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는 고대 로마 시대의 미식가로, 그의 삶과 요리법은 동시대 기록과 일화를 통해 전해진다. 그는 사치스러운 식생활을 즐겼으며, 요리법 개발에도 힘썼다. 아피키우스의 이름을 딴 요리법과 그에 대한 로마 문학에서의 평가가 존재하며, 4~5세기에는 그가 저술한 요리책이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리사 - 셰프
셰프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방을 책임지고 요리를 총괄하는 전문가를 뜻하며, 메뉴 개발, 식재료 선정, 주방 직원 관리, 음식 품질 관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요리사 - 조리사
조리사는 식품을 조리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위생법에 따라 식품접객영업자나 집단급식소 운영자가 두어야 하며,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 취득 후 면허를 받아야 하고, 일본에서는 국가 자격으로 시험 합격 후 명부에 등록해야 하며, 식품위생책임자로서 위생과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진다. - 고대 로마 사람 -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연인이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어머니로,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가문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활동한 귀족 여성이다. - 고대 로마 사람 - 트리부스
트리부스는 고대 로마의 사회 조직 단위로, 로물루스가 창설한 세 개의 부족에서 시작하여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의 개혁을 거쳐 35개로 확장되었으며, 시민권 증거, 군대 징집, 민회 투표 단위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공화정 말기 기능이 축소되어 제정 시대에는 상징적인 역할만 남았다. - 1세기 사람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1세기 사람 - 비텔리우스
비텔리우스는 69년 짧게 로마 황제를 지낸 인물로, 명문가 출신이지만 게르마니아 군단의 지지로 황제가 된 후 무능과 사치로 악명을 떨치다 베스파시아누스의 반란으로 몰락하여 처형당했다.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 | |
---|---|
개요 | |
이름 |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 |
로마자 표기 | Mareukeu Gabiuseu Apikiuseu |
직업 | 로마 귀족, 미식가 |
생애 | |
활동 시기 | 1세기 |
상세 정보 | |
특징 | 호화로운 식습관으로 유명 |
관련 인물 |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세야누스 |
언급 | 타키투스의 연대기 |
영향 | 요리책 아피키우스 (저자 여부는 불확실) |
일화 | |
재산 탕진 | 막대한 재산을 탕진하고 자살 |
굴 사랑 | 캄파니아산 굴을 극찬 아프리카산 굴이 더 큰지 확인하기 위해 배를 타고 감 |
요리 개발 | 거위 간 요리 개발 (돼지 간을 먹여 크게 만듦) |
음료 | 물숨 (꿀을 넣은 포도주) 즐겨 마심 |
2. 생애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의 삶에 대한 증거는 동시대 또는 거의 동시대의 자료와, 고급 음식의 이름과 기원을 설명하려는 목적의 저술에서 나온 일화들에서 부분적으로 파생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전해지는 일화들이 실제로 그의 전기를 구성하는지는 의심스럽다.
로마 문학에서 아피키우스는 전형적인 미식가나 폭식가로 도덕적인 맥락에서 언급된다. 세네카는 그가 "요리점의 과학을 선포"하고 그의 예로 시대를 부패시켰다고 말한다. 4세기와 5세기경, 아피키우스는 저자로 언급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당시 ''아피키우스''라는 제목의 요리책이 유통되었음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2. 1. 알려진 일화
세야누스(기원전 20년 ~ 서기 31년 10월 18일)는 훗날 황제 티베리우스의 대신이자 측근으로 유명해졌는데, 젊은 시절에 "아피키우스에게 몸을 팔았다"고 한다.[1] 세야누스의 아내 아피카타는 아피키우스의 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아피키우스는 아우구스투스의 고문인 마에케나스(기원전 70년 ~ 기원전 8년)와 함께 식사했다.[2]
드루수스(기원전 13년 ~ 서기 23년 9월 14일)는 티베리우스의 아들로, 아피키우스의 권유로 일반적인 음식이었던 ''키마이'', 양배추 잎이나 양배추 싹을 먹지 않았다.[3]
서기 28년의 집정관 유니우스 블라에수스와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베투스는 아피키우스의 집에서 호화로운 만찬을 즐겼다.[4]
티베리우스는 시장에서 큰 붉은 숭어를 보고 아피키우스나 푸블리우스 옥타비우스가 그것을 살 것이라고 내기를 걸었다. 두 사람 모두 그것을 사려고 입찰하기 시작했고 옥타비우스가 이겼다.[5]
아피키우스는 민투르나이(캄파니아)에 살았다. 리비아 해안 근처에서 잡히는 새우의 크기와 달콤함에 대해 들은 아피키우스는 배와 선원을 징발했지만, 도착했을 때, 자기 배로 다가온 지역 어부들이 제공하는 새우에 실망하여 별장에서 먹던 훌륭한 가재와 비교하여 "뭍에 내리지 않고" 민투르나이로 돌아갔다.[6]
아피키우스는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사치스러운 쾌락을 누리기 위해 태어났다". 그는 요리하기 전에 붉은 숭어를 붉은 숭어로 만든 생선 소스에 담가 두면 최상의 맛을 낸다고 조언했다.[7]
아피키우스는 플라밍고의 혀가 뛰어난 풍미를 가지고 있다고 조언했다.[8]
기존의 거위 간(푸아그라) 생산 방식을 바탕으로 아피키우스는 돼지 간을 생산하는 유사한 방식을 고안했다. 그는 돼지에게 말린 무화과를 먹이고 과다한 양의 물숨(꿀을 넣은 포도주)으로 도살했다.[9]
주방에 를 쓰고, 황실에서 받은 모든 선물을 다 써버리고, 호화로운 환대에 수입을 모두 탕진한 아피키우스는 만 남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대적인 가난 속에서 죽는 것을 두려워하여 자살했다.[10]
2. 2. 요리법
몇몇 요리법은 아피키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아마도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기름과 소금에 절여 소다를 사용하여 녹색을 유지하는 양배추 요리법: 대 플리니우스, ''박물지'' 19.143.
