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ACAF 골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ONCACAF 골드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주최하는 국가 대항 축구 대회이다. 1961년 CONCACAF 창설 이후 1963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1991년 CONCACAF 골드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멕시코와 미국이 역대 대회에서 강세를 보이며, 멕시코는 9번, 미국은 7번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까지 총 31개 팀이 참가했으며, 멕시코와 미국이 14회로 가장 많이 참가했다. 대회는 최우수 선수, 득점왕, 최우수 골키퍼, 페어플레이상, 영플레이어상 등을 시상하며, 캐나다, 멕시코, 미국 등에서 중계 방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여자 럭비 월드컵
여자 럭비 월드컵은 월드 럭비 주관의 최상위 여자 럭비 유니언 대회로, 199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개최 주기가 변경되어 현재는 홀수 해에 열리며, 뉴질랜드가 최다 우승국이다.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W 챔피언십
CONCACAF W 챔피언십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FIFA 여자 월드컵, 하계 올림픽, CONCACAF W 골드컵 예선을 겸하고, 미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였다. - CONCACAF 골드컵 - 2009년 CONCACAF 골드컵
2009년 CONCACAF 골드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최하여 2009년 7월에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멕시코가 미국을 꺾고 우승했고 미겔 사바가 최다 득점, 히오바니 도스 산토스가 최우수 선수, 케일러 나바스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받았다. - CONCACAF 골드컵 - 2011년 CONCACAF 골드컵
2011년 CONCACAF 골드컵은 2011년 6월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멕시코가 우승했고 하비에르 에르난데스가 최우수 선수상과 득점왕을 차지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CONCACAF 골드컵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회 이름 | CONCACAF 골드컵 |
로마자 표기 | CONCACAF Gold Cup |
스페인어 표기 | Copa Oro de la CONCACAF |
일본어 표기 | CONCACAFゴールドカップ |
주최 | CONCACAF |
창설 연도 | 1991년 |
참가 팀 수 | 16 (본선) |
참가 자격 팀 수 | 41 (예선 참가 가능) |
지역 | 북아메리카 (북부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
관련 대회 | CONCACAF 챔피언십 |
웹사이트 | concacaf.com/gold-cup |
대회 역사 | |
이전 명칭 | CONCACAF 챔피언십 (1963–1991) |
첫 대회 | 1991년 |
1992년부터 2017년까지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 부여 |
역대 우승팀 | |
최다 우승팀 | 멕시코 (9회) |
현재 우승팀 | 멕시코 (9번째 우승) |
최근 대회 | |
현재 대회 | 2025년 CONCACAF 골드컵 |
이전 대회 | 2023년 CONCACAF 골드컵 |
기타 | |
미국 | yes |
2. 대회 역사
1961년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설립되기 전, 이 지역의 축구는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축구 연맹(CCCF)과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NAFC)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 연맹은 CCCF 챔피언십과 NAFC 챔피언십이라는 자체 대회를 개최했다. CCCF는 1941년부터 1961년까지 10번의 챔피언십을 개최했으며, 코스타리카가 7번 우승했다. NAFC는 1947년과 1949년에 4번의 챔피언십을 개최했고, 41년 만인 1990년과 1991년에 북아메리카 국가컵(North American Nations Cup)으로서 북아메리카 지역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에서 멕시코가 3번, 캐나다가 1번 우승했다.[3]
1961년 NAFC와 CCCF가 합병하여 CONCACAF가 설립되면서, 1963년에 제1회 CONCACAF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1991년까지 열렸으며, 1989년까지는 FIFA 월드컵 예선과 겹쳐서 열리기도 했다.
1991년부터 CONCACAF 골드컵이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변경되어 홀수 해마다 개최되고 있다. 다만 13회(CONCACAF 골드컵으로는 3회)부터 16회(CONCACAF 골드컵으로는 6회)까지는 1년씩 늦춰져 짝수 해에 개최되기도 했다.
