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초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초 데 메디치는 1449년 피렌체에서 태어나,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서 외교, 정치, 예술 후원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그는 1469년 아버지 피에로 데 메디치의 사망 이후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예술가들을 후원하고 이탈리아 내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데 힘썼다. 1478년 파치 가문의 음모로 암살 위기를 겪었으나,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피렌체의 안정을 유지했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예술 후원자였지만, 메디치 은행의 경영 부실로 인해 말년에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1492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피에로 데 메디치가 뒤를 이었으나, 피렌체에서 메디치 가문의 몰락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네상스 시대의 인물 - 루크레치아 보르자
루크레치아 보르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사생녀로 태어나 정략 결혼을 통해 권력 강화에 이용되었으나, 아름다움과 지성으로 이름을 알리고 페라라 공작 부인으로서 문화 예술을 장려하며 도시 발전에 기여한 15세기 이탈리아 귀족 여성이다. - 르네상스 시대의 인물 - 콘라트 게스너
콘라트 게스너는 스위스의 박식가로서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로 활동했으며, 서지학, 동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르네상스 시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449년 출생 - 덕원군 (왕족)
세조와 근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덕원군 이서는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10세에 덕원군에 봉해졌고, 효심이 지극하며 성리학과 예법에 밝아 유종이라 칭송받았던 조선의 왕족이다. - 1449년 출생 - 채수
채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작가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폐비 윤씨의 휼양을 청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 가담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설공찬전》과 《나재집》 등의 저서를 남겼고, 사후 임호서원이 건립되고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492년 사망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1492년 사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렌초 데 메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렌초 데 메디치 |
이탈리아어 표기 | Lorenzo il Magnifico |
로마자 표기 | Lorenzo de' Medici |
출생일 | 1449년 1월 1일 |
출생지 |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
사망일 | 1492년 4월 8일 |
사망지 | 카레지, 피렌체 공화국 |
서명 | [[파일:Lorenzo de' Medici.svg|200px]] |
알려진 정보 | 정치적 지도력 은행업 예술 후원 |
통치 | |
직위 | 피렌체 영주 |
재임 기간 | 1469년 12월 2일 – 1492년 4월 8일 |
이전 통치자 | 피에로 고티 |
다음 통치자 | 피에로 불운 |
가족 | |
배우자 | 클라리체 오르시니 |
자녀 | 루크레치아 데 메디치 남자 쌍둥이 피에로 데 메디치 마달레나 데 메디치 콘테시나 베아트리체 데 메디치 조반니 데 메디치, 교황 레오 10세 루이사 데 메디치 콘테시나 데 메디치 줄리아노 데 메디치, 느무르 공작 |
가문 | 메디치 가문 |
아버지 | 피에로 디 코시모 데 메디치 |
어머니 |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 |
2. 어린 시절
로렌초는 넓은 체격과 짧은 다리, 검은 머리카락과 눈, 납작한 코, 근시, 거친 목소리를 가진 다소 평범한 외모와 평균 키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16] 반면 그의 동생 줄리아노는 잘생기고 "황금 소년"으로 여겨졌으며, 보티첼리의 그림 화성과 비너스의 모델로 사용되었다.[16] 로렌초의 절친한 친구 니콜로 발로리조차도 "자연은 그의 외모에 대해서는 계모와 같았지만, 마음으로 만들어진 모든 것에 대해서는 사랑하는 어머니와 같았다. 그의 안색은 어둡고, 얼굴이 잘생기지는 않았지만, 존경을 받을 만큼 위엄이 있었다."고 묘사하며 그의 소박한 외모를 언급했다.[17]
1467년, 아버지 피에로의 대출금 회수 계획에서 표면화된 고지파(루카 피티가 중심)에 의한 메디치 반대 쿠데타가 이몰라 부근에서 발생했다.[56]
또한 베로키오는 아버지 피에로의 의뢰로 산 로렌초의 코시모의 묘를 만들고, 산 마르코 수도원의 거대한 청동 종을 제작했다.[56]
1469년 12월, 아버지 피에로가 사망하자, 20세의 나이로 메디치 가문의 당주가 되고, 피렌체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2. 1. 가문 배경
로렌초 데 메디치의 할아버지 코시모 데 메디치는 메디치 가문 최초로 피렌체 공화국과 메디치 은행을 결합하여 이끌었다. 코시모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재산 상당 부분을 정권과 자선 활동에 사용했다. 그는 예술 후원자였고 공공 사업에 자금을 지원했다.[67]로렌초의 아버지 피에로 디 코시모 데 메디치는 피렌체 정치의 중심이었고 주로 예술 후원자이자 수집가였다. 로렌초의 숙부 조반니 디 코시모 데 메디치는 가문의 사업상 이익을 책임졌다. 로렌초의 어머니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는 소네트 작가이자 메디치 아카데미의 시인과 철학자들과 친구였다. 그녀는 남편이 사망한 후 로렌초의 좋은 조언자가 되어주었다.[67]
피에로와 루크레치아의 다섯 자식 중에 가장 뛰어나다고 여겨지던 로렌초는 외교관이자 주교인 젠틸레 데 베키와 인문주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에게서 교육을 받았고,[68] 요안니스 아르이로풀로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69] 그의 동생 줄리아노와 함께 마상 창시합, 매사냥, 사냥을 즐겼으며 시에나의 마상 대회인 팔리오를 위한 말을 사육 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말을 좋아했는데 모렐로 디 베네토 (Morello di Vento)라는 이름을 가진 그의 애마에게 직접 먹이를 주며 무척 아꼈다.[70]
1449년, 아버지 피에로와 어머니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코지모 데 메디치(일 베키오)이다. 어린 시절부터 피렌체 지도자로서의 교육을 받았으며, 인근의 왕족과 귀족들과도 교류했다.
