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초 2세 데 메디치는 1492년 피렌체에서 태어났으며, 로렌초 데 메디치의 손자이다. 1516년 숙부인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우르비노 공작에 임명되었으나 우르비노 전쟁에서 부상을 입기도 했다. 1518년 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와 결혼하여 딸 카테리네 데 메디시스를 낳았지만, 곧 매독으로 사망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로렌초 2세에게 《군주론》을 헌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2년 출생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492년 출생 - 피에트로 아레티노
    피에트로 아레티노는 재치 있는 풍자와 신랄한 비판으로 권력자들을 조롱하며 "왕자들의 재앙"이라 불린 이탈리아의 작가, 시인, 풍자가이다.
  • 우르비노 공작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 우르비노 공작 -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디 우르비노 공작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으로, 우르비노 공작, 교황령 총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하고 페사로의 군주가 되었으나, 레오 10세와의 갈등으로 파문당하고 독살되었다.
  • 1519년 사망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1519년 사망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렌초 데 메디치 초상화
라파엘로의 초상화, 1518년
칭호피렌체 통치자
통치 기간1516년 3월 17일 – 1519년 5월 4일
전임자줄리아노 데 메디치
후임자줄리오 데 메디치
배우자마들렌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녀프랑스 왕비 카테리나
피렌체 공작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사생아)
가문메디치 가문
아버지불운한 피에로
어머니알폰시나 오르시니
출생일1492년 9월 12일
출생지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사망일1519년 5월 4일
사망지피렌체 공화국, 카레지
이름
작위
작위우르비노 공작
재임 기간1516년 - 1519년

2. 생애

로렌초는 1492년 9월 12일 피렌체에서 피에로 디 로렌초 데 메디치와 알폰시나 오르시니의 아들로 태어났다.[10] 부계 조부모는 로렌초 더 메그니피센트클라리체 오르시니였고,[10] 외조부모는 오르시니 백작 로베르토와 산 세베리노의 카테리나였다.

1516년 숙부인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우르비노 공작에 임명되었다. 그전까지 우르비노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로부터 공위를 잠시 빼앗았고, 로렌초는 1만 명의 병사를 거느린 사령관이 되었다. 우르비노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토스카나로 퇴각했지만, 같은 해 9월에 우르비노 공작령을 다시 획득했다.

1518년 6월, 오베르뉴 백작 영애 마들렌과 결혼했다. 이듬해 4월에 장녀 카테리나가 태어났지만, 로렌초는 21일 후에 매독으로 급사했다. 우르비노 공작위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에게 돌아갔다.

2. 1. 어린 시절

피렌체에서 피에로 디 로렌초 데 메디치와 알폰시나 오르시니의 아들로 태어났다.[10] 친할아버지는 '위대한 로렌초’라고 불리는 로렌초 데 메디치이며, 할머니는 클라리체 오르시니이다.[10] 1494년, 프랑스 샤를 8세의 침공으로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추방되면서, 2살의 나이에 아버지, 어머니, 여동생, 숙부들과 함께 볼로냐를 거쳐 베네치아로 망명길에 올랐다.[16]

1503년, 아버지 피에로가 가릴리아노강에서 익사하면서 로렌초는 로마로 거처를 옮겨 어머니 손에서 성장하였다.[21] 아버지 피에로는 나폴리의 영토 분할을 놓고 프랑스스페인이 벌인 전쟁에서 프랑스 편에 가담하여 가릴리아노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코르도바가 이끄는 스페인군에게 프랑스군이 대패하였고,[19] 퇴각하던 중 배가 뒤집히는 사고로 사망했다.[20]

2. 2. 메디치 가문의 귀환과 통치

1512년, 메디치 가문은 교황 율리오 2세의 지원으로 피렌체 통치권을 회복했다. 캉브레 동맹 전쟁(1508~1516) 중 교황 율리오 2세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가 베네치아와 동맹을 맺고 프랑스를 공격했다.[22] 프랑스가 반발하며 교황 폐위를 위한 피사 공의회 개최를 선포하자, 피렌체는 난처한 입장에 빠졌지만 프랑스의 압력으로 공의회 개최를 수용했다.[23] 공의회는 교황 율리오 2세의 성무 중지를 결정했다.[24] 교황은 격노하여 프랑스를 이탈리아에서 몰아내고 스페인 군을 통해 1512년 8월 피렌체를 공격했다.[25] 피렌체 공화정은 무너졌고,[26] 같은 해 9월 메디치 가문은 통치권을 회복하고 18년 만에 귀환했다.

