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Gerakan)은 1968년 창당된 정당으로, 림 총 유가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969년 총선에서 페낭 주를 석권하며 주요 정당으로 부상했으나, 이후 국민전선에 참여하며 중국계 정당으로 변화했다. 2008년 총선에서 참패한 후 국민전선에서 탈퇴했으며, 2021년 국민동맹에 합류했다. 2022년 총선에서도 의석을 얻지 못했으나, 2023년 주 선거에서 한 석을 확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자유주의 정당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은 안와르 이브라힘의 부인인 완 아지자가 창당한 말레이시아의 중도좌파 정당으로, 사회·경제 개혁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총선에서 희망 연합의 승리를 이끌어 안와르 이브라힘의 총리 취임으로 이어졌고, 다민족 사회 통합과 공정한 사회경제 제도 구축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한다.
  • 1968년 설립된 정당 - 이스라엘 노동당
    이스라엘 노동당은 1968년 창당된 이스라엘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1960~70년대 집권하며 복지 국가를 확장했으나, 1977년 야당이 되었고, 오슬로 협정을 추진했으나 쇠퇴하여 2024년 민주당으로 재편될 예정이다.
  • 1968년 설립된 정당 - 필리핀 공산당
    필리핀 공산당은 1968년 호세 마리아 시손을 중심으로 재건된 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주의 정당으로, 민족민주전선과 신인민군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며 현재는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장기 인민전쟁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정당 - 말레이시아 사회당
    말레이시아 사회당은 1998년 노동절에 창당된 사회주의 정당으로, 근로자 권리 보장, 신자유주의 정책 폐지 등을 강령으로 풀뿌리 운동을 중시하며, 2008년 총선에서 연방 의회 의석 1석을 얻은 바 있다.
  • 말레이시아의 정당 - 통일말레이국민조직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정당으로, 말레이인과 무슬림의 권익을 대변하며 말레이시아 독립을 주도하고 국민전선을 결성하여 집권했으나, 독재, 인종차별, 부정선거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 로고
로고
공식 명칭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
로마자 표기Parti Gerakan Rakyat Malaysia
말레이어 명칭쁘르띠 끄라깐 라캍 말레이시아
중국어 명칭마라이시아 민정 운동
타밀어 명칭말레시아 막칼 이야칵 카트치
약칭PGRM/GERAKAN
기관지GERAKAN Today (전자 간행물)
슬로건사투 하티 끄락 브르사마 (하나의 마음으로 함께 나아가자)
본부8, 잘란 푸두 울루, 체라스, 56100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창립일1968년 3월 24일
합법화일1968년 5월 28일 (사회 단체 등록국에 의해 '정당'으로 합법화)
분리 정당말레이시아 화인 협회 (MCA)
통일 민주당 (UDP)
말라야 노동당 (LPM)
웹사이트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 공식 웹사이트
지도부
총재도미닉 라우 호 차이
사무총장로 카 용
부총재오 통 키옹
부총재쿠 시아우 리
발지트 싱 지기리 싱
알렉산더 로 수 히엔
란디 얍 킴 헹
파라메스와란 가나손
체크 콱 웽
게리 리 반 팻
여성 대표청 몬 시에
청년 대표웡 치아 젠
조직
청년 조직PEMUDA
여성 조직WANITA
이념 및 정책
이념자유주의
민족주의
다인종주의
정치적 위치중도
가입 및 지지
회원수285,100 (2022년)
관련 단체
싱크탱크사회 경제 개발 연구소 (SEDAR)
국제 관계
국제 연맹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옵서버)
지역 연맹민주주의자 동맹
지역 연맹아시아 자유주의자 민주주의자 협의회
의석수
상원'0'
하원'0'
주 의회'1'
기타
색상빨강 & 초록
상징130px
깃발

