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티나 도이힐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한국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이다. 라이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 수학했으며,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며, 특히 유교와 한국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유교적 신사들과 야만인 사절》, 《한국의 유교적 변환》, 《조상의 눈 아래》 등이 있으며, 한국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문화훈장(은관), 아시아학회 평생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안드레 에글리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그라스호퍼 등 여러 클럽에서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을 경험한 안드레 에글리는 은퇴한 스위스 축구 선수이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칼 뮐러 (기업인)
    칼 뮐러는 스위스에서 태어나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한국에서 사업을 하다가 건강 문제로 귀향한 후 논바닥에서 영감을 얻어 MBT 신발을 개발하여 신발 업계에 혁신을 일으켰으며, 현재는 기분 신발과 매트를 생산, 판매하고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스위스의 역사가 - 하인리히 뵐플린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미술사를 양식 발달의 문제로 보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을 대비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특히 《미술사의 기초 개념》에서 다섯 가지 대비되는 표현 방식으로 미술 양식의 변천을 설명하여 미술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역사가 - 필립 샤프
    스위스 태생 미국 개혁교회 신학자이자 교회사학자인 필립 샤프는 머서스버그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기독교 교회사》와 《크리스트교 신조》 등의 저서를 통해 교회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큐메니즘 운동 참여와 미국 표준 성경 번역 위원회 위원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다.
  • 스위스의 저술가 - 엘리아스 카네티
    엘리아스 카네티는 불가리아 출신의 작가이자 사회학자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는 사회 비판적 소설 『현혹』, 군중 심리 분석 논문 『군중과 권력』, 회고록 3부작 등이 있다.
  • 스위스의 저술가 - 파라켈수스
    파라켈수스는 15세기 스위스 출신 의사이자 연금술사, 철학자로, 의학에 화학적 지식을 도입하고 독성학 개념을 정립했으며, 전통 의학에 도전하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한 르네상스 시대의 인물이다.
마르티나 도이힐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르티나 도이힐러
원어 이름Martina Deuchler (Martina Deuchler)
출생일1935년 9월 23일
출생지스위스 취리히
직업역사학자, 저술가, 대학 교수
학력하버드 대학교
수상용재학술상
은관문화훈장
학문 분야
전공역사학 (한국사)
연구 분야조선 시대사, 성리학
주요 저서
저서"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ŏn Korea
Under the Shadow of the Dominator
기타
언어독일어, 영어, 한국어

2. 생애와 교육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중국 및 일본 연구를 통해 한국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서구에서 한국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에 라이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등 유수의 대학에서 교육을 받으며 학문적 기반을 쌓았다. 그녀는 서구 학계의 초기 한국사 연구자 중 한 명으로, 역사학과 사회 인류학을 접목한 독창적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한국 사회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1954년부터 1959년까지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에서 고전 및 현대 중국어와 역사, 그리고 고전 및 현대 일본어와 문학을 공부했다. 그녀는 1957년에 중국어 및 일본어 학사 학위를 우등으로 받았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 그녀는 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지역 연구 프로그램의 장학생으로 중국과 일본의 현대사 연구를 계속했다. 그녀의 지도교수는 존 K. 페어뱅크 교수와 에드윈 O. 라이샤워 교수였다. 그녀는 1967년 "한국의 개항, 1875–1884"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역사 및 극동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1972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모리스 프리드먼 교수와 함께 사회 인류학을 연구했다. 1979년 10월 그녀는 "초기 조선의 유교와 사회 구조"라는 제목의 두 번째 논문(하빌리타치온)을 취리히 대학교에 제출하여 고전 한학 및 한국학 분야에서 강의 허가를 받았다.

