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하라나 프라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라나 프라탑은 1540년 메와르 왕국의 우다이 싱 2세와 자이완타 바이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시소디아 왕조의 54대 메와르 통치자였다. 그는 무굴 제국과의 정치적 동맹을 거부하고 저항했으며, 특히 1576년 할디가티 전투에서 아크바르 황제의 군대와 맞섰다. 프라탑은 게릴라전을 펼치며 무굴 제국에 저항했고, 1585년 이후에는 영토를 회복했으나 치토르가르를 되찾지는 못했다. 그는 사냥 중 부상으로 1597년 사망했으며, 그의 용기와 희생정신은 라자스탄 문화와 인도 전역에서 민족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하라나 프라탑
기본 정보
라자 라비 바르마의 마하라나 프라탑 초상화
라자 라비 바르마의 마하라나 프라탑 초상화
칭호마하라나
칭호메와르의 라나
전체 이름마하라나 프라탑 싱 시소디아
통치 기간1572년 2월 28일 – 1597년 1월 19일
대관일1572년 2월 28일
이전 통치자우다이 싱 2세
다음 통치자아마르 싱 1세
출생일1540년 5월 9일
출생지쿰발가르, 메와르 왕국 (현재 라자스탄 주라자삼란드 구쿰발가르 포트)
사망일1597년 1월 19일
사망지라자스탄 주(우다이푸르 구챠반드)
종교힌두교
왕조메와르의 시소디아
가족 관계
배우자10명
왕비아자브데
자녀아들 22명, 딸 5명 (아마르 싱 1세와 바그완 다스 포함)
아버지우다이 싱 2세
어머니자이완타 바이 송가라
정치
섭정바마샤
섭정Jhala Man Singh
섭정 유형대신

2. 생애

마하라나 프라탑은 1540년 5월 9일 메와르 왕국의 군주 우다이 싱 2세와 자이완타 바이 사이에서 태어났다.[24][25] 그의 형제로는 샤크티 싱, 비크람 싱, 자그말 싱이 있었고, 이복 누이로는 찬드 칸와르와 만 칸와르가 있었다. 주요 배우자는 아잡데 바이 푼와르였으며, 장남은 아마르 싱 1세였다. 1572년 2월 아버지 우다이 싱 2세가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으며,[24][25] 홀리의 길일에 고군다에서 즉위했다.

프라탑 싱은 무굴 제국과의 정치적 동맹을 거부하고 무굴의 지배에 저항했다. 1576년 할디가티 전투에서 만 싱이 이끄는 무굴 군에 패배한 후, 아라발리 산맥 지대로 후퇴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했다.[10][11][27][28] 그는 강대한 제국에 맞서 다른 라지푸트 국가들의 도움 없이 홀로 싸웠으며, 쿰발가르와 우다이푸르마저 함락되자 가족과 함께 궁핍한 생활을 하며 저항을 이어갔다.[28][29]

158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굴 제국 내에서 반란이 발생하고, 1585년 아크바르가 라호르로 이동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프라탑 싱은 이 기회를 틈타 쿰발가르와 치토르가르 주변 영토를 포함한 왕국 영토 대부분을 되찾았다. 그러나 치토르가르 자체는 회복하지 못했다.[28] 이 시기에 둥가르푸르 근처에 새 수도 차완드가 건설되었다.[28]

프라탑은 1597년 1월 19일 차반드에서 사냥 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24][25] 그는 장남 아마르 싱 1세에게 왕위를 계승했으며, 죽기 직전 아들에게 절대로 무굴 제국에 항복하지 말고 치토르를 되찾으라고 당부했다. 그의 용기와 헌신은 오늘날까지도 라자스탄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28][29]

우다이푸르의 프라탑 싱 동상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마하라나 프라탑은 1540년 5월 9일 메와르 왕국의 군주 우다이 싱 2세와 자이완타 바이 사이에서 태어났다.[24][25] 이 해는 우다이 싱이 반비르 싱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른 해였다. 그의 남동생들은 샤크티 싱, 비크람 싱, 자그말 싱이었다. 프라탑에게는 또한 두 명의 이복 누이인 찬드 칸와르와 만 칸와르가 있었다. 그의 주요 배우자는 아잡데 바이 푼와르였으며, 그들의 장남은 아마르 싱 1세였다. 그는 메와르 왕족 출신이었다.

