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 고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 고종은 1175년 리 왕조 영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베트남 리 왕조의 황제이다. 그는 무능한 군주로, 과도한 세금 부과와 부역 강요로 민심을 잃었으며, 잦은 천재지변과 농민 반란, 수도 탕롱에서의 내란을 겪었다. 고종의 실정과 외세의 침입은 리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시켰고, 결국 그의 사후 리 왕조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그는 사치와 향락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유능한 신하들의 말을 듣지 않아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73년 출생 - 신란
    신란은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이자 정토진종의 개창자로,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강조하는 절대 타력의 사상을 설파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교행신증》 등이 있다.
  • 1173년 출생 - 로스티슬라프 2세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의 아들인 로스티슬라프 2세는 여러 지역을 소유하고 장인의 지원을 받아 키예프 대공에 올랐으나, 귀족들의 저항과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정치적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갈리치에서 추방당했다.
  • 1210년 사망 - 육유
    남송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였던 육유는 '방옹'이라는 호를 사용하며 만 수 이상의 시를 남겼고, 특히 중원 회복을 염원하는 우국시를 통해 애국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당완과의 비극적인 사랑과 관련된 시조 「채두봉」으로도 유명하다.
  • 1210년 사망 - 쿠트브 웃딘 아이바크
    쿠트브 웃딘 아이바크는 튀르크계 킵차크 출신으로 델리 술탄국을 창건하고 북인도 정복을 이끌었으며, 쿠트브 미나르 건설을 시작했으나 폴로 경기 중 사망했다.
  • 리 왕조의 황제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리 왕조의 황제 - 리 신종
    리 신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인종의 양자로서 즉위하여 송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참파, 크메르와의 군사적 충돌을 겪었으며 불교와 도교를 장려했다.
리 고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Lý Cao Tông (리 까오 똔)
한자 표기李高宗 (이고종)
묘호고종(Cao Tông/高宗)
Lý Long Cán 또는 Lý Long Trát (리 롱 깐 또는 리 롱 찟)
출생일1173년 7월 6일
출생지탕롱
사망일1210년 11월 15일 (향년 37세)
사망 장소탕롱 성수궁(聖壽宮)
묻힌 곳수릉(壽陵)
종교불교
통치 정보
칭호대월 황제
재위 기간1175년 8월 14일 – 1210년 11월 15일
연호찐푸 (貞符, 1176–1185)
티엔뜨자투이 (天資嘉瑞, 1186–1201)
티엔자바오흐우 (天嘉寶祐, 1202–1204)
찌빈롱응 (治平龍應, 1205–1210)
시호Ứng Thiên Ngự Cực Hoành Văn Hiến Vũ Linh Thiệu Chiếu Phù Chương Đạo Chí Nhân Ái Dân Lý Vật Duệ Mưu Thần Trí Cảm Hóa Cảm Chánh Thuần Phu Huệ Thị Từ Tuy Du Kiến Mỹ Công Toàn Nghiệp Thịnh Long Hiện Thần Cư Thánh Minh Quang Hiếu Hoàng Đế
가족 관계
아버지리 영종
어머니도투이쩌우 (Đỗ Thụy Châu)
배우자안또안 황후
자녀리 혜종 (리 하오 섬), 황제
리 탐
왕조 정보
왕가리 왕조
이전 통치자리 영종
다음 통치자리 혜종

2. 생애

고종은 1173년 음력 5월 25일에 영종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리롱간(Lý Long Cán, 李龍𣉙) 또는 짯(Xưởng)이다.[2] 1175년 영종이 사망하면서, 고종은 3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여 베트남 역사상 가장 어린 황제 중 한 명이 되었다.

어린 황제를 대신하여 토 히엔 타인(Tô Hiến Thành)이 섭정을 맡아 국정을 운영했다.[2] 토 히엔 타인은 1179년에 병으로 사망하였고, 도태후는 도안 트엉(Đoàn Thượng)을 섭정으로 선택했다.[2]

고종은 성장하면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였다. 1203년에는 수많은 궁궐을 지었고, 1208년에는 기근에도 불구하고 쾌락과 개인적인 건축 프로젝트에 탐닉했다.

1207년 3월, 홍주(현재의 하이즈엉과 하이퐁)의 족장 도안 트엉과 도안 추가 반란을 일으켰다.[2] 1209년, 팜 두(Phạm Du)는 군사를 모집하여 자위대를 창설했다. 고종은 이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범병지(Phạm Bỉnh Di)를 보내 진압하게 했으나, 범병지는 패배했다. 범병지의 부하 곽복(Quách Bốc)은 군대를 이끌고 수도 탕롱(Thăng Long, 현재의 하노이)을 점령했다. 곽복은 어린 왕자 이담을 옹립했고, 고종은 푸토성, 탐농으로 피난을 갔다.

