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포 브루넬레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가, 조각가, 금세공인, 기술자이다. 그는 1377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금세공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1401년 피렌체 세례당 청동 문 디자인 공모전에 참여했다. 이후 로마를 방문하여 고대 건축물을 연구하고,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기초를 다졌다. 브루넬레스키는 피렌체 대성당의 돔을 설계하고 건설하는 데 성공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산 로렌초 성당, 산토 스피리토 성당, 파치 예배당 등 여러 건축물을 설계했다. 그는 또한 선원근법 시스템을 개발하여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적인 혁신을 통해 다양한 기계와 장치를 발명했다. 브루넬레스키는 1446년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피렌체 대성당 지하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토목공학자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토목공학자 - 조반니 바티스타 카프로니
조반니 바티스타 카프로니는 이탈리아의 항공 엔지니어, 항공기 설계자, 제조업자로서 복엽기부터 폭격기, 수송기, 수상 비행기 등 다양한 항공기를 설계, 제작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폭격기 개발과 대서양 횡단 여객 수상 비행기 개발에 기여했다. - 1446년 사망 - 울루그 베그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이자 천문학,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학자로서,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통치하며 학문 장려 정책을 펼쳐 문화적 융성에 기여했고, 특히 천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는 아들에게 피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446년 사망 - 신개
신개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태종과 세종 시대에 걸쳐 공조판서, 예문관대제학, 의정부 우의정 및 좌의정 등 요직을 역임하며 간쟁과 직언을 통해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세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인재문집》이 있다. - 1377년 출생 - 건문제
건문제는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나 숙부들의 반란으로 실종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1377년 출생 - 고코마쓰 천황
고코마쓰 천황은 남북조 시대 혼란을 종식시키고 북조 황통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나, 남북조 교대 약속을 어기고 아들에게 양위하여 비판받은 일본 제100대 천황이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
로마자 표기 | Filippo Brunelleschi |
출생 이름 | 필리포 디 세르 브루넬레스코 디 리포 라피 |
출생일 | 1377년 |
출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사망일 | 1446년 4월 15일 |
사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국적 | 피렌체 공화국 |
분야 | 건축 조각 기계 공학 |
사조 | 초기 르네상스 |
주요 작품 |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돔 |
![]() | |
![]() | |
주요 업적 | |
발명 | 원근법 발명 |
특허 | 바지선을 이용한 아르노 강 운송 시스템 특허 건축용 크레인 특허 |
기타 | |
영향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미켈로초 |
참고 | |
재밌는 일화 | 목공인 마네토 안마나티니를 속여 자신이 마네토가 아닌 마테오라는 사람이라고 믿게 함 |
2. 생애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생애 전반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2. 1. 초창기
브루넬레스키의 생애 초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며, 안토니오 마네티와 조르조 바사리의 기록이 주요 정보원이다.[150] 이 기록들에 따르면, 그는 1377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공증인이자 공무원인 아버지 브루넬레스코 디 리포(Brunellesco di Lippo, 약 1331년생)와 어머니 줄리아나 스피니(Giuliana Spini) 사이에서 세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10][40][11][150] 그의 가족은 부유했으며, 스피니 가문의 궁전은 피렌체의 트리니타 성당 맞은편에 여전히 남아있다. 어린 필리포는 아버지의 직업을 잇도록 인문학과 수학 교육을 받았으나,[11][150] 예술에 뜻을 두어 15세에 피렌체에서 가장 부유하고 명망 높은 길드 중 하나인 아르테 델라 세타(Arte della Seta, 비단 상인 길드)에 견습생으로 들어갔다. 이 길드에는 보석상, 금속 세공인, 청동 세공사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150] 그는 1398년 12월 금세공 장인이자 주조 청동을 다루는 조각가가 되었고,[5][47][151] 1404년 7월 2일에는 비단 직물업 조합의 마에스트로로 등록되었다.[47] 1400년경까지 피스토이아의 루날도 디 마테오 두치 다 피스토이아 공방에서 일하며, 피스토이아 산 제노 대성당의 산 야코포 제단에 있는 반신상, 예언자 예레미야와 이사야 등을 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48]1401년, 브루넬레스키는 피렌체로 돌아와 수입 섬유상 조합(Arte della Calimala)이 주최한 산 조반니 세례당의 두 번째 청동문(북쪽 문) 제작 공모전에 참가했다.[50][51][151] 과제는 '이삭의 번제'였으며, 젊은 금 세공인 로렌초 기베르티를 포함한 7명의 예술가가 경쟁했다.[52][151] 최종 심사에는 브루넬레스키와 기베르티의 작품만 남았다.[52] 브루넬레스키의 작품은 고전 조각상 '가시 뽑는 소년'을 참고한 반면, 기베르티는 이삭을 나체의 토르소로 묘사했다.[151] 기베르티의 청동판은 하나의 조각으로 주조되어 매우 세련된 기술을 보여주었으나, 브루넬레스키의 작품은 여러 조각을 뒷판에 볼트로 고정한 형태였다.[151] 기록에 따르면 심사위원들이 우열을 가리기 어려워 공동 제작을 제안했으나, 브루넬레스키가 이를 거절하여 결국 1403년 기베르티가 최종 선정되었다.[53][54][151] 기베르티는 이후 두 번째 청동문 제작에도 착수했는데, 이 문은 훗날 미켈란젤로가 '천국의 문'이라고 칭송할 정도로 아름다웠다.[152] 현재 두 사람의 경쟁 작품은 피렌체 바르젤로 미술관에 보존되어 있다.