2. 2. 한국학 연구 활동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중국 및 일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서구에서 한국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에 라이덴, 하버드, 옥스퍼드에서 교육을 받았다. 최초의 서구 학자 중 한 명으로서 한국사를 연구하여 ''유교적 군자와 야만 사신'' (1977), ''한국의 유교적 변환'' (1992), ''조상의 눈 아래서'' (2015)와 같은 주요 저작들을 출판했다. 역사와 사회 인류학을 결합한 독창적인 학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사를 탐구하는 틀을 만들었으며, 이 틀 안에서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토지 엘리트와 그들의 인식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학이 20세기 후반 학문 분야로 부상하면서, 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몇몇 유럽 대학에 고립되어 있던 한국 전문가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했으며, 1977년 유럽 한국학회(AKSE)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녀는 수많은 학술 워크숍과 학술 회의에 참여했으며, 그중 일부는 직접 조직하기도 했다. 1988년부터 2000년 은퇴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의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래의 한국학 연구자들을 교육하고 한국학을 학문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헌신했다. 그녀는 현재도 연구자 및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기간내용
1967–1969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연구원으로 한국 연구
1973–1975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SNSF) 프로젝트 "한국의 역사"의 일환으로 한국 연구
1978–1988스위스 아시아학회(Schweizerische Gesellschaft für Asienkunde) 이사회 선출 위원
1983–1986미시간 대학교 앤아버 소재 아시아학회(AAS) 한국학 위원회(CKS) 위원
1983–1988스위스 아시아학회 회장
1975–1988취리히 대학교에서 한국 역사 및 언어 강의
1980–1983사회과학 연구 위원회 및 미국 학술 단체 협의회(SSRC/ACLS) 한국학 공동 위원회 위원
1987–1988스위스 과학 아카데미 연구 위원회(베른) 선출 위원
1988–1991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선임 강사
1989–1998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센터 의장
1991–1993유럽 한국학회(AKSE) 회장
1991–2001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교수
2000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방문 위원회(하버드 칼리지 감독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1코넬 대학교 한국사 초빙 교수
2002–2005한국국제교류재단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
2004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방문 위원회(하버드 칼리지 감독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4한국학중앙연구원 초빙 교수 (서울)
2006라이덴 대학교 비서구 언어 및 문화 방문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2–2014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센터 연구 교수
2008–2009서강대학교 한국사 초빙 교수 (서울)


2. 3. 유럽 한국학 발전 기여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중국 및 일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서구에서 한국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에 라이덴, 하버드, 옥스퍼드에서 교육을 받았다. 최초의 서구 학자 중 한 명으로서 한국사를 연구하여 ''유교적 군자와 야만 사신'' (1977), ''한국의 유교적 변환'' (1992), ''조상의 눈 아래서'' (2015)와 같은 주요 저작들을 출판했다. 역사와 사회 인류학을 결합한 독창적인 학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사를 탐구하는 틀을 만들었으며, 이 틀 안에서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토지 엘리트와 그들의 인식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학이 20세기 후반 학문 분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유럽 대학에 흩어져 있던 한국 전문가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했다. 1977년에는 유럽 한국학회(AKSE)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 또한 수많은 학술 워크숍과 학술 회의에 참여했으며, 일부는 직접 조직하기도 했다.

1988년부터 2000년 은퇴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의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며 미래의 한국학 연구자들을 교육하고 한국학을 학문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헌신했다. 은퇴 후에도 연구자 및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내용
1967–1969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연구원으로 한국 연구
1973–1975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SNSF) 프로젝트 "한국의 역사"의 일환으로 한국 연구
1978–1988스위스 아시아학회(Schweizerische Gesellschaft für Asienkunde) 이사회 선출 위원
1983–1986미시간 대학교 앤아버 소재 아시아학회(AAS) 한국학 위원회(CKS) 위원
1983–1988스위스 아시아학회 회장
1975–1988취리히 대학교에서 한국 역사 및 언어 강의
1980–1983사회과학 연구 위원회 및 미국 학술 단체 협의회(SSRC/ACLS) 한국학 공동 위원회 위원
1987–1988스위스 과학 아카데미 연구 위원회(베른) 선출 위원
1988–1991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선임 강사
1989–1998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센터 의장
1991–1993유럽 한국학회(AKSE) 회장
1991–2001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교수
2000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방문 위원회(하버드 칼리지 감독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1코넬 대학교 한국사 초빙 교수
2002–2005한국국제교류재단 국제 자문 위원회 위원
2004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방문 위원회(하버드 칼리지 감독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4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빙 교수
2006라이덴 대학교 비서구 언어 및 문화 방문 위원회 위원; 한국 프로그램 담당
2002–2014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 한국학 센터 연구 교수
2008–2009서울 서강대학교 한국사 초빙 교수


