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낀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낀부는 막 왕조의 황제였으며, 1638년 아버지 막낀코안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투언득 연호를 사용했다. 그는 찐씨 가문의 침략을 받았고, 청나라의 지원을 얻으려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삼번의 난 당시 오삼계를 지지했으나 난이 진압된 후 1677년 찐딱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멸망했다. 이후 청나라에 의해 후 레 왕조에 인도되었고, 막 왕조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 왕조의 황제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막 왕조의 황제 - 막푹응우옌
막푹응우옌은 1546년 막 왕조의 황제가 되어 영정으로 개원했으나, 반란과 침략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1564년 사망 후 아들이 뒤를 이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막낀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막 낀부 (莫敬宇) |
본명 | 막 낀부 (莫敬宇) |
통치 정보 | |
칭호 | 대월 막조의 황제 |
재위 기간 | 1623년 – 1638년 |
연호 | 투언득 (順德) |
이전 통치자 | 막 낀코안 |
다음 통치자 | 막 낀헤 |
인물 정보 | |
아버지 | 막 낀코안 |
왕가 | 막조 |
사후 정보 | |
묘호 | 명종 (明宗) |
시호 | 장천혜지경문이무개황제 (莊天惠地景文頤武開皇帝) |
2. 생애
막낀부는 막낀코안의 아들로, 1638년에 아버지 막낀코안이 죽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고, 연호를 투언득으로 고쳤다.[1] 찐짱이 막 왕조의 황제 교체기를 틈타 북벌을 시도했으나, 막 왕조 군대에 패배하였다. 이후 막 왕조는 태원(太原) 일대에서 여러 차례 소요를 일으켰다.[1]
1644년, 후 레 왕조가 까오방을 대대적으로 공격했으나, 막 왕조에 패배하였다.
1661년, 청나라는 사신을 보내 막낀부를 귀화장군(歸化將軍),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로 봉하였다.
1662년, 막 왕조는 양산(諒山) 칠천(七泉)에서 군대를 모아 후 레 왕조에게 빼앗긴 영토 회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1666년~1667년, 찐딱이 찐깐, 찐동(鄭棟), 딘반따(丁文左) 등을 이끌고 까오방을 공격하자, 막낀부는 성을 버리고 청나라 운남(雲南)의 진안주(鎭安州)로 피신하였다. 그는 그곳 관리에게 뇌물을 주어 청나라의 힘을 빌려 까오방으로 돌아가려 했다.[1]
1669년, 강희제는 사신을 보내 후 레 왕조에 까오방 4주(석림(石臨), 광연(廣淵), 상랑(上琅), 하랑(下琅)) 반환을 요구했고, 막낀부는 까오방으로 돌아왔다. 이때 막낀부는 막응우옌타인(莫元淸)으로 개명했는데, 일설에는 그의 아들이었다고도 한다.[1]
1673년,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막응우옌타인은 오삼계의 연호 소무(昭武)를 채택하고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삼번의 난이 진압되면서 청군이 광서(廣西)에 진입했다.[1]
1677년, 찐딱이 다시 까오방을 공격하자 막응우옌타인은 패배하여 광서 용주(龍州)로 달아났다. 이로써 막 왕조는 완전히 멸망하였다.[1]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에 따르면, 막낀부(혹은 그의 아들 막낀꽝)는 1683년 청나라에 의해 후 레 왕조에 인도되었다. 이후 사로잡히지 않은 막씨 자손들은 후 레 왕조에 투항했고, 일부는 석방되어 찐 주의 관원이 되었다.[1]
2. 1. 즉위 초반과 레-찐 연합군과의 항쟁
막낀부는 막낀코안의 아들이다.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에 따르면 1638년에 막낀코안이 사망하자 뒤를 이었고, 연호를 투언득으로 고쳤다.[1] 찐짱이 막 왕조에서 황제가 교체되는 틈을 타 군사를 이끌고 북벌하였으나 막 왕조에게 패배하였다.[1] 이후 막 왕조는 여러 차례 병사를 내어 태원(太原) 일대에서 소요를 일으켰다.[1]1644년, 후 레 왕조는 대대적으로 까오방을 공격하였으나 막 왕조에게 패배하였다.
1661년, 청나라가 사신을 파견하여 막낀부를 귀화장군(歸化將軍),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로 봉하였다.
1662년, 막 왕조가 양산(諒山) 칠천(七泉)에서 군대를 모아 후 레 왕조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려고 시도했으나 후 레 왕조에게 패배하였다.