공모전 이후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브루넬레스키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곤디 가 예배당을 위해 목조로 실물 크기의 십자가상을 제작하고 채색했다.[49] 바사리는 이 작품이 도나텔로가 산타 크로체 성당 발디 디 베르니오 예배당을 위해 만든 십자가상에 대한 경쟁의식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55] 마네티는 이를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브루넬레스키는 원근법을 사용하여 산 조반니 세례당과 시뇨리아 광장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근법을 최초로 도면에 적용한 인물로 여겨진다.[56][57]
1401년 세례당 문 공모전 이후부터 1418년 피렌체 대성당의 돔 설계 공모 이전까지, 브루넬레스키는 조각가 도나텔로와 함께 여러 차례 로마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그는 로마 건축의 구조와 공간 구성에서 일정한 질서를 발견하고 기둥 양식의 차이, 즉 오더를 파악했다고 한다.[60][61][62] 그러나 로마 방문 시기나 체류 사실을 명확히 뒷받침하는 자료는 부족하다.
브루넬레스키는 평생 결혼하지 않았지만, 1417년에 안드레아 디 라자로 카발칸티(Andrea di Lazzaro Cavalcanti, 일명 일 부자노(Il Buggiano))를 양자로 삼았다.[64]
2. 2. 건축가로서의 전환
브루넬레스키의 생애에서 금 세공인에서 건축가로 전환한 과정, 그리고 고딕과 중세 양식 교육에서 르네상스 건축과 도시 계획의 신고전주의로 이행한 구체적인 경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 1400년경 중세의 형식주의와 대비되는 '인문주의'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나, 초기에는 일부 학자, 작가, 철학자들에게 한정되어 시각 예술 전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브루넬레스키는 1398년 비단 직물업 조합(Arte della Seta)에 금세공사로 등록되었고,[47] 1400년경까지 피스토이아의 산 제노 대성당 제단을 위해 예언자 예레미야와 이사야 등 작은 청동상들을 제작했다.[48] 그는 1400년에 약 4개월 동안 피렌체 정부의 대표 평의원으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1401년, 피렌체 시는 피렌체 세례당의 새로운 청동 문 제작을 위한 공모전을 열었다. 브루넬레스키는 로렌초 기베르티 등 6명의 다른 경쟁자와 함께 참여하여 '이삭의 희생'을 주제로 청동 패널을 제작했다. 심사위원회는 기베르티와 브루넬레스키의 작품 사이에서 우열을 가리기 어려워 공동 제작을 제안했으나,[54] 브루넬레스키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기베르티가 최종 선정되었다.[52][53] 이 사건은 브루넬레스키가 조각에서 점차 손을 떼고 건축과 광학 연구에 집중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12] 그는 적어도 1416년까지는 조각 의뢰를 계속 받았다.[13]
이 시기(1402년-1404년 추정)[14] 브루넬레스키는 친구인 조각가 도나텔로와 함께 로마로 가서 고대 로마 유적을 연구했을 가능성이 높다.[15] 당시 고대 로마의 영광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이들처럼 유적의 물리적 구조를 직접 상세히 연구한 사람은 드물었다. 그들은 특히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브루넬레스키의 고전 로마 건축 연구는 이후 그의 건축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조명 활용, 건물 내 독립적 요소 최소화, 공간의 균형과 조화 등이 포함된다.[16] 그는 로마 건축의 구조와 공간 구성에서 일정한 질서와 기둥 양식의 차이, 즉 오더를 발견했다고 한다.[61][62] 다만, 브루넬레스키가 이 시기에 실제로 로마를 방문했는지에 대해서는 당시 로마의 정치적 불안정성과[63] 명확한 증거 부족을 이유로 이견이 존재하며, 그의 로마 방문이 확실하게 기록된 것은 1432년이 처음이다.
로마 유적 관찰 이후 브루넬레스키가 선원근법 체계를 개발했다는 추측도 있다.[13] 그는 원근법을 사용하여 산 조반니 세례당과 시뇨리아 광장을 그린 도면을 제작했으며, 이는 원근법을 회화적 공간 표현 기법으로 활용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56][57]
건축가로서 브루넬레스키가 처음으로 맡은 주요 의뢰는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1419년 시작) 고아원 건설이었다.[77] 이 건물의 긴 로지아(회랑)는 고전적인 기둥과 주두를 명확하게 참고하여 디자인된 피렌체 최초의 건물 중 하나로, 대리석 장식 없이 절제된 우아함을 보여준다.[153] 이 건물은 사실상 르네상스 건축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건축물로 여겨진다.

