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파스는 고대 그리스 조각가로, 파로스 섬에서 태어났다. 그는 헬레니즘 세계를 여행하며 활동했으며, 프락시텔레스와 함께 할리카르나소스 영묘의 부조를 조각하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테게아의 아테나 알레아 신전 건설을 이끌기도 했다. 그의 작품으로는 멜레아그로스, 포토스 등이 있으며, 깊이 패인 눈과 약간 벌어진 입이 특징이다. 스코파스는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으며, 프락시텔레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고대 조각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로스섬 출신 - 아르킬로코스
아르킬로코스는 기원전 7세기경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시인이자 용병으로, 개인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시와 이암보스 시를 활용한 풍자로 유명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건축가 - 익티노스
- 고대 그리스의 건축가 - 사티로스 (그리스)
사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남성 정령으로, 디오니소스를 따르며 염소 다리와 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숲과 들판에서 님프들과 어울려 술과 춤, 음악을 즐긴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 리시포스
리시포스는 기원전 390년경 시키온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개인 조각가로 활동하며 8등신 인체 비례를 확립하고 헬레니즘 시대 조각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 폴리클레이토스
폴리클레이토스는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 조각가로, 도리포로스와 디아두메노스 등의 작품과 '카논' 이론을 통해 인체의 이상적인 비례를 탐구하고 고전 시대 양식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콘트라포스토 자세로 인체의 균형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스코파스 | |
---|---|
기본 정보 | |
본명 | 스코파스 |
출생 | 기원전 4세기 초 |
사망 | 기원전 330년경 |
활동 시기 | 기원전 395년 ~ 350년 |
국적 | 고대 그리스 |
분야 | 조각가, 건축가 |
영향 받은 인물 | 프락시텔레스 |
주요 작품 | |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 부조 기둥 제작 |
테게아의 아테나 알레아 신전 | 건축 및 조각 담당 |
마우솔레움 | 조각 작업 참여 |
참고 | |
특징 | 스코파스는 인간의 감정, 특히 고통, 열정, 고뇌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데 뛰어났으며, 그의 작품은 강렬한 드라마와 표현력으로 유명하다. |
추가 정보 | 그는 조각가이자 건축가로서 고대 그리스 후기 고전 시대에 활동했으며, 그의 작품은 고전적인 이상미를 추구하면서도 인간 감정의 깊이를 탐구했다. |
2. 생애
프락시텔레스와 거의 같은 시대에 활약한 고전 후기의 거장 스코파스는 인간의 깊은 내면을 추구하며, 그 시대가 가진 불안한 동요를 생생하게 표현했다.
그는 소아시아의 여러 도시를 여행하며 많은 작품을 남겼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아르테미시아 2세를 이어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건축에 참여한 4명의 조각가 중 한 명이다.[5] 그는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부조 기둥 등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독립된 작품으로는 <포토스>와 난무하는 <마에나드> 등이 로마 시대의 모각으로서 몇 점 남아 있다. <크니도스의 데메테르>(대영박물관)도 그의 양식을 전하는 걸작이다. 이들 조각상의 오목하게 깊이 파인 눈이 발산하는 격렬한 표정은 인간의 내면성을 표현한 것으로, 프락시텔레스의 외형 묘사와는 좋은 대조가 된다.
2. 1. 초기 생애와 가계
스코파스는 파로스 섬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조각가 아리스탄데르(Aristander of Paros)였다.[3] 그는 어린 나이에 파로스를 떠나 헬레니즘 세계를 여행했다.2. 2. 경력
프락시텔레스와 거의 같은 시대에 활약한 고전 후기의 거장 스코파스는 인간의 깊은 내면을 추구하며, 그 시대가 가진 불안한 동요를 생생하게 표현했다.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아르테미시아 2세를 이어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건축에 참여한 4명의 조각가 중 한 명이다.[5] 그는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부조 기둥 등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독립된 작품으로는 <포토스>와 난무하는 <마에나드> 등이 로마 시대의 모각으로서 몇 점 남아 있다. <크니도스의 데메테르>(대영박물관)도 그의 양식을 전하는 걸작이다. 이들 조각상의 오목하게 깊이 파인 눈이 발산하는 격렬한 표정은 인간의 내면성을 표현한 것으로서, 프락시텔레스의 외형 묘사와는 좋은 대조가 된다.
