들은 소에는 3억 3천만의 신들이 깃들어 있다고 하며, 소를 섬기고 소에게 기도하는 것은 그 후 21대에 걸쳐 열반을 가져온다고 한다.
대중의 소에 대한 숭배는 세포이 항쟁의 계기가 되었다는 말도 있으며, 마하트마 간디가 소에 대한 귀의심을 언급한 것도 그가 대중으로부터 성인과 같은 명성을 얻는 이유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참조
[1]
사전
Hinduism
Merriam-Webster
2021-04-19
[2]
웹사이트
Hindu Countries 2023
https://worldpopulat[...]
2023-12-31
[3]
서적
The Hindu Diaspora: Comparative Patter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18
[4]
웹사이트
Hindus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5-02-14
[5]
웹사이트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in Numbers (2010)
http://features.pewf[...]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5-02-14
[6]
서적
Chapter 9
[7]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9]
서적
[10]
학술지
The Word 'Hindu' in Gauḍīya Vaiṣṇava Texts
[11]
웹사이트
A short note on the short history of Hinduism
https://scroll.in/ar[...]
2016-01-10
[12]
서적
Mapping Hinduism: 'Hinduism' and the Study of Indian Religions, 1600–1776
Otto Harrassowitz Verlag
[13]
서적
The New Blackwell Companion to the Sociology of Religion
John Wiley & Sons
[14]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Abc-Clio
[15]
웹사이트
Short note on the short history of Hinduism
https://scroll.in/ar[...]
[16]
어원사전
Hinduism
etymonline
[17]
서적
[18]
서적
[19]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Violence, Peace and Conflict
Academic Press
[20]
웹사이트
The Essence of Hinduism
http://www.mkgandhi.[...]
Navajivan Publishing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RAMAISM
https://www.merriam-[...]
2020-10-28
[22]
서적
Imagining India
Indiana University Press
[23]
서적
Hinduism Reconsidered
Manohar
[24]
문서
Valmiki Ramayana, Ayodhya kanda, sarga 6, sloka 1, 2 and 3
[25]
뉴스
Srirangam temple rich with elaborate details
https://www.thehindu[...]
2014-04-03
[26]
웹사이트
Was Ram born in Ayodhya?
https://mumbaimirror[...]
[27]
서적
Archaeology and world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서적
[29]
학술지
Dharma in Hinduism
[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aribbean Religions: Volume 1: A – L; Volume 2: M – Z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8-07-25
[31]
백과사전
Sanatana dharma Hinduism
https://www.britanni[...]
2016-11-17
[32]
웹사이트
Sanskrit English Dictionary
http://sanskritdicti[...]
2018-07-24
[33]
학술지
Did the Hindus have a name for their own religion?
https://josa-publica[...]
2021-03-17
[34]
서적
The Bhāgavata Purāṇa, sacred text and living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Tolerance, Exclusivity, Inclusivity, and Persecution in Indian Religion During the Early Mediaeval Period – Part One
http://www.sutrajour[...]
2016-03
[36]
웹사이트
Tolerance, Exclusivity, Inclusivity, and Persecution in Indian Religion During the Early Mediaeval Period – Part Two
http://www.sutrajour[...]
2018-03-13
[37]
웹사이트
Tolerance, Exclusivity, Inclusivity, and Persecution in Indian Religion During the Early Mediaeval Period – Part Three
http://www.sutrajour[...]
2018-03-13
[38]
서적
Sacred Texts and Authority
Wipf and Stock Publishers
[39]
서적
Supreme Court On Hindu Law
[40]
서적
Compassion in the 4 Dharmic Traditions
[41]
서적
Religions in Global Society
[42]
웹사이트
Hinduism
https://www.history.[...]
2019-09-30
[43]
웹사이트
Basics of Hinduism
https://www.himalaya[...]
Kauai's Hindu Monastery
2020-04-23
[44]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part 1)
[45]
서적
Indian Philosophy in Modern Times
Atlantic Publishers & Dist.
[46]
백과사전
2020-12-29
[47]
웹사이트
Is Hinduism monotheistic?
https://ochs.org.uk/[...]
2020-04-23
[48]
논문
[49]
학술지
Atheism and Rationalism in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22
[50]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eligion and Politics
Routledge
[5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eligions in Asia
Routledge
[52]
논문
[53]
서적
The Supreme Wisdom of the Upaniṣads: An Introduction, Motilal Banarsidass
Motilal Banarsidass Publ.