이후 피렌체 대성당의 거대한 돔 건설(1418년 설계 공모 공고,[68] 1420년 감독 임명[80])과 산 로렌초 성당의 개축 및 성구실 설계(1421년 시작)[87] 등 중요한 의뢰가 이어졌다. 특히 대성당 돔 건설은 당시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였으나, 브루넬레스키는 임시 지지 구조물 없이 이중 구조의 돔을 쌓아 올리는 혁신적인 공법을 제안하고[71] 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건축가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76][74] 산 로렌초 성당의 성구실(현재의 구 성구실) 설계는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의 의뢰로 시작되었으며,[87][88] 그 완성도에 만족한 메디치 가문은 성당 본체 설계까지 브루넬레스키에게 맡기게 된다.[89] 이러한 초기 건축 활동들을 통해 브루넬레스키는 금 세공인에서 당대 최고의 건축가 중 한 명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 3. 주요 작품
브루넬레스키의 초기 생애와 금 세공인에서 건축가로 전환한 과정, 고딕 양식 교육에서 르네상스 신 고전주의로 나아간 과정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 1400년경 중세 형식주의와 대비되는 '인문주의'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초기에는 학자, 작가, 철학자들에게 한정되어 시각 예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브루넬레스키는 친구 도나텔로와 함께 1402년에서 1404년 사이 로마로 가서 고대 로마 유적을 연구한 것으로 보인다. 도나텔로 역시 금 세공인 교육을 받았으며, 두 사람은 이전 시대 학자들이 고대 로마의 번영을 논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적의 물리적 구조를 상세히 연구한 선구자였다. 특히 그들은 고대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 오스페달레 델리 이노첸티 (Ospedale degli Innocenti, 고아원) ===

브루넬레스키의 첫 건축 의뢰는 1419년에 시작된 오스페달레 델리 이노첸티 (고아원)이다.[18] 비단 상인 조합이 자금을 지원하고 관리했으며,[18] 브루넬레스키는 1427년까지 공식 건축가였으나, 1423년 이후로는 현장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건물은 1445년 피렌체 건축가 프란체스코 델라 루나(Francesco Della Luna)에 의해 완공되었다.[19]
이 건물의 가장 큰 특징은 긴 로지아(loggia, 회랑)이다. 높이 8m의 아치 9개가 코린트 양식 기둥으로 지지되며, 양쪽 끝은 필라스터로 마감되었다. 이 로지아는 피렌체에서 고전주의 양식의 기둥과 주두를 명확하게 사용하여 지어진 첫 사례로 평가받는다.[20] 건물 전체는 장엄하면서도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화려한 대리석 장식이나 상감 세공은 사용되지 않았다.[153][20] 이 아케이드는 이후 유럽 전역의 수많은 르네상스 건축 건물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이 되었다.
고아원 설계 이후 브루넬레스키는 산 야코포 소프라 아르노 교회의 리돌피 예배당(현존하지 않음)과 산타 펠리치타의 바르바도리 예배당(개조됨) 등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를 맡으며 고아원에서 사용했던 건축 요소들을 발전시켰다. 이는 이후 파치 예배당과 구 사크리스티 설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피렌체 대성당 돔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를 시험하는 기회가 되었다.
=== 산 로렌초 성당 ===
고아원 건립 직후 브루넬레스키는 메디치 가문의 후원으로 피렌체에서 가장 큰 교회 중 하나인 산 로렌초 성당 설계를 시작했다. 그는 중앙 예배당, 양쪽 측랑, 그리고 구 사크리스티 (옛 성구실, Old Sacristy)를 설계했다.
==== 구 사크리스티 (Sagrestia Vecchia) ====
1419년부터 1429년 사이에 건설된 구 사크리스티는 산 로렌초 성당 프로젝트의 첫 단계였다. 한 변의 길이가 약 11m인 정육면체 공간 위에 반구형 돔을 얹은 구조이다. 내부에는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와 그의 아내의 묘가 있다. 장식적인 엔타블러처(entablature, 기둥 위 수평 구조물)가 수직 공간을 나누고, 필라스터가 돔을 지지한다. 제단은 작은 돔 아래 벽감에 설치되어 있다. 고전적 요소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조화와 균형을 이룬 이 공간은 르네상스 실내 건축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브루넬레스키는 이곳에 흰색 벽을 사용했는데, 이는 이후 르네상스 건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그의 저서에서 키케로와 플라톤을 인용하며 흰색이 사원이나 교회에 가장 적합한 색이라고 주장했다.
==== 성당 본당 ====
브루넬레스키는 성당 내부에 고딕 건축의 육중한 기둥 대신 코린트 양식 주두를 가진 날씬한 기둥을 사용했다. 중앙 통로 천장은 전통적인 둥근 천장 대신 금박 테두리가 있는 정사각형 격자 천장(coffered ceiling)으로 설계했다. 각 예배당 위에는 원형 창문을 두어 낮은 측랑과 높은 중앙 통로 사이의 높이 차이를 조절했다. 이를 통해 내부는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균형 잡힌 인상을 준다.
=== 산토 스피리토 성당 ===
1434년 설계를 시작하여 1436년 착공한 산토 스피리토 성당은 브루넬레스키 사후에도 공사가 계속되어 1481년에 완공되었다. 정면은 18세기에 개조되었고 종탑도 나중에 추가되었다.
이 성당은 브루넬레스키 작품의 특징인 수학적 비례와 조화가 잘 드러난다. 라틴 십자가 형태의 평면은 정확한 크기의 정사각형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성가대석, 익랑(transept)의 양팔, 중앙 교차부 공간은 모두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이다. 본당(nave)은 이 정사각형 네 개를 이어 붙인 길이며, 측랑(aisle)의 각 정사각형은 본당 정사각형 크기의 1/4이다. 측랑에는 38개의 작은 예배당이 있다.
수직적인 계획 역시 비례를 따른다. 중앙 본당의 높이는 너비의 두 배이고, 측랑의 높이도 너비의 두 배이다. 코린트식 기둥과 반원형 아치가 늘어선 중앙 통로는 브루넬레스키의 다른 건축물과 유사하다. 원래 계획은 본당 천장을 통형 볼트(barrel vault)로 만드는 것이었으나, 사후에 평평한 격자 천장으로 변경되었다. 외벽 역시 원래 계획과 다르게 바로크 건축 양식의 정면으로 덮였다.