2. 역사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은 과거 말레이 국민 통합 기구(UMNO), 말레이시아 중국 협회(MCA), 말레이시아 인도 국민 회의(MIC) 등과 함께 여당 연합인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BN)의 일원이었다. 1969년 5.13 사건 이후 국민전선에 합류했으며, 연정 내에서는 아시아 자유민주 연맹(CALD)에 가입하는 등 비교적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주요 지지 기반은 화교였으나, MCA와 달리 다른 민족에게도 문호를 개방한 다민족 정당을 표방했다.[33]

2008년 총선에서 의석수가 크게 줄어들며 쇠퇴하기 시작했고, 2018년 총선에서는 모든 의석을 잃는 참패를 당했다. 이 결과 오랜 기간 함께 했던 국민전선에서 탈퇴하여 독자 노선을 걸으며 스스로를 제3세력으로 규정했다.

2020년에는 무히딘 야신 총리가 이끄는 국민동맹(Perikatan Nasional, PN) 정부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고 연합 합류를 신청했으며, 이후 국민동맹의 일원이 되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68-1972)

1968년, UDP가 해산되고, UDP의 전 구성원들은 노동당 등과 함께 새로운 정당인 그라칸( Gerakan|그라칸ms )을 결성했다.[6] 그라칸 창당에는 림 총 유 박사가 주요 역할을 했는데, 그는 이전에 MCA 회장이었으나 1959년 말라야 총선 당시 의석 배분 문제로 UMNO툰쿠 압둘 라만과 갈등을 겪고 탈당하여 1962년 UDP를 창당한 인물이다.

그라칸의 창립에는 사이드 후세인 알라타스 교수, 탄 치 쿤 박사, J.B.A. 피터 박사, 림 총 유, 왕 겅우 교수, 그리고 V. 비라판 등 6명이 참여했다.[7] 당은 특정 민족 공동체에 기반하지 않은 범 말레이시아 정당임을 표방했지만, 지지자 대다수는 중국계였으며 인도계와 말레이계로부터도 일부 지지를 받았다. 초대 임시 회장은 사이드 후세인 알라타스 교수가 맡았으며, 이후 림 총 유가 정식 회장으로 선출되어 1980년까지 당을 이끌었다.[8]

2. 2. 국민전선 합류와 발전 (1972-2008)

1969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페낭주를 장악한 후, 당내 분쟁과 일부 당원들의 탈당을 겪은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은 1972년 연합(Alliance)에 합류했으며, 이 연합은 1973년 국민전선(Barisan Nasional, BN)으로 개편되었다.[10] 이는 범말레이시아 이슬람당(PAS)과 함께 당시 연방 정부와 연계되지 않았던 주요 야당 세력이 집권 연합에 참여하는 중요한 정치적 변화였다.

1973년에는 림 켄 자익(Lim Keng Yaik)과 폴 리옹 키 셩(Paul Leong Khee Seong) 등 MCA에서 축출된 페락주 및 슬랑고르주 출신 인사들이 민중운동당에 합류했다.[11][12] 1980년, 창당 지도자였던 림총유(Lim Chong Eu)가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기로 결정하자, 림 켄 자익은 림총유의 지지를 받던 폴 리옹을 누르고 새로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13] 림 켄 자익은 이후 2007년 은퇴할 때까지 장기간 당을 이끌었다.

국민전선 내에서 민중운동당은 또 다른 주요 중국계 정당인 MCA와 지속적인 경쟁 및 갈등 관계에 놓였다. 민중운동당은 MCA의 입지를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197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는 MCA의 지원을 받은 7명의 전 MCA 당원들이 민중운동당 후보에 맞서 출마하는 등 갈등이 표면화되기도 했다.[14] 이 선거에서 민중운동당은 일부 의석을 잃었으나, 주요 기반인 페낭주는 지켜냈다. 당은 페락주 등 다른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으며, 이는 MCA로부터 이탈한 인사들의 합류로 탄력을 받았다. 1979년 MCA 대표 경선에서 패배한 마이클 첸(Michael Chen)이 1981년 민중운동당에 합류하자[15], 약 12만 명의 MCA 반체제 당원들이 뒤따라 합류하면서 민중운동당은 전국적인 조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다만 첸은 1984년 림 켄 자익 지도부에 도전했다 실패한 후 MCA로 복귀했다).[16] 1982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는 연방 하원 의석(할당된 7석 중 4석에서 5석으로 증가)과 주 의회 의석(12석에서 15석으로 증가) 모두에서 성과를 거두었다.[17]

