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클 베리 (물리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베리는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엑서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브리스틀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88년부터 멜빌 윌스 물리학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베리는 양자역학에서 관찰되는 베리 위상으로 유명하며, 반고전역학, 양자 카오스, 양자 광학 등을 전공했다. 1982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6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스틀 대학교 - 네빌 프랜시스 모트
    네빌 프랜시스 모트는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기체에서의 충돌, 고체 물리학 연구를 수행하고 거니-모트 이론을 제시했으며, 197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엑서터 대학교 동문 - 표창원
    표창원은 경찰대 졸업 후 범죄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경찰청 및 경찰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국정원 여론 조작 사건 비판 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를 운영하며 방송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자 범죄심리학자이다.
  • 엑서터 대학교 동문 - 윌 영
    1979년 영국에서 태어난 윌 영은 2002년 《팝 아이돌》 우승 후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며 다수의 히트곡과 수상 경력을 쌓았고,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는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이그 노벨상 수상자 - 자이르 보우소나루
    자이르 보우소나루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군사 독재를 옹호하고 차별적인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실패하고 공직 활동이 금지되었다.
  • 이그 노벨상 수상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마이클 베리 (물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로렌츠 메달을 들고 있는 마이클 베리
2015년의 베리
출생 이름마이클 빅터 베리
출생1941년 3월 14일
출생지서리 (잉글랜드), 영국
연구
직장브리스틀 대학교
모교엑서터 대학교 (BSc)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PhD)
박사 학위 지도 교수로버트 발슨 딩글
박사 학위 논문 제목초음파에 의한 빛의 회절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65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과정 학생제니 넬슨
조너선 키팅
알려진 업적베리 위상
베리 연결과 곡률
베리-로빈스 문제
베리-테이버 추측
바일-베리 추측
양자 카펫
양자 혼돈
수상
수상 내역맥스웰 메달 및 상 (1978년)
왕립 학회 회원 (1982년)
릴리엔펠트 상 (1990년)
로열 메달 (1990년)
IOP 디랙 메달 (1990년)
네일러 상 및 강연 (1992년)
ICTP 디랙 메달 (1996년)
기사 작위 (1996년)
울프상 (1998년)
이그노벨상 (2000년)
온사게르 메달 (2001년)
폴리아 상 (2005년)
로렌츠 메달 (2014년)
기타 정보
웹사이트마이클 베리 개인 웹사이트

2. 이력

마이클 베리는 1982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6년에는 기사 작위를 받았다.[20] 2006년부터 ''왕립 학회 회보''의 편집자를 맡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주채프먼 대학교의 [http://www.quantum.chapman.edu Institute for Quantum Studies]에도 소속되어 있다. 양자역학에서 관찰되는 현상인 베리 위상으로 유명하며, 반고전역학(asymptotic physics), 양자 카오스, 양자 광학 등을 연구한다.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마이클 베리는 엑서터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20]하고,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브리스틀 대학교에서 연구원(1965~1967), 부교수(1967~1974), 전임교수(1974~1978), 물리학과 주임교수(1978~1988)를 역임했다. 1988년부터 왕립 학회 소속 연구교수로 활동 중이다.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으며, 런던 택시 운전사와 재봉사의 아들이었다.[2] 엑서터 대학교에서 물리학 이학사 학위를 받았고,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그의 논문 제목은 "초음파에 의한 빛의 회절"이다.[5] 엑서터 대학교에서 첫 번째 부인(사회학 학생으로, 첫 아이를 낳았다)을 만났다.[3]

1962년 엑서터 대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88년부터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2. 2. 브리스틀 대학교 경력

마이클 베리는 엑서터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20]한 후,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브리스틀 대학교에서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연구 펠로우, 1967년부터 1974년까지 강사, 1974년부터 1978년까지 강사, 1978년부터 1988년까지 물리학 교수, 1988년부터 2006년까지 왕립 학회 연구 교수로 재직했다. 2006년 이후에는 브리스틀 대학교의 멜빌 윌스 물리학 명예교수이다.

1962년 엑서터 대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88년부터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2. 3. 기타 경력

엑서터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20]한 후,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브리스틀 대학교에서 연구원(1965~1967), 부교수(1967~1974), 전임교수(1974~1978), 물리학과 주임교수(1978~1988), 왕립 학회 소속 연구교수(1988~)로 활동하였다. 2006년부터 브리스틀 대학교의 멜빌 윌스 물리학 명예교수이다.

1982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96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왕립 학회 회보''의 편집자를 맡고 있다. 양자역학에서 관찰되는 현상인 베리 위상으로 유명하다. 전공은 반고전역학(asymptotic physics, 양자 카오스, 양자 광학) 등이다. 캘리포니아주채프먼 대학교의 [http://www.quantum.chapman.edu Institute for Quantum Studies]에도 소속되어 있다.