=== 파치 예배당 ===
1429년경 안드레아 파치(Andrea Pazzi)가 산타 크로체 성당 수도사들의 회의 장소로 사용하기 위해 의뢰한 파치 예배당은 1442년에야 건설이 시작되어 1444년 내부가 완성되었고, 건물 전체는 브루넬레스키 사후인 1469년경 완공되었다. 돔 위의 랜턴(lantern) 등 일부 세부 사항은 나중에 추가되었다.
예배당 현관(portico)은 뛰어난 비례와 단순함, 조화로 유명하다. 중앙에는 개선문 형태를 차용했으며, 여섯 개의 기둥이 엔타블러처를 지지하고 그 위로 필라스터, 중앙 아치, 테라스, 단순한 돔으로 이어진다. 내부는 아치, 엔타블러처, 필라스터로 둘러싸여 있으며 바닥도 기하학적 무늬로 나뉘어 있다. 돔의 원형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시간에 따라 내부 분위기를 변화시킨다. 내부는 조각가 루카 델라 로비아(Luca Della Robbia)가 제작한 푸른색과 흰색의 원형 테라코타 메달리온으로 장식되어 있다. 건축 구조는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을 기반으로 하여 산 로렌초 성당의 구 사크리스티보다는 균형감이 덜하다는 평가도 있다.
===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는 브루넬레스키의 미완성 프로젝트로, 르네상스 건축에 혁신적인 중앙 집중형 평면 개념을 도입했다. 전통적인 라틴 십자가 형태 대신, 중앙 제단을 중심으로 팔각형의 각 변에 예배당을 배치하는 혁신적인 설계였다.
1434년 스콜라리 형제의 유산으로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1437년 피렌체 정부가 루카와의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건설 자금을 압수하면서 중단되었다. 건물은 약 7m 높이까지만 지어졌고, 원래 설계대로 완성되지 못했다. 현재는 다른 교회 건물에 일부 통합되어 남아있다.
브루넬레스키의 원 설계도와 모형은 소실되었지만, 1450년의 ''코덱스 루스티치''(Codex Rustichi) 삽화와 다른 건축가들의 그림을 통해 그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그의 저서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에서 이 설계를 "르네상스 교회의 최초의 완전한 설계"라고 극찬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역시 이 설계를 연구하고 노트에 유사한 팔각형 교회 스케치를 남겼다. 이 중앙 집중형 설계는 이후 도나토 브라만테의 템피에토(Tempietto)와 산 피에트로 대성당 초기 설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미켈란젤로가 완성한 산 피에트로 대성당 설계에도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다.
=== 피렌체 대성당 돔 ===

1296년 착공된 피렌체 대성당(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돔 건설은 1418년까지 시작되지 못했다. 계획된 돔은 높이 80m 이상, 팔각형 기초 지름 약 42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로, 고대 로마의 판테온 돔보다 컸으며 고대 이후 이러한 크기의 돔은 건설된 적이 없었다. 당시 기술로는 이 거대한 돔을 어떻게 지탱할지, 특히 도시 당국이 부벽(buttress) 사용을 금지한 상황에서 비계(scaffolding)를 어떻게 설치하고 돔의 무게를 어떻게 견딜지가 큰 난제였다. 당시에는 압축 응력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사용된 모르타르가 굳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21]
1418년(또는 1419년) 양모 상인 조합(Arte della Lana)은 돔 건설 설계 경기를 열었다. 브루넬레스키는 오랜 경쟁자 로렌초 기베르티를 제치고 우승하여 돔 건설을 맡게 되었다. 조르조 바사리에 따르면, 브루넬레스키는 달걀을 대리석 위에 세우는 문제를 달걀 밑부분을 깨뜨려 세움으로써 해결했다고 한다. 이는 "콜럼버스의 달걀" 일화와 유사하다.
돔 건설(1420–1436), 랜턴(1446–1461경), 엑세드라(1439–1445)는 브루넬레스키 생애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 되었다.[22] 그의 성공은 뛰어난 기술적, 수학적 재능 덕분이었다.[23] 그는 4백만 개 이상의 벽돌을 사용하여 팔각형 돔을 쌓았다. 브루넬레스키는 돔 구조에 대한 상세한 계획이나 도면을 남기지 않았는데, 학자들은 그가 돔을 점진적으로 쌓아 올리면서 자체적으로 지탱되도록 설계했을 것으로 추측한다.[24]
브루넬레스키는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했다.
- 이중 셸 구조: 내부 돔과 외부 돔, 두 개의 돔을 겹쳐 쌓는 방식이다. 외부 돔은 내부 돔을 보호하고 더 웅장한 외관을 만들며, 두 돔 사이의 공간에는 꼭대기 랜턴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설치되었다. 이는 이후 파리의 앵발리드, 워싱턴 D.C.의 미국 국회의사당 등 여러 주요 돔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 골조 구조: 28개의 수직 및 수평 대리석 뼈대(eperoni|에페로니it)가 돔을 지지한다. 외부에 보이는 8개의 뼈대는 주로 장식적인 역할을 한다.
