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디치 예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디치 예배당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산 로렌초 성당에 있는 두 개의 건축물, 사그레스티아 누오바(신 성구실)와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군주의 예배당)를 통칭한다.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사그레스티아 누오바는 메디치 가문의 장례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메디치 가문의 무덤과 미켈란젤로의 조각 작품으로 장식되었다.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는 코시모 1세의 구상과 페르디난도 1세의 추진으로 건설되었으며, 다채색 대리석과 보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메디치 가문의 권위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 로렌초 성당 - 메디체아 라우렌치아나 도서관
    미켈란젤로가 설계하고 트리볼로, 바사리, 암마나티가 건설한 피렌체의 메디체아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르네상스 건축의 중요한 사례로, 건축적 긴장감을 유발하는 구조와 공간별 분위기,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한 계단 설계가 특징이며, 서양 문화 및 역사 연구에 중요한 고문서와 필사본들을 소장하고 현대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 매너리즘 - 세르펜티나타 양식
  • 피렌체의 교회당 - 산티 시모네 에 주다
    산티 시모네 에 주다는 1192년 예배당에서 시작되어 교구 교회로 지정되었으며, 17세기 개보수를 거쳐 수도원 분원으로 승격된 교회이다.
  • 피렌체의 교회당 - 바론첼리 예배당
    바론첼리 예배당은 피렌체 산타 크로체 성당 내 바론첼리 가문 의뢰로 건설된 예배당으로, 조토 디 본도네의 제단화와 타데오 가디의 프레스코 연작 등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조반니 디 발두치오가 설계한 묘는 르네상스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메디치 예배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카펠레 메디체 돔은 산 로렌초 건축 단지를 지배한다.
카펠레 메디체 돔은 산 로렌초 건축 단지를 지배한다.
위치피렌체, 이탈리아, 마돈나 델리 알도브란디니 광장
유형박물관
방문객 수321,043명
관장Monica Bietti
명칭
이탈리아어Cappelle medicee
영어 (로마자 표기)Cappelle medicee
주요 구조
구성 요소새 성구실 (Sagrestia Nuova)
군주 예배당 (Cappella dei Principi)

2. 사그레스티아 누오바 (신 성구실)

왼쪽


사그레스티아 누오바(신 성구실)는 교황 레오 10세교황 클레멘스 7세의 명으로 메디치 가문 구성원들의 묘소로 건설되었다. 산 로렌초 성당 좌측에 있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의 사그레스티아 베키아(옛 성구실)와 균형을 이루도록 의도적으로 배치되었으며, '피에트라 세레나'라는 회색 돔과 회반죽 벽면으로 둘러싸인 정육각형 구조를 공유한다.[22]

간단히 줄여 메디치 예배당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폐쇄된 산 로렌초 성당 우측 익랑 코너의 입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25]

네무르 공작 줄리아노 (로렌초 2세의 셋째 아들)와 그의 조카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줄리아노의 형 피에로 데 메디치의 아들, 마니피코의 손자)는 각각 1516년1519년에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며 미켈란젤로에게 산 로렌초 성당에 묘를 건립하도록 의뢰했다.

구 성구실에 새로운 장식을 추가하는 것은 어렵고, 지하 성당(크립타)는 의뢰자가 의도하는 화려한 묘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마니피코와 그의 동생 줄리아노의 묘도 아직 건설되지 않아 새로운 건축물을 만들 필요성이 생겨났다.

2. 1. 건축 및 설계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의 '사그레스티아 베키아'(구 성구실)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미켈란젤로가 건축 설계를 맡았다.[2] 정육면체 구조에 돔을 올린 형태로, '피에트라 세레나'라는 회색 석재와 흰색 벽면으로 마감되었다. 미켈란젤로는 메디치 가문 인물들의 무덤과 '밤', '낮', '황혼', '새벽' 등 시간을 의인화한 조각상들을 설계했다.[3]

새 성구실(Sagrestia Nuova)은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과 그의 사촌 교황 레오 10세가 메디치 가문 구성원들을 위한 능묘 또는 장례 예배당으로 계획한 곳이다. 미켈란젤로[2]의 건축으로서 최초의 시도(1519~1524년)였다.[3] 1524년에 돔이 완성되었지만, 메디치 가문의 일시적 망명(1527년), 율리오(후에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죽음, 그리고 1534년 미켈란젤로의 로마로의 영구적인 이주와 같은 사건들로 인해 미켈란젤로는 설계를 완성하지 못했다.

신성구실[13]은 건축가이자 조각가로서 미켈란젤로의 걸작 중 하나로, 브루넬레스키와 도나텔로가 만든 "구성구실"과 대칭을 이루도록 계획되었다. 미켈란젤로는 이 건축 계획 이전에 레오 10세의 사촌인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후의 교황 클레멘스 7세)으로부터 산 로렌초 성당의 파사드(façade) 건설을 의뢰받았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1520년 3월 계약을 취소하였다. 같은 달에 새로운 예배당 건설 계획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브루넬레스키가 설계한 기존 성구실과 대칭을 이루는, 같은 형태의 건물을 건설하는 것이 의도되었다.