[54]
서적
Scripture, Canon and Commentar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Early Upanisads
Oxford University Press
[56]
논문
[57]
서적
World Religions
Penguin
[58]
서적
Self as Body in Asian Theory and Prac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9]
웹사이트
Complete-Works/Volume 5/Epistles - First Series
https://www.ramakris[...]
2024-01-27
[60]
논문
[61]
서적
Hinduism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2015-02-19
[62]
서적
The Saffron Wave: Democracy and Hindu Nationalism in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3-02
[63]
학술지
'Neo-Hindutva': evolving forms, spaces, and expressions of Hindu nationalism
2018-10-02
[64]
학술지
Marketizing Hindutva: The state, society, and markets in Hindu nationalism
https://www.cambridg[...]
2021-03-02
[65]
웹사이트
As Nepal Strives to Become More Inclusive, Are Muslims Being Left Behind?
https://www.worldpol[...]
2018-01-30
[66]
학술지
ISKCON and Immigrants: The Rise, Decline, and Rise Again of a New Religious Movement
2008-01-01
[67]
웹사이트
How ISKCON took Hinduism to the US heartland
https://scroll.in/ar[...]
2015-01-17
[68]
웹사이트
Hinduism in Europe
https://www.erg.su.s[...]
2021-04-09
[69]
서적
Bhakti – the Yoga of Love
LIT Verlag Münster
[70]
웹사이트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Hindu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71]
harvard
[72]
서적
Th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South Asia: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2-21
[73]
harvard
[74]
harvard
[75]
서적
God's Gateway: Identity and Meaning in a Hindu Pilgrimage Place
Oxford University Press
[76]
학술지
The Tantra and the Spirit of the West
[77]
문서
History: The Indian Religion of the Goddess Shakti & Modern practices: Goddesses in World Culture
[78]
서적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tanford.libr[...]
Stanford University
2015-06-17
[79]
서적
Samskar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0]
서적
Transcendent in America: Hindu-inspired Meditation Movements as New Relig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81]
서적
Status and Sacrednes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2]
백과사전
The spread of Hinduism in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https://www.britanni[...]
2021-06-19
[83]
뉴스
Tattooed 'blue-skinned' Hindu Pushtuns look back at their roots
http://www.thehindu.[...]
2018-02-03
[84]
뉴스
Ghana's unique African-Hindu temple
http://news.bbc.co.u[...]
[85]
문서
Rigveda
[86]
웹사이트
http://www.vedagyana[...]
[87]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Vedic Literature: (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89]
harvard
[90]
서적
Upaniṣads
Oxford University Press
[91]
서적
Self as Body in Asian Theory and Prac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92]
harvard
[93]
서적
The Principal Upanishads
https://archive.org/[...]
George Allen & Co.
[94]
서적
Thirteen Principal Upanisha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Bhagavad-gītā
2020-12-29
[96]
학술지
"Scripture" in India: Towards a Typology of the Word in Hindu Life
1984-09
[97]
서적
A History of Modern Yoga: Patanjali and Western Esotericism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7-10-14
[98]
서적
The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Commercial, Industrial and Scientific, Products of the Mineral, Vegetable, and Animal Kingdoms, Useful Arts and Manufactures
https://books.google[...]
B. Quaritch
2023-07-03
[99]
서적
Hindu Spirituality
Gregorian University and Biblical Press
[100]
서적
The Dance of Siva: Religion, Art and Poetry in South Ind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학술지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102]
서적
Bharatiya Vidya Bhavan
Bharatiya Vidya Bhavan
[103]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9-15
[104]
서적
Circulation of Fire in the Ved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05]
서적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OUP USA
2022-09-15
[106]
논문
Feeding the ancestors: ancestor worship in ancient Hinduism and Buddhism
https://repositories[...]
2022-09-15
[107]
학술지
The Śrāddha : The Development of Ancestor Worship in Classical Hinduism: The Śrāddha
https://onlinelibrar[...]
2022-09-29
[108]
문서
Bilimoria, Prabhu, Sharma (2007); Koller (1968)
[109]
서적
The Fruits of Our Desiring
Bayeux
[110]
웹사이트
Dharma
http://www.encyclope[...]