- 새로운 양중기: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에서 영감을 받아 무거운 석재를 들어 올리는 새로운 기계를 발명했다. 이 기계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 높이 평가했다.[25]
- 장력 고리: 돔 기저부에 나무와 사암으로 만든 체인을 둘러 돔이 바깥으로 벌어지려는 힘(hoop stress)을 잡아주었다. 이로써 고딕 건축에서 흔히 사용되던 부벽의 필요성을 줄였다.[26]
- 헤링본 벽돌 쌓기: 로마 시대 이후 잊혔던 물고기 뼈 모양(herringbone pattern)의 벽돌 쌓기 방식을 사용하여 벽돌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다.[27]
또한 브루넬레스키는 작업자들이 휴식 시간에도 현장에 머물도록 하고 음식과 희석된 와인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높였다고 전해진다.[28]
돔이 완성된 후 1436년에는 돔 꼭대기의 랜턴 설계를 위한 경쟁이 다시 열렸고, 브루넬레스키가 다시 승리했다. 그는 랜턴의 기초를 건설했지만 완공을 보지는 못했다. 1438년에는 돔 기저부 드럼에 설치될 4개의 반원형 엑세드라(exedra)를 설계했다. 로마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이 구조물들은 주 돔을 시각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엔타블러처, 아치, 필라스터, 이중 기둥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이는 이후 템피에토나 우르비노의 이상적인 도시 그림 등에 영향을 주었다.
=== 주요 작품 목록 ===
2. 4. 기술적 혁신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돔 건설은 브루넬레스키의 가장 대표적인 업적으로, 당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혁신적인 결과물이었다. 1296년 착공된 대성당의 돔은 1418년까지 건설되지 못했는데, 이는 로마의 판테온 돔보다 큰 규모의 돔을 어떻게 지을지에 대한 해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기초에서 꼭대기의 랜턴까지 계획된 돔 높이는 80m가 넘었고, 팔각형 기초의 지름은 거의 42m에 달했다. 고대 이후 이러한 크기의 돔은 건설된 적이 없었으며, 도시 당국이 버트레스 사용을 금지하여 전통적인 비계 설치도 불가능했다. 또한, 당시 사용된 모르타르는 굳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154][21]1419년, 양모 상인 조합(아르테 델라 라나)은 돔 건설을 위한 설계 경기를 열었다. 기베르티와 경쟁한 끝에 브루넬레스키가 최종 선정되었다. 조르조 바사리에 따르면, 브루넬레스키는 달걀을 깨뜨려 세우는 방식으로 자신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증명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콜럼버스의 달걀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브루넬레스키의 성공은 그의 뛰어난 기술적, 수학적 재능 덕분이었다.[156][23] 그는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돔 건설 문제를 해결했다.
- 이중 돔 구조: 브루넬레스키는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돔을 설계했다. 내부 돔이 구조적 역할을 하고, 외부 돔은 내부 돔을 보호하며 더 웅장한 외관을 만들었다. 이 구조는 이후 파리의 앵발리드나 워싱턴의 미국 국회의사당 등 많은 주요 돔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두 돔 사이에는 꼭대기 랜턴까지 이어지는 계단이 설치되었다.
- 골조 시스템: 돔의 뼈대는 28개의 수평 및 수직 대리석 늑골(eperoni)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8개는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외부 늑골은 주로 장식적인 역할을 했다.
- 특수 양중기 발명: 브루넬레스키는 무거운 석재를 들어 올리기 위한 새로운 기계를 발명했다. 이는 고대 로마의 기술을 연구한 결과로 보이며,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 기계는 훗날 레오나르도 다 빈치로부터 찬사를 받았다.[25]
- 장력 강화 구조: 돔의 기초 부분에는 나무와 사암으로 만든 체인을 둘러 장력 고리 역할을 하도록 했다. 이는 돔이 바깥으로 벌어지려는 힘을 막아주어 부벽의 필요성을 줄였다.[26]
- 생선뼈(Herringbone) 벽돌 쌓기: 브루넬레스키는 벽돌을 'V'자 형태로 쌓아 서로 맞물리게 하는 생선뼈 패턴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로마 시대 이후 잊혔던 기술로, 돔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7]
돔 건설(1420-1436)에는 400만 개가 넘는 벽돌이 사용되었으며, 브루넬레스키는 건축 계획이나 도면을 거의 남기지 않고 작업을 진행했다고 알려져 있다.[24] 그는 또한 작업자들이 작업 효율을 높이도록 현장에 머물게 하고 음식과 희석된 와인을 제공하는 등 세심한 관리를 했다.[28]
돔 완공 후, 랜턴(1446-1461년경)과 엑세드라(1439-1445) 건설도 브루넬레스키가 맡았다. 엑세드라는 주 돔 아래 드럼 부분에 설치된 4개의 반원형 돔으로, 로마 건축 양식을 따랐으며 장식적인 성격이 강했다. 이는 브라만테의 템피에토 등 후기 르네상스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브루넬레스키는 건축 외에도 선원근법 시스템을 최초로 정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는 르네상스 회화에 혁명을 가져와 자연주의적 표현을 가능하게 했다.[31] 그는 1415년에서 1420년 사이에 피렌체 세례당과 베키오 궁전 등을 대상으로 원근법 그림을 제작했다. 안토니오 마네티에 따르면, 브루넬레스키는 그리드를 사용하고 수학적 계산을 통해 3차원 공간을 2차원 평면에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32] 그는 그림에 구멍을 뚫고 거울을 이용해 실제 풍경과 그림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원근법의 정확성을 증명했다고 전해진다.[33] 비록 그의 원근법 그림은 현재 남아있지 않지만, 그의 연구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 후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알베르티는 1436년 출판한 『회화론』(De pictura)에서 브루넬레스키의 실험을 설명하고 그에게 책을 헌정했다. 마사초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교회 프레스코화 『성 삼위일체』(1425-1427)는 브루넬레스키의 원근법과 건축 양식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브루넬레스키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 재능을 발휘했다. 1421년에는 아르노 강에서 대리석을 운반하기 위한 특수 선박 '일 바달로네'(Il Badalone)를 발명하여 최초의 현대적 특허 중 하나를 받았다.[34][35] 이는 길드의 제약에서 벗어나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려는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34] 안타깝게도 이 배는 첫 항해에서 침몰했다.[36] 그는 또한 수력 기계나 정교한 시계 장치, 종교 행사용 연극 기계 등을 설계했으며,[18] 피사나 시에나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라스트라 아 시냐, 스타지아 등지의 요새와 성벽 설계에도 참여했다. 도시 계획에도 관심을 보여 산 로렌초 디 피렌체 성당 앞 광장을 조성하거나 산토 스피리토 성당의 배치를 제안하기도 했다.