1568년 메와르 왕국은 무굴 제국에 의해 수도 치토르가르를 빼앗겼지만, 아버지 우다이 싱 2세는 우다이푸르를 거점으로 전투를 계속했다.

1572년 2월 아버지 우다이 싱 2세가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24][25] 라니 디르 바이 바티야니는 자신의 아들 자그말이 왕위를 잇기를 원했지만, 고위 대신들은 장자 상속에 따라 프라탑을 왕으로 선호했다. 귀족들의 바람이 이루어져 프라탑은 시소디아 왕조의 54대 메와르 통치자로서 마하라나로 즉위했다. 그는 홀리의 길일에 고군다에서 즉위했다. 자그말은 복수를 맹세하고 아즈메르로 떠나 악바르 황제의 군대에 합류했다. 그는 도움에 대한 보상으로 자하즈푸르 마을을 ''자기르''로 받았다.

2. 2. 무굴 제국과의 전쟁

프라탑 싱은 무굴 제국과의 정치적 동맹을 거부하고 무굴의 지배에 저항했다. 프라탑 싱과 아크바르 사이의 갈등은 할디가티 전투로 이어졌다.[10][11]

프라탑 싱 즉위 당시 치토르가르와 그 주변 영토는 무굴 제국에 빼앗겼지만, 우다이푸르와 대부분의 구릉지는 메와르 왕국의 지배하에 있었다.[26] 그는 제국으로부터 자신의 영토를 되찾으려 시도했다.[26]

아크바르는 만 싱, 바그완트 다스, 토다르 말 등의 사절을 보내 프라탑 싱에게 제국의 종주권을 받아들이고 충성을 맹세하도록 설득했다.[26] 그러나 프라탑 싱은 직접 아크바르에게 가지 않고 아들 아마르 싱을 대신 보냈고, 제국이 치토르가르를 반환할 의사를 보이지 않아 양측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27]

1576년 초, 아크바르는 아즈메르로 진군하여 만 싱에게 5,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메와르 왕국으로 원정하도록 명령했다.[27] 프라탑 싱은 이를 예상하고 왕국을 황폐화시키고, 구릉지대의 고개를 요새화했다.[27]

2. 2. 1. 할디가티 전투

1567년~1568년 치토르가르 포위전으로 인해 메와르의 비옥한 동부 지역은 무굴에게 빼앗겼다. 그러나 아라발리 산맥의 숲이 우거지고 언덕이 많은 왕국의 나머지는 여전히 마하라나 프라탑의 통제 하에 있었다.[10][11] 무굴 황제 아크바르는 메와르를 통해 구자라트로 가는 안정적인 길을 확보하려 했고, 1572년 프라탑 싱이 왕(마하라나)으로 즉위하자 여러 사절을 보내 신하가 되도록 간청했다. 프라탑이 악바르에게 직접 복종하는 것을 거부했고, 외교적 해결 시도가 여러 번 실패하자 전쟁은 불가피해졌다.[26]

1576년 6월 18일, 프라탑 싱의 군대와 무굴 및 라지푸트 장군 만 싱 1세의 군대는 현대 라자스탄의 라즈사만드에 있는 고군다 근처 할디가티의 좁은 산길에서 만났다. 이것이 할디가티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다.[27] 프라탑 싱은 약 3,000명의 기병과 400명의 빌 궁병으로 구성된 군대를 투입했다. 만 싱은 약 10,000명의 병력으로 군대를 지휘했다. 전투가 3시간 이상 격렬하게 벌어진 후 프라탑은 부상을 입었고 하루를 잃었다. 그는 언덕으로 후퇴하여 다른 날을 위해 싸울 수 있었다.[10][11] 무굴은 승리했고 메와르 군대에 상당한 사상자를 냈지만 마하라나 프라탑을 생포하는 데 실패했다.