2. 2. 청나라의 개입과 외교적 노력
1661년, 청나라가 사신을 파견하여 막낀부를 귀화장군(歸化將軍),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로 봉했다.[1]1669년, 강희제는 이선근(李仙根), 양조걸(楊兆傑) 두 사람을 보내 후 레 왕조에게 까오방 4주(석림(石臨), 광연(廣淵), 상랑(上琅), 하랑(下琅))를 막 왕조에게 반환할 것을 요구했고, 막낀부는 까오방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1] 이때 막낀부는 막응우옌타인(莫元淸)으로 개명했는데, 일설에는 그의 아들이었다고도 한다.[1]
1673년, 청나라에서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막응우옌타인은 오삼계의 연호인 소무(昭武)를 공개적으로 채용하고, 오삼계에게 양초(糧草)를 제공하며 그를 지지하였다.[1]
2. 3. 삼번의 난과 막 왕조의 멸망
1638년 막낀코안이 사망하자 막낀부가 뒤를 이었고, 연호를 투언득으로 고쳤다. 찐짱이 막 왕조에서 황제가 교체되는 틈을 타 군사를 이끌고 북벌하였으나 막 왕조에 패배하였다. 이후 막 왕조는 여러 차례 군사를 일으켜 태원(太原) 일대에서 소요를 일으켰다.[1]1661년 청나라는 사신을 파견하여 막낀부를 귀화장군(歸化將軍),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로 봉하였다.[1]
1662년 막 왕조는 양산(諒山) 칠천(七泉)에서 군대를 모아 후 레 왕조에게 빼앗긴 영토 회복을 시도했으나 후 레 왕조에 패배하였다.[1]
1666년에서 1667년 사이 찐딱은 찐깐, 찐동(鄭棟), 딘반따(丁文左) 등 부(部)를 거느리고 대대적으로 북벌하여 까오방을 공격하였다. 막낀부는 성을 버리고 청나라 운남(雲南)의 진안주(鎭安州)로 피신하였다. 막낀부는 그 지역 관원에게 뇌물을 주어 청나라의 세력을 빌려 까오방으로 돌아가려 시도하였다.[1]
1669년 강희제는 이선근(李仙根), 양조걸(楊兆傑) 두 사람을 보내 후 레 왕조에게 까오방 4주(석림(石臨), 광연(廣淵), 상랑(上琅), 하랑(下琅))를 막 왕조에게 반환할 것을 요구하였고, 막낀부는 까오방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때 막낀부는 막응우옌타인(莫元淸)으로 개명하였는데, 일설에는 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1]
1673년 청나라에서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막응우옌타인은 오삼계의 연호인 소무(昭武)를 공개적으로 채용하고 오삼계에게 양초(糧草)를 제공하며 그를 지지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삼번의 난이 진압되었고, 청군은 광서(廣西) 지역에 진입하였다.[1]
1677년 찐딱은 레 희종의 명의를 빌려 딘반따, 응우옌흐우당(阮有登) 등을 장수로 삼고 다시 까오방을 공격하였다. 막응우옌타인은 패배하여 광서의 용주(龍州)로 달아났다. 이로써 막 왕조의 잔여 세력은 완전히 소멸되었다.[1]
2. 4. 최후
1638년 막낀코안이 사망하자 막낀부가 뒤를 이었고, 연호를 투언득으로 고쳤다.[1] 찐짱이 막 왕조의 황제 교체 틈을 타 북벌을 감행했으나 막 왕조에 패배했다. 이후 막 왕조는 여러 차례 태원(太原) 일대에서 소요를 일으켰다.[1]1644년, 후 레 왕조는 대대적으로 까오방(高平)을 공격했으나 막 왕조에 패배했다.[1]
1661년, 청나라는 사신을 파견하여 막낀부를 귀화장군(歸化將軍),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로 봉했다.[1]
1662년, 막 왕조는 양산(諒山) 칠천(七泉)에서 군대를 모아 후 레 왕조에게 빼앗긴 영토 회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
1666년에서 1667년 사이, 찐딱이 대규모 북벌을 감행하여 까오방을 공격했다. 막낀부는 성을 버리고 청나라 운남(雲南)의 진안주(鎭安州)로 피신했다. 막낀부는 그 지역 관원에게 뇌물을 주어 청나라의 힘을 빌려 까오방으로 돌아가려 했다.[1]
1669년, 강희제가 사신을 보내 후 레 왕조에게 까오방 4주를 막 왕조에게 반환할 것을 요구했고, 막낀부는 까오방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때 막낀부는 막응우옌타인(莫元淸)으로 개명했는데, 일설에는 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1]
1673년, 청나라에서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막응우옌타인은 오삼계의 연호인 소무(昭武)를 채택하고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삼번의 난이 진압되면서 청군이 광서(廣西) 지역에 진입했다.[1]
1677년, 찐딱이 다시 까오방을 공격하자 막응우옌타인은 패배하고 광서의 용주(龍州)로 달아났다. 이로써 막 왕조의 잔여 세력은 완전히 소멸되었다.[1]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에 따르면, 막낀부(혹은 그의 아들 막낀꽝(莫敬光))는 1683년 청나라에 의해 후 레 왕조에 인도되었다. 이후 막씨 자손 중 사로잡히지 않은 자들은 후 레 왕조에 투항했고, 일부는 석방되어 찐 주의 관원이 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