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마르티니크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93년 카리브컵에서 우승했다. CONCACAF 골드컵에는 7번 출전하여 200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으며, 카리브컵에서는 1993년 우승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최근에는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현재 다니엘 에렐, 케빈 파르세맹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마티니노) |
협회 | 마르티니크 축구 리그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북아메리카) |
하위 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카리브) |
감독 | 마르크 콜라 |
주장 | 다니엘 에렐 |
최다 출장 선수 | 다니엘 에렐 (97) |
최다 득점 선수 | 케빈 파르스망 (35) |
홈 경기장 | 스타드 피에르 알리케 드 디용 |
FIFA 코드 | MTQ |
FIFA 랭킹 | (정보 없음) |
Elo 최고 랭킹 | 64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94년 4월 14일 |
Elo 최저 랭킹 | 125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11년 9월, 2012년 3월 |
유니폼 정보 | |
![]() | |
![]() | |
첫 경기 | |
첫 경기 날짜 | 1931년 2월 11일 |
첫 경기 상대 | 바베이도스 |
첫 경기 결과 | 3–2 Martinique |
최대 점수차 승리 | 16–0 |
최대 점수차 승리 날짜 | 2012년 9월 5일 |
최대 점수차 승리 장소 | Le Lamentin, Martinqiue |
최대 점수차 패배 | 9–0 |
최대 점수차 패배 날짜 | 1993년 7월 11일 |
최대 점수차 패배 장소 | Mexico City, Mexico |
지역 대회 (CONCACAF 골드컵) | |
출전 횟수 | 8회 |
첫 출전 | 1993년 |
최고 성적 | 8강 (2002년) |
기타 지역 대회 (Coupe de l'Outre-Mer) | |
출전 횟수 | 3회 |
첫 출전 | 2008년 |
최고 성적 | 우승 (2010년) |
수상 내역 (카리브컵) | |
1983년 프랑스령 기아나 | 우승 |
1985년 바베이도스 | 우승 |
1993년 자메이카 | 우승 |
1994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 준우승 |
1988년 마르티니크 | 3위 |
1992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1996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200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2. 역사
프랑스 공화국의 해외 레지옹인 마르티니크는 FIFA의 회원이 아니므로 FIFA 월드컵 또는 FIFA가 직접 주최하는 대회에는 참가할 수 없다. 마르티니크 출신 선수들은 프랑스 시민으로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뛸 자격이 있다.
그러나 마르티니크는 CONCACAF 및 CFU의 회원 자격을 가지고 있어, 이 두 기구가 주최하는 모든 대회에는 참가할 수 있다. 프랑스 축구 연맹(FFF) 규정(제34조 6항)에 따르면, 관련 대륙 연맹의 관리 하에 FFF의 동의를 얻어 지역 리그가 팀을 구성하여 국제 스포츠 행사를 조직하거나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마르티니크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성과는 카리브컵과 그 전신인 CFU 챔피언십에서 거둔 총 3번의 우승이다. 1983년과 1985년에 CFU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1993년에는 카리브컵 정상에 올랐으며, 1994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비교적 최근의 성공으로는 2010년 쿠프 드 로트르-메르 우승이 있으며, 결승전에서 레위니옹을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5-3으로 승리했다.
CONCACAF 골드컵에는 여러 차례 참가했으며, 최고 성적은 2002년 대회에서 달성한 8강 진출이다. 당시 8강전에서 캐나다와 맞붙어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5-6으로 아쉽게 패배했다.