"가이아 브리카타"라는 연상의 귀족 자제들을 중심으로 한 집단에서 화려한 차림으로 궁정적인 연애 놀이 등을 즐기는 향락을 즐겼다. 보티첼리도 이 집단에 속해 있었다.[53] 쾌락주의적인 측면과 후대의 엄격한 지도자로서의 이중성이 로렌초의 특징이다.
1469년 2월, 성인식 축전으로서 기마 경기가 산타 크로체 광장에서 열렸다. 깃발은 베로키오가 담당했고, 프랑스어로 "시간은 다시 온다"라는 문구가 들어 있었다.[53] 또한 무지개와 태양, 그리고 고대 의상을 입은 귀부인이 인쇄되었고, 월계수의 말라죽은 가지 중앙에 푸른 가지를 꽂아 로렌초의 장래성을 표현했다. 축전에서는 로렌초의 "이상적인 연인"(기사도적 연애) 루크레치아 도나티로부터 전쟁의 신 마르스의 소상이 달린 투구를 받았다.[53]
같은 해 6월, 로렌초는 로마의 오르시니 가문의 딸 클라리체 오르시니와 정략 결혼을 했다. 통풍을 앓던 아버지 피에로를 대신하여 어머니가 로마에 가서 신붓감을 찾아왔다. 지금까지 피렌체 명문가의 딸과의 결혼으로 정통성을 확립해 온 메디치 가문이지만, 마침내 로마의 명문가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2. 2. 교육 및 성장
로렌초는 코시모 데 메디치의 손자이자 피에로 디 코시모 데 메디치와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의 아들로 태어났다.[67] 그의 어머니는 소네트 작가이자 메디치 아카데미의 시인, 철학자들과 친구였으며, 남편이 사망한 후 로렌초의 좋은 조언자가 되었다.[67]로렌초는 외교관이자 주교인 젠틸레 데 베키와 인문주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에게서 교육받았고,[68] 요안니스 아르이로풀로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69] 그는 동생 줄리아노 데 메디치와 함께 마상창시합, 매사냥, 사냥을 즐겼으며, 팔리오 디 시에나를 위한 말을 사육하기도 했다.[70] 그는 특히 말을 좋아하여 자신의 애마 모렐로 디 베네토에게 직접 먹이를 줄 정도로 아꼈다.[70]
19세 때 그는 이탈리아 최고의 기사들을 상대로 한 피렌체 지도층 가문들의 아들들이 참여하는 토너먼트에서 1등을 하였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이를 두고 "인기 있는 방식은 아니지만, 그가 가진 용기와 무기 기술에 의한 것"이라고 기록했다.[71] 아버지 피에로는 로렌초가 어릴 때부터 교황과 다른 중요한 종교 및 정치 인사들을 만나러 로마에 가는 등 많은 중요한 외교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72]
로렌초는 큰 골격과 짧은 다리, 거무스름한 피부, 낮은 코, 근시의 눈, 귀에 거슬리는 목소리 등을 가진 평범한 외모로 묘사된다. 반면 동생 줄리아노 데 메디치는 미남으로 산드로 보티첼리의 작품 비너스와 마르스의 모델이기도 했다.[73]
1469년, 로렌초는 산타 크로체 광장에서 열린 성인식 축전 기마 경기에서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가 만든 깃발을 들고 1등을 차지했다.[53] 이 깃발에는 프랑스어로 "시간은 다시 온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고, 무지개와 태양, 고대 의상을 입은 귀부인이 인쇄되어 있었으며, 월계수의 말라죽은 가지 중앙에 푸른 가지를 꽂아 로렌초의 장래성을 표현했다.[53]
같은 해 6월, 로렌초는 로마의 오르시니 가문 출신 클라리체 오르시니와 정략 결혼을 했다.[54] 이는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 명문가와의 결혼으로 정통성을 확립해 온 관례를 깨고 로마 명문가와 인연을 맺은 첫 사례였다.[54]
3. 통치권 계승 및 정치 활동
로렌초는 20세 때인 1469년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피렌체의 통치권을 이어받았다. 메디치 은행의 자산은 그의 할아버지 코시모 데 메디치가 건축 사업에 실패하고, 전쟁과 정치 비용 지출 등이 늘어나면서 상당히 줄어든 상태였다.[74] 그는 할아버지와 아버지 때처럼 상황에 따라 매수와 정략 결혼을 통해 간접적으로 피렌체를 통치했다.[75]
로렌초의 통치 기간에 피렌체는 번영했지만, 그는 독재자로 군림하였고 피렌체 시민들의 정치적 자유는 위축되었다.[76] 피렌체 경쟁 가문들은 메디치 가문의 지배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75] 가장 큰 경쟁 가문은 파치 가문이며, 로렌초의 통치가 시작한 직후 그들로 인해 큰 시련을 겪었다.[88]
