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피키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피키우스는 고대 로마 시대의 요리책으로, 1세기 로마의 미식가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와 관련되어 전해지지만, 실제 저자는 불분명하다. 이 책은 요리법을 주제별로 묶은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은 '부지런한 자', '정육점 주인', '정원사' 등과 같은 그리스어 제목을 가지고 있다. 아피키우스는 고대 로마의 식재료, 조리법, 식습관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서양 요리 역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현재까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한국어 번역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책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 5세기 책 - 송시
    송시는 셉투아진타에 수록된 구약, 외경/제2경전, 신약성경의 찬가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존재했다.
  • 4세기 책 - 고백록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부터 401년 사이에 쓴 자전적 저서인 고백록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삶과 회심 과정, 철학적, 신학적 성찰을 담아 인간의 죄성과 신의 은총, 시간과 영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 4세기 책 - 화양국지
    화양국지는 상거가 편찬한 지방지로, 파, 한중, 촉, 남중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를 기록하고 후한부터 성한 시대까지의 역사와 인물 열전을 담아 고촉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중국 최고(最古)의 지리지 중 하나이다.
  • 요리 책 -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은 조선시대 장계향이 쓴 한글 조리서로, 주식부터 술까지 다양한 음식의 조리법과 보관법을 상세히 기록하여 당시 상류층의 식생활과 조선시대 식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요리 책 - 도문대작
    도문대작은 조선 시대 음식 관련 기록으로, 각 지방의 진미, 명물, 다양한 식품을 상세히 기록하고 품평하며, 과실류, 고기류, 생선류, 채소류, 조과류 등 다양한 음식 정보를 담고 있다.
아피키우스
서지 정보
제목아피키우스
원제De re coquinaria (데 레 코퀴나리아)
분야요리책
언어라틴어
시대고대 로마
내용
개요고대 로마의 요리법을 담고 있는 책
특징향신료와 허브를 과도하게 사용한 조리법
고대 로마의 식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
역사
기원4세기 또는 5세기
여러 요리책을 묶어 놓은 것
저자불명
관련 인물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 책 이름의 유래
책에 언급된 요리 중 일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중세 시대9세기: 간략화된 버전이 작성됨
풀다 수도원에서 보관
르네상스 시대1483년: 처음으로 인쇄됨
"쿠이나리아" 또는 "데 옵소니이스 에트 콘디멘티스"(De opsoniis et condimentis)라는 이름으로 출판됨
구성
책의 종류요리법 모음
구성10권
내용1권: 요리사 (Epi মেলes)
2권: 다진 고기 요리 (Sarcoptes)
3권: 채소 (Ospre)
4권: 다양한 요리 (Apicieuses)
5권: 콩류 (Pandes টিচেনtarius)
6권: 가금류 (Polynicus)
7권: 고급 요리 (Ospreus coquinarius)
8권: 네발 짐승 요리 (Tetrapus)
9권: 해산물 (Thalassius)
10권: 소스 (Halieus)

2. 명칭 및 저자

《아피키우스》라는 제목은 1세기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의 미식가였던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대 연구에 따르면 동명이인이 여럿 존재했고, 여러 시대의 요리법이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1]

2. 1. 저자 관련 논란

이 책은 고대 로마, 1세기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의 미식가이자 요리사였던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와 관련이 있다고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1] 그러나 현대 연구에 따르면 이 책은 마르쿠스 가비우스 아피키우스가 직접 저술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대와 지역의 요리가 편집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편집본 안에 그의 저술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은 있다.[1][2]

또한, 아피키우스 (기원전 1세기의 인물), 아피키우스 (2세기의 인물)과 같이 동명이인이 여럿 존재했기 때문에 이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키레네에서 공급되었고 1세기경 생산이 중단된 Silphium|실피움영어(정체 불명의 미나리과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이 레시피에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세기경의 기술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고전 라틴어보다는 속 라틴어(구어 라틴어)에 가까운 언어로 쓰여졌다.[1]