북중미카리브해 지역 국가들이 참가하는 대회이지만, CONCACAF 이외 대륙 연맹의 회원국이 초청되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미국에서 개최되지만, 멕시코나 캐나다와 공동 개최되는 경우도 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은 최근 대회 우승국에 주어졌다. 그러나 2017년 대회 출전권은 최근 2개 대회 우승국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했다.[16][17]
멕시코, 미국, 캐나다는 예선이 면제되었고,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카리브컵,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가 예선 역할을 했다. 그러나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창설과 함께 2019년 골드컵은 2019년 네이션스리그와 함께 예선이 실시되었다.[18] 또한 2021년 골드컵에서는 2019년 네이션스리그 결과를 바탕으로 골드컵 출전팀과 골드컵 예선 출전팀을 결정하는 방식을 채택했다.[19][20]
2. 1. CONCACAF 챔피언십 (1963–1989)
1961년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설립되기 전, 이 지역의 축구는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축구 연맹(CCCF)과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NAFC)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 연맹은 CCCF 챔피언십과 NAFC 챔피언십이라는 자체 대회를 개최했다. 1961년 NAFC와 CCCF가 합병하여 CONCACAF가 설립되면서 대륙 단일 챔피언십이 개최되었다.[3]
첫 번째 CONCACAF 토너먼트는 1963년 엘살바도르에서 열렸으며, 코스타리카가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CONCACAF 나시오네스 선수권 대회(Campeonato de Naciones)라고 불린 이 대회는 1963년부터 1973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다. 1965년 과테말라에서 열린 두 번째 대회에서는 멕시코가 우승했고, 1967년 온두라스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과테말라가 우승했다. 코스타리카는 1969년에 다시 우승했고, 1971년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멕시코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 대회는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을 겸하여 아이티에서 개최되었고, 개최국 아이티가 우승하여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다.[4]
1977년과 1981년 대회도 월드컵 최종 예선을 겸하여 개최되었고, 각각 멕시코와 온두라스가 우승했다. 1985년과 1989년 대회 역시 월드컵 예선 우승팀이 연맹 챔피언으로 선정되었으며, 캐나다와 코스타리카가 각각 우승했다.[4]
2. 2. CONCACAF 골드컵 (1991-현재)
1991년부터 '''CONCACAF 골드컵'''이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개최되기 시작했다. 홀수 해마다 열리는 것을 원칙으로 했지만, 13회(CONCACAF 골드컵으로는 3회)부터 16회(CONCACAF 골드컵으로는 6회)까지는 1년씩 늦춰 짝수 해에 개최되기도 했다. 1990년, CONCACAF는 CONCACAF 챔피언십의 명칭을 CONCACAF 골드컵으로 변경하고 구조를 개편했다. 미국이 1991년 첫 대회를 개최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이후 모든 대회를 개최하거나 공동 개최했다. 개최국인 미국이 8개 팀이 참가한 이 대회의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멕시코는 그 후 10년 동안 1993년, 1996년, 1998년 3회 연속 CONCACAF 골드컵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를 지배했다.1996년 골드컵에는 FIFA 월드컵 우승팀인 브라질이 처음으로 초청팀으로 참가했다. 1996년부터 2005년까지 6개의 골드컵 대회에 초청팀이 참가했다. 2000년 골드컵부터는 참가팀이 12개 팀으로 늘어났고, 2007년 대회부터는 다시 CONCACAF 회원국들만 참가하게 되었다.
2007년 골드컵에서 개최국 미국은 결승에서 멕시코를 2-1로 꺾고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캐나다와 과들루프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멕시코는 2009년 골드컵에서 미국을 5-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골드컵에서는 멕시코가 미국을 4-2로 꺾고 우승했으며, 미국은 2013년 골드컵에서 파나마를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1991년 골드컵이 시작된 이후 멕시코가 9회, 미국이 7회, 캐나다가 1회 우승했다. 준우승팀에는 브라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파나마, 자메이카가 있다.