1478년 4월 26일 일요일, 파치 가문의 음모로 알려진 사건이 발생했다. 지롤라모 리아리오, 프란체스코 데 파치, 프란체스코 살비아티(피사 대주교)가 이끄는 무리가 피렌체 대성당에서 로렌초와 그의 형 줄리아노 데 메디치를 공격하여 피렌체 정부를 장악하려 했다.[21] 살비아티는 그의 후원자인 식스투스 4세의 승인을 받고 행동했다. 줄리아노는 잔혹하게 칼에 찔려 사망했지만, 로렌초는 폴리치아노[22]와 은행가 프란체스코 노리[23]의 보호를 받아 목에 경상을 입는 것으로 벗어났다. 이 공격에서 프란체스코 노리는 사망했다.[23] 음모 소식이 피렌체 전역에 퍼지자, 피사 대주교와 음모에 가담한 파치 가문 구성원들을 살해하는 등 민중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24]
파치 가문의 음모와 식스투스 4세 지지자들의 처벌 이후, 메디치 가문과 피렌체는 교황청의 분노를 샀다. 교황청은 식스투스 4세가 찾을 수 있는 모든 메디치 가문의 자산을 압류하고, 로렌초와 피렌체 정부 전체를 파문했으며, 궁극적으로 피렌체 도시 국가 전체를 교황령에 처했다.[25] 이러한 조치가 거의 효과가 없자, 식스투스 4세는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와 군사 동맹을 맺고 그의 아들 알폰소 2세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피렌체 공화국을 침공했다.[26]
로렌초는 시민들을 결집시켰다. 그러나 볼로냐와 밀라노의 전통적인 메디치 동맹국들의 지원이 거의 없었기에[24] 전쟁은 장기화되었고, 로렌초가 직접 나폴리로 가서 몇 달 동안 왕의 포로가 된 외교만이 궁극적으로 위기를 해결했다. 이 성공으로 로렌초는 피렌체 공화국 정부 내에서 그의 권력을 더욱 강화하는 헌법 개정을 확보할 수 있었다.[19]
그 후 로렌초는 그의 조부 코시모 데 메디치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북부 국가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과 같은 주요 유럽 국가들을 이탈리아 밖으로 유지하는 평화 유지를 위한 정책을 추구했다. 로렌초는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는데, 피렌체의 오스만 제국과의 해상 무역이 메디치 가문의 주요 부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27]
토스카나의 명반 채굴에서 수익을 얻으려는 노력은 로렌초의 명성에 흠집을 냈다. 명반은 볼테라의 지역 주민들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들은 이 중요한 천연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피렌체에 지원을 요청했다. 유리 제조, 무두질 및 섬유 산업의 핵심 상품인 명반은 오스만 제국이 통제하는 소수의 공급원에서만 구할 수 있었고, 이탈리아의 톨파에서 명반 매장지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제노바가 독점했다. 1462년 로마 교황청, 그리고 그로부터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로렌초와 메디치 은행이 채굴 작업에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교황은 채굴된 명반 1 켄타르(quintal)당 2 두캇의 수수료를 받고 이교도들과의 명반 무역을 금지함으로써 터키산 상품에 대한 독점을 확보했다.[28] 볼테라 주민들은 명반 광산의 가치를 깨닫고, 피렌체 후원자들의 주머니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시 재정에 그 수익이 돌아가기를 원했다. 이렇게 피렌체로부터의 반란과 분리 독립이 시작되었고, 여러 반대파 시민들이 사망했다. 로렌초는 용병을 보내 무력으로 반란을 진압했고, 용병들은 궁극적으로 그 도시를 약탈했다. 로렌초는 볼테라로 서둘러 가서 화해하려고 했지만, 이 사건은 그의 기록에 어두운 오점으로 남았다.[29][30]
3. 1. 통치권 계승
1469년 20세 때 아버지가 사망하자 피렌체의 통치권을 이어받았다.[74] 할아버지와 아버지 때처럼 매수와 정략 결혼을 통해 간접적으로 피렌체를 통치했다.[75] 같은 해 12월, 아버지 피에로가 죽자, 그의 뒤를 이어 20세의 나이로 메디치 가문의 당주가 되고, 피렌체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1466년경부터 메디치 은행(Medici Bank)은 사세티(Francesco Sassetti)가 관리했지만, 아버지 피에로 시대의 대규모 대출금 회수 계획으로 주변 국가들의 경계심이 높아졌다. 조부 코지모 시대에는 피렌체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이었으나, 많은 지점과 관계는 확립되었지만 재산은 감소하는 상태로 계승되었다.[53]
1478년 파치 가문의 음모 사건으로 동생 줄리아노는 살해되었지만, 로렌초는 목숨을 건졌다. 이후 피렌체는 교황청과 전쟁을 벌였으나, 로렌초의 외교적 노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지배 체제를 확고히 했다.