스코파스는 프락시텔레스와 함께 작업했으며, 특히 할리카르나소스 영묘의 부조 조각에 참여했다. 그는 테게아에 있는 아테나 알레아 신전의 건설을 주도했다. 리시포스와 마찬가지로 스코파스는 폴리클레이토스의 예술적 후계자로 여겨진다. 스코파스 조각상의 특징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머리 형상, 깊게 파인 눈, 살짝 벌어진 입 등이다.
스코파스의 작품은 런던의 대영 박물관 (부조),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있는 테게아의 아테나 알레아 신전 조각, 로마 팔라초 알템프스에 소장된 루도비시 아레스, 로마 카피톨리노 박물관에 아폴로 키타로에두스로 복원된 포토스 조각상, 고대 문헌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수많은 복제품으로 남아 있는 멜레아그로스 조각상(가장 대표적인 예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포그 미술관에 있는 토르소) 등이 있다.
3. 주요 작품
스코파스의 작품은 대부분 로마 시대의 모각으로 남아있으며, 대영 박물관,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로마 팔라초 알템프스, 카피톨리노 박물관 등지에 소장되어 있다.[5] 그는 프락시텔레스와 함께 할리카르나소스 영묘의 일부를 조각했으며, 테게아에 있는 아테나 알레아 신전 건설을 이끌었다. 그의 조각상들은 깊이 패인 눈과 약간 벌어진 입이 특징이며, 인간의 내면을 격렬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크니도스의 데메테르 (대영 박물관)
- 루도비시 아레스 (팔라초 알템프스)
- 난무하는 <마에나드>
3. 1. 포토스
'''포토스'''(Pothos|포토스영어, 또는 '''갈망''')는 스코파스가 제작한 유명하고 널리 모방된 조각상이었다. 로마 시대의 복제품들은 악기나 천과 같은 다양한 소품들을 갖춘 인물상을 특징으로 했다.[4] 이는 알레산드로 알바니 추기경의 소장품에 있던 예시이다.3. 2. 멜레아그로스
멜레아그로스 조각상은 고대 문헌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수많은 복제품으로 남아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포그 미술관에 있는 토르소이다.[5]
3. 3. 기타 작품
프락시텔레스와 거의 같은 시대에 활약한 고전 후기의 거장 스코파스는 인간의 깊은 내면을 추구하는, 그 시대가 가진 불안한 동요를 생생하게 표현했다. 소아시아의 여러 도시를 여행하며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부조 기둥 등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니도스의 데메테르 (대영박물관)도 그의 양식을 전하는 걸작이다.
- 아폴로 키타로에두스로 복원된 포토스 조각상 (카피톨리노 박물관)
- 멜레아그로스 조각상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포그 미술관에 있는 토르소)
4. 평가
프락시텔레스와 거의 같은 시대에 활약한 고전 후기의 거장 스코파스는 인간의 깊은 내면을 추구하며, 그 시대가 가진 불안한 동요를 생생하게 표현했다. 크니도스의 데메테르(대영박물관)도 그의 양식을 전하는 걸작이다. 이들 조각상의 오목하게 깊이 파인 눈이 발산하는 격렬한 표정은 인간의 내면성을 표현한 것으로서, 프락시텔레스의 외형 묘사와는 좋은 대조가 된다.[5]
5. 스코파스의 이름을 딴 것
스코파스 (분화구)
6. 관련 자료
- 안드레아스 린퍼트: ''폴리클레이토스에서 리시포스까지. 폴리클레이토스의 학파와 파로스의 스코파스와의 관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65년.
- 앤드루 F. 스튜어트: ''파로스의 스코파스''. 노이스 출판, 파크 리지, N.Y., 1977. ISBN 0-8155-5051-0
- 앤드루 스튜어트: ''말리부의 스코파스. 테게아 출신 아킬레우스의 머리와 J. 폴 게티 박물관의 스코파스의 다른 조각상'' J. 폴 게티 박물관, 말리부, 캘리포니아, 1982. ISBN 0-89236-036-4
- 파로스의 스코파스와 그의 세계, 파로스 및 키클라데스 고고학 국제 회의 (그리스 파로이키아, 파로스), 카초노풀루, 도라., 스튜어트, 앤드루 F.
참조
[1]
서적
The New Century Classical Handbook
Appleton-Century-Crofts
1962
[2]
웹사이트
Scopas | Greek sculpto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
웹사이트
Skopas the Parian
http://paros-vacatio[...]
2014-05-22
[4]
논문
Scopas and the Pothos
https://www.jstor.or[...]
1987-07
[5]
저널
할리카르나소스(Halikarnassos)의 마우솔레움(the Mausoleum)을 통해 마우솔로스가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
https://www.kci.go.k[...]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