2. 1. 카리브컵 우승 (1993)
마르티니크는 카리브컵(CFU 챔피언십 포함)에 총 14번 출전하였다. 이 대회에서 총 3번의 우승을 기록했는데, 1983년, 1985년, 그리고 1993년에 정상에 올랐다. 특히 1993년 카리브컵 우승 이후 이듬해인 1994년 카리브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회 4강에도 5번 진출했다. 한편, 1990년 카리브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대회 기간 중 발생한 쿠데타 시도와 허리케인 '아서'의 영향으로 인해 대회를 마치지 못하고 귀국해야 했다.2. 2. CONCACAF 골드컵 도전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인 마르티니크는 FIFA 회원국이 아니므로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참가할 수 없다. 그러나 CONCACAF의 정회원국 자격으로 CONCACAF 골드컵에는 참가할 수 있다.[1] 마르티니크는 2023년 대회까지 총 8번 골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이 중 최고 성적은 2002년 대회에서 기록한 8강 진출이다. 당시 마르티니크는 조별리그에서 코스타리카에 패했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꺾고, 캐나다와 비기면서 조 2위로 8강에 올랐다. 8강에서는 다시 만난 캐나다와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5-6으로 아쉽게 패배하며 대회를 마감했다.[2]
마르티니크의 역대 CONCACAF 골드컵 본선 성적은 다음과 같다.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
1991 | 예선 탈락 | |||||||
1993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3 | 14 | |
1996 | 예선 탈락 | |||||||
1998 | ||||||||
2000 | ||||||||
2002 | 8강 | 3 | 1 | 1 | 1 | 2 | 3 | |
2003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0 | 3 | |
2005 | 예선 탈락 | |||||||
2007 | ||||||||
2009 | ||||||||
2011 | ||||||||
2013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2 | 4 | |
2015 | 예선 탈락 | |||||||
2017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4 | 6 | |
2019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5 | 7 | |
2021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0 | 3 | 3 | 12 | |
합계 | 7/16 | 20 | 4 | 2 | 14 | 19 | 49 |
2. 3. 최근 동향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위로 리그 A에 편입된 마르티니크는 온두라스, 트리니다드토바고와 함께 C조에 배정되어 3무 1패, 조 2위로 202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통산 7번째이자 3회 연속으로 진출했다.2022-23 시즌 리그 A에서는 B조에서 파나마, 코스타리카를 상대로 1무 3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에 머물렀으나, 리그 A 잔류에는 성공했다. 다만 이 결과로 2023년 CONCACAF 골드컵 예선으로 밀려났다.
2023-24 시즌 리그 A에서는 파나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퀴라소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다. 4경기에서 2승 1무 1패를 기록했으나 조 3위에 그쳐 8강 진출권을 파나마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내주었다.
다음은 지난 12개월간의 경기 결과와 예정된 향후 경기 목록이다.
날짜 | 대회 | 상대팀 | 결과 | 득점자 (마르티니크) | 장소 | 비고 |
---|---|---|---|---|---|---|
2024년 3월 24일 | 친선 경기 | -- 수리남 | 1–1 (무) | 라보 12' | -- 알메러 얀마 스타디온 | |
2024년 9월 5일 |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 -- 과테말라 | 1–3 (패) | 아핀 51' | -- 과테말라 시티 도르테오 과무치 플로레스 스타디움 | 관중: 14,006[3] |
2024년 9월 9일 |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 -- 가이아나 | 2–2 (무) | 라보 45+2', 바란 86' | -- 포르 드 프랑스 피에르 알리케르 스타디움 | |
2024년 10월 11일 |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 -- 과들루프 | 1–0 (승) | 라보 86' | -- 과들루프 | |
2024년 10월 15일 |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 -- 과들루프 | 0–0 (무) | -- 르 고지에 스타드 로제 자미 | 마르티니크의 홈 경기였으나, 2024년 마르티니크 사회 불안 관련 안전 문제로 과들루프에서 개최.[4][5][6] 관중: 1,550 | |
2025년 3월 | 2025 CONCACAF 골드컵 예선 | -- 수리남 | 예정 | -- 수리남 | ||
2025년 3월 | 2025 CONCACAF 골드컵 예선 | -- 수리남 | 예정 | -- 마르티니크 |
프랑스 공화국의 해외 레지옹인 마르티니크는 FIFA의 회원이 아니므로 FIFA 월드컵이나 FIFA가 직접 주최하는 대회에는 참가할 수 없다. 마르티니크 출신 선수들은 프랑스 시민으로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뛸 자격이 있다.
3. 대회 기록
그러나 마르티니크는 CONCACAF 및 CFU의 회원국이기 때문에, 이 두 기구가 주최하는 모든 대회에는 참가할 자격이 있다. 프랑스 축구 연맹(FFF) 규정(제34조 6항)에 따르면, 관련 대륙 연맹의 관리 하에 FFF의 동의를 얻어 지역 리그가 팀을 구성하여 국제 스포츠 행사를 조직하거나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마르티니크가 거둔 주요 성과로는 1993년 카리브컵 우승, 카리브컵의 전신인 CFU 챔피언십 2회 우승, 2010년 쿠프 드 로트르-메르 우승 등이 있다. CONCACAF 골드컵에서는 200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3. 1. CONCACAF 골드컵
CONCACAF 골드컵 본선에는 2023년 대회까지 총 8번 출전했다. 이 중 200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마르티니크 축구 역사상 골드컵 역대 최고 성적이다. 당시 8강전에서는 캐나다를 상대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나 5-6으로 아쉽게 패배했다.