3. 2. 볼테라 광산 사건

볼테라에서 명반 광산이 발견되면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볼테라 시민들은 명반 광산 개발의 가치와 이익이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알고 그 수익을 자신들이 갖기를 원했다. 길드(조합)가 사기로 계약을 따냈다는 소문이 돌았고, 볼테라는 자치정부 행정장관을 임명하여 광산을 장악하고 작업자들을 해고했다.[80] 조합과 볼테라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자 조합원이 아닌 로렌초에게 중재 요청이 들어왔고, 로렌초는 조합원들에게 광산 통제권이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80]
이 결정으로 볼테라 출신 조합원인 인기라미와 기코발디가 광산을 접수하려 했으나 폭력사태가 벌어져 인기라미가 살해되었다.[80] 1472년 6월경, 사건은 피렌체로부터 분리 독립하려는 반란으로 발전했다.[81] 로렌초는 용병을 투입하여 진압하려 했고, 우르비노 백작 몬테펠트로가 이끄는 용병들이 항복을 받아냈다. 그러나 도시로 진입한 용병들이 약탈을 자행하여 수백 명의 볼테라 시민들이 죽거나 다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83] 로렌초는 피해를 보상하고 사태를 수습했지만, 이 사건은 그의 이력에 큰 오점으로 남았다.[84][85]
3. 2. 1. 기본 배경
피렌체에서 남동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볼테라라는 도시가 있었다. 이 지역은 외교권을 제외한 자치권이 어느 정도 인정되는 다소 불안한 형태였지만 피렌체의 부속도시에 속해 있었다.[77] 이 볼테라에서 명반 광산이 발견되었는데, 볼테라 시민들은 채굴을 위해 피렌체의 투자를 요청했다. 1462년 먼저 교황청이 광산개발에 참여했으나, 1년이 채 안되어 메디치 은행이 광산 운영사업에 뛰어들었다.[78] 채굴권은 투자자 8명이 결성한 길드(조합)와 계약을 통해 위임되었으며 조합원은 피렌체인 3명, 시에나 출신 3명, 볼테라 사람 2명으로 구성되었다.[79]명반은 유리 제작, 가죽 무두질, 직물 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원자재였다. 이탈리아 내 톨파(Tolfa)에서 생산되기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의 수출통제와 제노바의 독점권 때문에 공급량이 적었다. 교황은 명반 칸다 퀸틀(cantar quintal)당 2 두캇의 수수료를 받는 대가로 이교도 국가인 튀르키예에서 생산되는 명반 수입 금지 조치를 취한 후 독점권을 보장해주었다.
메디치 은행(Medici Bank)은 1466년경부터 프란체스코 사세티(영문판)가 기본적으로 관리했지만, 아버지 피에로 시대에는 대규모 대출금 회수 계획으로 인한 주변 국가들의 경계 등, 조부 코지모 시대에 비해 재산이 감소하는 상태로 계승되었다. 따라서 로렌초의 후원 활동은 코지모처럼 건축 등을 발주하는 것보다는 유망한 예술가를 여러 사람에게 소개하는 활동이 주가 되었다.[53]
1470년, 프라토(Prato)에서 메디치 가문의 권력 강화에 대한 불만으로 반란이 일어났다. 실행자는 엄격히 처벌했지만, 공모자는 사면함으로써 관용을 보였다.[53] 이 무렵 밀라노 지점은 스포르차 가문(Sforza family)에 의한 대량 대출로 인해 자금 융통이 불가능해졌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Galeozzo Maria Sforza)가 취임한 다음 해인 1467년에 거액의 대출이 발생하고, 1478년에는 폐쇄).[53]
1471년, 볼테라(Volterra) 폭동 사건이 발생했다. 피렌체는 의류 염색에 명반(alum)이 중요했고, 볼테라에서 명반이 채굴되어 피렌체 상인들이 채굴권을 얻기 위해 볼테라 사람들을 대량으로 처벌했다.[53] (1472년, 폭동 진압을 위해 우르비노 공 용병 대장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Federico da Montefeltro)가 군사 사령관을 역임했다.)
식스투스 4세가 교황에 취임하자, 로렌초는 조부 코지모 이래의 「로디 조약」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로마에 특사로 갔다. 평민 출신의 교황은 매우 야심적이어서, 친족에 의한 권력 확립을 목표로 메디치 가문을 적대시하기 시작했다.[54]
밀라노 공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가 피렌체를 방문했다. 베로키오는 밀라노 공에게 선물하기 위한 「고대 로마풍」 투구와 객실을 개조했다.[56] 밀라노 공은 잔혹한 성격이었지만, 프랑스 왕의 딸과 결혼하여 외교적으로 중요했다. 일행에는 후의 일 모로(Ludovico Sforza)도 있었다. 접대극 중, 옛날 브루넬레스키가 건설한 산토 스피리토 성당에서 화재가 발생했다.[56]
또한 메디치 가문이 선거를 주관하는 제도인 「발리아(Balia)」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로렌초는 실질적인 통치자로서 흔들림 없는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53] (피에로 시대에 코지모가 구축한 선거 관리 제도가 일부 느슨해진 것을 로렌초가 강화했다.)