『아피키우스』는 요리책 또는 레시피집이다. 초기의 인쇄본에는 "요리의 제목(''On the Subject of Cooking''영어, ''De re coquinaria''la)"이라는 표제가 붙여졌다. 바티칸 소장본 중 하나의 표지에 "API CAE"라고 적혀 있었고, 세 개의 레시피가 아피키우스풍이라고 명명되었기 때문에, 카일리우스 아피키우스(''Caelius Apicius'')의 저작이라고 추정된 적도 있다.[3]

3. 구성

아피키우스, ''요리에 관하여''(리옹: 세바스티아누스 그리피움, 1541)


『아피키우스』는 라틴어로 쓰였으며, 현대 요리책과 유사하게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은 그리스어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주제별로 요리법을 분류하고 있다.[4]

3. 1. 각 권의 주제



『아피키우스』는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그리스어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이는 현대 요리책의 구성과 유사하다.[4] 각 권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 Ἐπιμελής|에피멜레스grc — 부지런한 자

# Σαρκοπτης|사르코프테스grc — 정육점 주인

# 케푸로스 — 정원사

# 판덱테스 — 백과사전

# 오스프레온 — 곡물과 콩류

# Aeropetes|에로페테스grc — 새

# Πολυτελής|폴리텔레스grc — 호화로운 것

# 테트라푸스 — 사족 보행 동물, 네 발 달린 동물

# Θάλασσα|탈라사grc — 바다, 해산물

# Halieus|할리에우스grc — 어부

3. 1. 1. 1권: 에피멜레스 (Epimeles)

Ἐπιμελής|에피멜레스grc는 '부지런한 자' 또는 가정부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4]

3. 1. 2. 2권: 사르코프테스 (Sarcoptes)

Σαρκοπτης|사르코프테스grc는 정육점 주인[4] 또는 고기 가는 기계를 의미한다.

3. 1. 3. 3권: 케푸로스 (Cepuros)

3권은 정원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4]

3. 1. 4. 4권: 판덱테스 (Pandectes)

4권의 제목은 판덱테스(Pandectes)로, 백과사전 또는 많은 재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4]

3. 1. 5. 5권: 오스프레온 (Ospreon)

5권의 제목은 오스프레온(Ospreon)이며, 콩 요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4]

3. 1. 6. 6권: 에로페테스 (Aeropetes)

Aeropetes|에로페테스grc는 조류 요리에 대한 내용이다.[4]

3. 1. 7. 7권: 폴리텔레스 (Polyteles)

Πολυτελής|폴리텔레스grc는 '호화로운 것' 또는 '미식가'에 대한 내용이다.

3. 1. 8. 8권: 테트라푸스 (Tetrapus)

사족수에 대한 내용이다.[4]

3. 1. 9. 9권: 탈라사 (Thalassa)

Θάλασσα|탈라사grc는 바다, 해산물 또는 해산물 요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4]

3. 1. 10. 10권: 할리에우스 (Halieus)

Halieus|할리에우스grc어부와 관련된 내용이다.[4]

4. 내용 및 특징

『아피키우스』에 묘사된 음식지중해 분지 주변 고대 세계의 식습관을 재구성하는 데 유용하다.[5] 하지만 레시피는 가장 부유한 계층을 위한 것이며, 일부는 당시 이국적인 재료(예: 플라밍고)를 포함하고 있다.

레시피의 예시(8.6.2–3)는 다음과 같다:[6][7]


  • '''알리테르 하에디남 시베 아그니남 엑스칼다탐:''' 밋테스 인 칵카붐 코파디아. 케팜, 코리안드룸 미누타팀 수키데스, 테레스 피페르, 리그스티쿰, 키미눔, 리콰멘, 올레움, 비눔. 코퀘스, 엑시나니에스 인 파티나, 아물로 오브리가스. [알리테르 하에디남 시베 아그니남 엑스칼다탐] 아그니나 아 크루도 트리투람 모르타리오 악키페레 데베트, 카프리나 아우템 쿰 코퀴투르 악키피트 트리투람.
  • '''뜨거운 새끼 양 또는 어린 양 스튜:''' 고기 조각을 팬에 넣는다. 양파고수를 잘게 썰고, 후추, 세이지, 커민, 가룸, 기름, 와인을 빻는다. 요리하고, 얕은 팬에 붓고, 밀 전분으로 걸쭉하게 한다. 양고기를 사용한다면 고기가 아직 익지 않았을 때 절구의 내용물을 넣어야 하며, 염소 고기를 사용한다면 요리하는 동안 넣는다.


