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 진흥을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1978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설립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 개정 이후 200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한국학 연구, 교육, 자료 수집 및 편찬, 국제 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전통, 현대, 비교 한국학 연구, 한국학 관련 대학원 운영, 장서각 운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과학 연구소 -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으로, 1947년 고등연구실습원의 제6부문으로 시작하여 1975년 독립했으며, 앙날학파의 연구 전통을 계승하고 피에르 부르디외, 토마 피케티 등 저명한 학자들이 교수로 재직했다. - 사회과학 연구소 -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일본의 인구 문제와 사회 보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인구 추계, 사회 보장 비용 통계 작성, 기본 조사 등을 실시하며 국내외 연구를 수행한다. - 한국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79년 편찬 사업이 시작되어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총 27권으로 발간된 대한민국 민족 문화 백과사전이며, 2001년 디지털판으로 출시되어 한국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학 - 명심보감
《명심보감》은 선현들의 금언과 명구를 모아 1393년 명나라에서 처음 간행된 책으로, 조선 초기 국내 유입 후 널리 유통되었으며, 1592년에는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서양에 소개, 베트남에서도 활용되었고, 판본에 따라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조선시대 서당 교재로 사용, 관련 문화재로 청주본과 인흥재사본이 있다.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국가 교육근로장학금, 국가우수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문 명칭 |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學中央硏究院) |
영문 명칭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설립일 | 1978년 6월 30일 |
유형 | 국립대학 |
소속 | 교육부 |
소재지 |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50 |
좌표 | 37.390739, 127.059031 |
이전 명칭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웹사이트 | intl.aks.ac.kr |
약칭 | AKS |
부속 기관 | 장서각 (藏書閣) |
조직 | |
총장 | 안병욱 |
주소 | |
도로명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
2. 설립 근거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성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7]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전신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다. 1978년 6월 30일, 한국문화의 심층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3. 역사
문광스님에 따르면, 1970년대에 탄허스님은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도의적이고 공익적인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기관 설립을 제안했고, 그 결과 문과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과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설립되었다고 한다. 탄허는 박정희 대통령에게 미래를 위해 인재 부족, 식량 부족, 물 부족 등 세 가지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도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특별 교육 기관 설립을 제안하였다.
1978년 6월 22일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의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설립이 인가되었고,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개원하면서 이선근 박사가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1980년 3월 5일에는 한국학대학원이 개원했고, 같은 해 3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가 발족되었다. 1981년 6월에는 장서각 도서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이관되었다. 1991년 12월에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초판이 발간되었고, 1996년 2월에는 한국학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
2005년 1월 27일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중개정법률이 공포된 후, 2월 1일에는 현재의 명칭인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김정배(2008년), 정정길(2011년), 이배용(2013년), 이기동(2016년), 안병욱(2017년), 안병우(2020년), 김낙년(2024년)이 역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3. 1. 설립 배경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전신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다. 1978년 6월 30일, 한국문화의 심층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문광스님에 따르면, 1970년대에 탄허스님은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도의적이고 공익적인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기관 설립을 제안했고, 그 결과 문과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과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설립되었다고 한다. 탄허는 박정희 대통령에게 미래를 위해 인재 부족, 식량 부족, 물 부족 등 세 가지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도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특별 교육 기관 설립을 제안하였다.
3. 2. 연혁
1978년 6월 22일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의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설립이 인가되었고,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개원하면서 이선근 박사가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1980년 3월 5일에는 한국학대학원이 개원했고, 같은 해 3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가 발족되었다. 1981년 6월에는 장서각 도서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이관되었다. 1991년 12월에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초판이 발간되었고, 1996년 2월에는 한국학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
2005년 1월 27일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중개정법률이 공포된 후, 2월 1일에는 현재의 명칭인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김정배(2008년), 정정길(2011년), 이배용(2013년), 이기동(2016년), 안병욱(2017년), 안병우(2020년), 김낙년(2024년)이 역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4. 주요 사업
4. 1. 학술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전통한국학연구센터, 현대한국학연구센터, 비교한국학연구센터 등 3개 연구 센터를 중심으로 한국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학 연구정보를 집대성하고, 장단기 한국학 연구를 기획하며, 콜로키움과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한국학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있다. 또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Review of Korean Studies", "Korea Journal" 등 한국학 전문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전통한국학연구센터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재조명하고 그 계승 방식을 연구하며, 현대한국학연구센터는 한국 현대사회의 발전상과 운영 원리를 연구한다. 비교한국학연구센터는 한국과 외국의 사회와 문화를 비교 연구한다.