- 케이크의 일종: 티아나의 크리시푸스가 아테나이오스, ''향연'' 647c에서 인용.
- ''아피키우스'' 요리책에 실린 일곱 가지 요리법.
3. 평가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연대기''에서 세야누스가 젊은 시절에 "아피키우스에게 몸을 팔았다"고 주장한다. 마르티알리스는 그의 저서 ''격언''에서 아피키우스가 아우구스투스의 고문인 마에케나스와 함께 식사를 했다고 이야기한다.[1]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는 드루수스가 아피키우스의 권유로 양배추 잎이나 싹을 먹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2] 아엘리안은 그의 ''서신''에서 서기 28년의 집정관 유니우스 블라에수스와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베투스가 아피키우스의 집에서 호화로운 만찬을 즐겼다고 전한다.[3]
세네카의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서신''에는 티베리우스가 시장에서 큰 붉은 숭어를 보고 아피키우스나 푸블리우스 옥타비우스가 그것을 살 것이라고 내기를 걸었고, 옥타비우스가 이겼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4] 아테나이오스의 ''향연''에는 아피키우스가 민투르나이에 살면서 리비아 해안 근처에서 잡히는 새우의 크기와 달콤함에 대해 듣고 배와 선원을 징발했지만, 도착했을 때 실망하여 "뭍에 내리지 않고" 민투르나이로 돌아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
아피키우스는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사치스러운 쾌락을 누리기 위해 태어났다"고 평가받는다.[6] 그는 붉은 숭어를 요리하기 전에 붉은 숭어로 만든 생선 소스에 담가 두면 최상의 맛을 낸다고 조언했으며,[7] 플라밍고의 혀가 뛰어난 풍미를 가지고 있다고 조언했다.[8] 또한, 기존의 거위 간(푸아그라) 생산 방식을 바탕으로 돼지에게 말린 무화과를 먹이고 과다한 양의 물숨(꿀을 넣은 포도주)으로 도살하여 돼지 간을 생산하는 방식을 고안했다.[9]
세네카의 ''헬비아에게 보내는 위로''에는 주방에 1억 세스테르티우스를 쓰고, 황실에서 받은 모든 선물을 다 써버리고, 호화로운 환대에 수입을 모두 탕진한 아피키우스는 1천만 세스테르티우스만 남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대적인 가난 속에서 죽는 것을 두려워하여 자살했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10]
몇몇 요리법은 아피키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는 기름과 소금에 절여 소다를 사용하여 녹색을 유지하는 양배추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티아나의 크리시푸스가 아테나이오스의 ''향연''에서 인용한 케이크의 일종도 있다. ''아피키우스'' 요리책에 실린 일곱 가지 요리법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로마 문학 전반에 걸쳐 아피키우스는 전형적인 미식가나 폭식가로 도덕적인 맥락에서 언급된다. 세네카는 그가 "요리점의 과학을 선포"하고 그의 예로 시대를 부패시켰다고 말한다. 4세기와 5세기경에 아피키우스는 저자로 언급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당시 ''아피키우스''라는 제목의 요리책이 유통되었음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4. 참고 문헌
앤드루 댈비 (Andrew Dalby영어), 《고대 세계의 음식 A-Z》 (Food in the Ancient World from A to Z영어), 루틀리지, 런던 및 뉴욕, 2003, 16–18쪽, ISBN 0-415-23259-7
크리스토퍼 그로콕 (Christopher Grocock영어), 샐리 그레인저 (Sally Grainger영어), 《아피키우스. 서문과 영어 번역이 포함된 비평적 편집본》 (Apicius. A Critical Edition with an Introduction and an English Translation영어), Prospect Books영어, 토트네스, 2006, 54–58쪽, ISBN 1-903018-13-7
참조
[1]
서적
年代記 (タキトゥス)
https://la.wikisourc[...]
117
[2]
서적
Odes
https://en.wikisourc[...]
[3]
서적
博物誌
https://la.wikisourc[...]
[4]
서적
道徳書簡集
https://en.wikisourc[...]
[5]
웹사이트
英語訳 Ath. 1.12
https://www.perseus.[...]
2022-11-19
[6]
서적
博物誌
https://la.wikisourc[...]
[7]
서적
博物誌
https://la.wikisourc[...]
[8]
서적
博物誌
https://la.wikisourc[...]
[9]
웹사이트
L. ANNAEI SENECAE DIALOGORVM LIBER XII - AD HELVIAM MATREM DE CONSOLATIONE
http://www.thelatinl[...]
2022-11-19
[10]
서적
博物誌
https://la.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