3. 연구 업적

마이클 베리 경은 양자역학고전역학을 연결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했으며, 특히 '베리 위상'으로 알려진 기하학적 위상 개념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4. 수상 및 영예

마이클 베리는 1982년 왕립 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고[7], 1996년에 기사 작위를 받았다.[8]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왕립 학회 A 논문집''의 편집인이었다.

베리가 받은 상과 영예는 다음과 같다:[9]

연도상/영예수여 기관비고
1978년맥스웰 메달 및 상물리학 연구소
1982년왕립 학회 회원왕립 학회
1983년왕립 예술 학회 회원왕립 예술 학회
1983년왕립 연구소 회원왕립 연구소
1986년웁살라 왕립 과학 학회 회원웁살라 왕립 과학 학회
1987년베이커 강사왕립 학회
1989년유럽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원유럽 과학 예술 아카데미
1990년디랙 메달물리학 연구소
1990년릴리엔펠드 상미국 물리학회
1990년로열 메달왕립 학회
1992년네일러 상 및 응용 수학 강연런던 수학회
1995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외국 회원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1996년디랙 메달국제 이론 물리학 센터
1996년명예 과학 박사 학위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10]
1997년카피차 메달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1998년울프상 물리학 부문울프 재단야키르 아하로노프와 공동 수상
1999년물리학 연구소 명예 회원물리학 연구소
1999년포더 강연런던 수학회[11]
2000년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 회원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2000년이그노벨상 물리학 부문이그노벨상안드레 가임과 공동 수상 (개구리의 비행 물리학). 2022년까지 개구리의 자기 부상에 대한 그의 이그노벨상과 가임의 이그노벨상은 중국의 달 중력 연구 시설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12][13]
2001년온사거 메달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교
2002년깁스 강사미국 수학회[14]
2002년비전 오브 사이언스 1위와 3위노바티스/데일리 텔레그래프
2005년에든버러 왕립 학회 회원에든버러 왕립 학회
2005년폴리아 상런던 수학회
2007년명예 과학 박사글래스고 대학교
2009년클래리베이트 인용상 물리학상아하로노프와 공동 수상.[15]
2012년명예 과학 박사러시아-아르메니아(슬라브) 대학교예레반
2014년로렌츠 메달[16]
2019년리제 마이트너 특별 강연


5. 저술

마이클 베리는 1966년에 《초음파에 의한 빛의 회절》을, 1976년에 《우주론과 중력의 원리》를 출판했으며, 물리학에 관한 약 395편의 연구 논문과 서평 등을 저술하였다.[18]

5. 1. 집필 서적

제목출판 연도
Diffraction of Light by Ultrasound1966년
Principles of Cosmology and Gravitation1976년
물리학 관련 연구 논문, 서평 등 (약 395편)


5. 2. 관련 서적


  • 데이비드 밴더빌트 저, 《베리 위상과 토폴로지 - 현대 고체 전자론》(원제: Berry phases in electronic structure theory), 번역: 쿠라모토 요시오, 아사쿠라 서점, 2022년, ISBN 978-4-254-13141-3

참조

[1] MathGenealogy
[2] 서적 The Palgrave Dictionary of Anglo-Jewish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
[3] 웹사이트 The Life Scientific: Sir Michael Berry https://www.bbc.co.u[...] 2024-01-21
[4] 웹사이트 Sir Michael Berry https://www.lboro.ac[...] Loughborough University 2009-07-22
[5] 논문 The diffraction of light by ultrasound https://research-rep[...] University of St. Andrews 1965
[6] 웹사이트 History https://michaelberry[...] 2023-10-02
[7] 웹사이트 Fellows Directory https://royalsociety[...] The Royal Society 2018-05-03
[8]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HMSO 2018-05-03
[9] 웹사이트 Professor Sir Michael Berry: Prizes and Awards http://www.phy.bris.[...] University of Bristol 2011-03-13
[10]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1972 - 2024 https://www.tcd.ie/r[...] 2024-11-19
[11] 웹사이트 LMS-NZMS Forder and Aitken Lectureships https://www.lms.ac.u[...] London Mathematical Society 2018-11-13
[12] 웹사이트 China building "Artificial Moon" that simulates low gravity with magnets https://futurism.com[...] Recurrent Ventures 2022-01-17
[13] 웹사이트 China has built an artificial moon that simulates low-gravity conditions on Earth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2-01-17
[14] 학술지 Making light of mathematics: 75th Gibbs Lecture
[15] 웹사이트 Thomson Reuters Predicts Nobel Laureates https://www.newswire[...] 2023-10-04
[16] 웹사이트 Michael Berry https://www.knaw.nl/[...] KNAW 2022-04-03
[17] MathGenealogy
[18] 웹사이트 Professor Sir Michael Berry: Publications http://www.phy.bris.[...] University of Bristol 2011-09-02
[19] 학술지 Level Clustering in the Regular Spectrum http://rspa.royalsoc[...] The Royal Society 1977-09-15
[20] 웹인용 Academic History of Professor Sir Michael Berry http://www.phy.bris.[...] University of Bristol 2009-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