3. 주요 연구 및 업적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50년 이상 한국 연구에 헌신하며 한국사, 특히 사회 인류학적 관점에서 조선 시대 사회 구조와 유교 이념의 관계를 탐구한 선구적인 서양 학자이다. 그녀의 연구는 서구 학계에 한국 사회와 역사를 깊이 있게 이해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도이힐러는 규장각 자료 연구와 경상북도 등지에서의 현지 조사를 병행하며, 신유학이 한국 사회, 특히 친족 제도와 여성의 지위에 미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가문과 혈연을 중심으로 한 한국 엘리트 사회의 역사적 형성 과정에 주목하여 독창적인 연구 성과를 남겼다. 그녀의 주요 저작들은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용과 그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연구 관련 자료들은 2017년부터 취리히 대학교 민족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3. 1. 한국 사회사 연구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50년 이상 한국에서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1960년대 서양 도서관에는 한국 관련 역사 자료가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그녀는 1967년부터 1969년까지 한국에 머물며 옛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시기의 연구 결과는 19세기 말 일본과 서구 열강에 의한 한국의 외교적 개방 과정을 다룬 저서 ''유교적 군자와 야만인 사절''(1977)로 출판되었다.

같은 시기, 도이힐러는 유교 의례, 특히 조상 숭배에 대한 현지 조사를 병행했다. 남편인 최창영 박사와의 인연으로 서양 연구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경상북도 외딴 지역의 사회·종교적 전통과 의례를 깊이 있게 관찰할 수 있었다. 그녀는 이러한 관찰 내용을 수많은 컬러 슬라이드로 기록했다. 이후 1972년, 도이힐러는 사회인류학 연구를 위해 모리스 프리드먼이 있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두 번째 한국 체류 기간 동안에는 기록 자료 연구와 현지 조사를 통해 한국 사회사에 대한 이해를 더욱 넓혔다.

이러한 연구의 결실로 1992년, 그녀의 대표작이자 학계의 높은 평가를 받은 ''한국의 유교적 변환''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한국어와 일본어(일부)로도 번역되었으며, 중국 신유학이 조선 시대(1392–1910)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사회·정치 이념으로서의 신유학이 본래 양측적 성격을 지녔던 한국 사회를 점차 부계 사회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추적했다.

도이힐러는 한국의 사회사 및 지성사, 특히 신유학에 대한 오랜 연구와 한국 학자들과의 꾸준한 교류를 바탕으로 2015년 ''조상의 눈 아래''를 출판했다. 이 저서에서 그녀는 한국의 엘리트 사회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문 집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음을 주장했다. 즉, 근대 이전 한국 사회에서는 정치적 지위보다 개인의 사회적 배경(출생과 가문)이 엘리트 신분을 규정하는 데 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마르티나 도이힐러의 연구 관련 자료들은 2017년부터 취리히 대학교 민족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 2. 주요 저서