CONCACAF 골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91 | 예선 탈락 | ||||||||
1993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3 | 14 | 1 |
1996 | 예선 탈락 | ||||||||
1998 | |||||||||
2000 | |||||||||
2002 | 8강 | 6위 | 3 | 1 | 1 | 1 | 2 | 3 | 4 |
2003 | 조별리그 | 12위 | 2 | 0 | 0 | 2 | 0 | 3 | 0 |
2005 | 예선 탈락 | ||||||||
2007 | |||||||||
2009 | |||||||||
2011 | |||||||||
2013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2 | 4 | 3 |
2015 | 예선 탈락 | ||||||||
2017 | 조별리그 | 3 | 1 | 0 | 2 | 4 | 6 | 3 | |
2019 | 조별리그 | 12위 | 3 | 1 | 0 | 2 | 5 | 7 | 3 |
2021 | 조별리그 | 3 | 0 | 0 | 3 | 3 | 12 | 0 | |
합계 (7회 진출) | 8강 (1회) | 20 | 4 | 2 | 14 | 19 | 49 | 14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승패가 갈린 경기도 포함된다.
-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7위'''
3. 2.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3위를 차지하여 리그 A에 진출했다. 리그 A에서는 온두라스,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함께 C조에 배정되었다. 조별리그 결과 3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202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통산 7번째이자 3회 연속으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2022-23 시즌에는 리그 A B조에서 파나마, 코스타리카와 맞붙었다. 4번의 경기에서 1무 3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리그 A 잔류에는 성공했다. 그러나 이 성적으로 인해 2023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직행 대신 예선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2023-24 시즌 리그 A에서는 파나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퀴라소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다. 4경기에서 2승 1무 1패를 기록했으나 조 3위에 머물러 8강 진출에는 실패했고, 8강 진출권은 파나마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돌아갔다.
3. 3. 카리브컵
카리브컵에는 총 14번 출전하여 199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듬해인 1994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4강에도 5번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1990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대회 도중 발생한 쿠데타 시도와 허리케인 '아서'의 영향으로 대회 일정을 모두 마치지 못하고 귀국해야 하는 아쉬움을 남겼다.카리브컵의 전신인 CFU 챔피언십에서는 1983년과 1985년에 두 차례 우승했으며, 1988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CFU 챔피언십 기록'''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78 (트리니다드 토바고) | 예선 탈락 | ||||||
1979 (수리남) | |||||||
1981 (푸에르토리코) | |||||||
1983 (프랑스령 기아나) | 우승 | 3 | 2 | 1 | 0 | 5 | 1 |
1985 (바베이도스) | 우승 | 3 | 2 | 1 | 0 | 5 | 2 |
1988 (마르티니크) | 준우승 | - | - | - | - | - | - |
합계 | 3/6 | 6 | 4 | 2 | 0 | 10 | 3 |
'''카리브컵 기록'''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89 (바베이도스) | 예선 탈락 | ||||||
1990 (트리니다드 토바고) | 중단 | 2 | 1 | 1 | 0 | 4 | 2 |
1991 (자메이카)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4 | 2 |
1992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5 | 2 | 1 | 2 | 10 | 6 |
1993 (자메이카) | 우승 | 5 | 3 | 2 | 0 | 8 | 3 |
