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시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시포스는 기원전 390년경 시키온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개인 조각가로 활동했다. 그는 1,500점 이상의 작품을 제작했으며, 폴리클레이토스의 이상적인 조각상보다 더 날씬하고 머리 비율이 작은 인물들을 조각했다. 리시포스는 8등신의 인체 비례를 확립하고, '리시포스의 카논'으로 알려진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주요 작품으로는 《아포크시 오메노스》, 《파르네세 헤라클레스》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헬레니즘 시대 조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도니아 왕국의 조각가 - 레오카레스
레오카레스는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 조각가로, 마우솔레움 건설 참여, '베르사유의 다이아나', '벨베데레의 아폴로' 등의 작품과 필리포스 2세, 알렉산더 대왕 초상 조각상 제작으로 유명하며, 인물의 감정 표현과 이상적인 아름다움 구현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는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 스코파스
스코파스는 기원전 4세기 파로스 섬 출신의 고대 그리스 조각가이자 건축가로, 할리카르나소스 영묘 조각 참여와 테게아의 아테나 알레아 신전 건설을 이끌었으며, 정사각형 머리와 깊은 눈, 벌어진 입술의 조각상으로 강렬한 감정 표현을 추구했고, 그의 업적을 기려 달에는 그의 이름을 딴 스코파스 분화구가 있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 폴리클레이토스
폴리클레이토스는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 조각가로, 도리포로스와 디아두메노스 등의 작품과 '카논' 이론을 통해 인체의 이상적인 비례를 탐구하고 고전 시대 양식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콘트라포스토 자세로 인체의 균형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리시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시포스 |
원어 이름 | Λύσιππος (그리스어) |
로마자 표기 | Lysippos |
IPA | /laɪˈsɪpɒs/ (영국식) /laɪˈsɪpəs/ (미국식) |
직업 | 조각가 |
출생 | 기원전 390년경, 그리스 시키온 |
사망 | 기원전 300년경 (약 90세), 그리스 시키온 |
친척 | 뤼시스트라토스 (형제) |
2. 생애
리시포스는 고전 후기의 거장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궁정 조각가로 활약했다. 그는 기원전 5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가 정한 7등신의 인체 비례를 8등신으로 바꾸고, 더욱 우아한 조각상을 제작했다. 스코파스의 격정적인 표현과 자신이 제창한 8등신의 인체 비례를 융합시켜, 우아하고 엄격한 독특한 양식을 만들었다. 이들의 양식은 헬레니즘 시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기원전 390년경 시키온에서 태어난 리시포스는 젊은 시절 청동 세공인이었다. 그는 조각술을 독학으로 익혔고, 이후 아르고스와 시키온 조각 학교의 수장이 되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1,500점 이상의 작품을 제작했으며, 모두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에서 우아함과 세련됨, 그리고 폴리클레이토스가 대표하는 이상적인 조각상보다 더 날씬하고 머리 비율이 더 작아 키가 더 커 보이는 인물들의 "균형"에 주목했다. 그는 눈꺼풀과 발톱의 세세한 부분까지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제자인 린도스의 카레스는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의 거상을 건설했다. 이 조각상은 오늘날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청동으로 주조되었는지 아니면 청동판을 두드려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2. 1.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관계
리시포스는 생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속 조각가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자신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긴 유일한 예술가였다.[10] 그는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벌어진 입술로 위를 올려다보는, 영감을 받은 신과 같은 알렉산드로스의 전형적인 표현을 창조한 것으로 여겨지며,[13] 이는 '리시포스적 시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티볼리에서 발견된 초기 로마 제국 시대의 훌륭한 복제품은 루브르에 소장되어 있다.
포시디푸스와 아스클레피아데스의 경구는 밀라노 파피루스에서 발견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의 청동 초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리시포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 (대왕)의 개인 조각가이기도 했다. 밀라노 파피루스의 시화집에 있는, 포시디포스의 에피그램 (경구, 풍자시)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청동상에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18]
3. 작품 세계
리시포스는 당대의 명성에서 유명 조각가 폴리클레이토스의 후계자였다. 평론가들은 그의 우아함과 세련됨, 그리고 폴리클레이토스가 대표하는 이상적인 조각상보다 더 날씬하고 머리 비율이 더 작아 키가 더 커 보이는 인물들의 "균형" 또는 조화로운 균형에 주목했다. 그는 눈꺼풀과 발톱의 세세한 부분에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유명했다.