3. 2. 2. 갈등의 시작
볼테라 시민들은 명반 광산 개발에 따른 가치와 이익이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알게 된 후, 그 수익이 외부 투자자보다는 자신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길드(조합)가 부정한 방법으로 유리한 계약을 따냈다는 소문이 퍼졌고,[80] 볼테라는 자치정부 행정장관을 임명하여 광산을 장악하고 작업자들을 해고했다.[80] 이로 인해 조합과 볼테라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고, 조합원이 아닌 로렌초에게 중재 요청이 들어왔다. 로렌초는 조합원들에게 광산 통제권이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80]이 결정을 바탕으로 볼테라 출신 조합원인 인기라미와 기코발디가 광산을 접수하기 위해 경비대와 함께 광산으로 갔으나, 폭력 사태가 벌어져 인기라미가 살해되었다.[80] 뒤늦게 갈등은 폭동 수준으로 커져 1472년 6월경에는[81] 피렌체로부터 분리 독립하려는 반란으로 발전하여 반대파를 죽이기까지 했다. 피렌체 공사(公使)는 간신히 볼테라를 탈출했다.[82]
3. 2. 3. 진압과 약탈
로렌초는 볼테라 주교와 피렌체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용병을 투입하여 볼테라에서의 소요를 진압했다. 이는 다른 소도시들이 동조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80] 볼테라에서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민란이 일어났었다.[82] 우르비노 백작 몬테펠트로가 이끄는 용병들은 한 달간의 포위 끝에 항복을 받아냈다. 그러나 도시로 진입한 용병들이 약탈을 자행했고,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볼테라 시민들이 죽거나 다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83] 뒤늦게 소식을 접한 로렌초는 급히 볼테라로 달려가 피해를 보상하고 사태 수습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 사건은 그의 이력에 큰 오점으로 남았다.[84][85]3. 3. 파치 음모 사건
1478년 파치 가문의 음모 사건으로 로렌초는 목숨을 잃을 뻔했다. 이 사건은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에서 발생했으며, 동생 줄리아노 데 메디치는 살해되었지만 로렌초는 간신히 도망쳤다. 암살자들은 시민들에게 반란을 부추겼지만 실패했고, 체포되어 처형되었다.[88]이 사건의 배후에는 메디치 가문의 라이벌이었던 파치 은행과 교황 식스토 4세가 있었다. 교황은 자신의 친족을 통해 권력을 강화하려 했고, 메디치 가문을 적대시했다.[54] 암살 시도 후, 식스토 4세는 분노하여 메디치 가문의 재산을 몰수하고 피렌체에 성무금지령을 내렸으며, 나폴리 왕국과 동맹을 맺고 피렌체를 공격했다.[90]
이에 로렌초는 직접 나폴리로 가서 3개월간 협상을 벌인 끝에 강화 조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92] 피렌체로 돌아온 로렌초는 국민적 영웅이 되었으며, 교황도 결국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93]
3. 3. 1. 암살 시도
1478년 4월 26일 일요일, 지롤라모 리아리오, 프란체스코 파치(Francesco Pazzi), 피사 대주교 프란체스코 살비아티를 중심으로 한 무리들이 교황 식스토 4세의 묵인하에 파치 음모사건을 저질렀다.[86] 이들은 로렌초와 그의 동생이자 공동 통치자인 줄리아노를 암살하고 피렌체 정권을 탈취하기 위해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에서 미사를 드리는 두 형제를 공격했다.[87] 동생 줄리아노는 칼에 19군데나 찔려 그 자리에서 즉사했고, 형 로렌초는 시인 폴리치아노의 보호를 받으며 어깨에 작은 상처만을 입고 현장 탈출에 성공했다.[87] 암살과 동시에 의회와 행정부를 장악하려는 시도는 실패로 끝나면서 쿠데타는 최종적으로 실패했다.암살과 쿠데타 소식이 피렌체 전역에 퍼지자, 성난 피렌체 시민들은 피사 대주교와 사건 주동자들을 잡아 교수형에 처했다.[88]
3. 3. 2. 피렌체 전쟁
쿠데타(파치 음모 사건)가 실패하자 교황 식스토 4세는 교황령 연합군을 결성하여 피렌체를 침공했다. 나폴리 국왕 페르디난도 1세는 영토 확장의 좋은 기회로 판단하여 교황군과 동맹을 체결한 후 그의 아들 알폰소로 하여금 피렌체를 상대로 한 전쟁에 참여하도록 했다.[91] 교황은 우르비노, 시에나, 루카도 전쟁에 가담하도록 만들었다. 로렌초는 시민들을 결집시켜 대항하면서 우방국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각국이 처한 자국의 정치 상황 때문에 볼로냐와 밀라노 등 전통적인 메디치 가문의 동맹국들로부터 제대로 된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88]전쟁이 장기화되자 상황은 피렌체에게 매우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전투에서 연패하며 여러 지역들이 함락됨에 따라 피난민이 증가하였고, 국토가 파괴되고 도적들에 의한 약탈이 증가하였으며, 역병이 창궐한 가운데 잉글랜드가 양모 수출을 중단하자 대량 실직이 발생하며 경제 상황마저 극도로 악화되었다. 전비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경기 하락으로 전비 조달을 위한 추가적인 세금 징수에는 한계가 있었다. 피렌체는 실로 건국 이래 최대의 난국에 빠졌다.