1994 (트리니다드 토바고) | 준우승 | 5 | 3 | 1 | 1 | 12 | 10 |
1995 (케이맨 제도/자메이카) | 예선 탈락 | ||||||
1996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5 | 2 | 1 | 2 | 6 | 4 |
1997 (앤티가 바부다/세인트키츠 네비스) | 조별 리그 탈락 | 2 | 1 | 0 | 1 | 2 | 3 |
1998 (자메이카/트리니다드 토바고)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7 | 8 |
1999 (트리니다드 토바고) | 예선 탈락 | ||||||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 3위 | 5 | 3 | 0 | 2 | 6 | 8 |
2005 (바베이도스) | 예선 탈락 | ||||||
2007 (트리니다드 토바고)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0 | 2 | 4 | 8 |
2008 (자메이카) | 예선 탈락 | ||||||
2010 (마르티니크)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1 | 3 |
2012 (앤티가 바부다) | 4위 | 5 | 2 | 2 | 1 | 5 | 3 |
2014 (자메이카)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3 | 4 |
2017 (마르티니크) | 4위 | 2 | 0 | 0 | 2 | 1 | 3 |
합계 | 14/19 | 51 | 21 | 11 | 19 | 73 | 67 |
3. 4. 기타 국제 대회
카리브컵의 전신인 CFU 챔피언십에는 총 6번의 대회 중 3번 본선에 진출하여 1983년과 1985년 대회에서 우승했고, 1988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CFU 챔피언십 성적'''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
1978 | 예선 탈락 | ||||||
1979 | |||||||
1981 | |||||||
1983 | 우승 | 3 | 2 | 1 | 0 | 5 | 1 |
1985 | 우승 | 3 | 2 | 1 | 0 | 5 | 2 |
1988 | 준우승 | - | - | - | - | - | - |
합계 | 3/6 | 6 | 4 | 2 | 0 | 10 | 3 |
해외 영토컵(Coupe de l'Outre-Mer|쿠프 드 루토르 메르프랑스어)에서는 2010년 대회에서 레위니옹을 승부차기 끝에 5-3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2008년과 2012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해외 영토컵 성적'''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
2008 | 준우승 | 4 | 2 | 1 | 1 | 3 | 2 |
2010 | 우승 | 4 | 2 | 1 | 1 | 8 | 3 |
2012 | 준우승 | 4 | 2 | 1 | 1 | 9 | 5 |
합계 | 3/3 | 12 | 6 | 3 | 3 | 20 | 10 |
4. 선수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을 거쳐간 주요 선수로는 조르디 셀렝, 세바스티앙 크레노아, 다니엘 에렐르, 스테판 아볼, 크리스토프 주공, 카를 비툴랭 등이 있다. 현재 활동 중인 선수 명단과 역대 주요 기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관련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0월 11일과 15일에 과들루프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 소집되었다.[7]''2024년 10월 15일, 과들루프와의 두 번째 경기 이후의 출장 횟수와 골.''[8]
포지션 | 선수명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팀 |
---|---|---|---|---|---|
골키퍼 | 야니스 클레멘티아 | 1997년 7월 5일 | 18 | 0 | 캉 |
골키퍼 | 알드릭 불루아 | 2001년 10월 5일 | 0 | 0 | 클럽 프랑시스캥 |
수비수 | 패트릭 버너 | 1996년 4월 11일 | 15 | 4 | 님 |
수비수 | 조나단 리비에레즈 | 1989년 5월 18일 | 14 | 1 | FBBP01 |
수비수 | 조리스 무타치 | 1997년 11월 4일 | 8 | 0 | 잘기리스 빌뉴스 |
수비수 | 보리스 몰테니스 | 1999년 5월 8일 | 4 | 0 | 소쇼 |
수비수 | 톰 라프누일 | 2001년 2월 9일 | 2 | 0 | CSKA 1948 |
수비수 | 해럴드 보이에 | 1997년 3월 26일 | 1 | 0 | 르 망 |
수비수 | 하인리히 메리보 | 1998년 9월 16일 | 0 | 0 | 에글롱 |
미드필더 | 시릴 만두키 | 1991년 8월 21일 | 17 | 1 | 파리 FC |
미드필더 | 타릭 카벨란 | 2001년 9월 26일 | 10 | 0 | 클럽 프랑시스캥 |
미드필더 | 노르망 그렐레 | 1993년 7월 14일 | 7 | 0 | 골든 라이온 |
미드필더 | 루카스 아르덴 | 2001년 1월 25일 | 3 | 0 | 생 조제프 |