2016-09-26
[111]
서적
The Columbia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12]
학술지
Dharma and Moksa
1957-04-00
[113]
서적
The Mukhya Upanishads: Books of Hidden Wisdom
Kshetra
[114]
학술지
From Creation Myth to World Law: The early history of Dharma
[115]
서적
Bhagavad-gītā as it is
https://books.google[...]
The Bhaktivedanta Book Trust
2020-12-29
[1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117]
학술지
Puruṣārtha as Human Aims
[118]
학술지
The Dialectics of Desire
[119]
서적
Monier-Williams Sanskrit English Dictionary
http://www.ibiblio.o[...]
2017-10-19
[120]
서적
History of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in Indian Civilization
[121]
문서
The Hindu Kama Shastra Society (1925),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A. Sharma (1982), The Puruṣārthas; A. Sharma (1999), The Puruṣārthas; Chris Bartley (2001),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122]
서적
The concepts of human action and rebirth in the Mahabharat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3]
서적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 Regional survey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2-29
[124]
서적
Hindu spirituality – Volume 25 of Documenta missionalia
https://books.google[...]
Editrice Pontificia Università Gregoriana
2020-12-29
[125]
학술지
Dharma and Mokṣa from a Conversational Point of View
1958-00-00
[126]
학술지
Dharma and Moksha
https://cup.columbia[...]
1957-00-00
[127]
서적
Karma, Dharma and Moksha: Conceptual Essays on Indian Ethics
https://books.google[...]
Abhijeet Publications
2021-06-02
[128]
서적
Philosophy East & W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Hawaii
2021-06-02
[129]
학술지
Imitation or Identification?
[130]
서적
Jivanmukti in Transformation: Embodied Liberation in Advaita and Neo-Vedant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21-06-02
[131]
서적
The Student's English-Sanskrit Dictionary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
[132]
서적
The World's Religions: Our Great Wisdom Traditions
https://archive.org/[...]
Harper
[133]
학술지
The Naturalistic Principle of Karma
[134]
서적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5]
서적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6]
서적
Jnana Yoga
Kessinger Publishing
[137]
서적
Karma and Creativi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21-06-02
[138]
학술지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139]
서적
Bharatiya Vidya Bhavan
Bharatiya Vidya Bhavan
[140]
서적
A Constructive Survey of Upanishadic Philosophy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141]
서적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15
[142]
논문
Feeding the ancestors: ancestor worship in ancient Hinduism and Buddhism
https://repositories[...]
University of Texas
2022-09-15
[143]
학술지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academic.oup[...]
2022-09-15
[144]
서적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15
[145]
서적
Hinduism, a way of lif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20-12-29
[146]
백과사전
Polytheism
https://www.britanni[...]
2007-07-05
[147]
웹사이트
Henotheism
http://ancienthistor[...]
About, Inc
2007-07-05
[148]
문서
harvnb 참조
[149]
웹사이트
Rigveda 10.129
https://sa.wikisourc[...]
[150]
서적
Hindu Mythology: Vedic and Purānic
https://books.google[...]
London Missionary Society
2020-10-19
[151]
학술지
The Limits of Scripture: Vivekananda's Reinterpretation of the Vedas
http://eprints.uni-m[...]
[152]
문서
harvnb 참조
[153]
서적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Routledge
[154]
서적
Living liberation in Shankara and classical Advait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5]
서적
A Historical-developmental Study of Classical Indian Philosophy of Morals
Concept Publishing
[156]
서적
The Experience of Hinduism: Essays on Religion in Maharashtra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7]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58]
서적
Nature and Identity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6-30
[159]
서적
Noticing the Divine: An Introduction to Interfaith Spiritual Guidance
https://books.google[...]
New York: Morehouse
2017-06-30
[160]
서적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https://books.google[...]
Cengage
2017-06-30
[161]
문서
harvnb 참조
[162]
서적
Religion and Rajput Women: The Ethic of Protection in Contemporary Narrativ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07-05
[163]
문서
harvnb 참조
[164]
서적
Incarnation in Hinduism and Christianity: The Myth of the God-Ma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7-06-28
[165]
서적
Zur Entwicklung der Avataralehre
Otto Harrassowitz
[166]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Thomson Gale
[167]
서적
Offering Flowers, Feeding Skulls: Popular Goddess Worship in West Bengal: Popular Goddess Worship in West Beng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68]
서적
The life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12-29
[169]
서적
Tantric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The Ten Mahāvidyā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7-06-28
[170]
문서
harvnb 참조
[171]
서적
Religions, Reasons and Gods: Essays in Cross-cultural Philosophy of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2]
서적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173]
학술지
Karma, causation, and divine intervention
http://ccbs.ntu.edu.[...]