1526년, 마니피코의 묘가 처음으로 벽면에 매립되었다. 미켈란젤로는 신성구실의 설계와 동시에, 신성구실에 매장될 메디치 가문 주요 인물들의 묘소를 위해 『밤』, 『낮』, 『황혼』, 『여명』의 장식 조각도 제작했다.[16]

2. 2. 미완성과 이후의 작업

1524년에 천장이 지어졌지만, 1527년 로마 약탈과 메디치 가문의 일시적인 추방,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된 줄리오 데 메디치의 죽음, 그리고 1534년 미켈란젤로의 로마로의 영구적인 이주와 같은 사건들로 인해, 새 성구실의 야심찬 조각 계획은 미켈란젤로가 완료하지 못했다.[27]

미켈란젤로가 이 작업 중에 완성한 첫 조각상인 '성모자상'을 비롯한 이후의 조각상들 대부분은 미켈란젤로가 떠날 시기쯤에 만들어졌으나 예배당에 배치되지 못하고 예배당 건너편에 무질서하게 놓였다. 이후 1545년에 니콜로 트리볼로가 이 조각상들을 성당에 설치하였고,[26] 코시모 1세의 명으로 조르조 바사리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가 1555년경에 작업을 마쳤다.[27]

네 개의 메디치 가문 무덤이 건설 계획에 있었으나, 로렌초 데 메디치와 그의 동생 줄리아노 데 메디치 (입구쪽 벽의 제단 아래에 안치됨)의 무덤은 시공조차 하지 못했다. 현존하는 화려한 무덤들은 비교적 최근에 죽었고 덜 유명한 가문원들이며 비교적 이른 죽음으로 생애가 비극적으로 끊긴 느무르 공작 줄리아노 데 메디치 (1514년 사망, 향년 37세)와 그의 조카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디 피에로 (1519년 사망, 향년 27세, 그의 딸인 카테리나 데 메디치는 프랑스의 왕비가 되었다)의 것이다. 이 무덤들의 건축적 요소들은 유사하면서도 대비를 보이는 조각들을 가지고 있다.

2. 3. 주요 무덤

로렌초 데 메디치와 그의 동생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무덤은 건설되지 않았다.[2] 현존하는 무덤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생을 마감한 느무르 공작 줄리아노 데 메디치와 그의 조카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것이다.[2] 이 무덤들의 건축적 요소는 유사하며, 조각상들은 대조를 이룬다.[2]

미켈란젤로는 신성구실에 매장될 메디치 가문 주요 인물들의 묘소를 위해 『밤』, 『낮』, 『황혼』, 『여명』의 장식 조각도 제작했다.[16] 이 4점의 조각은 후대 조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6]

2. 4. 숨겨진 회랑

1976년, 신 성구실 벽면에서 미켈란젤로가 그린 그림이 남아있는 숨겨진 회랑이 발견되었다.[28][29]

3.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 (군주의 예배당)

19세기에 촬영된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군주의 예배당) 내부 사진


thumb의 문장이다.]]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군주의 예배당)는 메디치 가문의 묘소로, 화려한 장식이 특징이다.

높이 59m의 돔으로 덮인 팔각형 구조이며, 멀리서도 눈에 띄는 산 로렌초 성당의 독특한 건축물이다. 후진 예배당에 해당하며, 마돈나 델리 알도브란디니 광장 쪽에 입구가 있다.[30]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돔형 천장의 지하 성당으로 이어진다.[31]

코시모 1세 데 메디치가 처음 설계를 구상했고,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가 이를 이어받았다. 마테오 니게티가 설계를 맡았는데, 이는 코시모 1세의 아들 돈 조반니가 1602년에 비공식적으로 실시한 경쟁을 거친 결과였다. 원래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를 맡았으나, 고령으로 인해 니게티에게 넘겨졌다.[32]

벽면은 다채로운 대리석과 반귀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토스카나 대공가는 이를 위해 전문 가공 공방(현재의 피에트레 두레 박물관)을 설립했다. 완성된 예배당은 피렌체에서 "상인들 (commessiit)"의 예술품으로 불렸으며, 벽면은 대리석과 반귀석의 복잡한 무늬로 가득 차 있었다. 18세기와 19세기 방문객들은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겼지만, 현재는 당시 선호되었던 양식의 한 예로 재평가받고 있다.[33]

예배당 내부에는 6개의 석관이 있지만 비어 있다. 메디치 가문 사람들은 지하 성당에 매장되었기 때문이다. 벽면의 16개 구획에는 메디치 가문 지배 아래 있던 토스카나 도시들의 문장이 표현되어 있다. 벽감에는 페르디난도 1세와 코시모 2세의 조각상 등 메디치 가문 주요 인물들의 초상 조각이 있었다. 이 조각상들은 피에트로 타카의 작품이다.

