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티그 공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티그 공식은 암흑 에너지가 없는 경우 광도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식으로, 1958년 W. Mattig가 유도했다. 이 공식은 감속 매개변수가 0보다 클 때 유효하며, 광도 거리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테럴 공식은 모든 감속 매개변수 값에 대해 유효하도록 수정된 버전이며, 감속 매개변수가 0일 때는 테일러 급수를 사용하여 광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우주론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물리우주론 - 티마이오스 (대화편)
플라톤의 대화편 《티마이오스》는 소크라테스,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헤르모크라테스의 대화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기원과 본성을 탐구하며, 데미우르고스에 의한 우주 창조, 4원소의 수학적 구조, 그리고 《크리티아스》와의 연관성으로 플라톤 철학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매티그 공식 | |
|---|---|
| 개요 | |
| 유형 | 수학 공식 |
| 분야 | 천문학, 우주론 |
| 이름 유래 | 에이나르 매티그 (Ejnar Mattig) |
| 상세 정보 | |
| 목적 | 적색 편이와 거리 사이의 관계 추정 |
| 활용 | 우주의 크기 및 우주의 나이 추정에 활용 |
| 관련 개념 |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 |
| 수식 | |
| 수식 표현 | D = c z / H₀ {1 + (1 - q₀) z / 2} |
| 변수 설명 | D: 공변 이동 거리 c: 광속 z: 적색 편이 H₀: 허블 상수 q₀: 감속 매개변수 |
2. 암흑 에너지가 없는 경우의 광도 거리
암흑 에너지가 없는 프리드만 우주 모형에서 광도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우주론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암흑 에너지가 없는 경우의 광도 거리는 1958년 독일의 천문학자 볼프강 매티그(Wolfgang Mattig)에 의해 처음으로 수학적 공식으로 유도되었다.[6][2] 매티그가 제시한 공식은 우주 상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속 매개변수 가 0보다 클 때()만 유효하다는 한계가 있다.[7][3]
이러한 매티그 공식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1977년 제임스 테럴(James Terrell)은 새로운 공식을 제시했다.[8][4] 테럴의 공식은 감속 매개변수 가 0 이상인()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어, 매티그 공식보다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 광도 거리를 계산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감속 매개변수가 정확히 0인 특별한 경우()에 대한 광도 거리 공식도 별도로 유도되어 사용된다.
각 공식과 관련 변수(고유 거리, 공변 거리, 감속 매개변수, 스케일 팩터, 허블 상수, 적색편이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매티그 공식 (1958)
매티그(W. Mattig)가 1958년 발표한 논문에서 유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6][2][7][3]여기서 은 관찰자로부터 천체까지의 원주좌표 거리(현재의 고유 거리)를 나타낸다. 공식에 사용된 다른 변수들(: 감속 매개변수, : 현재 스케일 팩터, : 현재 허블 상수, : 적색편이 등)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 공식은 감속 매개변수 일 때만 유효하다. 이는 공식을 유도할 때 우주 상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우주 상수가 없다면 는 음수 값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인 경우에는 이 공식을 사용하여 값을 계산할 수 없다.[7][3]
이 값을 이용하여 광도 거리 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이라면,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여 광도 거리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한편, 1977년 테럴(Terrell)은 인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공식을 제시하기도 했다.[8][4]
2. 1. 1. 매티그 공식에 사용되는 변수
- : 관찰자로부터 천체의 원주좌표 거리. 이는 현재 시점의 고유 거리와 같다. 의 관계를 가진다.
- : 고유 거리(proper distance).
- : 공변 거리(comoving distance).
- : 감속 매개변수. 로 정의되며, 는 현재 우주에 있는 물질의 밀도를 나타낸다.
- : 현재 시점의 스케일 팩터(척도 인자).
- : 임의의 시간에서의 스케일 팩터(척도 인자).
- : 현재 시점의 허블 상수.
- : 적색편이.[7][3]
2. 2. 테럴 공식 (1977)
1977년 테럴(Terrell)은 광도 거리 을 계산하기 위한 새로운 공식을 제시했다.[8][4] 이 공식은 기존 매티그 공식이 인 경우에만 유효했던 것과 달리, 감속 매개변수 인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테럴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광속, 는 현재의 허블 상수, 는 적색편이, 는 감속 매개변수이다.
2. 3. 감속 매개변수가 0인 경우
감속 매개변수 일 때, 테일러 급수를 사용하여 광도 거리에 대한 다음 표현식을 얻는다.:
참조
[1]
서적
Observations in Cosmology
http://ned.ipac.cal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논문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Rotverschiebung und scheinbarer Helligkeit
1958
[3]
서적
An Introduction to Active Galactic Nuclei
[4]
논문
The luminosity distance equation in Friedmann cosmology
1977
[5]
서적
Observations in Cosmology
http://ned.ipac.calt[...]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Rotverschiebung und scheinbarer Helligkeit
1958
[7]
서적
An Introduction to Active Galactic Nuclei
[8]
논문
The luminosity distance equation in Friedmann cosmology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