할디가티는 무굴에게 무의미한 승리였는데, 그들은 프라탑이나 우다이푸르에 있는 그의 가까운 가족 구성원을 죽이거나 생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자료에서는 프라탑이 성공적으로 탈출했다고 주장하는 한편, 만 싱은 할디가티 전투 후 일주일 안에 고군다를 정복한 후 그의 캠페인을 끝냈다. 그 후 아크바르는 1576년 9월에 라나를 상대로 지속적인 캠페인을 벌였고, 곧 고군다, 우다이푸르, 쿰발가르가 모두 무굴의 지배하에 놓였다.

2. 2. 2. 게릴라 전술과 저항

프라탑 싱은 무굴 제국과의 정치적 동맹을 거부하고 무굴의 지배에 저항하여 명성을 얻었다. 프라탑 싱과 아크바르의 갈등은 할디가티 전투로 이어졌다.[10][11]

샤바즈 칸 캄보는 여러 차례 침략을 이끌어 쿰발가르, 만달가르, 고군다, 중앙 메와르메와르의 주요 지역을 정복하여 무굴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다. 무굴 제국은 샤바즈 칸의 침략 이후 메와르에서 지배력을 확립했고, 프라탑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어 산악 거처로 물러나야 했다.[13]

1576년 할디가티 전투에서 프라탑 싱의 군대는 만 싱이 이끄는 무굴 제국군과 격돌했다. 메와르 군은 분전했지만, 아크바르가 이끄는 지원군이 도착하면서 전세가 불리해졌다. 결국 프라탑 싱은 아라발리 산맥 지대로 후퇴했다.[27][28]

이후 프라탑 싱은 정면 승부 대신 게릴라전을 전개하여 저항했다.[27] 그는 강대한 제국에 맞서 다른 라지푸트 국가들의 도움 없이 홀로 싸웠다. 무굴 제국은 반스와라, 둥가르푸르, 시로히 등을 침략하며 압박했고, 이들 국가와 개별 조약을 체결하여 메와르 왕국을 고립시켰다.[28]

쿰발가르와 우다이푸르마저 함락되자, 프라탑 싱은 가족과 함께 궁핍한 생활을 하며 골짜기와 숲을 떠돌아야 했다. 하지만 그는 항복하지 않고 비르족 추장들의 도움을 받아 저항을 이어갔다.[28][29]

1580년년대에 들어서면서 무굴 제국 내에서 반란이 발생하고, 1585년 아크바르가 라호르로 이동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후 메와르 왕국에 대한 제국의 원정은 없었고, 프라탑 싱은 이 기회를 틈타 쿰발가르와 치토르가르 주변 영토를 포함한 왕국 영토 대부분을 되찾았다. 그러나 치토르가르 자체는 회복하지 못했다. 이 시기에 둥가르푸르 근처에 새 수도 차완드가 건설되었다.[28]

2. 2. 3. 메와르의 부흥

1579년 벵골과 비하르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미르자 무함마드 하킴이 펀자브를 침공하면서, 무굴 제국의 메와르에 대한 압박은 완화되었다.[13] 1585년 아크바르는 라호르로 이동하여 북서부 상황을 주시하며 그곳에 12년 동안 머물렀고, 이 기간 동안 메와르에는 주요 무굴 원정이 보내지지 않았다.[15]

이러한 상황을 틈타 프라탑은 무굴 제국이 점령했던 메와르의 일부 지역을 회복하고 36개의 무굴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 우다이푸르, 모히, 고군다, 만달, 판드와라 등이 이 분쟁에서 탈환된 중요한 지역 중 일부였다.[15] 자하즈푸르 근처의 1588년 비문에 따르면 라나는 판데르의 토지를 사둘나트 트리베디라는 신뢰하는 추종자에게 주었다. G.N. 샤르마는 판데르 비문이 라나가 메와르 북동부를 점령했고 자신에게 충성했던 사람들에게 토지를 하사했음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15]

158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라나는 메와르의 상당 부분을 회복했다. 이 시기에 메와르에서 이주했던 시민들이 돌아오기 시작했고, 좋은 몬순은 메와르의 농업을 부활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경제도 개선되기 시작했고 이 지역의 무역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라나는 치토르 주변의 영토를 점령할 수 있었지만, 치토르 자체를 점령하려는 그의 꿈은 이루지 못했다.[16]

1580년대에 들어서, 제국 내부에서 아크바르의 개혁에 항거하여 벵골과 비하르에서 반란이 발생하고, 이에 미르자 하킴이 호응하여 펀자브를 침공해왔다.[28] 그 때문에, 1585년에 아크바르는 라호르로 이동하여, 북서부의 정세를 지켜보기 위해 그곳을 수도로 삼았다.