[http://ksps.aks.ac.kr/ 한국학진흥사업단]은 국내외 한국학 분야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4. 2.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 관련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연구 중심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인문학부(한국사학, 고문헌관리학, 철학, 국어학·국문학), 문화예술학부(인류학·민속학, 종교학, 음악학, 미술사학, 인문정보학), 사회과학부(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글로벌한국학부(한국문화학, 고전번역학) 등 4개 학부 16개 전공 및 교육과정이 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에게 한국어와 한국학 기초 소양을 교육하는 한국문화학당, 일반인에게 한문 고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청계서당을 운영하고 있다.4. 3. 자료 수집 및 편찬
장서각은 조선왕실 도서관으로 1908년 고종 때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8년 이왕직이 창덕궁에 설립한 서고의 이름인 '장서각(藏書閣)'에서 온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기록유산인 국가왕실문헌 및 민간사대부문헌을 관리·연구하는 도서관이자 학술연구기관이다. 1981년 대통령령 제10,588호 '문화재관리국직제개정령'에 의해 도서들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옮겨지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등 국가보물을 비롯하여, 사대부 문헌등 민간고문서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 유일한 원나라 법전 '지정조격'(총5권중 3권)을 보유하고 있어, 관련 국가의 관심이 높다.정보과학기술을 이용한 한국학 연구와 발전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을 벌이고 있다. 1991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초판본을 발간하였으며 다양한 한국의 지방문화를 소개하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시리즈 등을 만들고 있다. 2001년에는 디지털한국학 사이트가 청소년권장 최우수사이트로 선정되어 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한국학 지식 포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 사전등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국학저널'', ''한국학연구'', ''한국학분기보''등의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
4. 4. 국제 교류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해외에서 개최되는 한국학 관련 학술대회 지원, 한국학 관련 출판 지원 등 해외 한국학 진흥을 위한 사업과 국제 사회에서의 한국에 대한 이해 증진과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협력 연구 및 교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한국국제교류재단 등과의 업무 중복 문제로 인해 사업 전반에 대한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외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오류 및 시대착오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바로잡고, 친한국적인 서술을 유도하여 외국의 차세대들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교육부 위탁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국가 브랜드 향상을 위한 실질적 성과를 내고 있는 사업이고, 자칫 외교 문제로 번질 우려가 있는 민감한 사항인 외국 교과서의 수정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해당 담당자들이 지혜롭게 전략을 세워 매년 지속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특히, 2003년 이후 진행된 동 사업의 성과 내용을 보면 2013년 이후 급격한 성과를 내고 있는데, 외국 교과서의 개선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2010년 전후로 해당 업무에 인적, 물적 쇄신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5. 조직
5. 1. 한국학중앙연구원장
감사부와 한국학진흥사업단이 있다.한국학진흥사업단 산하에는 사업기획실과 사업관리실이 있다.
5. 1. 1. 부원장
6. 역대 원장
역대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다음과 같다.
7. 비판 및 논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해외 한국학 연구자 연구 지원, 한국학 관련 학술대회 및 출판 지원 등 해외 한국학 진흥 사업과 국제 사회에서의 한국 이해 증진 및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협력 연구 및 교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국제교류재단 등과의 업무 중복 문제로 인해 사업 전반에 대한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8.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韓國學中央硏究院)
http://www.doopedia.[...]
Doosan Encyclopedia
2008-04-27
[2]
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정관(PDF)
http://www.aks.ac.kr[...]
2018-11-20
[3]
문서
청계서당운영규정(PDF)
http://www.aks.ac.kr[...]
2018-11-20
[4]
웹사이트
蔵書閣 紹介
http://intl.aks.ac.k[...]
2018-11-20
[5]
웹사이트
韓国学資料の情報化
http://intl.aks.ac.k[...]
2018-11-20
[6]
웹사이트
韓国学知識コンテンツ編纂事業
http://intl.aks.ac.k[...]
2018-11-20
[7]
법률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성법 제1조(목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덕수·이배용의 민낯…초엘리트가 어째 이 모양인가 [아침햇발]
‘김건희 추가 금품수수 의혹’ 이배용 국교위원장 압수수색…권성동 구속영장
숭실대 한국학연구소, 제6차 콜로키움 '한국학의 미래와 전망Ⅵ-한국 무용의 정체성과 진화' 개최
김민전 “리박스쿨, 50명 갖고…” 김준혁 “5명이 나라도 팔았다”
조선 후기 학자 최한기 농업 저술 ‘농정회요’ 제1책과 제11책 찾았다
5월20일 알림
국민대 한국역사학과 북악사학회,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선정
'한국=마약 제조국' 외국 교과서 오류 방치…"직무유기" | JTBC 뉴스
재외공관, 외국 교과서 '한국 오류' 방치 논란…서경덕 "직무유기"
“지금이 한국학 전성기…다양성과 깊이 동시에 확장 중”
50회 월봉저작상에 서호철 교수
2월28일 인사
극우 정치·역사 왜곡에 세계 민주주의가 위험하다 [왜냐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