프랑스의 브리짓 르프레트(Brigitte Leprêtre)는 실제로 직접 요리하여 35가지 레시피를 재현했으며, 일본어 번역본도 출판되었다.

4. 1. 사용된 식재료

이 책에 묘사된 음식지중해 분지 주변 고대 세계의 식습관을 재구성하는 데 유용하다.[5] 하지만 레시피는 가장 부유한 계층을 위한 것이며, 일부는 당시 이국적인 재료(예: 플라밍고)를 포함하고 있었다. 키레네에서 공급되었고 1세기 경 생산이 중단된 Silphium|실피움영어(정체 불명의 미나리과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이 레시피에 많이 등장한다.

대부분의 경우 자세한 분량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위에 언급한 실피움과 같이 사라진 재료나, 플라밍고와 같이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식재료도 있다.

4. 2. 요리법

음식지중해 분지 주변 고대 세계의 식습관을 재구성하는 데 유용하다.[5] 하지만 레시피는 가장 부유한 계층을 위한 것이며, 일부는 당시 이국적인 재료(예: 플라밍고)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아피키우스의 레시피 예시이다(8.6.2–3).[6][7]

  • '''알리테르 하에디남 시베 아그니남 엑스칼다탐:''' 밋테스 인 칵카붐 코파디아. 케팜, 코리안드룸 미누타팀 수키데스, 테레스 피페르, 리그스티쿰, 키미눔, 리콰멘, 올레움, 비눔. 코퀘스, 엑시나니에스 인 파티나, 아물로 오브리가스. [알리테르 하에디남 시베 아그니남 엑스칼다탐] 아그니나 아 크루도 트리투람 모르타리오 악키페레 데베트, 카프리나 아우템 쿰 코퀴투르 악키피트 트리투람.
  • '''뜨거운 새끼 양 또는 어린 양 스튜:''' 고기 조각을 팬에 넣는다. 양파고수를 잘게 썰고, 후추, 세이지, 커민, 가룸, 기름, 와인을 빻는다. 요리하고, 얕은 팬에 붓고, 밀 전분으로 걸쭉하게 한다. 양고기를 사용한다면 고기가 아직 익지 않았을 때 절구의 내용물을 넣어야 하며, 염소 고기를 사용한다면 요리하는 동안 넣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세한 분량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한 실피움과 같이 사라진 재료나, 플라밍고와 같이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식재료도 있다.

4. 3. 언어

고전 라틴어보다 속 라틴어(구어체 라틴어)에 가까운 언어로 쓰여졌다.[1]

5. 판본 및 번역

마틴 리스터가 사적으로 인쇄한 ''아피키우스''의 두 번째 판(1709년 암스테르담 J. Waesbergios 출판) 표지가 현존한다.

"Vinidarius"(비니다리우스)라는 "뛰어난 사람"이 만든 매우 요약된 요약본인 ''Apici excerpta a Vinidario''(''포켓 아피키우스'')가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만들어졌다.[8] 비니다리우스는 고트족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고트족 이름은 Vinithaharjis (𐍅𐌹𐌽𐌹𐌸𐌰𐌷𐌰𐍂𐌾𐌹𐍃)였을 수 있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다. "뛰어나다"고 불렸지만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Apici excerpta a Vinidario''는 8세기의 단일 언셜체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있다.[9] 이 책은 오늘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아피키우스'' 텍스트에서 순수하게 발췌한 것이 아니며, 더 긴 ''아피키우스'' 필사본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발췌본이 만들어진 시점과 필사본이 쓰여진 시점 사이에 일부 텍스트가 손실되었거나, 독자들이 적응하면서 내용이 바뀌었기 때문에 "표준 ''아피키우스''"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았을 수 있다.