브루넬레스키의 건축적 혁신은 무일자 양육원(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 1419년 설계 시작, 1445년 완공)에서도 잘 드러난다. 르네상스 최초의 건축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 이 건물은 고아들을 위한 시설이었다.[127] 특히 정면의 아케이드는 토스카나 로마네스크 건축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둥 간격과 높이를 약 5.37m와 5.35m로 하여 1:1:1 비율에 가까운 정육면체 공간을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반원 아치를 올리는 등 고전적 비례와 질서를 적용한 새로운 시도였다. 회색 사암(피에트라 세레나)으로 만든 기둥, 아치, 아키트레이브 등의 구조적 요소와 흰색 회반죽 벽면의 대비는 명료하고 추상적인 느낌을 준다. 다만 아키트레이브 끝부분 처리 방식 등 일부 디자인은 브루넬레스키의 원래 의도와 다르게 변경되었다는 논란이 있다.[131][132] 그럼에도 무일자 양육원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쳐,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광장 맞은편에 유사한 디자인의 로지아가 건설되는 등 도시 경관 형성에 기여했다.[134]

2. 5. 말년
브루넬레스키는 자녀가 없었지만, 1415년 안드레아 디 라차로 카발칸티를 입양했다. 그는 출생지인 부기아노를 따서 일 부기아노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브루넬레스키의 유일한 상속인이었다.[37]브루넬레스키는 보석상과 금세공인을 포함하는 비단 상인 조합의 회원이었다. 그러나 건축가를 포함하는 석재 및 목재 장인 조합의 회원은 아니었다. 1434년, 그는 불법적으로 직업을 행했다는 이유로 석재 및 목재 장인 조합의 요청으로 체포되었다. 하지만 그는 곧 석방되었고, 오히려 석재 및 목재 장인 조합이 위법 감금으로 기소되었다.
3. 영향
마네티와 필라레테에 따르면, 브루넬레스키는 투시도법을 채택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110][111] 그가 처음 그린 그림은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중앙 입구에서 본 산 조반니 세례당의 모습으로 알려져 있으며, 메디치 가문의 재산 목록에는 이와 유사한 판화가 등록되어 있다.[112] 이 판화는 하늘 부분에 은박을 붙이고 중앙에 구멍을 뚫어, 판화와 거울을 마주 보게 놓고 구멍으로 들여다보면 은박에 실제 하늘이 비치고 거울 속 판화가 실제 풍경처럼 보이도록 고안되었다.[114] 이는 직접법에 의한 일점 투시도로, 좌우를 반전시켜 그린 것이다. 다음으로 그린 시뇨리아 광장 판화는 베키오 궁전의 서쪽과 북쪽을 담았다고 전해진다.[115] 이는 필연적으로 이점 투시도법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점 투시도의 기하학적 작도법은 1600년 기도발도 델 몬테가 저술한 책에서 처음 제시되었기에, 브루넬레스키가 사용한 구체적인 작도 방법은 명확하지 않다.