쩐 리와 토 쭝 뚜는 군대를 이끌고 수도로 진격하여 곽복을 물리쳤다. 1209년 말, 반란은 진압되었고 고종은 다시 왕위에 올랐다.

고종은 친정을 시작한 후에도 사치와 향락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대규모 궁궐 건축과 잦은 사냥을 즐겼는데, 이는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과 부역을 부과하여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2]

1192년 꼬호앙과 타인호아 지역의 반란[2], 1198년 딘 띠엔 호앙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는 꺼우 지엔과 딘 카의 반란, 1203년 다이호앙강 유역의 반란, 1207년 떤비엔(현재 하떠이) 지역의 소수민족 반란[2] 등 크고 작은 민란이 끊이지 않았다.

1210년 10월 28일, 고종은 성수궁에서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고종은 1173년 음력 5월 25일에 리 왕조 영종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리롱간(Lý Long Cán, 李龍𣉙) 또는 짯(Xưởng)이다.[2] 어머니는 도 튀 저우(Đỗ Thụy Châu, 杜瑞珠)로, 훗날 도 태후(Đỗ Thái Hậu, 杜太后)가 되었다. 1175년 영종이 사망하면서, 고종은 3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여 베트남 역사상 가장 어린 황제 중 한 명이 되었다.

어린 황제를 대신하여 토 히엔 타인(Tô Hiến Thành, 蘇憲誠)이 섭정을 맡아 국정을 운영했다.[2] 그는 재능 있고 유능한 관리로 여겨졌으며, 영종 사후 소령태후(Chiêu Linh thái hậu, 昭靈太后)가 전 태자였던 롱 쯩(Long Xưởng)을 폐위시키려 했으나, 토 히엔 타인의 단호함 덕분에 고종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토 히엔 타인은 얼마 지나지 않아 병에 걸렸다. 죽음을 앞두고 쩐 쭝 따(Trần Trung Tá)라는 관리를 도태후에게 추천했다. 도태후는 그의 추천에 대해 좋은 말을 했지만, 그것은 단지 죽어가는 사람을 기쁘게 하려는 것에 불과했다. 1179년에 토 히엔 타인이 죽은 후, 도태후는 아들 고종을 위해 도안 트엉(Đoàn Thượng)을 섭정으로 선택했다.[2]

1181년, 리 롱 쯩(Lý Long Xưởng)은 군대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수도를 약탈했다. 1년 후, 도태후는 리 낑 투(Lý Kính Tu)를 임명하여 아들을 가르치게 했다. 그는 젊은 황제에게 문학과 도덕을 가르치는 유능한 관리였다. 그 후, 소령태후와 그의 아들은 반란을 획책하는 음모를 포기했다.

2. 2. 섭정 정치와 권력 다툼

1175년 영종(英宗)이 죽자 뒤를 이어서 즉위하였다. 리 왕조는 고종이 즉위하기 이전부터 이미 쇠퇴의 조짐을 보이고 있었으나, 고종은 백성들에게 많은 세금과 부역을 강요하여 더욱 고통스럽게 하였고, 백성들은 고종에게 등을 돌려 민심을 완전히 잃었다. 설상가상으로 고종의 재위 기간에는 천재지변이 잇따라 일어나고, 천재지변으로 인해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사태가 빈번했다.[2]

고종은 리 영종의 여섯 번째 아들로, 1173년 5월 25일에 태어났다. 세 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베트남 역사상 가장 어린 황제 중 한 명이 되었다. 토 히엔 타인(Tô Hiến Thành)은 어린 황제를 도와 국정을 운영하는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토 히엔 타인은 유능한 관리로 여겨졌으며, 리 영종이 죽은 후 소령태후(1200년 사망)의 반대를 이겨내고 고종의 즉위를 성사시켰다.[2]

토 히엔 타인은 1179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는 진충좌(Trần Trung Tá)를 추천했지만, 도태후는 도안지를 섭정으로 선택했다.[2]

고종은 성장하면서 사냥을 즐기고 대규모 궁궐을 짓는 등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였다. 1203년에는 수많은 궁궐을 지었고, 1208년에는 기근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쾌락과 개인적인 건축 프로젝트에 탐닉했다.

1207년 3월, 홍주 지역(현재의 하이즈엉과 하이퐁)의 두 족장 도안 트엉과 도안 추가 반란을 일으켰다. 고종은 군대를 파견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도안 트엉은 팜 두(Phạm Du)에게 뇌물을 바치고 동맹을 맺었다.

1209년, 팜 두는 군사를 모집하여 자위대를 창설했다. 고종은 이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범병지(Phạm Bỉnh Di)를 보내 진압하게 했으나, 범병지는 패배했다. 팜 두는 수도의 고위 관리들에게 뇌물을 주고 범병지를 모함했고, 고종은 범병지와 그의 아들을 감옥에 가두었다.