필사본이 나타난 후, 밀라노 (1498, ''In re quoquinaria''라는 제목)와 베네치아 (1500)에서 ''아피키우스''의 초기 인쇄본 두 개가 출판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4개의 판이 더 출판되었다. C. T. Schuch (하이델베르크, 1867)의 장기간 표준 판본에서 편집자는 비니다리우스 필사본에서 일부 레시피를 추가했다.

1498년 (최초 인쇄본 출판일)과 1936년 (조셉 돔머스 베힐링의 영어 번역 및 아피키우스의 서지 출판일) 사이에 라틴어 텍스트의 14개 판 (및 1개의 위작 판)이 존재했다. 이 작품은 널리 번역되지 않았으며, 첫 번째 번역은 1852년에 이탈리아어로 이루어졌고, 20세기에 독일어프랑스어로 두 개의 번역이 뒤따랐다. 베르트랑 게강의 프랑스어 번역은 1934년 프랑스 학술원에서 프랑스어 아카데미 상(Prix Langlois)을 수상했다.[10]

1936년 조셉 돔머스 베힐링이 『''Cookery and Dining in Imperial Rome''』이라는 제목으로 첫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고, 1977년 도버 출판에서 재출판되었다. 그러나 베힐링의 라틴어 지식 부족과 이후 더 실용적인 번역본의 등장으로 현재는 역사적인 가치만 지닌다. 1978년에는 牟良 依子|무라 요코타 노리코일본어에 의한 일본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5. 1. 현존하는 판본

마틴 리스터가 사적으로 인쇄한 ''아피키우스''의 두 번째 판(1709년 암스테르담 J. Waesbergios 출판) 표지가 현존한다.
''De opsoniis et condimentis'' (암스테르담: J. Waesbergios), 1709. 마틴 리스터가 사적으로 인쇄한 ''아피키우스''의 두 번째 판의 표지


"Vinidarius"라는 "뛰어난 사람"이 만든 매우 요약된 요약본인 ''Apici excerpta a Vinidario''(포켓 아피키우스)가 카롤링거 시대에 만들어졌다.[8] 비니다리우스는 고트족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고트족 이름은 Vinithaharjis (𐍅𐌹𐌽𐌹𐌸𐌰𐌷𐌰𐍂𐌾𐌹𐍃)였을 수 있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다. "뛰어나다"고 불렸지만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Apici excerpta a Vinidario''는 8세기의 단일 언셜체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있다.[9] 이 책은 오늘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아피키우스'' 텍스트에서 순수하게 발췌한 것이 아니며, 더 긴 ''아피키우스'' 필사본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발췌본이 만들어진 시점과 필사본이 쓰여진 시점 사이에 일부 텍스트가 손실되었거나, 독자들이 적응하면서 내용이 바뀌었기 때문에 "표준 ''아피키우스''"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았을 수 있다.

필사본이 나타난 후, 밀라노 (1498, ''In re quoquinaria''라는 제목)와 베네치아 (1500)에서 ''아피키우스''의 초기 인쇄본 두 개가 출판되었다. 이후 40년 동안 4개의 판이 더 출판되었다. C. T. Schuch (하이델베르크, 1867)의 장기간 표준 판본에서 편집자는 비니다리우스 필사본에서 일부 레시피를 추가했다.

1498년 (최초 인쇄본 출판일)과 1936년 (조셉 돔머스 베힐링의 영어 번역 및 아피키우스의 서지 출판일) 사이에 라틴어 텍스트의 14개 판 (및 1개의 위작 판)이 존재했다. 이 작품은 널리 번역되지 않았으며, 첫 번째 번역은 1852년에 이탈리아어로 이루어졌고, 20세기에 독일어프랑스어로 두 개의 번역이 뒤따랐다. 베르트랑 게강의 프랑스어 번역은 1934년 프랑스 학술원에서 프랑스어 아카데미 상(Prix Langlois)을 수상했다.[10]