2009-12-29
[174]
서적
The six systems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2015-07-02
[175]
문서
harvnb 참조
[176]
문서
Sāṁkhyapravacana Sūtra I.92
https://archive.org/[...]
[177]
서적
Religious trut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5-07-02
[178]
서적
Indian philosophy: Nyāya-Vaiśeṣika and modern science
Sterling
[179]
서적
The sociology of philosophie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80]
서적
Classical Samkhya and Yoga – An Indian Metaphysics of Experience
Routledge
[180]
서적
Person Purity and Power in Yogasutra, in Theory and Practice of Yoga
Motilal Banarsidass
[180]
서적
Yoga: Its Scientific Basis
Dover
[181]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Yoga: 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Motilal Banarsidass
[182]
학술지
Teaching Hinduism: Some Key Ideas
1984-06-01
[183]
서적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https://archive.org/[...]
Continuum
[184]
서적
Hindu Traditions
https://archive.org/[...]
[185]
학술지
Marriag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186]
웹사이트
Hindu Marriage Act, 1955
http://www.sudhirlaw[...]
2007-06-25
[187]
서적
Philosophy of Hindu Sādhanā
[188]
서적
Hindu Saṁskāras: Socio-Religious Study of the Hindu Sacraments
Motilal Banarsidass
[189]
서적
Vedic Voices: Intimate Narratives of a Living Andhra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0]
서적
History of Dharmasastras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91]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A Thematic-historical Introduc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192]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3]
학술지
Ritual, Knowledge, and Being: Initiation and Veda Study in Ancient India
[194]
서적
Th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South Asia
Routledge
[194]
서적
Hinduism and the religious arts
Bloomsbury Academic
[195]
학술지
The Vedic Sacraments
1935-03
[196]
백과사전
Bhakti
https://www.britanni[...]
2015-06-16
[197]
서적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https://archive.org/[...]
Bloomsbury
[198]
서적
(출처 불명)
[199]
서적
Fully Human Fully Divine
Partridge India
[200]
서적
Comparative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201]
서적
Meeting God: Elements of Hindu Devo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11-09
[202]
학술지
The Indian Mantra
[203]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1-10
[204]
서적
Hanuman's Tale: The Messages of a Divine Monk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2-29
[205]
서적
Ganesh, the benevolent
Marg Publications
[206]
서적
Where Are You From?: Middle-Class Migrants in the Modern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7]
서적
Hanuman's Tale: The Messages of a Divine Monk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2-29
[208]
서적
Introduction to Swaminarayan Hindu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29
[209]
백과사전
Puja
https://www.britanni[...]
2015-06-16
[210]
서적
Real Sadhus Sing to God
Oxford University Press
[211]
서적
Contemporary Hinduism: ritual, culture,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Abc-Clio
[212]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Thomson Gale
[213]
서적
No Other Gods
https://archive.org/[...]
Eerdmans Publishing
[214]
서적
The Yogi and the Devotee
Routledge
[215]
서적
Roots of Wisdom: A Tapestry of Philosophical Traditions
Cengage Learning
[216]
서적
Hindu Spirituality: Postclassical and Modern
Motilal Banarsidass
[217]
서적
Nurturing Child and Adolescent Spirituality
Rowman & Littlefield
[218]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Routledge
[219]
서적
Hindu Goddesses: Beliefs and Practices
https://archive.org/[...]
Sussex Academic Press
[220]
서적
Festival calendar of India
[221]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Routledge
[222]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Academic
[223]
서적
Anthropological Dimensions of Pilgrimage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2017-07-05
[224]
서적
Pilgrims in Hindu Holy Land: Sacred Shrines of the Indian Himalayas
https://books.google[...]
Sessions Book Trust
2017-07-05
[225]
서적
The Strides of Vishnu: Hindu Culture in Historical Perspective: Hindu Culture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10
[226]
뉴스
Biggest Gathering On Earth' Begins In India; Kumbh Mela May Draw 100 Million
https://www.npr.org/[...]