브루넬레스키가 이 그림들을 그린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사리는 브루넬레스키가 마사초에게 투시도법을 전수했다고 주장했으며,[57][117] 실제로 마사초가 1427년경 그린 《성 삼위일체》의 구성은 브루넬레스키가 설계한 산타 펠리치타 성당의 바르바도리 예배당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1417년에 조각된 도나텔로의 《성 제오르지오》 대좌 부조 《성 제오르지오와 용》[118]은 르네상스 투시도법이 최초로 표현된 사례로 여겨지는데, 당시 도나텔로와 브루넬레스키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 작품에도 브루넬레스키의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우첼로 역시 시뇨리아 광장 판화를 모방했다고 알려져 있으며,[119] 그가 그린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프레스코화 《노아의 홍수》는 이점 투시도법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브루넬레스키는 르네상스 예술가 중 매우 초기에, 혹은 마네티의 주장처럼 최초로 기하학적 투시도법을 습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그의 건축 공간이 투시도법의 기하학성을 통해 형성되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그러나 투시도법을 포함한 건축 스케치 자료는 브루넬레스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없으며, 그가 투시도법을 통해 공간을 구성했다는 주장을 객관적으로 뒷받침할 명확한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최초의 "고대풍" 건축물로 평가받는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피렌체, 1421~1445년)[127]는 브루넬레스키가 속했던 비단 직조 조합(Arte della Seta)이 운영하는 고아원으로 건설되었다. 이 조합은 이전부터 다른 병원 시설에서 고아 양육을 관리했지만, 환자 수용 시설의 한계로 인해 아동 보호 및 양육에 어려움을 겪었다.[128]
레오나르도 브루니의 제안으로 1419년 부지를 확보하고, 프란체스코 다 산 지미냐노와 프란체스코 디 마르코 다티니의 유증금으로 건설 자금을 마련했다.[129] 공사는 1419년 8월 6일에 시작되었다.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 정면의 아케이드 중 중앙 9개 스팬과 양쪽 끝 1개 스팬이 브루넬레스키의 설계이며, 외곽 부분은 후대에 증축된 것이다. 아케이드식 정면은 피렌체의 산 조반니 세례당, 산티 아포스톨리 성당 등 토스카나 로마네스크 건축을 연상시키지만,[130] 이들과 달리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는 기둥 간격(폭과 깊이 모두 약 5.37m), 기둥 높이(기둥머리까지 약 5.35m)가 거의 1:1:1 비율을 이루는 정육면체 공간을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기둥 간격의 절반 높이를 가진 아치와 펜덴티브 볼트를 얹어 공간적 깊이를 구현했다. 코린토스 양식 기둥머리 디자인 역시 기둥 간격을 기준으로 한 모듈에 따라 재구성되었다. 토스카나산 피에트라 세레나(회색 사암)로 만든 코니스, 아키트레이브, 기둥 등의 선적인 요소가 흰색 회반죽 벽면과 대비를 이루며 추상적인 느낌을 준다.
바사리는 브루넬레스키가 모형을 제작했다고 전하지만,[131] 마네티는 모형 없이 설계도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정면에 디자인 오류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수평 부재인 아키트레이브를 끝부분에서 직각으로 꺾어 부벽 기둥을 따라 아래로 내린 부분이 문제로 지적되는데, 바사리에 따르면 이는 현장 관리를 맡았던 프란체스코 델라 루나의 결정이었다.[131] 브루넬레스키가 이를 지적하자 프란체스코는 당시 고대 로마 건축물로 여겨졌던 산 조반니 세례당의 예를 들며 반박했지만, 브루넬레스키는 그것이 "세례당의 유일한 잘못된 부분"이라고 응수했다고 전해진다.[131] 이 일화가 사실이라면, 브루넬레스키는 고대 건축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아키트레이브=수평 부재로서 지지되는 것과 지지하는 것 사이의 구조적, 디자인적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32]
이 건축물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가 위치한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광장 맞은편에는 1516년 안토니오 다 상갈로 일 베키오[133]와 바초 다뇰로의 설계로 브루넬레스키의 디자인을 모방한 로지아가 건설되어 1525년 완공되었다. 이 로지아는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약 100년 전 건축물의 디자인을 그대로 차용하여 광장의 통일된 경관을 조성하려는 의도가 강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드문 시도였으며, 야코포 산소비노가 설계한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광장과의 연관성도 지적된다.[134]
참조
[1]
웹사이트
The Duomo of Florence | Tripleman
http://www.tripleman[...]
tripleman.com
2010-03-25
[2]
웹사이트
brunelleschi's dome – Brunelleschi's Dome
http://www.brunelles[...]
Brunelleschisdome.com
2010-03-25
[3]
웹사이트
Il miracolo della cupola di "Pippo" Brunelleschi
https://www.corriere[...]
corriere.it
2020-06-11
[4]
서적
Renaissance & Mannerism
Sterling
[5]
서적
Brunelleschi
Harper & Row
[6]
뉴스
Six significant moments in patent history
https://www.reuters.[...]
2014-11-04
[7]
웹사이트
Wilson Gunn {{!}} 150 years - patents
https://www.wilsongu[...]
[8]
서적
Italian Renaissance Art
Thames & Hudson Inc
[9]
서적
The Mirror, the Window, and the Telescope: How Renaissance Linear Perspective Changed Our Vision of the Universe
Cornell University Press
[10]
서적
Filippo Brunelleschi
Electa
[11]
서적
The Life of Brunelleschi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rt in Renaissance Italy
Pearson Prentice Hall
[13]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Thomson/Wadsworth
1991
[14]
간행물
Manetti and Vasari
[15]
간행물
Coonin
[16]
웹사이트
Filippo Brunelleschi
http://www.oxfordart[...]
2010
[17]
논문
La restituzione digitale della fronte porticata dell'Ospedale degli Innocenti da Brunelleschi a Della Luna (1420-1440)
https://www.academia[...]
2010
[18]
서적
Filippo Brunelleschi
Rizzoli
[19]
서적
Brunelleschi
Harper & Row
[20]
서적
Filippo Brunelleschi: the Early Works and the Medieval Tradition
Academy Editions
[21]
서적
Brunelleschi's Dome: The Story of the great Cathedral of Florence
https://archive.org/[...]
Penguin
[22]
서적
Filippo Brunelleschi: The Cupola of Santa Maria del Fiore
A. Zwemmer
[23]
서적
Brunelleschi: Studies of his Technology and Inventions
https://books.google[...]
The MIT Press
[24]
논문
Building Brunelleschi's Dome: A practical methodology verified by experiment
2008-01-01
[25]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 Sketch of Brunelleschi's light hoist
https://brunelleschi[...]