  • "초기 이씨 조선의 신유학: '예(禮)'의 역할에 대한 몇 가지 고찰", ''한국 저널'' 제15권, 5호 (1975년 5월): 12–18쪽. ''한국 철학: 그 전통과 현대적 변환'',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편저. Elizabeth, N.J. 및 서울: Hollym, 2004, 43–54쪽.에서 재인쇄.
  • ''Confucian Gentlemen and Barbarian Envoys: The Opening of Korea, 1875-1885eng'' (유교적 신사들과 야만인 사절: 한국 개방, 1875-1885). 시애틀: 워싱턴 대학교 출판부, 1977. 310쪽. 두 번째 인쇄: 1983년.
  • "전통: 이씨 왕조 시대의 여성". ''갈등 속의 미덕: 오늘날 한국 여성과 전통''. Sandra Mattielli 편집. 서울: 왕립 아시아 학회, 1977. 1–47쪽. 두 번째 인쇄: 1983년.
  • "Koreanische Musikdeu" (이혜구와 공동 작업)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Kassel: Bärenreiter Verlag, 1980. ''Aussereuropäische Musik in Einzeldarstellungen.'' München 및 Kassel: dtv 및 Bärenreiter Verlag, 1980.에서 두 번째 인쇄.
  • "신유학: 초기 이씨 왕조 한국의 사회적 행동의 충동," ''한국학 저널'' 2 (1980): 71-111쪽.
  • "인간 통치를 위한 자기 수양: 이씨 조선 초기 신유학 정통성의 시작," ''아시아 연구'' XXXIV.2 (1980): 9-39쪽.
  • "거짓을 거부하고 바름을 옹호하라: 초기 이씨 조선의 이단적 사상에 대한 태도." ''한국 신유학의 부상''에서. Th. William de Bary 및 김자현 편집.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1985. 375–410쪽.
  • "실천하는 신유학: 초기 이씨 조선의 아그나티온(부계 친족)과 조상 숭배." ''한국 사회의 종교와 의례''에서. Laurel Kendall 및 Griffin Dix 편집. 동아시아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한국 연구 모노그래프 12, 1987. 26–55쪽.
  •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eng'' (한국의 유교적 변환 - 사회와 이데올로기 연구). 하버드-옌칭 연구소 모노그래프, 제36호. 캠브리지, 매사추세츠: 동아시아 간행물 위원회, 하버드 대학교, 1992. 439쪽. 페이퍼백 판, 1994. 한국어 번역: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 역. 이훈상. 서울: 아카넷, 2003. 제2 한국어판: 서울: 너머 books, 2013.
  •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ôn Koreaeng'' (조선 후기 문화와 국가) (김자현과 공저). 하버드 동아시아 모노그래프 182, 하버드-할림 시리즈. 캠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교 아시아 센터, 1999.
  • "유교의 실천: 조선 왕조 한국의 의례와 질서." ''유교 재고: 중국, 일본, 한국 및 베트남의 과거와 현재''에서. Benjamin Elman, John B. Duncan, Herman Ooms 편집. 로스앤젤레스: UCLA 아시아 태평양 모노그래프 시리즈,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2002. 292–334쪽.
  • "조선 시대 한국 여성의 미덕 전파." ''중국, 한국, 일본의 전근대 시대 여성과 유교 문화''에서. Dorothy Ko, 김자현, and Joan R. Piggott 편집.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2003. 142–169쪽.
  • "광산 김씨의 추상적 역사." ''국역 오천 세고''(현대 한국어로 ''오천 세고'' 번역),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2005. 2권.
  • ''Under the Ancestors' Eyes: Kinship, Status, and Locality in Premodern Koreaeng'' (조상의 눈 아래에서 -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하버드 동아시아 모노그래프 378. 캠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교 아시아 센터, 2015.
  • "김치-한국에 대한 기억." ''S(e)oul food. Koreanisch-kulinarische Erinnerungen mit Bildern von Cookie Fischer-Han.deu'' (서울 음식. 쿠키 피셔-한의 사진과 함께하는 한국의 요리 기억). Mareile Flitsch 편집. 취리히: 취리히 대학교 민족학 박물관, 2016. 64–67쪽.

3. 3. 학문적 기여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중국 및 일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서구에서 한국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에 라이덴, 하버드, 옥스퍼드에서 교육을 받으며 한국사 연구에 뛰어든 초창기 서구 학자 중 한 명이다. 역사학과 사회 인류학을 결합한 독창적인 연구 방식을 통해 한국 사회사를 탐구하는 틀을 마련했으며, 특히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역사적 변화 속에서 토지 엘리트 계층과 그들의 인식을 연구했다.