로렌초 2세는 20세의 나이로 피렌체에 돌아왔다. 가문의 직계 남손 중 장손이었지만, 큰 숙부인 교황 레오 10세(조반니 추기경)의 결정으로[27] 둘째 숙부 줄리아노 데 메디치가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었다. 줄리아노는 온화한 성품으로 피렌체인들에게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민심 수습에 적합했다.[27]

1513년 3월, 교황 레오 10세(조반니 추기경)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0월, 줄리아노 데 메디치가 교황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로마로 떠나면서,[39] 로렌초 2세가 피렌체의 실질적인 통치자(Gran maestro)가 되었다.[40] 초기에는 숙부들의 의견을 따랐지만,[45] 점차 방탕하고 권위적이며 사치스러운 통치자로 변했다. 프랑스식 관습을 따르는 등 피렌체인들의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여 민심을 잃었고,[46] 여러 차례 암살 위협에 시달렸다.

1513년 8월, 로렌초 2세는 피렌체의 영주가 되었다. 그는 피렌체 공화정 체제에 불만을 품고 1516년 교황 레오 10세를 설득하여 24세의 나이에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 공작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와 갈등이 시작되어 우르비노 전쟁이 발발했다. 로렌초 2세는 전투 중 부상을 입고 토스카나로 은퇴했다. 1517년 9월, 조약을 통해 우르비노를 되찾았지만, 메디치 가문의 통치는 2년 만에 끝났다. 1521년, 공작령은 델라 로베레 가문에게 반환되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그의 저서 ''군주론''을 로렌초 2세에게 헌정하여 권력 유지를 위한 조언을 했다.[6]

2. 3. 우르비노 공작

로마냐와 우르비노 지도


1515년 12월, 프랑스와 볼로냐 협약을 맺은 후 교황령은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이탈하였다. 종전과 함께 메디치 가문 출신 교황 레오 10세는 자신의 가문이 다스리는 새로운 로마냐 공국을 이탈리아 중북부 지역에 건설하고자 했다.[41] 교황은 우르비노 공작에게 소환장을 보내 일리도시 추기경(1455~1511) 살해사건 등 여러 불미스러운 일들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다.[42] 그러나 이는 형식적인 요식행위였고, 본래 목적은 우르비노 공작을 파문, 인신구속, 강제 퇴위시킨 후 로렌초를 우르비노 공작에 앉힐 계획이었다.[43]

이런 의도를 알고 있었던 우르비노 공작은 교황의 소환에 불응했고, 교황은 즉시 그를 파문하고 추방하였다.[44] 1516년 5월 30일,[45] 교황의 명을 받은 로렌초는 우르비노를 접수하였다. 그러나 추방되었던 우르비노 공작이 1517년 1월 23일에 군대를 이끌고 와서 우르비노를 공격하면서 우르비노 전쟁이 시작되었다. 우르비노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교황의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델 몬테를 상대로 한 전투에서 승리한 후 재입성에 성공하였다. 시민들은 교황령에 편입되지 않고 자치권을 유지하기 원했기에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의 귀환을 환영했다.

로렌초는 교황령 용병군 1만 명을 이끌고 우르비노 재탈환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로렌초가 4월 4일 몬돌포 공성전 중에 머리에 심각한 총상을 입은 후[46][44] 교황군은 토스카나로 퇴각하였다. 교황 레오 10세추기경 베르나르도 도비치를 대신 보냈으나 몬테 임페리알레에서 우르비노군과의 전투에서 대패 후 교황군은 페사로로 후퇴하였다. 전투에서는 계속 우르비노 공작(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이 승리했으나 우르비노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어 용병들을 계속 고용할 수 없게 되었다. 1517년 9월,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교황에게 협상을 요청했는데, 공작직을 내려놓고 만토바로 퇴각하는 것에 양 진영이 합의하였다. 이로써 8개월간 이어진 전쟁은 마무리되었으며 로렌초는 다시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1516년, 숙부인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우르비노 공작에 임명되었다. 그 전까지 우르비노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로부터 공위를 잠시 빼앗았고, 로렌초는 1만 명의 병사를 거느린 사령관이 되었다. 우르비노 전쟁 중 부상을 입고 토스카나로 퇴각했지만, 같은 해 9월에 우르비노 공작령을 다시 획득했다. 1518년 6월, 오베르뉴 백작 영애 마들렌과 결혼했다. 이듬해 4월에 장녀 카테리나가 태어났지만, 그로부터 21일 후에 로렌초는 매독으로 급사했다. 이로 인해 우르비노 공작은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가 다시 복귀했다.

2. 4. 결혼과 죽음

1518년 6월 13일, 로렌초는 프랑수아 1세의 먼 친척인 마들렌 드라 투르와 결혼했다.[46] 이 결혼은 교황 레오 10세가 추진하여 성사되었으며, 프랑스 앙부아즈의 왕궁에서 거행되었다.[46]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결혼식과 축하연 준비를 도왔다.[47][48]

1519년 4월 29일, 딸 카트린 드 메디시스(카테리네 데 메디치)가 태어났으나, 마들렌은 출산 후 2주 만에 사망했다. 카트린은 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주선으로 프랑스 왕 앙리 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의 왕비가 되었다.