3. 3. 3. 외교 담판
로렌초는 위기를 극복하고자 1479년 12월에 적진인 나폴리로 직접 가서 볼모 생활을 자청하며 나폴리 국왕과 외교 교섭을 진행했다. 이는 목숨을 담보로 한 매우 위험한 결정이었다. 교황의 복수 의지가 여전하고 나폴리 국왕 페르디난도 1세는 신뢰할 수 없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92]교섭은 순탄하게 진행되지 못했다. 페르디난도 1세는 노련한 정치인이었고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으며 의심이 많고 사람을 신뢰하지 않는 등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로렌초는 훌륭한 매너와 뛰어난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탈리아 정세에 대한 탁월한 분석과 견해를 제시하였다. 교황이 바뀔 때마다 교황청 정책이 종잡을 수 없이 바뀌기에 신뢰할 수 없다는 점, 피렌체만큼 가치 있는 우방이 없다는 점, 전쟁보다는 평화를 추구하여 위인이 된 고대 통치자들의 선례 등을 언급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끈질기게 협상을 이어갔다. 3개월간의 노력 끝에 페르디난도 1세를 설득하여 강화 조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
3. 3. 4. 영웅의 귀환
위험을 무릅쓰고 단신으로 적진에 뛰어들어가 뛰어난 기지와 능력으로 값진 결과를 이루어낸 로렌초는 1480년 4월에 피렌체로 돌아왔다.[92] 풍전등화에 놓였던 조국을 구한 로렌초를 피렌체 시민들은 열렬히 환영했으며 로렌초는 피렌체의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한편 소식을 접한 교황은 격노하며 전쟁의 지속을 외쳤으나 나폴리가 이탈하자 그 밖의 도시 국가들도 떨어져 나가버렸다. 자신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 것을 인지한 교황 식스토 4세는 어쩔 수 없이 참회라는 형식적 단계를 거쳐서 피렌체에 대한 성무금지령을 철회하고 평화조약을 체결하였다.[93] 이 성공으로 로렌초는 피렌체 공화국내 헌법 개혁할 수 있게 되어 로렌초는 가문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75]3. 4. 이탈리아 내 세력 균형 유지
로렌초는 위험을 무릅쓰고 적진에 들어가 뛰어난 기지와 능력으로 1480년 4월에 피렌체로 돌아왔다.[92] 조국을 구한 로렌초는 피렌체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교황은 격노하며 전쟁 지속을 외쳤으나 나폴리가 이탈하자 다른 도시 국가들도 떨어져 나갔다. 교황 식스토 4세는 여론 악화를 인지하고 피렌체에 대한 성무금지령을 철회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93] 이 성공으로 로렌초는 피렌체 공화국 내 헌법 개혁을 통해 가문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75]그 후, 로렌초는 할아버지 코시모 데 메디치처럼 북부 이탈리아 국가들 사이의 힘의 균형을 유지하며,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 등 유럽 주요 강대국들이 이탈리아를 넘보지 못하게 하는 평화 유지 정책을 추진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는데, 오스만 제국의 플로렌타인 해양 무역은 메디치 가문에게 중요한 부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94]
이후 로렌초는 여러 세력이 난립하는 이탈리아의 균형자로서 외교적 수완을 크게 발휘했다. 그의 외교의 특징은 세력 균형과 현상 유지였다. 그는 재산과 개인적 매력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이탈리아 내의 안정을 실현했다.
4. 메디치 은행의 몰락
로렌초 데 메디치는 증조부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가 설립한 메디치 은행을 물려받았으나, 경영 능력 부족과 과도한 예술 후원으로 인해 은행은 몰락의 길을 걸었다.
로렌초는 정치와 외교에는 뛰어났지만, 정작 은행 경영에는 무능했다. 그는 기업 활동과 금융에 문외한이었고, 재무제표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96] 경영을 전문 경영인에게 맡기고 자신은 문화예술 후원과 정치 활동에 몰두했다.[97] 증조부로부터 유럽 전역에 16개의 지점을 가진 은행을 물려받았지만, 로렌초가 사망할 당시에는 피렌체 본점만 남아있었고, 이마저도 2년 뒤인 1494년에 도산하여, 가업을 물려받은 지 25년 만에 완전히 파산했다.
은행들이 줄도산하는 와중에도 로렌초는 예술 후원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었고, 심지어 피렌체 정부의 공금에 손을 대기도 했다.[99] 메디치 은행의 파산은 피렌체 르네상스의 쇠퇴를 가져왔고, 많은 예술가들이 피렌체를 떠나게 되었다.