2018-04-05
[227]
학술지
Pilgrimage in the Indian Tradition
[228]
서적
Pilgrimage and Power: The Kumbh Mela in Allahabad, 1765–1954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18
[229]
서적
Goddess Durga and Sacred Female Pow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7-05
[230]
서적
Time Measurement and Calendar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1-09-18
[231]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7-10
[232]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23-06-10
[233]
서적
Sik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6-10
[234]
서적
Christian Epigraphy: An Elementary Treatise with a Collection of Ancient Christian Inscriptions Mainly of Roman Orig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5]
서적
Buddhist Festivals Through the Year
https://books.google[...]
BRB
[236]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7]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8]
웹사이트
Ekadasi: Why Ekadasi is celebrated in Hinduism?-by Dr Bharti Raizada
https://www.newsgram[...]
2017-05-22
[239]
웹사이트
Manu Smriti Laws of Manu
http://www.bergen.ed[...]
[240]
서적
[241]
서적
The Illustrated World's Religions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242]
웹사이트
The Hindu Caste System
http://www.hinduwebs[...]
[243]
웹사이트
Hinduism: Not Cast In Caste
http://www.hafsite.o[...]
Hindu American Foundation
[244]
학술지
The Logic of Affirmative Action: Caste, Class and Quotas in India
2000-07
[245]
서적
Aspects of Hindu Morality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246]
서적
Encyclopaedia of Hindu Gods and Goddesses
Sarup & Sons
[247]
문서
[248]
서적
Masks, Transformation, and Paradox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9]
서적
Rice: Origin, Antiquity and History
CRC Press
[250]
서적
Elements of Hindu iconography
Motilal Banarsidass
[251]
서적
The Development of Hindu Iconography
Kessinger
2004-09-01
[252]
학술지
Reminiscent of Hinduism: An Insight of Katas Raj Mandir
https://d1wqtxts1xzl[...]
2023-02-23
[253]
서적
Indian Philosophy, Volume 1
George Allen and Unwin Ltd.
[254]
서적
Flood
[255]
서적
The Science of Yoga
The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256]
웹사이트
The Elephant Is Jogging: New Pressures for Agricultural Reform in India
http://www.ers.usda.[...]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2004-02-01
[257]
서적
Animal Welfare and Meat Production
CABI
[258]
서적
The Oxford India companion to sociology and social anthro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59]
서적
Cultural Geography, Form and Process, Concept
Concept Publishing Company
[260]
서적
Preserving Ethnicity through Religion in America
New York University Press
[261]
학술지
The Sheltering of Unwanted Cattle, Experiences in India and Implications for Cattle Industries Elsewhere
[262]
웹사이트
India's scared cow
http://spraakdata.gu[...]
2021-07-24
[263]
웹사이트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On Scared Species
https://www.iucn.org[...]
2021-07-24
[264]
학술지
Stewards of Creation Covenant: Hinduism and the Environment
https://www.tandfonl[...]
A Journal of Caribbean Culture
2021-09-07
[265]
서적
An Introduction to Swaminarayan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6]
서적
A Concise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67]
서적
Essential Hinduism
https://archive.org/[...]
Praeger Publishers
[268]
서적
Thirty Minor Upanishads
Kessinger Publishing
[269]
서적
The Hathayogapradīpikā of Svātmārāma
https://archive.org/[...]
[270]
서적
The Kāpālikas and Kālāmukha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01-01
[271]
서적
The Bhagavad Gita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72]
서적
Outline of Hinduism
Read Books
2007-01-01
[273]
서적
The natural guide to Bali: enjoy nature, meet the people, make a difference
Equinox Publishing (Asia)
2010-08-12
[274]
서적
World Religions in Practice: A Comparat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75]
서적
The Theosophist
https://books.google[...]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2016-07-10
[276]
문서
[277]
서적
Encyclopedia of Animal Rights and Animal Welfa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0-11
[278]
문서
[279]
학술지
The Economic Function of a Medieval South Indian Temple
1960-02-01
[280]
서적
Principles of Composition in Hindu Sculpture: Cave Temple Period
Motilal Banarsidass Publ.
[281]
백과사전
Gopura
https://www.britanni[...]
2015-06-16
[282]
백과사전
Nagara
https://www.britanni[...]
2015-06-16
[283]
학술지
Forest and Cave: Temples at Candrabhāgā and Kansuān
[284]
서적
The Āśrama System: The History and Hermeneutics of a Religious Instit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5]
서적
Indian Society, Institutions and Change
Atlantic Publishers & Dist
[286]
서적
Belief, Bounty, And Beauty: Rituals Around Sacred Trees in India
Brill Academic
[287]
서적
Bridging Cultural and Developmental Approaches to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88]
서적
Spirituality and Indian Psychology
https://archive.org/[...]