2015년 이전에는 골드컵이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같은 해에 열리지 않았을 때, CONCACAF와 FIFA 양쪽의 회원국 중 우승팀 또는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팀이 다음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2015년에는 이전 두 개의 골드컵(2013년과 2015년 대회) 우승팀이 CONCACAF컵에서 맞붙어 2017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할 CONCACAF 대표팀을 결정했다.[5]
2017년 1월, 빅터 몬탈리아니는 2019년 대회부터 골드컵 참가팀을 12개에서 16개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6] 2018년 11월, 코스타리카가 2019년 대회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B조 경기가 코스타리카 국립경기장에서 열리게 되었다.[7] 2019년 4월, 자메이카가 C조 경기를 독립공원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8]
본선 진출팀 수는 수년에 걸쳐 점차 증가해 왔다. 각 대회는 리그전 조별 예선에 이어 단판 토너먼트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행되었다. 대회를 4년마다 개최하여 명성을 높이고 선수들의 피로도를 줄이며 유럽과 남미의 일정과 더 잘 맞추려는 많은 관심이 있었다.[9][10]
년도 | 팀 수 | 경기 수 | 조별 리그 | 결선 토너먼트 |
---|---|---|---|---|
1991–1993 | 8 | 16 | 4팀씩 2개 조 | 4팀 녹아웃 토너먼트 (조 1, 2위) |
1996 | 9 | 13 | 3팀씩 3개 조 | 4팀 녹아웃 토너먼트 (조 1위 + 성적이 가장 좋은 2위) |
1998 | 10 | 16 | 3팀 또는 4팀씩 3개 조 | |
2000 | 12 | 19 | 3팀씩 4개 조 | 8팀 녹아웃 토너먼트 (조 1, 2위) |
2002–2003 | 20 | |||
2005–2013 | 25 | 4팀씩 3개 조 | 8팀 녹아웃 토너먼트 (조 1, 2위 + 성적이 가장 좋은 3위 2팀) | |
2015 | 26 | |||
2017 | 25 | |||
2019–현재 | 16 | 31 | 4팀씩 4개 조 | 8팀 녹아웃 토너먼트 (조 1, 2위) |
(승부차기 4 - 3)
1996년 CONCACAF 골드컵은 다른 대륙 연맹의 국가가 초청된 최초의 대회였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의 브라질이 초청을 받았다. 브라질은 23세 이하 대표팀을 파견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승전에서 멕시코에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CONCACAF 소속 7개 팀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2] 그 후 10년 동안 세 개 대륙 연맹의 여섯 개 국가가 골드컵에 출전했으며, 11번의 출전 중 7번이 4강 안에 들었다. 2007년부터 CONCACAF는 다른 대륙 연맹의 국가를 초청하지 않게 되었다. 이는 주로 지역 팀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FIFA 랭킹에서 드러난 지역 팀들의 성적 향상 추세를 반영한 조치이다.[13][14]
16년 만에 초청 국가가 다시 등장하여 카타르가 2021년 골드컵에 초청되어 참가했고, 준결승전에서 미국에 패했다. 카타르는 2023년 골드컵에도 참가하여 8강전에서 파나마에 으로 패했다.[15]
북중미카리브해 지역 국가들이 참가하는 대회이지만, CONCACAF(북중미카리브해축구연맹) 이외 대륙 연맹의 회원국이 초청되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미국에서 개최되지만, 멕시코나 캐나다와 공동 개최되는 경우도 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은 최근 대회 우승국에 주어졌다. 그러나 2017년 대회 출전권은 최근 2개 대회 우승국 2개국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했다.[16][17]
멕시코, 미국, 캐나다는 예선이 면제되었고,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카리브컵이,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가 예선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창설과 함께 2019년 골드컵은 2019년 네이션스리그와 함께 예선이 실시되었다.[18] 또한 2021년 골드컵에서는 2019년 네이션스리그 결과를 바탕으로 골드컵 출전팀과 골드컵 예선 출전팀을 결정하는 방식을 채택했다.[19][20]
3. 역대 대회 결과
온두라스 멕시코 2 - 0 코스타리카 2회 1993 미국, 멕시코 멕시코 4 - 0 미국 코스타리카, 자메이카 1 - 1
(연장전)[24]3회 1996 미국 멕시코 2 - 0 브라질 미국 3 - 0 과테말라 4회 1998 미국 멕시코 1 - 0 미국 브라질 1 - 0 자메이카 5회 2000 미국 캐나다 2 - 0 콜롬비아 페루, 트리니다드 토바고 6회 2002 미국 미국 2 - 0 코스타리카 캐나다 2 - 1 대한민국 7회 2003 미국, 멕시코 멕시코 1 - 0
(골든골)브라질 미국 3 - 2 코스타리카 8회 2005 미국 미국 0 - 0
(승부차기 3 - 1)파나마 콜롬비아, 온두라스 9회 2007 미국 미국 2 - 1 멕시코 캐나다, 과들루프 10회 2009 미국 멕시코 5 - 0 미국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11회 2011 미국 멕시코 4 - 2 미국 온두라스, 파나마 12회 2013 미국 미국 1 - 0 파나마 온두라스, 멕시코 13회 2015 미국, 캐나다 멕시코 3 - 1 자메이카 파나마 1 - 1
(승부차기 3 - 2)미국 14회 2017 미국 미국 2 - 1 자메이카 코스타리카, 멕시코 15회 2019 미국, 코스타리카, 자메이카 멕시코 1 - 0 미국 아이티, 자메이카 16회 2021 미국 미국 1 (연장) 0 멕시코 캐나다, 카타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