4. 1. 무능한 경영
로렌초 데 메디치는 뛰어난 정치인이자 외교관이었지만, 경영에는 무능하고 무심했다. 기업 활동과 금융에 대해 문외한이었고, 재무제표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96] 전문 경영인에게 운영을 위임하고,[97] 문화예술 후원과 정치 활동에 몰두하면서 사업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어려서 함께 자란 토마소 포르티나리를 대리인으로 임명하여 은행 경영을 맡겼다.[97] 그 결과, 1472년 런던지점, 1478년 밀라노 지점, 1480년 브뤼제 지점, 1481년 베네치아 지점이 줄줄이 도산했다.[98] 로렌초는 은행들이 도산하는 상황에서도 이를 막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막대한 금액을 예술 후원에 탕진했다.4. 2. 연쇄 도산
1469년부터 1492년까지 메디치 은행은 유럽 전역에 걸쳐 16개의 지점을 운영했으나, 로렌초가 사망할 당시에는 피렌체 본점만 남고 모두 도산했다.[99] 금고가 바닥나자 로렌초는 피렌체 정부의 공금에 손을 대기도 했다.[99] 마지막 남은 피렌체 본점은 로렌초 사후 2년 뒤인 1494년에 도산했다. 이로써 가업을 물려받은 지 25년 만에 완전히 파산했다. 메디치 은행의 파산은 피렌체 르네상스의 쇠퇴로 이어졌고, 예술가들은 도시를 떠나기 시작했다.1472년 런던 지점은 에드워드 4세에게 거액을 빌려주었다가 떼이면서 파산했다.[100] 이는 '국왕이나 귀족에게 돈을 빌려줄 때는 주의하라'는 선대의 가르침을 어긴 결과였다.[100] 잉글랜드가 양모 수출을 금지하고 자체적으로 모직물 제조업에 뛰어들자,[101] 이탈리아 모직물 산업은 급격히 쇠퇴했고, 메디치 가문의 모직물 사업도 어려움을 겪었다. 잉글랜드산 양모를 수입하기 위해 에드워드 4세에게 접근했으나, 에드워드 4세는 양모 거래를 조건으로 대출을 요구했고, 이를 거절하지 못하고 응했다가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한 채 잉글랜드 지점은 도산했다.[102]
1478년에는 파치 가문의 음모로 인해 로렌초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고 동생인 줄리아노 데 메디치가 사망하는 등 메디치 가문은 정치적인 어려움도 겪었다.
메디치 은행은 1466년경부터 사세티(영문판)가 관리했지만, 아버지 피에로 시대에는 대규모 대출금 회수 계획으로 주변 국가들의 경계를 사는 등, 조부 코지모 시대에 비해 재산이 감소한 상태였다.[53] 1470년에는 프라토에서 메디치 가문의 권력 강화에 대한 불만으로 반란이 일어났고,[53] 같은 해 밀라노 지점은 스포르차 가문에 의한 대량 대출로 자금 융통이 불가능해져 1478년에 폐쇄되었다.[53]
1484년에는 리옹 지점이 경영난에 빠졌고, 샤를 8세의 불리한 정책(이탈리아로 현금 이송 금지, 비단 직물·사치품 수입 금지)으로 인해 1488년에 폐쇄되었다.[53] 1489년에는 로마 지점이 경영난에 빠졌다.[53]
5. 후원 활동
로렌초 데 메디치는 피렌체 르네상스의 전성기를 이끈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 그는 미켈란젤로, 보티첼리,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후원했으며, 플라톤 아카데미를 통해 인문주의 학자들을 지원했다.
코시모 데 메디치가 시작한 메디체아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을 확장하여 고전 작품을 수집하고, 공방을 통해 유럽 전역에 지식을 전파했다. 또한, 피렌체의 예술가들을 로마를 비롯한 이탈리아 각지로 파견하여 르네상스 미술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1471년, 로렌초는 메디치 가문이 1434년부터 자선 사업, 건축물, 세금 등으로 66만 3천 플로린 (오늘날 약 4.6억달러)을 사용했다고 계산하며, "이것이 우리 조국에 큰 영광이었다고 생각하며, 그 돈은 잘 사용되었다고 생각하고 만족한다"라고 기록했다.[105]
사보나롤라가 피렌체 사회의 부패와 메디치 가문의 지배를 비판하는 설교를 했지만, 로렌초는 설교를 금지하지 않고 은밀히 관심을 가지면서도, 한편으로는 설교를 방해하기도 했다.
로렌초는 세력 균형과 현상 유지를 중시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재산과 개인적인 매력을 활용하여 이탈리아 내 안정을 추구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메디치 은행은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며 파산 직전에 이르렀고, 공화국의 공금에도 손을 댔다는 의혹을 받았다.
5. 1. 예술가 후원
로렌초 데 메디치는 15세기 르네상스를 이끈 피에로와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 형제,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와 같은 예술가들을 후원했다.[103] 로렌초는 직접 많은 작품을 의뢰하지는 않았지만, 이 예술가들이 다른 후원자들로부터 의뢰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103] 미켈란젤로는 로렌초와 그의 가족들과 함께 5년을 살았으며, 함께 저녁 식사를 같이 했고 마르실리오 피치노가 주도한 토론에도 참여하였다.[103]로렌초는 토스카나어로 시를 쓰는 예술가이기도 했다. 그의 시에서는 인생을 찬미하는 반면에, 특히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인간의 연약함과 불안정성에 대한 우울감을 나타낸다. 사랑, 축제, 빛이 그의 시 대부분을 차지한다.[103]
코시모 데 메디치는 메디체아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이 되는 서적 컬렉션을 모으기 시작했고, 로렌초는 이를 확장했다. 로렌초의 대리인들은 많은 수의 고전 작품들을 동방에서 찾아다녔고, 그는 수집한 책들을 복사하고 유럽 대륙에 그 지식을 퍼뜨리기 위한 커다란 공방을 고용했다.[104] 그는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 안젤로 폴리치아노,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를 포함한 그의 학문적 동지 무리를 통해 인문주의 발전을 후원했다.[104] 그들은 그리스 철학자들에 대해 연구하고 플라톤의 이론을 기독교와 접목시키려 하였다.