1585년 이후, 메와르 왕국에 제국의 원정군이 파견되는 일은 없었다.[28] 프라탑 싱은 이 유리한 상황을 보고, 쿰발가르와 치토르가르 주변의 영토를 비롯해 왕국 영토의 대부분을 탈환했지만, 치토르가르 자체의 회복은 할 수 없었다.[28] 이 시기, 둥가르푸르 근처에 새 수도 차완드가 건설되었다.[28]

2. 3. 죽음

프라탑은 사냥 사고로 부상을 입어 1597년 1월 19일 차반드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8] 그는 장남 아마르 싱 1세가 계승했다. 프라탑은 임종 직전에 아들에게 절대로 무굴 제국에 항복하지 말고 치토르를 되찾으라고 말했다.

악바르도 마하라나 프라탑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악바르의 궁정 시인인 두르사 아르하는 무굴 제국 궁정에서 마하라나 프라탑을 찬양했다고 전해진다.[19]

프라탑 싱은 1597년 1월 19일 차반드에서 굳은 활을 당기려다 생긴 내상으로 사망했다.[24][25] 만년에는 치토르가르에 인접한 산악에서 치토르가르를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진다.[29]

프라탑 싱의 용기와, 마음속에 품은 주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싸운 인생과 그 정신은 지금도 무용담으로 전해지고 있다.[28][29] 그는 치토르가르를 되찾을 때까지, 한 장의 나뭇잎으로 식사를 하고, 짚으로 만든 침대에서 잠들며 죽을 때까지 그것을 계속했다고 한다.[29] 그의 왕국 해방에 대한 용기, 영웅적인 행위, 형언할 수 없는 길고 고난의 이야기는 오늘날 라자스탄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으며, 그 이름을 능가하는 위대한 이름은 없다고 여겨진다.[28]

프라탑 싱의 산발적인 전술은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무장 말리크 암바르와 마라타 제국의 창시자 시바지에게 계승되었다.[28]

3. 유산



마하라나 프라탑은 민속 문화와 현대 라자스탄 문화 모두에서 저명한 인물이며, 라자스탄 뿐만 아니라 인도 전체에서도 민족 영웅이자 존경받는 전사로 여겨진다.

역사학자 사티시 찬드라는 "라나 프라탑이 다른 라지푸트 국가들의 지원 없이, 거의 혼자서 강력한 무굴 제국에 저항한 것은 라지푸트의 용맹함과 소중한 원칙을 위한 자기 희생 정신의 영광스러운 서사시를 구성한다. 라나 프라탑의 게릴라전 방식은 나중에 말리크 암바르, 데카니 장군, 그리고 시바지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라고 언급한다.[20][21]

반도파디야이는 사티시 찬드라의 견해에 동의하며 "프라탑의 무굴에 대한 게릴라 전략을 사용한 성공적인 저항은 시바지에서 벵골의 반영국 혁명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물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라고 관찰했다.[22]

1597년 1월 19일, 프라탑 싱은 차반드에서 굳은 활을 당기려다 생긴 내상으로 사망했다.[24][25] 만년에는 치토르가르에 인접한 산악에서 치토르가르를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진다.[29]

프라탑 싱의 용기와 자신의 주의를 위해 희생하며 싸운 인생과 그 정신은 지금도 무용담으로 전해진다.[28][29] 그는 치토르가르를 되찾을 때까지 나뭇잎으로 식사하고 짚으로 만든 침대에서 잠들며, 죽을 때까지 그것을 계속했다고 한다.[29] 그의 왕국 해방에 대한 용기, 영웅적인 행위, 형언할 수 없는 고난의 이야기는 오늘날 라자스탄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으며, 그를 능가하는 위대한 이름은 없다고 여겨진다.[28]