1986년 말레이시아 총선을 앞두고는 페낭 주지사직을 둘러싸고 UMNO와 갈등을 겪었다. 당시 UMNO 일각에서는 임기가 만료되는 림총유 대신 안와르 이브라힘을 포함한 말레이계 인사가 주지사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민중운동당은 더 많은 의석을 할당받지 못하면 국민전선을 탈퇴하겠다고 위협했고,[18] 결국 9석을 할당받았으나 이 중 4석을 잃어 이전과 같은 5석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또한 이 시기 말레이시아 민주행동당(DAP)이 페낭 주 의회에서 약진하며 민중운동당을 제치고 주 내 제2당으로 부상하는 등 외부적인 압박도 커졌다.[19]

1990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는 림총유가 자신의 지역구인 파당 코타(Padang Kota)에서 말레이시아 민주행동당의 림 킷 시앙(Lim Kit Siang)에게 패배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았고, 이후 림총유는 정계를 은퇴했다.[8] 그럼에도 민중운동당은 코 수 쿤(Koh Tsu Koon) 박사가 림총유의 뒤를 이어 페낭 주지사직을 승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1995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는 연방 하원 7석과 주 의회 23석을 확보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1969년부터 2008년까지 약 40년간 민중운동당은 페낭 주 정치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항상 주 내 최대 정당은 아니었지만(1970년대 후반 이후 여러 해 동안 UMNO가 최대 정당이었다), 림총유와 코 수 쿤 두 명의 주지사를 배출하며 페낭의 발전에 깊이 관여했다.[20] 당은 전국적인 지지 기반 확대를 위해 1996년 본부를 쿠알라룸푸르로 이전했다.[6]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민중운동당은 연방 하원 10석과 주 의회 30석을 얻으며 역대 최고의 선거 성적을 기록했다. 2005년 8월 27일 열린 당 대회에서는 당 대표 림 켄 자익이 부대표였던 케르크 추 팅(Kerk Choo Ting)의 도전을 받았으나, 983표를 얻어 628표를 얻은 케르크를 누르고 대표직을 지켰다. 코 수 쿤은 단독 후보로 나서 무투표 당선으로 새로운 부대표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민중운동당은 말레이 국민 통합 기구(UMNO), 말레이시아 중국 협회(MCA), 말레이시아 인도 국민 회의(MIC) 등과 함께 국민전선 연립 여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비록 1969년 5.13 사건 이후 연정에 참여했지만, 아시아 자유민주 연맹(CALD)에 가입하는 등 여당 내에서는 비교적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주요 지지 기반은 화교였으나, MCA와 달리 다른 민족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여 당원 구성은 화교 80%, 인도계 15%, 기타 말레이계 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정당을 표방했다. 전 당수였던 림 켄 자익은 에너지·수자원·통신부 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33]

2. 3. 쇠퇴와 국민전선 탈퇴 (2008-2018)

2008년, 림 켕 야익이 정계에서 은퇴한 후 코 츠 쿤이 2008년 당 선거에서 무투표로 대표직을 이어받았다.[21] 그러나 같은 해 치러진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민중운동당은 창당 이래 최악의 참패를 겪었다. 선거 전 10석이었던 의석은 단 2석으로 줄어들었으며, 이 결과 내각의 유일한 장관직마저 잃게 되었다. 특히 약 39년간 집권해 온 페낭 주에서의 권력 상실은 당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22] 선거 패배 직후 탄 키 퀑, 리 카 추온 등 주요 당원들이 연이어 탈당하여 당시 야당 연합이었던 Pakatan Rakyat에 합류하는 등 당의 위기가 심화되었다.[23]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민중운동당은 2008년 5월 25일, 당 창립 40주년 기념행사와 함께 당 쇄신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당의 이념과 정책 방향을 재확인하고, 주요 현안에 대한 말레이시아적 해법을 제시하며, 당 조직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24] 또한 "Satu Hati Gerak Bersama|사투 하티 그락 버르사마msa"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내걸고 변화를 모색했다.[25][26]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3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민중운동당은 의석 회복에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가지고 있던 2석 중 1석마저 잃으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총선 이후 열린 당 대표 선거에서는 마 시우 켕이 텡 창 여우를 누르고 새로운 대표로 선출되었다.[27] 2016년에는 당시 여당 연합이었던 국민전선(BN) 대표가 민중운동당 연례 총회에 직접 참석하는 대신 짧은 영상 메시지만 보내는 등, 연합 내에서의 입지가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도 있었다.[28]