그의 제자인 린도스의 카레스는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의 거상을 건설했다. 이 조각상은 오늘날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들이 청동으로 주조되었는지 아니면 청동판을 두드려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리시포스는 생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속 조각가였으며, 정복자가 자신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긴 유일한 예술가였다.[10] 포시디푸스와 아스클레피아데스의 경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청동 조각상에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리시포스는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벌어진 입술로 위를 올려다보는, 영감을 받은 신과 같은 알렉산드로스의 전형적인 표현을 창조한 것으로 여겨지며,[13] 이는 '리시포스적 시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티볼리에서 발견된 초기 로마 제국 시대의 훌륭한 복제품은 루브르에 소장되어 있다.
1972년에 이탈리아인들에게 ''아틀레타 디 파노''(Atleta di Fano)로 알려진 ''승리한 청년'' (The Victorious Youth), 즉 게티 청동상이 발견되었고, 폴 게티의 권유로 게티 미술관이 이를 구입했다. 이 청동상은 바다에서 건져 올려 복원되었다. 발견 당시 조각상 표면을 덮고 있던 부식의 정도와 두꺼운 피막으로 미루어 보아 수 세기 동안 물속에 잠겨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닌데,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대부분의 고전 청동 조각상들이 지중해에서 인양되었기 때문이다. 조각상과 같이 귀중한 물건을 싣고 가던 배가 난파되는 일은 드물지 않았다. 찾거나 인양할 방법이 없었기에, 이러한 조각들은 수 세기 동안 바다 밑에 방치되었다. 손상된 부식은 칼을 사용하여 표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15]
3. 1. 리시포스의 카논
그는 고전 후기의 거장으로서, 알렉산드로스의 궁정 조각가로 활약했다. 그는 기원전 5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가 정한 7등신의 인체 비례를 다시 8등신으로 바꾸고, 한층 우미한 상을 제작했다. 그는 스코파스의 격정적인 표현과 그 자신이 제창한 8등신의 인체 비례를 융합시켜, 우미하고 엄격한 그의 독특한 양식을 낳았다. 이들 세 거장의 양식은 다음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와서 극한에 도달하게 된다.리시포스는 그의 선배인 폴리클레이토스보다 더 가냘픈 스타일을 발전시켰으며, 이것은 '''리시포스의 카논'''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 플리니우스는 그의 Naturalis Historia|박물지la에서 리시포스가 예술에 새로운 카논을 도입했다고 기록했다. capita minora faciendo quam antiqui, corpora graciliora siccioraque, per qum proceritas signorum major videretur,|고대인들보다 조각상의 머리를 더 작게 만들고, 특히 머리카락을 정의했으며, 키가 더 커 보이도록 몸을 더 가늘고 건장하게 만들었다la[6][7]는 것은 "폴리클레이토스의 것과 본질적으로 다른 신체 비율의 카논"을 의미한다.[8] 리시포스는 '8등신'의 신체 비율 카논을 확립한 것으로 여겨진다.[9]
3. 2. 주요 작품
리시포스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14][15][16][17][19][20]작품명 | 소장처 |
---|---|
《몸의 흙을 터는 청년》 | 바티칸 미술관 |
《올림피아의 우승자, 아기아스》 | 델포이 미술관 |
《알렉산드로스 대왕》 | 대영박물관 |
성 마르코의 말 | |
활을 당기는 에로스 | 다양한 복제품 존재, 가장 유명한 것은 대영 박물관 소장 |
아기아스 | 델포이에서 발견 및 보존된 대리석 복제품 |
《기름 붓는 자》 | 드레스덴과 뮌헨 |
《파르네세 헤라클레스》 | 원본은 카라칼라 욕장에 배치, 현존 대리석 복제품은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
《아폭시메노스》(《긁는 자》) | 바티칸 미술관에 있는 로마 제국 시대 대리석 복제품 |
승리한 청년 |
리시포스는 타란토에 높이 17m의 청동 거상 제우스와 높이 7m의 앉아 있는 헤라클레스를 제작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4. 평가 및 영향
그는 고전 후기의 거장으로서, 알렉산드로스의 궁정 조각가로 활약했다. 그는 기원전 5세기에 폴리클레이토스가 정한 7등신의 인체 비례를 다시 8등신으로 바꾸고, 한층 우미한 상을 제작했다. 그는 스코파스의 격정적인 표현과 그 자신이 제창한 8등신의 인체 비례를 융합시켜, 우미하고 엄격한 그의 독특한 양식을 낳았다. 이들 세 거장의 양식은 다음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와서 극한에 도달하게 된다.