Springer
[289]
서적
The Hindu World
https://archive.org/[...]
Routledge
[290]
서적
The Ashrama System: The History and Hermeneutics of a Religious I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91]
서적
Hindu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6-07-10
[292]
서적
[293]
학술지
Sankara and the Vedic Tradition
1956
[294]
서적
Blackwell's History of India
[295]
서적
Some Aspects of Muslim Administration
[296]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Muslim State in India
Aditya Prakashan
[297]
서적
The Goa Inquisition
South Asia Books
[298]
서적
Discoveries, Missionary Expansion, and Asian Culture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1994
[299]
서적
Education and Polity in Nepal: An Asian Experiment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1988
[300]
서적
New homelands: Hindu communities in Mauritius, Guyana, Trinidad, South Africa, Fiji, and East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6-04
[301]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and Casualty Statistics for Wars, Dictatorships and Genocides
http://necrometrics.[...]
2021-03-05
[302]
웹사이트
The remarkable political influence of the Indian diaspora in the US
https://www.lowyinst[...]
2021-03-17
[303]
웹사이트
UK Hindu population to be studied
https://www.hindusta[...]
2021-03-17
[304]
서적
Islamic Legal Interpretation: Muftis and Their Fatwa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05]
서적
[306]
서적
The Limits of Tolerance: Indian Secularism and the Politics of Religious Freedo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07]
서적
Modern Indian Responses to Religious Pluralism
SUNY Press
[308]
서적
Outside the Fold: Conversion, Modernity, and Belief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9]
서적
Decolonizing the Hindu Mind: Ideological Development of Hindu Revivalism
https://books.google[...]
Rupa & Company
[310]
서적
Thapa Politics in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Bhim Sen Thapa, 1806–1839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12
[31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0-08-06
[312]
웹사이트
Hindus
https://www.pewresea[...]
2012-12-18
[313]
웹사이트
By 2050, India to have world's largest populations of Hindus and Muslims
https://www.pewresea[...]
2015-04-21
[314]
웹사이트
Penduduk Menurut Wilayah dan Agama yang Dianut
https://sp2010.bps.g[...]
Statistics Indonesia
2020-07-15
[315]
웹사이트
Religious Demographics of Pakistan 2023
https://www.pbs.gov.[...]
2024-07-21
[316]
웹사이트
Vietnam
https://2001-2009.st[...]
2002-10-22
[317]
웹사이트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http://www.pewforum.[...]
2015-05-06
[318]
서적
What's Christianity All About?
Wipf and Stock Publishers
[319]
웹사이트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Population Growth Projections, 2010–2050
https://www.pewforum[...]
2015-04-02
[320]
웹사이트
Table: Religious Composition (%) by Country
http://www.pewforum.[...]
Global Religious Composition
2021-01-12
[321]
웹사이트
2011 Nepal Census Report
http://cbs.gov.np/wp[...]
[322]
웹사이트
Population of India Today
https://www.livepopu[...]
2018-08-05
[323]
웹사이트
Resident population by religion and sex
http://www.gov.mu/po[...]
Statistics Mauritius
2012-11-01
[324]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 World Religion
https://www.thearda.[...]
[32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1-05-10
[326]
웹사이트
National Profiles; World Religion
https://www.thearda.[...]
[327]
웹사이트
Bhutan
https://www.state.go[...]
[328]
웹사이트
Suriname
https://www.state.go[...]
[329]
웹사이트
Qatar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05-01
[330]
웹사이트
The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of Sri Lanka-2011
http://www.statistic[...]
2013-07-29
[331]
논문
[332]
웹사이트
SVRS 2010
http://www.bbs.gov.b[...]
Bangladesh Bureau of Statistics
2012-09-02
[333]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https://2009-2017.st[...]
[334]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1-05-10
[335]
웹사이트
Pew-Templeton: Global Religious Futures Project
https://web.archive.[...]
2021-03-18
[336]
웹사이트
Middle East OMAN
https://www.cia.gov/[...]
CIA The World Factbook
2021-09-22
[337]
웹사이트
Seychelles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2
https://www.nbs.gov.[...]
2024-03-21
[338]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1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ingstat.[...]
2011-01-12
[339]
웹사이트
Indonesia: Religious Freedoms Report 2010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21-03-04
[340]
웹사이트
Media Release – Census reveals Australia's religious diversity on World Religion Day
https://www.abs.gov.[...]