3. 1. 건축 및 설계

외부


산 로렌초 성당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59미터 높이의 돔으로 둘러싸인 8각형 구조의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이다. 제실과 평형을 이루는 신랑, 성단소와 같은 축에 놓여 있으며, 마돈나 델리 알도브란디니 광장에 위치한 외부 입구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30] 예배당 설계 이전에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설계한 크립트를 통과해야 한다.[31]

코시모 1세 데 메디치가 구상하고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가 실현한 카펠라 데이 프린치피는 돈 조반니 데 메디치의 스케치를 바탕으로 마테오 니게티가 설계했으며, 이후 부온탈렌티가 건설을 맡으며 설계가 변경되었다.[32] 궁정 예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이 예배당은 설계자와 후원자 간 협력의 결과물이었다.

다채색 대리석과 보석 상감 외장을 위해 오피피초 델레 피에트레 두레(경질석 공작소)가 설립되었다. 피렌체에서 '콤메시'(commessi)라 불리는 이 미술은 벽면 전체를 덮는 외장 디자인을 위해 보석과 반암 조각을 끼워 맞추는 방식이다. 비록 18-19세기 방문객들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당대 취향을 보여주는 예시로 인정받고 있다.[33] 여섯 개의 커다란 사르코파구스는 비어있으며, 메디치 가문원들의 유해는 아래 크립트에 안치되어 있다. 16개 공간에는 메디치 가문 통치 하 토스카나 도시들의 문장이 있다. 벽감에는 피에트로 타카가 제작한 페르디난도 1세와 코시모 2세의 조각상이 있었다.

3. 2. 화려한 장식

오피피초 델레 피에트레 두레(경질석 공작소)에서 제작된 다채색 대리석과 보석, 반귀석 등으로 이루어진 뛰어난 상감 세공 장식이 특징이다. 피렌체에서 '콤메시'(commessi)라 불리는 이 상감 세공은 벽면 전체를 덮고 있으며, 조각난 보석과 반암들을 끼워 맞춰 제작되었다.[33] 18세기-19세기 방문자들은 이러한 장식에 대해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 현재는 당대 취향을 보여주는 예시로 재평가받고 있다.[33]

예배당 내부의 커다란 여섯 사르코파구스는 비어있는데, 이는 메디치 가문원들의 유해가 아래 크립트로 옮겨졌기 때문이다. 다도(dado)의 16개 공간에는 메디치 가문의 통치 아래 있던 토스카나 지역 도시들의 문장이 장식되어 있다. 벽감에는 피에트로 타카가 제작한 페르디난도 1세코시모 2세의 조각상이 있었으나, 이 역시 메디치 가문원들의 조각상을 담기 위한 공간이었다.

3. 3. 석관과 문장

커다란 여섯 개의 석관은 비어있는데, 메디치 가문원들의 유해는 아래의 지하 묘소에 안치되어 있다. 벽면의 16개 구획에는 메디치 가문의 통치 하에 있던 토스카나 도시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 벽감에는 피에트로 타카가 제작한(1626년–1642년)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코시모 2세 데 메디치를 묘사한 조각상 두 개가 있다.[33]

참조

[1] 서적 Michelangelo Princeton
[2] 서적 Michelangelo at San Lorenzo. The Genius as Entreprene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미켈란젤로의 알레고리
[4] 문서 메디치 예배당 입구
[5] 서적 Florentine Renaissance Sculpture John Murray Publishing
[6] 서적 The Museum of the Medici Chapels and the Church of San Lorenzo Sillabe Publishing
[7] 웹사이트 Michelangelo: Mysteries of Medici Chapel http://www.florentin[...] SLOVO
[8] 웹사이트 Michelangelo Drawings – Key to the Medici Chapel Interpretation http://www.florentin[...] Letny Sad
[9] 문서 사그레스티아 누오바
[10] 문서 코시모 데 메디치와 도나텔로의 매장지
[11] 서적 Firenze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12] 서적 Firenze e dintorni TCI
[13] 서적 Michelangelo, The Architecture of Michelangelo Princeton
[14] 서적 Florentine Renaissance Sculpture John Murray Publishing
[15] 서적 The Museum of the Medici Chapels and the Church of San Lorenzo Sillabe Publishing
[16] 문서 미켈란젤로의 알레고리
[17] 웹사이트 Michelangelo: Mysteries of Medici Chapel http://www.florentin[...] SLOVO
[18] 웹사이트 Michelangelo Drawings – Key to the Medici Chapel Interpretation http://www.florentin[...] Letny Sad
[19] 문서 사그레스티아 누오바
[20] 서적 Firenze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21] 서적 Firenze e dintorni TCI
[22] 서적 Michelangelo Princeton
[23] 서적 Michelangelo at San Lorenzo. The Genius as Entreprene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문서 미켈란젤로의 알레고리
[25] 문서 메디치 예배당 입구
[26] 서적 Florentine Renaissance Sculpture John Murray Publishing
[27] 서적 The Museum of the Medici Chapels and the Church of San Lorenzo Sillabe Publishing
[28] 웹사이트 Michelangelo: Mysteries of Medici Chapel http://www.florentin[...] SLOVO
[29] 웹사이트 Michelangelo Drawings – Key to the Medici Chapel Interpretation http://www.florentin[...] Letny Sad
[30] 문서 사그레스티아 누오바
[31] 문서 코시모 데 메디치와 도나텔로의 매장지
[32] 서적 Firenze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33] 서적 Firenze e dintorni TC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