범병지의 투옥 소식을 들은 그의 부하 곽복(Quách Bốc)은 군대를 이끌고 수도 탕롱(Thăng Long, 현재의 하노이)을 점령했다. 곽복은 어린 왕자 이담을 옹립했고, 고종은 푸토성, 탐농으로 피난을 갔다. 훗날 혜종으로 즉위하는 태자 삼(Sảm)은 타이빈으로 피난하여 쩐 리(Trần Lý)의 집에 머물며 그의 딸 쩐 티 중(Trần Thị Dung)과 혼인했다. 이삼은 쩐 리에게 명자(Minh Tự)라는 칭호를 하사하고, 쩐 리의 매형인 토 쭝 뚜에게 전선성 사령관(Commander of Anterior Citadel)이라는 칭호를 하사했다. 이들은 주변 지역에서 병사를 모집하여 곽복에 대항하여 싸웠다.

이삼이 자신의 궁정을 세우고 칭호를 수여하자, 고종은 팜 두를 보내 도안 트엉과 연합하게 했지만, 팜 두는 살해되었다.

쩐 리와 토 쭝 뚜는 군대를 이끌고 수도로 진격하여 곽복을 물리쳤다. 1209년 말, 반란은 진압되었고 고종은 다시 왕위에 올랐다. 쩐 리는 전투에서 사망했고, 토 쭝 뚜가 조정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잡게 되자, 고종은 그와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 곽복과 이담의 최후는 확인되지 않았다.

2. 3. 실정과 민란

고종은 성장하여 친정을 시작한 후에도 사치와 향락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대규모 궁궐 건축과 잦은 사냥을 즐겼는데, 이는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과 부역을 부과하여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2] 이러한 실정은 각지에서 농민 반란과 소수민족의 봉기를 초래했다.

1192년 꼬호앙과 타인호아 지역의 반란[2], 1198년 딘 띠엔 호앙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는 꺼우 지엔과 딘 카의 반란, 1203년 다이호앙강 유역의 반란, 1207년 떤비엔(현재 하떠이) 지역의 소수민족 반란[2] 등 크고 작은 민란이 끊이지 않았다.

1203년 8월, 참파의 왕 비드야난다나가 크메르의 침공을 피해 끄어 로로 망명했다가 응에안 지사를 살해하고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1207년 3월, 홍주 지역(현재의 하이즈엉과 하이퐁)의 족장 도안 트엉과 도안 추가 반란을 일으켰다.[2] 고종은 군사를 파견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도안 트엉은 팜 두에게 뇌물을 바쳐 동맹을 맺었다. 1209년 팜 두는 응에안 지역의 기근을 틈타 군사를 모집했고, 고종은 이를 반란으로 규정, 팜빈지를 보내 진압하게 했다. 팜빈지는 패배했고, 이후 팜 두는 뇌물을 이용해 팜빈지를 모함했다.

2. 4. 사망과 리 왕조의 몰락

1210년 10월 28일, 고종은 성수궁에서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혜종이 즉위하였으나, 혜종 역시 무능하고 병약하여 국정을 제대로 이끌지 못했다. 사회는 더욱 혼란스러워졌고, 10년 후 리 왕조는 쩐 왕조에 의해 대체되었다.

역사학자들은 리 왕조를 잃게 만든 그의 무능함을 이유로 고종을 비판한다. 고종의 무능과 실정은 리 왕조 쇠퇴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결국 1225년 쩐투도(Trần Thủ Độ)에 의해 리 왕조가 멸망하고 쩐 왕조가 들어서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3. 평가

베트남 역사학계는 대체로 고종을 무능하고 사치스러운 군주로 평가하며, 그의 실정이 리 왕조 멸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지적한다. 고종은 색욕, 사냥, 술, 음악에 빠져 향락적인 생활을 했으며, 자신의 궁궐과 탑을 짓는 데 많은 돈을 낭비했다.[1] 그는 유능한 관리들의 말을 듣지 않고, 간신들의 말에 휘둘렸다.[1] 또한, 반란 세력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고 도망치는 비겁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

레반흐우는 고종이 스스로를 부처라고 생각한 것을 비판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부황영종
모후영도황후 두단주(靈道皇后 杜瑞珠)
부인안전왕후 담씨(安全皇后 譚氏)
아들혜종
아들이침(Lý Thầm, 李忱)
손녀소황제


5. 연호


  • Trinh Phù|찐푸|貞符vi (1176년 ~ 1186년)
  • Thiên Tư Gia Thụy|티엔뜨자투이|天資嘉瑞vi (1186년 ~ 1201년)
  • Thiên Gia Bảo Hựu|티엔자바오흐우|天嘉寶祐vi (1202년 ~ 1204년)
  • Trị Bình Long Ứng|찌빈롱응|治平龍應vi (1205년 ~ 1210년)

참조

[1] 간행물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000
[2] 서적 Modernity and Re-Enchantment: Religion in Post-revolutionary Vietnam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7
[3]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2002
[4] 간행물 Viet Nam: Borderless Historie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