결정적으로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민중운동당은 단 한 석의 의석도 얻지 못하는 전례 없는 패배를 당했다. 이 총선 결과는 국민전선 연합의 정권 교체로 이어졌으며, 민중운동당은 총선 직후 오랜 기간 함께했던 국민전선에서 탈퇴하여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 이후 민중운동당은 스스로를 제3세력으로 규정하며 활동하고 있다.

2. 4. 국민동맹 합류와 현재 (2018-현재)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민중운동당은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며 창당 이래 처음으로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선거 패배 이후, 2018년 6월 23일 당은 만장일치로 기존의 여당 연합이었던 국민전선 탈퇴를 결정했다.[2] 국민전선을 탈퇴한 후 독자 노선을 걸으며 2019년 탄중 피아이 보궐선거에 후보를 냈으나 당선에는 실패했다.

2020년, 당시 당 주석이었던 라우 와 초이는 온라인 기자회견을 통해 무히딘 야신 총리가 이끄는 국민동맹 정부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민중운동당이 국민동맹에 합류할 것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에 대해 당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페낭 사우스차이나 병원 스트리트 지부장 루 키앗 산은 라우 주석이 과거 마하티르 모하마드안와르 이브라힘을 지지하다가, 셰라톤 이동으로 인민정의당을 탈당한 아즈민 알리에게 접근하고, 최종적으로 무히딘 야신 총리를 지지하는 행보를 보인 것을 "기회주의"라고 비판했다. 이에 라우 주석은 국민동맹 합류 신청이 당 중앙 작업 위원회(CWC)와 중앙 위원회(CC)의 결의를 거친 정당한 절차였음을 강조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민중운동당은 2021년 2월 국민동맹 연합에 공식적으로 합류했다.[29]

국민동맹의 일원이 된 후 치른 2022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는 다시 한번 국회의원과 주 의회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30] 하지만 이듬해인 2023년 케다 주 선거에서 1석을 얻으며, 2014년 텔록 인탄 보궐선거 이후 약 9년 만에 처음으로 선거 승리를 기록하며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3. 이념 및 정책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은 다민족 정당을 표방하며, 주요 지지 기반은 화교(약 80%)이지만 인도계(약 15%) 및 기타 말레이계 등 다른 민족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이는 화교에게만 당원 자격을 부여하는 말레이시아 중국 협회(MCA)와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33]

과거 말레이 국민 통합 기구(UMNO), MCA, 말레이시아 인도 국민 회의(MIC) 등과 함께 여당 연합인 국민 전선의 일원이었으나(1969년 5.13 폭동 이후 참여), 아시아 지역 자유주의 정당들의 국제 네트워크인 아시아 자유민주 연맹(CALD)에 가입하는 등 연립 내에서는 비교적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았다.[33] 전 당수 림 켄 약은 에너지 수통신부 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33]