프라탑 싱의 산발적인 전술은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무장 말리크 암바르와 마라타 제국의 창시자 시바지에게 계승되었다.[28]

2007년, 프라티바 파틸 전 대통령은 인도 의회에서 마하라나 프라탑의 동상을 공개했다.[23]

4. 대중 문화


  • 1988–1989: 두르다르샨에서 방영된 ''바라트 에크 코지''에서 푸닛 이사르가 마하라나 프라탑 역을 연기했다.
  • 2012: ''마하라나 프라탑: 최초의 자유 투사''
  • 2013–2015: 소니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인도)에서 방영된 ''바라트 카 비르 푸트라 – 마하라나 프라탑''에서 파이살 칸과 샤라드 말호트라가 마하라나 프라탑 역을 연기했다.
  • 2013–2015: 지 TV에서 방영된 ''조다 악바르''에서 아누라그 샤르마가 마하라나 프라탑 역을 연기했다.
  • 2016: ABP 뉴스는 마하라나 프라탑의 이야기를 담은 8화 에피소드를 방영한 ''바라트바르시''를 선보였다.
  • 2023: Zee5의 웹 시리즈 타지: 피로 나뉜 자에서 딥라지 라나가 마하라나 프라탑 역을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Rana Pratap Singh – Indian ruler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8-02-01
[2] 서적 Ritual and Identity: Performative Practices as Effective Transformations of Social Reality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7-04-11
[3] 웹사이트 Maharana Pratap Jayanti: Know the Real-life Story of the brave Rajput warrior https://www.news18.c[...] 2019-06-06
[4] 서적 A History of Jaipur Orient Blackswan
[5] 서적 Who's who on Indian Stamps Mohan B. Daryanani
[6] 서적 Maharana Pratap https://books.google[...] National Book Trust, India 2005
[7] 서적 Maharana Pratap: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Hope India Publ. 2002
[8] 서적 Maharana Pratap & his times Maharana Pratap Smarak Samiti
[9] 서적 Akbar https://books.google[...] Vikas Publishers
[10] 서적 Real Sadhus Sing to God: Gender, Asceticism, and Vernacular Religion in Rajasth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4-01
[11] 서적 The Last Hindu Emperor: Prithviraj Cauhan and the Indian Past, 1200–20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2]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https://web.archive.[...] Greenwood Press 2015-07-23
[13] 서적 Mewar and the mughal emperors http://archive.org/d[...] Shiva Lal Agarwala & Co 1954
[14] 서적 Maharana Pratap: The Invincible Warrior https://books.google[...] Juggernaut 2020-10-10
[15] 서적 Mewar and the Mughal Emperors: 1526-1707 A. D. https://books.google[...] Shiva Lal Agarwala
[16] 서적 A History of Rajasthan https://books.google[...] Rupa & Company
[17] 서적 Maharana Pratap Hope India Publications
[18] 서적 Studies In Indian History: Rajasthan Through The Ages The Heritage of Rajputs (Set Of 5 Vols.)
[19] 서적 Veer Vinod, (maharana Amar Singh Avval-pancham Prakaran) http://archive.org/d[...]
[20] 웹사이트 Medieval India https://web.archive.[...] National Council for Educational Training and Research 1983
[21] 서적 Rajasthan Year Book 2021 https://books.google[...]
[22] 서적 Maharana Pratap: Mewar's Rebel King Rupa Co 2007
[23] 뉴스 Maharana Pratap's statue unveiled https://www.hindusta[...] 2007-08-21
[24] 웹사이트 Udaipur (Princely State) http://m.indianrajpu[...]
[25] 웹사이트 UDAIPUR (Mewar) (Princely State) http://members.iinet[...]
[26] 문서 チャンドラ『中世インドの歴史』、p.253
[27] 문서 チャンドラ『中世インドの歴史』、p.254
[28] 문서 チャンドラ『中世インドの歴史』、p.255
[29] 문서 チョプラ『インド史』、p.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