로렌초 2세 조각상(by 미켈란젤로)


로렌초는 딸이 태어난 지 21일 만에 결핵과 매독이 겹쳐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9] 그의 유해는 산 로렌초 성당의 메디치 예배당에 안치되었으며,[50] 미켈란젤로가 조각한 '펜시에로소'(Pensieroso)라는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51]

로렌초의 무덤은 종종 그의 조부인 로렌초 데 메디치의 무덤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그러나 당대 관습상 귀족이 아닌 경우에는 영묘 조성 시 입상을 세울 수 없었으며,[52] 현재에는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 데 메디치라는 안내판이 있어 혼동할 이유가 없어졌다.

3. 암살 음모 사건과 마키아벨리

1513년 2월, 공화정 정부에서 장관직을 수행하다가 메디치 가문에 의해 해임되었던[29] 마키아벨리를 비롯한 여러 명이 암살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30] 암살 대상은 로렌초를 비롯한 메디치 가문의 주요 인사 3명이었다.[31] 이 사건은 보스콜리와 카포니라는 젊은이들이 주도하였고,[31] 마키아벨리는 무고를 주장하였으나 체포된 후 모진 고문을 받았다. 같은 해 3월 11일,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출신 조반니 추기경이 교황 레오 10세로 선출되자 교황 특사로 석방되었으나,[32][30][33] 재산은 몰수당했다.[34] 이후 마키아벨리는 시골로 들어가 은거하며 《군주론》을 집필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12월경에 초고 집필을 완료하였다. 1517년, 마키아벨리는 이 책을 당시 실권자였던 로렌초에게 헌정하였다.[35][36] 그러나 로렌초는 이 책에 대해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37] 《군주론》은 마키아벨리 사후 1532년에 출간되었으며, 한때 교황청에 의해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38]

4. 가족 관계

배우자마들렌 드라 투르
자녀


5. 가계도

메디치 가문 가계도

참조

[1] 웹사이트 In private collection, on view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from June 26–October 11, 2021 https://www.metmuseu[...] 2021-10-11
[2] 웹사이트 BBC - History - Catherine de Medici https://www.bbc.co.u[...]
[3] 웹사이트 Lorenzo di Piero de' Medici, duca di Urbino | Italian ruler https://www.britanni[...] 2024-04-30
[4] 서적 Michelangelo: Mysteries of Medici Chapel http://www.florentin[...] SLOVO 2006
[5] 논문 The Mouse that Michelangelo Did Carve in the Medici Chapel: An Oriental Comment to the Famous Article of Erwin Panofsky http://www.florentin[...] 2017
[6] 웹사이트 Lorenzo de' Medici, Lord of Florence and Duke of Urbino — the Medici Family http://www.themedici[...]
[7] 웹사이트 Lorenzo di Piero de' Medici, duca di Urbino Italian ruler https://www.britanni[...]
[8] 웹사이트 Lorenzo di Piero de’ Medici, duca di Urbino http://www.britannic[...] 2014-09-12
[9] 서적 이탈리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8-08-31
[10] 웹사이트 메디치가 [Medici family] https://terms.naver.[...]
[1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2] 문서 말하지 않는 세계사 페이퍼 로드
[13] 웹사이트 샤를 7세 [Charles VII] - 잔 다르크의 출현과 백년전쟁의 종식
[14] 웹사이트 샤를 7세 [Charles VII]
[15]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16]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7]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8] 문서 메디치 가문 관련 내용
[19]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21] 웹사이트 Lorenzo de' Medici, Lord of Florence and Duke of Urbino - the Medici Family http://www.themedici[...]
[22]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23] 서적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마키아 벨리 세종서적
[24]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25] 서적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마키아 벨리 세종서적
[26]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27]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28]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29] 서적 군주론 까치글방 2020-01-20
[30] 서적 군주론 까치글방 2020-01-20
[3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32] 서적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산처럼 2002-04-25
[33] 서적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한길사 1997-08-25
[34] 웹사이트 니콜로 마키아벨리 [Niccolò Machiavelli] - 이탈리아의 통일과 번영을 꿈꾸며 새로운 정치사상을 모색한 정치사상가
[35] 서적 이탈리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8-08-31
[36] 비디오 EBS 초대석 -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 인문학자 김상근_#001
[37] 비디오 EBS 초대석 -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 인문학자 김상근_#001
[38] 서적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산처럼 2002-04-25
[39]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40] 문서 그란 마에스트로에 대한 설명
[41]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42]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43]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44]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45]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46]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47] 서적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공사 2007-03-26
[48]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49]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50]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51] 사전 Pensieroso(펜시에로스) 네이버 이탈리어 사전
[52] 비디오 메디치 가문 이야기 2부 - 성제환 교수와 함께 떠나는 르네상스 예술여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