2008년 총선에서 의석수가 크게 줄어들었고, 2018년 총선에서는 모든 의석을 잃은 후 국민 전선에서 이탈했다. 현재는 스스로를 제3세력으로 자리매김하며 독립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민중운동당 국가 주석 라우 와 초이는 온라인 기자 회견을 통해 무히딘 야신이 이끄는 국민 동맹 정권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민중운동당의 국민 동맹 가입을 신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페낭 사우스차이나 병원 스트리트 지부장 루 키앗 산은 라우 와 초이가 과거 마하티르 모하마드와 안와르 이브라힘을 지지했고, 이후 인민정의당을 탈당한 아즈민 알리 전 부총재에게 접근했으며, 최종적으로 무히딘 야신 총리를 지지하는 등 "기회주의"적인 행보를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후 스탠리 라우는 자신의 당원 자격이 동결되었다고 밝혔다. 라우 와 초이는 국민 동맹 참여 신청이 당 중앙작업위원회(CWC)와 중앙위원회(CC)의 결의를 거친 정당한 절차였다고 설명했다.

4. 조직

(내용 없음)

4. 1. 역대 지도부

순서초상이름[31]재임 기간비고
1사이드 후세인 알라타스1968년1969년
2림 총 유1969년1980년
3림 켕 야익[33]1980년2007년 4월 8일
고 추 쿤2007년 4월 8일2008년 10월 4일권한대행
4고 추 쿤2008년 10월 4일2013년 5월 16일
창 코 윤2013년 5월 16일2013년 10월 26일권한대행
5마 시우 켕2013년 10월 26일2018년 11월 17일
6도미닉 라우 호에 차이2018년 11월 17일현직


4. 2. 현재 지도부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는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의 '현재 지도부'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당 소속의 '주 의회 의원'에 대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요청된 '현재 지도부'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의 내용은 '의회 구성' 또는 '소속 정치인'과 같은 다른 섹션에 더 적합합니다.

5. 선거 결과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은 창당 이후 꾸준히 말레이시아 총선 및 주 의회 선거에 참여해왔다. 역대 선거에서의 득표 및 의석 확보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총선 결과

이후 여당 연합 (연합당)림 총 유1974년53석 감소;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총 유1978년41석 감소;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총 유1982년51석 증가;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1986년5변동 없음;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1990년5변동 없음;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1995년72석 증가;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1999년79변동 없음;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2004년1012257,7633.7%3석 증가; 여당 연합 (국민 전선)림 겡 야익2008년211184,5482.27%8석 감소; 여당 연합 (국민 전선)코 츠 쿤2013년111191,0191.73%1석 감소; 여당 연합 (국민 전선)코 츠 쿤2018년011128,9731.07%1석 감소; 의회 진출 실패 (국민 전선)마 시우 콩2022년023305,1251.97%변동 없음; 의회 진출 실패 (국민 동맹)도미닉 라우 호에 차이


5. 2. 주 의회 선거 결과

2023년 기준으로 케다 주 의회에서 1석을 보유하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 번호국회의원 선거구주 선거구 번호주 선거구의원정당
케다P018쿨림-반다르 바하루N35쿨림웡 치아 젠GERAKAN
합계케다 (1)



아래 표는 역대 주 의회 선거에서 말레이시아 민중운동당이 획득한 의석 수를 보여준다.

주(州) 선거주 의회
케다페낭페락파항슬랑고르느그리슴빌란말라카조호르사바총 획득 의석 수 / 총 출마 의석 수
1969년2/2416/242/401/244/281/200/3226/38
1974년1/2611/271/421/321/3315/18
1978년1/268/272/421/3312/17
1982년1/268/273/421/321/330/240/201/3215/18
1986년1/289/331/461/330/420/281/3613/22
1990년7/331/461/330/421/3610/18
1995년2/3610/335/521/381/481/322/4022/26
1999년2/3610/333/521/382/481/322/4021/25
2004년2/3613/404/591/424/562/361/283/5630/31
2008년1/360/400/591/420/560/360/282/564/31
2013년0/360/400/590/420/560/360/281/562/603/31
2018년0/360/400/590/420/560/360/280/560/600/31
2021년 (말라카)0/280/5
2022년 (조호르)0/560/8
2022년 (페락, 파항)0/590/420/14
2023년1/360/400/560/361/36



민중운동당은 창당 초기부터 페낭 주 의회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9년 선거에서 16석을 얻었으며, 1970년대부터 2004년까지 꾸준히 다수 의석을 유지하며 페낭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그러나 2008년 선거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는 결과를 맞이했고, 이후 선거에서도 페낭 주 의회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과거의 영향력을 상실했다.

