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대싸리는 키가 3~10미터까지 자라는 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이며, 6~7월에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모여 핀다. 열매는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 삭과이다. 땔감으로 사용되며, 새순은 식용하고, 가지, 잎, 뿌리는 일엽추라 하여 약재로 쓰인다. 혈액 순환 개선, 근육 강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중의학의 50가지 기본 약재 중 하나로 요통, 사지 마비 치료에 사용되지만, 임상 효과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 세큐리닌을 비롯한 다양한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기재된 식물 - 마운디아
마운디아는 택사목에 속하는 과이며, 지채과와 함께 분류된다. - 1858년 기재된 식물 - 설강화족
설강화족은 수선화아과에 속하며 흰색 꽃이 피는 설강화속을 포함, 유럽과 서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설강화속, 아마크리눔속, 라페루시아속, 메스칼리나속 등의 다양한 속으로 구성된 식물 족이다. - 여우주머니과 - 암라
암라는 깃털 모양의 잎과 연한 노란색 꽃을 가진 낙엽성 교목으로,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여우주머니과 - 여우주머니속
여우주머니속은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한 형태와 생태적 특징을 보이는 식물 속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일부 속이 통합되었으며, 일부 종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거나 특정 나비와 수분 관계를 갖는다. - 몽골의 나무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몽골의 나무 - 진달래
진달래는 4월에 연분홍색 꽃을 피우는 한국과 중국 동북부 자생 식물로, 관상용, 화전 재료, 약재 등으로 사용되며, 봄을 상징하는 꽃이다.
광대싸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ecurinega suffruticosa |
학명 명명 | (Pall.) Rehder, 1932 |
이명 | Flueggea suffruticosa |
이명 명명 | (Pall.) Baill. 1858 |
중국어 | 一叶秋 (이예추)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말피기목 |
과 | 여우주머니과 |
속 | 광대싸리속 |
종 | 광대싸리 |
2. 형태
키는 3~4 미터 정도 자라는데, 간혹 10 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다. 가지는 갈색이거나 붉은색이 도는데, 끝이 밑으로 처지며, 어린 가지는 겨울에 말라 죽는다. 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길이는 2~6 센티미터, 너비는 12mm~25mm로 양면에 털이 없고, 앞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 노란색 꽃이 모여 핀다. 열매는 동그란 삭과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지름 4mm 정도로 조그맣고, 석 줄의 홈이 있으며, 다 익으면 세 조각으로 갈라져서 여섯 개의 씨가 나온다.
광대싸리는 땔감으로 쓰이며 열량이 높다. 새순은 '광대순'이라 불리며 봄철에 먹는다.[7]
3. 쓰임새
3. 1. 민간 요법
광대싸리는 땔감으로 쓰이는데, 열량이 높다. 새순은 '광대순'이라 불리며 봄철에 먹는다.[7]
3. 1. 1. 한의학에서의 활용
광대싸리의 가지, 잎, 뿌리는 일엽추(一葉萩)라 하며 약용한다.[7] 성미는 맵고 쓰며 따뜻하다.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며,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 비장(脾臟)을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유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8] 중의학에서는 50가지 기본 약재 중 하나로, 가지와 잎은 요통, 사지 마비, 소화 불량 치료에 사용된다.[2] 그러나 임상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4. 화학 성분
세큐리닌을 비롯한 다양한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3][4][5][6]
5. 사진
참조
[1]
GRIN
2008-02-06
[2]
웹사이트
Securinega suffruticosa - Plants For A Future database report
http://www.pfaf.org/[...]
2008-02-06
[3]
서적
Natural Small Molecule Drugs from Plants
Springer Singapore
[4]
논문
Isolation of securinol A,B, and C from ''Securinega suffruticosa'' Rehd. and the structures of securinol A and B
1965-11
[5]
논문
"''Securinega suffruticosa''"
[6]
논문
Securinega alkaloids from the fruits of Flueggea suffruticosa
https://www.tandfonl[...]
Informa UK Limited
2014-06-03
[7]
웹인용
광대싸리
http://www.nature.go[...]
국립수목원
2018-07-05
[8]
웹인용
일엽추(一葉萩)
http://www.koreantk.[...]
특허청
2018-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