Museo Gallileo
[26]
논문
Brunelleschi's Inventions and the "Renewal of Roman Masonry Work"
https://www.jstor.or[...]
1950
[27]
서적
Architecture since 1400
https://public.ebook[...]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4
[28]
방송
The Medici Popes
https://www.pbs.org/[...]
[29]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30]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UP Oxford
[31]
간행물
"...and these works [of perspective by Brunelleschi] were the means of arousing the minds of the other craftsmen, who afterwards devoted themselves to this with great zeal."
Vasari's ''Lives of the Artists'' Chapter on Brunelleschi
[32]
웹사이트
https://nelson-atkin[...]
[33]
서적
The Mirror, the Window & the Telescope: How Renaissance Linear Perspective Changed Our Vision of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4]
논문
Brunelleschi's Patent
1946
[35]
웹사이트
The European Patent
http://documents.epo[...]
2013
[36]
웹사이트
Brunelleschi's Monster Patent: Il Badalone
http://www.cpaglobal[...]
2012-07-29
[37]
웹사이트
Andrea di Lazzaro Cavalcanti, called Il Buggiano, died on 21 February 1462 in Florence. – Italian Art Society
https://www.italiana[...]
[38]
서적
The Life of Brunelleschi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Medici: Masters of Florence
https://www.imdb.com[...]
2016-12-24
[40]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41]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그라소 이야기
[42]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43]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44]
웹사이트
디지털 대사전 해설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8-04-08
[45]
서적
서양미술사 입문
치쿠마쇼보
[46]
서적
(추정) 블랙커 저서
[47]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역주
[48]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49]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50]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51]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52]
서적
욕망의 미술사
코분샤
[53]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54]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55]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56]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57]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58]
서적
(추정) 후쿠다 저서
[59]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60]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61]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62]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63]
서적
(추정) 블랙커 저서
[64]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역주
[65]
서적
(추정) 블랙커 저서
[66]
서적
(추정) 구아스티 저서
[67]
서적
(추정) 바사리 저서
[68]
서적
(추정) 구아스티 저서
[69]
서적
(추정) 마네티 저서
[70]
서적
(추정) 구아스티 저서
[71]
서적
マネッティ
[72]
서적
マネッティ
[73]
서적
ヴァザーリ
[74]
서적
ヴァザーリ
[75]
서적
ヴァザーリ
[76]
서적
マネッティ
[77]
서적
マネッティ
[78]
서적
ヴァザーリ
[79]
서적
マネッティ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マネッティ
[84]
서적
ヴァザーリ
[85]
서적
ヴァザーリ
[86]
서적
新装版 図説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87]
서적
マネッティ
[88]
서적
ヴァザーリ
[89]
서적
マネッティ
[90]
서적
ヴァザーリ
[91]
서적
[92]
서적
マネッティ
[93]
서적
ヴァザーリ
[94]
서적
マネッティ
[95]
서적
マネッティ
[96]
서적
マネッティ
[97]
서적
ヴァザーリ
[98]
서적
マネッティ
[99]
서적
ヴァザーリ
[100]
서적
ヴァザーリ
[101]
서적
ヴァザーリ
[102]
서적
マネッティ
[103]
서적
マネッティ
[104]
서적
ヴァザーリ
[105]
서적
[106]
서적
ヴァザーリ
[107]
서적
マネッティ
[108]
서적
ヴァザーリ
[109]
서적
[110]
서적
マネッティ
[111]
서적
Trattato di architettura, Il Filarete
[112]
서적
マネッティ
[113]
서적
ヴァザーリ
[114]
서적
マネッティ
[115]
서적
マネッティ
[116]
서적
[117]
서적
ヴァザーリ
[118]
서적
ヴァザーリ
[119]
서적
マネッティ
[120]
서적
ヴァザーリ
[121]
서적
ヴァザーリ
[122]
서적
ファネッリ
[123]
서적
アルガン
[124]
서적
ロッツ
[125]
서적
ロッツ
[126]
서적
[127]
서적
新装版 図説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ヴァザーリ
[132]
서적
[133]
서적
ヴァザーリ
[134]
서적
ロッツ
[135]
서적
[136]
서적
ファネッリ
[137]
서적
ヴァザーリ
[138]
서적
マネッティ
[139]
서적
ヴァザーリ
[140]
서적
マネッティ
[141]
서적
ヴァザーリ
[142]
서적
マネッティ
[143]
서적
ヴァザーリ
[144]
서적
ヴァザーリ
[145]
서적
ブラッカー
[146]
서적
マネッティ
[147]
서적
マネッティ
[148]
서적
ヴァザーリ
[149]
서적
ヴァザーリ
[150]
웹사이트
브루넬레스키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바사리의 저술의 영문판
http://www.fordham.e[...]
2009-03-29
[151]
서적
Filippo Brunelleschi
Rizzoli
[152]
서적
The Feud that Sparked the Renaissance: How Brunelleschi and Ghiberti Changed the Art World
William Morrow
[153]
서적
Filippo Brunelleschi: the Early Works and the Medieval Tradition
Academy Editions
[154]
서적
Brunelleschi's Dome, The Story of the great Cathedral of Florence
Penguin
[155]
서적
Filippo Brunelleschi: The Cupola of Santa Maria del Fiore
A. Zwemmer
[156]
서적
Brunelleschi: Studies of his Technology and Inventions
The M.I.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