전체적으로 민중운동당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여러 주에서 의석을 확보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으나, 2008년 선거를 기점으로 급격한 하락세를 겪었다. 2018년 선거에서는 모든 주 의회에서 의석을 잃었으나, 2023년 선거에서 케다 주 의회에서 1석을 얻으며 5년 만에 주 의회 원내 재진입에 성공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erakan Rakyat Malaysia Party http://www.liberal-i[...] 2011-11-17
[2] 웹사이트 Gerakan leaves Barisan Nasional https://www.nst.com.[...] New Straits Times 2018-06-23
[3] 뉴스 Gerakan joins PN https://www.freemala[...] Free Malaysia Today 2021-02-11
[4] 웹사이트 Gerakan in tough position within Perikatan over brewery donation issue https://www.thestar.[...] 2024-07-29
[5] 뉴스 PPP offers Gerakan merger http://malaysia-toda[...] The Star 2006-11-20
[6] 서적 The A to Z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7]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1968–1972 http://www.gerakan.o[...]
[8] 서적 Southeast Asian Personalities of Chinese Descent: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9] 서적 Indian Communitie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0] 서적 The A to Z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1] 서적 he Influence of the Type of Dominant Party on Democracy: A Comparison Between South Africa and Malay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VS
[12] 서적 Southeast Asian Personalities of Chinese Descent: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3] 서적 Malaysia's 1982 General Elec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4] 서적 The Politics of Accommodation: An Analysis of the 1978 Malaysian General Elec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5] 서적 Malaysia's 1982 General Elec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6] 서적 Non-sectarian Politics in Malaysia: The Case of Parti Gerakan Rakyat Malaysia https://books.google[...] Trafalgar Publishing House
[17] 서적 Malaysia's 1982 General Elec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8] 서적 Malaysia's 1986 General Election: The Urban-rural Dichotom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19] 서적 Malaysia's 1986 General Election: The Urban-rural Dichotom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20] 서적 The City in Southeast Asia: Patterns, Processes and Policy https://books.google[...] Univ of Hawaii Pr
[21] 웹사이트 Sdr Tan Sri Dr Koh Tsu Koon (President from 2007 to 2013) http://www.gerakan.o[...]
[22] 서적 he Influence of the Type of Dominant Party on Democracy: A Comparison Between South Africa and Malay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VS
[23] 뉴스 Gerakan's Tan 'joins' Pakatan http://www.thestar.c[...] The Star 2008-05-29
[24] 뉴스 Will a party rejuvenation program save Gerakan from its impending doom? http://www.therakyat[...] Rakyat Post 2013-10-29
[25] 뉴스 Gerakan still has a role to play: Koh http://www.thesundai[...] The Sun Daily 2008-05-26
[26] 웹사이트 Gerakan Matters http://www.gerakan.o[...]
[27] 뉴스 Gerakan: Mah Siew Keong is the new party president http://www.thestar.c[...] The Star 2013-10-26
[28] 웹사이트 Do more to win people over, Najib urges Gerakan http://www.themalaym[...] 2018-04-02
[29] 뉴스 Former BN party Gerakan joins Malaysia's ruling Perikatan Nasional coalition https://www.straitst[...] The Straits Times 2021-02-12
[30] 뉴스 Gerakan to contest under Perikatan logo https://www.thestar.[...] The Star 2022-10-26
[31] 웹사이트 Former Presidents http://www.gerakan.o[...] 2018-04-02
[32] 문서 「中東・イスラーム諸国の民主化」データベース マレーシア・政党 http://www.l.u-tokyo[...]
[33] 뉴스 人民運動党リム・ケンヤイク元総裁が死去 http://www.nangoku.c[...] 南国新聞 2012-12-26
[34] 뉴스 PPP offers Gerakan merger http://malaysia-toda[...] The Star 2006-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