1972년에 이탈리아인들에게 ''아틀레타 디 파노''(Atleta di Fano)로 알려진 ''승리한 청년''(The Victorious Youth), 즉 게티 청동상이 발견되었고, 폴 게티의 권유로 게티 미술관이 이를 구입했다. 이 청동상은 바다에서 건져 올려 복원되었다. 발견 당시 조각상 표면을 덮고 있던 부식의 정도와 두꺼운 피막으로 미루어 보아 수 세기 동안 물속에 잠겨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닌데,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대부분의 고전 청동 조각상들이 지중해에서 인양되었기 때문이다. 조각상과 같이 귀중한 물건을 싣고 가던 배가 난파되는 일은 드물지 않았다. 찾거나 인양할 방법이 없었기에, 이러한 조각들은 수 세기 동안 바다 밑에 방치되었다. 손상된 부식은 칼을 사용하여 표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15]
게티 청동상은 일부 학자들이 리시포스의 작품이거나, 적어도 그의 작품의 복제품이라고 믿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작품의 세부 묘사가 그의 작업 스타일 및 비례 규범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리시포스의 작품은 고대 자료에서 날씬하고 종종 길어진 신체 비율, 과장된 얼굴 특징을 가진 자연주의적인 것으로 묘사된다.[16] 리시포스의 작품에 묘사된 인물들은 그의 스승인 폴리클레이토스의 작품보다 머리가 더 작았는데, 그는 머리와 신장의 비율을 1:8로 사용했기 때문이다.[17]
참조
[1]
문서
Latinized Lysippus ({{IPAc-en|l|aɪ|ˈ|s|ɪ|p|ə|s}}) is less used today, even in English.
[2]
문서
"His son Euthyktates worked in his style, according to [[Pliny the Elder|Pliny]], and, in the next generation, Tysikrates produced sculpture scarcely to be distinguished from his. (''[[Natural History (Pliny)|Natural History]]'' xxxiv. 61-67)."
[3]
문서
The rediscovered Agias, dedicated by Daochos at [[Delphi]], was a contemporary [[marble]] copy of a bronze. The original was at [[Farsala]] in [[Thessaly]].
[4]
서적
Art History: Ancient Art
Prentice Hall
[5]
서적
Praxiteles and the Hermes with the Dionysos-child from the Heraion in Olympia
http://www.columbia.[...]
1879-12-17
[6]
서적
Historia Naturalis
[7]
서적
A manual of ancient sculpture: Egyptian{{ndash}}Assyrian{{ndash}}Greek{{ndash}}Roman
https://brittlebooks[...]
[8]
서적
Olympic Victor Monuments and Greek Athletic Art
https://www.gutenber[...]
the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9]
웹사이트
Hercules: The influence of works by Lysippos
https://www.louvre.f[...]
The [[Louvre]]
2020-10-04
[10]
문서
Plutarch, Life of Alexander, iv
[11]
문서
Translation taken from C. Austin and G. Bastianini, Posidippi Pellaei quae supersunt omnia, Milan 2002, p. 89.
[12]
문서
Translation taken from W.R. Paton's Loeb edition, The Greek Anthology V, Cambridge, Massachusetts 1918, p. 227.
[13]
문서
The Search for Alexander, a [[1976 in literature|1976]] exhibition catalogue, illustrates several examples and traces the development of the type.
[14]
서적
The Getty Bronze
The J Paul Getty Museum
[15]
서적
The Getty Bronze
The J Paul Getty Museum
[16]
웹사이트
Lysippos: Ancient Greek Sculptor, Biography
http://www.visual-ar[...]
2015-11-19
[17]
웹사이트
Hercules
https://www.louvre.f[...]
2020-10-04
[18]
문서
1976年の『The Search for Alexander』展のカタログに、それを発展させた、いくつかの例とトレースが図解されている。
[19]
문서
再発見された『アギアス像』[[:File:020MAD_Aghias.jpg]]は、[[ダオコス]]によってデルポイに奉納されたものである。オリジナルは[[テッサリア]]の[[ファルサラ]]([[:en:Farsala]])にあったブロンズ像で、当時の大理石で複製した。
[20]
문서
大プリニウスによれば、彼の息子[[エウテュクタテス]]は父親の作風をそのまま受け継ぎ、また、次世代の[[テュシクラテス]]の彫刻は、かろうじて師匠のものと区別できるくらいの違いしかなかったと述べている(『[[博物誌]]』xxxiv. 61-67)
[21]
문서
라틴어로 된 Lysippus ({{IPAc-en|l|aɪ|ˈ|s|ɪ|p|ə|s}})는 오늘 날 영어에서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2]
문서
"His son Euthyktates worked in his style, according to [[대 플리니우스||플리니우스]], and, in the next generation, Tysikrates produced sculpture scarcely to be distinguished from his. (''[[Natural History (Pliny)|Natural History]]'' xxxiv. 61-67)."
[23]
문서
The rediscovered Agias, dedicated by Daochos at [[델포이]], was a contemporary [[marble]] copy of a bronze. 원본은 [[테살리아]] [[파르살라]]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