2018-01-18
[341]
웹사이트
Table 26, 2018 Census Data – Tables
https://www.stats.go[...]
2020-12-29
[342]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in Pakistan
https://www.pbs.gov.[...]
[343]
웹사이트
Chapter 1 Global Religious Populations
http://media.johnwil[...]
2012-01-01
[344]
웹사이트
Christianity 2015: Religious Diversity and Personal Contact
http://www.gordoncon[...]
2015-01-01
[345]
웹사이트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 Hinduism
https://web.archive.[...]
Pew Research Foundation
2012-12-18
[346]
웹사이트
View Dictionary
https://sanskritdict[...]
2021-11-19
[347]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48]
웹사이트
Hinduism by country
https://en.wikipedia[...]
[349]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50]
서적
インド教
白水社
[351]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52]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53]
서적
Hindus: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Routledge
[354]
서적
Encyclopedia of Violence, Peace and Conflict
Academic Press
[355]
웹사이트
The Essence of Hinduism
http://www.mkgandhi.[...]
Navajivan Publishing
[356]
서적
Hinduism: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57]
논문
[358]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59]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60]
서적
神話と芸能のインド
[361]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62]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63]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64]
서적
食と文化の謎:Good to eatの人類学
岩波書店
[365]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66]
학술지
現代ヨーガの系譜:スピリチュアリティ文化との融合に着目して
日本宗教学会
2011-03-30
[367]
서적
ヨガ・ボディ - ポーズ練習の起源
[368]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69]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70]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71]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72]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73]
학술지
ベンガル湾を渡った古典インド文明
2010
[374]
학술지
アンコール王朝史の新局面
2002
[375]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76]
서적
インドの諸宗教とヒンドゥー教
原書房
[377]
서적
インドを知る事典
[378]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79]
문서
Rigveda
[380]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Blackwell Publishing Ltd.
[381]
논문
[382]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3]
서적
Hindu Dharma:Introduction to Scriptures and Theology, Handbook of Hindu Mythology
[384]
서적
Vedic Literature:(Saṃhitās and Brāhmaṇas)
Otto Harrassowitz Verlag
[385]
서적
Shankara's Introduction to Brihad Aranyaka Upanishad
[386]
웹사이트
Swami Shivananda's mission
http://www.dlshq.org[...]
2007-06-25
[387]
논문
[388]
논문
[389]
서적
Upaniṣads
Oxford University Press
[390]
서적
Self as Body in Asian Theory and Prac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91]
서적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Hindu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2]
서적
The Early Upanisads
Oxford University Press
[393]
서적
The Principal Upanishads
George Allen & Co.
[394]
서적
Upaniṣhads
Oxford University Press
[395]
서적
Thirteen Principal Upanishads
[396]
웹사이트
Bhagavad-gītā As It Is
http://www.bhagavadg[...]
2014-03-01
[397]
서적
ヒンドゥー教-インドの聖と俗
[398]
논문
Scripture" in India:Towards a Typology of the Word in Hindu Life
[399]
서적
神話と芸能のインド
[400]
논문
[401]
논문
[402]
서적
Hindu Spirituality
Gregorian University and Biblical Press
[403]
서적
The Dance of Siva:Religion, Art and Poetry in South In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4]
서적
インド黄金街道
[405]
웹사이트
ヒンドゥー教の理解が深まる!ジョグジャカルタの世界遺産「プランバナン寺院」
http://www.excite.co[...]
[406]
서적
Sacred Celebrations
Rowman & Littlefield
[407]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Routledge
[408]
서적
Hindu Goddesses: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409]
웹사이트
勇敢な参加者
https://natgeo.nikke[...]
[410]
서적
Festival calendar of India
Encyclopedia Britannica (India)
[411]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Routledge
[412]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Academic
[413]
서적
神話と芸能のインド
[414]
웹사이트
힌두교〔서설〕
http://donation.enc.[...]
[415]
문서
의무
[416]
서적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The Sacred Cow and The Abominable Pig: Riddles of Food and Culture)
한길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1600년간 녹슬지 않는 쇠기둥 옆, 미완성 탑의 정체는…
미사일 쏜 인도군 “정의 실현”…파키스탄 총기난사 보복 천명
인도 힌두 축제 40여명 압사…“넘어진 어머니 밟고 지나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