미드필더 | 조나단 바란 | 2001년 9월 9일 | 2 | 0 | 퀸스 파크 레인저스 FC |
공격수 | 조니 마라조 | 1993년 10월 12일 | 32 | 2 | 클럽 프랑시스캥 |
공격수 | 브라이턴 라보 | 1996년 1월 1일 | 20 | 8 | 로잔-스포르 |
공격수 | 앙리크 레우페르네 | 1998년 8월 3일 | 18 | 0 | 아소 |
공격수 | 미카엘 비론 | 1997년 8월 26일 | 17 | 7 | OH 루벤 |
공격수 | 칼 파비앙 | 2000년 8월 1일 | 15 | 3 | 슬라비아 소피아 |
공격수 | 가브리엘 빌롱 | 1997년 12월 19일 | 5 | 1 | 골든 스타 |
공격수 | 제레미 포르상-클레멘테 | 1997년 12월 16일 | 2 | 0 | 발미에라 |
4. 2. 주요 선수 기록
아래는 마르티니크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기록 보유 선수들이다. '''굵은 글씨'''는 현재 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를 나타낸다.'''최다 출장 선수'''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기간 |
---|---|---|---|---|
1 | 다니엘 에렐 | 97 | 3 | 2006–현재 |
2 | 세바스티앙 크레티누아 | 66 | 3 | 2004–2021 |
3 | 스테판 아보 | 61 | 9 | 2010–2022 |
4 | 카를 비툴린 | 60 | 2 | 2010–2023 |
5 | 패트릭 페르신 | 58 | 19 | 1998–2010 |
6 | 케빈 파르세망 | 56 | 35 | 2008–2022 |
7 | 호세-티에리 고론 | 50 | 17 | 1998–2010 |
에디 에르리에 | 50 | 0 | 2001–2010 | |
9 | 조르디 들렘 | 47 | 7 | 2012–2019 |
10 | 스티브 구스탕 | 44 | 9 | 2006–2013 |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기간 |
---|---|---|---|---|
1 | 케빈 파르세맹 | 35 | 56 | 2008–2022 |
2 | 패트릭 페르생 | 19 | 58 | 1998–2010 |
3 | 호세-티에리 고롱 | 17 | 50 | 2002–2014 |
4 | 로돌프 라노 | 12 | 14 | 1996–2002 |
5 | 스티브 귕탕 | 9 | 44 | 2006–2013 |
스테판 아보 | 9 | 61 | 2010–2022 | |
7 | 미카엘 비롱 | 7 | 15 | 2018–현재 |
브라이튼 라보 | 7 | 18 | 2022–현재 | |
조르디 들렘 | 7 | 47 | 2012–2019 | |
10 | 얀 지리에-두푸르니에 | 6 | 11 | 2003–2006 |
자비에 불레 | 6 | 29 | 2001–2008 | |
가엘 제르마니 | 6 | 34 | 2003–2014 | |
2021년 7월 18일 기준, 2021년 CONCACAF 골드컵에 소집된 23명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2]
; 골키퍼
- 로익 쇼베
- 아르노 위그
- 질 메스리앙
; 수비수
- 세바스티앙 크레티누아
- 제랄 드동
- 얀 티몽
- 장 실뱅 바뱅
- 요르단 티몽
- 사뮈엘 카미유
- 주니오르 미샬레
; 미드필더
- 다니엘 에렐
- 스테판 아볼
- 카를 비툴랭
- 로마리오 바르텔리
- 노르망 그루레
- 트레지당 이자크
; 공격수
- 크리스토프 주공
- 조니 마라조
- 그레고리 파스텔
- 케빈 포르튀네
- 에마뉘엘 리비에르
- 앙리크 루페르느
- 패트릭 뷔르넬
참조
[1]
웹사이트
Allez Matinino!
https://web.archive.[...]
2010-08-18
[2]
웹사이트
Matinino en Présentation
https://web.archive.[...]
2010-09-08
[3]
웹사이트
Guatemala 3-1 Martinique (Sep 5, 2024) Final Score
https://www.espn.com[...]
ESPN
2024-09-06
[4]
간행물
The League A (Group B) match between Martinique and Guadeloupe...
2024-10-12
[5]
웹사이트
Change of venue for the return leg of the Antilles Derby
https://www.facebook[...]
Ligue de football de la Martinique
2024-10-13
[6]
웹사이트
CONCACAF : The return match between Guadeloupe and Martinique will be played in Le Gosier
https://rci.fm/deuxi[...]
Radio Caraïbes International
2024-10-13
[7]
웹사이트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4-10-09
[8]
웹사이트
Martinique vs. Guadeloupe
https://it.soccerway[...]
2024-10-15
[9]
웹사이트
Martinique
https://www.national[...]
2022-08-08
[10]
문서
[11]
문서
[12]
URL
https://www.concaca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