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운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운디아는 택사목에 속하는 과로, 지채과와 함께 분류된다. 택사목은 천남성과, 꽃장포과, 택사과, 림노카리스과, 자라풀과, 구주꽃골과, 장지채과, 아포노게톤과, 지채과, 마운디아과, 포시도니아과, 줄말과, 키모도케아과, 거머리말과, 가래과, 뿔말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기재된 식물 - 광대싸리
    광대싸리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노란색 꽃과 황갈색 열매를 맺으며 땔감이나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잎, 뿌리는 일엽추라는 한약재로 사용된다.
  • 1858년 기재된 식물 - 설강화족
    설강화족은 수선화아과에 속하며 흰색 꽃이 피는 설강화속을 포함, 유럽과 서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설강화속, 아마크리눔속, 라페루시아속, 메스칼리나속 등의 다양한 속으로 구성된 식물 족이다.
  • 택사목 - 구주꽃골
    구주꽃골은 유라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분홍색 꽃이 피며, 택사목 꽃창포과에 속하고, 잎은 선형으로 최대 1미터 이상 자라며, 북아메리카에서 침입종으로 관리되기도 하고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택사목 - 림노카리스과
    림노카리스과는 택사목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 과로, 물양귀비속, 림노카리스속, 부토몹시스속을 포함하며, 완전히 개열하는 열매, 심피당 많은 수의 배주, 엽상 태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일부 종은 관상용이나 전통 의학에 사용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고유종 식물 - 버냐소나무
    버냐소나무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가 주 자생지인 아라우카리아과의 교목으로, 식용 가능한 씨앗과 목재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특히 씨앗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고유종 식물 - 사막라임
    사막라임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산의 감귤류로, 극한 환경에 적응한 오스트레일리아 라임의 한 종류이며, 독특한 맛과 향으로 요리 재료나 설탕 절임, 음료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된다.
마운디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운디아과 (Maundiaceae)
마운디아속 (Maundia)
마운디아 (Maundia triglochinoides)
학명 정보
학명Maundia triglochinoides
명명자F.Muell., 1858
과 명명자Nakai, 1943
속 명명자F.Muell., 1858
이명
이명 목록Triglochin maundii F.Muell.
Triglochin triglochinoides (F.Muell.) Druce

2. 계통 분류

현재, 택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9]

2. 1. 과

택사목에 속하는 과는 다음과 같다.[8][9]

천남성과, 꽃장포과, 택사과, 림노카리스과, 자라풀과, 구주꽃골과, 장지채과, 아포노게톤과, 지채과, 마운디아과, 포시도니아과, 줄말과, 키모도케아과, 거머리말과, 가래과, 뿔말과

2. 2. 속

참조

[1] 웹인용 "''Maundia triglochinoides'' F.Muell." http://www.theplantl[...] 2019-08-04
[2] 웹인용 "''Maundia triglochinoides'' F.Muell."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8-04
[3] 서적 Chosakuronbun Mokuroku 1943
[4] 웹사이트 Mueller, Ferdinand Jacob Heinrich von. Fragmenta Phytographiæ Australiæ 1(1): 22-23. 1858. http://www.biodivers[...]
[5] 논문 Dmitry D. Sokoloff, Sabine von Mering, Surrey W. L. Jacobs, & Margarita V. Remizowa. 2013. Morphology of ''Maundia'' supports its isolated phylogenetic position in the early-divergent monocot order Alismatale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3 (1),:12–45 http://onlinelibrary[...]
[6] 웹사이트 "''Maundia triglochinoides'' (a herb) - vulnerable species listing" http://www.environme[...] New South Wales government, Environment & Heritage
[7] 웹인용 "''Maundia triglochinoides'' F. Muell." https://npgsweb.ars-[...] USDA 2019-08-04
[8] 간행물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I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Volume 161, Issue 2, 2009, S. 105-121.
[9] 웹사이트 Die Ordnung der Alismatales http://www.mobo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