도이힐러는 50년 이상 한국에서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1960년대 서양 도서관에 한국 관련 사료가 부족하자, 1967년부터 1969년까지 직접 한국에 와서 옛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에서 연구했다. 이 시기의 연구는 19세기 말 일본과 서구 열강에 의한 한국의 외교적 개방 과정을 다룬 첫 주요 저작 ''유교적 군자와 야만인 사절'' (Confucian Gentlemen and Barbarian Envoys: The Opening of Korea, 1875-1885eng, 1977)의 출판으로 이어졌다.

이후 도이힐러는 유교 의례, 특히 조상 숭배에 대한 현장 연구도 병행했다. 남편 최창영 박사와의 인연 덕분에 서양인에게는 접근이 어려웠던 경상북도 외딴 시골 지역의 사회적, 종교적 전통과 의례를 직접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었다. 1972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모리스 프리드먼과 함께 사회 인류학을 공부했으며, 1973년부터 1975년까지 한국에 다시 머물며 기록 연구와 현장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했다. 이러한 연구는 신유학이 조선 시대(1392–1910) 한국 사회를 강력한 부계 사회로 변화시킨 과정을 분석한 대표작 ''한국의 유교적 변환''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eng, 1992)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 책은 한국 사회 구조의 핵심적 변화를 깊이 있게 다루어 널리 호평받았으며, 한국어와 일본어로도 번역되었다.

수년간의 사회사 및 지성사 연구, 특히 한국 신유학에 대한 탐구와 한국 학자들과의 꾸준한 교류를 바탕으로 2015년에는 ''조상의 눈 아래'' (Under the Ancestors' Eyes: Kinship, Status, and Locality in Premodern Koreaeng)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도이힐러는 전근대 한국 엘리트 사회가 정치적 지위보다는 혈연과 가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음을 주장하며, 한국 사회의 특징적인 구조를 역사적으로 분석했다.

주요 저작
제목출판 연도비고
Confucian Gentlemen and Barbarian Envoys: The Opening of Korea, 1875-1885eng (유교적 신사들과 야만인 사절: 한국 개방, 1875-1885)197719세기 말 조선의 개항 과정을 다룸.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eng (한국의 유교적 변환: 사회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1992신유학이 조선 사회를 부계 사회로 변화시킨 과정을 분석. 한국어 등으로 번역됨.
Under the Ancestors' Eyes: Kinship, Status, and Locality in Premodern Koreaeng (조상의 눈 아래: 전근대 한국의 친족, 지위 및 지역성)2015전근대 한국 엘리트 사회의 가문 중심 구조를 분석.



도이힐러는 연구 활동 외에도 한국학의 국제적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77년 유럽 한국학회(AKSE) 창립 멤버로서 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유럽 내 한국학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1988년부터 2000년 은퇴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에서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한국학을 독립된 학문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헌신했다. 은퇴 후에도 연구자 및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연구 자료는 2017년부터 취리히 대학교 민족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OCLC/WorldCat에 따르면 도이힐러의 저작은 18개 작품, 56개 출판물로 집계되며, 4개 언어로 출판되어 전 세계 1,694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

4. 수상 및 영예

연도내용
1993년위암 장지연 기념 한국학상
1995년하버드 대학교 라이샤워 기념 강연
1995년문화훈장 (은관), 대한민국
2001년연세대학교 한국학연구원 백낙준 학술상
2001년한국국제교류재단 "세계 한국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 감사패
2006년영국 학사원 통신 회원(H3)으로 선출
2008년영국 한국학회(BAKS) 명예 회원
2008년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학 공헌상
2009년아시아학회 (AAS), 평생 공로상[3]
2011년대한 왕립 아시아 학회 한국 지부 명예 회원, 서울
2018년취리히 대학교 인문학부 명예 학위


참조

[1] 간행물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http://d-nb.info/gnd[...] DNB
[2] 웹사이트 WorldCat Identities http://www.worldcat.[...] 2010-12-30
[3] 뉴스 2009 Award for Distinguished Contributions to Asian Studies http://www.aasianst.[...]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AS) 2011-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