5. 2. 비니다리우스 발췌본

"Vinidarius"(비니다리우스)라는 "뛰어난 사람"이 만든 매우 요약된 요약본인 ''Apici excerpta a Vinidario'' ("포켓 아피키우스")가 완전히 다른 필사본에 존재하며, 이는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만들어졌다.[8] 이 책의 비니다리우스는 고트족이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의 고트족 이름은 𐍅𐌹𐌽𐌹𐌸𐌰𐌷𐌰𐍂𐌾𐌹𐍃|Vinithaharjisgot였을 수 있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다. "뛰어나다"고 불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Apici excerpta a Vinidario''는 8세기의 단일 언셜체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있다.[9] 제목에도 불구하고 이 책자는 오늘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아피키우스'' 텍스트에서 순수하게 발췌한 것이 아니며, 더 긴 ''아피키우스'' 필사본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발췌본이 만들어진 시점과 필사본이 쓰여진 시점 사이에 일부 텍스트가 손실되었거나, 독자들이 적응하면서 내용이 바뀌었기 때문에 "표준 ''아피키우스''"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았을 수 있다.

일반적인 『아피키우스』와는 완전히 다른 사본이 존재한다. 발췌본인 "유명한 비니다리우스가 아피키우스에서 발췌한 것"(APICI EXCERPTA A VINIDARIO VIR INLV(S)T)이다[13].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대 이후, 즉 8세기에 쓰여진 사본으로, 파리 국립 도서관의 사본집 Parisinus latinus 10318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제목과는 달리 이 소책자는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아피키우스』에서 발췌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공통된 요리도 있어 어떤 관계가 있는 다른 판본이다.

5. 3. 번역

1498년 밀라노에서, 1500년 베네치아에서 『아피키우스』의 초기 교정판이 발행되었다. 이후 4세기 동안 많은 교정판이 출판되었으며, 1867년 하이델베르크에서 C. T. Schuch가 출판한 교정판은 비니다리우스의 발췌본을 포함하여 오랫동안 결정판으로 여겨졌다.[13]

1936년 조셉 도마스 베링이 『''Cookery and Dining in Imperial Rome''』이라는 제목으로 첫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고, 1977년 도버 출판에서 재출판되었다. 그러나 베링의 라틴어 지식 부족과 이후 더 실용적인 번역본의 등장으로 현재는 역사적인 가치만 지닌다.

1498년부터 1936년까지 14종의 라틴어 교정판이 출판되었고, 1852년 처음으로 이탈리아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20세기에는 독일어프랑스어 번역본도 출판되었다. 1978년에는 牟良 依子|무라 요코타 노리코일본어에 의한 일본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5. 3. 1. 한국어 번역본

쇼가쿠칸에서 1997년에 千石玲子일본어가 번역하고 塚田孝雄일본어가 해설한 아피키우스의 『고대 로마의 조리 노트』가 〈지구인 라이브러리〉 시리즈로 출판되었다.

6. 현대적 의의 및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현대적 의의 및 평가'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문서 Lindsay, p. 144
[2] 서적 Salt: A World History Alfred A. Knopf Canada 2002
[3] 논문 Cuisiner à l'Antique : Apicius au Moyen Age https://www.persee.f[...] 2020-06-13
[4] 문서 The Roman Cookery Book
[5] 문서 The Roman Cookery Book
[6] 웹사이트 Romans in Britain - Recipe for Aliter haedinam sive agninam excaldatam (Lamb Stew) https://romanobritai[...] 2024-10-11
[7] 웹사이트 https://silkroadgour[...] 2024-10-11
[8] 문서 Apicius: A Critical Edition with an Introduction and an English Translation
[9] 논문 Leyden and the 'fortuna' of Apicius https://www.jstor.or[...] 2024-04-24
[10] 웹사이트 Bertrand GUÉGAN – Académie française http://www.academie-[...]
[11] 서적 歴メシ!世界の歴史料理をおいしく食べる 柏書房 2017-07-24
[12] 웹사이트 アピキウス 『料理帖』 - インキュナブラコレクション https://dcollections[...] 慶應義塾大学 2022-11-19
[13] 문서 ヴィニダリウスについては何一つ知られていない。ただ[[ゴート人]]の可能性があり、ゴート風の名前がVinithaharjisと言う事だけは明らかになっている。
[14] 문서 タイトルは『''In re quoquinaria''』となっ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