로렌초는 외교적 노력을 위해 피렌체의 순수 미술 분야를 사용했다. 기를란다요, 보티첼리, 페루지노, 코시모 로셀리가 시스티나 성당의 벽화를 그리러 로마로 간 것이 그 예이며, 이는 로렌초와 교황 식스토 4세 간의 동맹을 형성하려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104]
5. 2. 학문 발전 지원
로렌초 데 메디치는 15세기 르네상스를 이끈 여러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피에로 델 폴라이올로,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 형제,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등이 그의 궁정에 있었다. 로렌초는 직접 의뢰를 많이 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이 다른 후원자들에게서 의뢰를 받도록 도왔다. 미켈란젤로는 로렌초의 가족과 함께 5년간 살면서 마르실리오 피치노가 주도한 토론에도 참여했다.[103]로렌초는 토스카나어로 시를 쓰는 예술가였다. 그의 시는 인생을 찬미하면서도 인간의 허약함과 불안정성에 대한 우울감을 나타낸다.[103]
코시모 데 메디치가 시작한 메디체아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을 확장했다. 동방에서 많은 고전 작품을 가져오게 했고, 책을 복사하고 유럽에 지식을 퍼뜨리기 위한 공방을 운영했다. 마르실리오 피치노, 안젤로 폴리치아노,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등 학자들을 후원하여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했다.[104] 이들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이론을 기독교와 접목시키려 했다.[104]
로렌초는 피렌체의 순수 미술 분야를 외교 노력에 활용했다.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산드로 보티첼리, 페루지노, 코시모 로셀리를 로마로 보내 시스티나 성당 벽화를 그리게 한 것은 교황 식스토 4세와의 동맹을 위한 것이었다.[104]
5. 3. 외교적 활용
로렌초는 개인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외교적 목적을 위해 피렌체의 미술계를 활용했다. 그 예로 기를란다요, 보티첼리, 페루지노, 코시모 로셀리를 로마로 보내 시스티나 성당 벽화를 그리게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로렌초와 교황 식스투스 4세 간의 동맹을 맺으려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104]이후 로렌초는 여러 세력이 난립하는 이탈리아의 균형자로서 외교적 수완을 크게 발휘했다. 그의 외교 특징은 세력 균형과 현상 유지였다. 그는 재산과 개인적 매력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이탈리아 내 안정을 실현했다. 로렌초 시대는 피렌체 르네상스의 전성기였지만, 한편으로는 메디치 은행의 경영 실태는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며 파탄 직전 상태였다. 또한 공화국의 공금에도 손을 댔다는 말도 있다.
로렌초는 미술가들을 해외로 파견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는 피렌체의 주요 미술가들을 로마, 베네치아, 나폴리, 밀라노로 적극적으로 파견했다. 이것은 로렌초의 외교 정책의 한 측면이었지만, 이를 통해 피렌체의 르네상스 미술은 이탈리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고 할 수 있다.
6. 혼인과 자녀
로렌초는 1469년 2월 7일 대리인을 통해 클라리체 오르시니와 혼인했다.[35] 정식 결혼식은 1469년 6월 4일 피렌체에서 거행되었다.[35] 그녀는 자코모 오르시니와 그의 아내이자 친척인 마달레나 오르시니의 딸이다.
클라리체와 로렌초 사이에는 10명의 자녀가 있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루크레치아 디 로렌초 데 메디치 | 1470년 8월 4일 | 1553년 11월 15일 | 1486년 9월 10일 야코포 살비아티와 혼인.[36] 추기경 조반니 살비아티, 추기경 베르나르도 살비아티, 마리아 살비아티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어머니), 프란체스카 살비아티 (교황 레오 11세의 어머니)를 포함한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
쌍둥이 | 1471년 3월 | 태어나자마자 사망 | |
피에로 데 메디치 | 1472년 2월 15일 | 1503년 12월 28일 | "불운한 피에로"라고 불렸고, 아버지 사후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었다.[36] 카트린 드 메디치 (프랑스 왕비)의 조부이다. |
마달레나 디 로렌초 데 메디치 | 1473년 7월 25일 | 1528년 12월 2일 | 1488년 2월 25일 프란체스케토 키보 (교황 인노첸시오 8세의 사생아)와 혼인하여 7명의 자녀를 가졌다. |
콘테시나 베아트리체 데 메디치 | 1474년 9월 23일 | 1474년 9월 | 어린 나이에 사망[37] |
조반니 디 로렌초 데 메디치 | 1475년 12월 11일 | 1521년 12월 1일 | 1513년 3월 11일 레오 10세라는 이름으로 교황 자리에 올랐다.[36][38] |
루이사 데 메디치 | 1477년 | 1488년 5월 | 루이자 (Luigia)라고도 불렸으며, 조반니 데 메디치 일 포폴라노와 약혼하였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36] |
콘테시나 안토니아 로몰라 데 메디치 | 1478년 1월 16일 | 1515년 6월 29일 | 1494년에 피에트로 리돌피 (Piero Ridolfi, 1467년–1525년)와 혼인했고 추기경 니콜로 리돌피를 포함한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36] |
줄리아노 디 로렌초 데 메디치 | 1479년 3월 12일 | 1516년 3월 17일 | 1515년 프랑스의 국왕 프랑수아 1세에 의해 느무르 공작 자리에 올랐다.[36] |
로렌초는 파치 가문의 음모(1478) 때 살해당한 남동생 줄리아노의 사생아였던 조카 줄리오 디 줄리아노 데 메디치를 입양하여 친 자식처럼 키웠다. 줄리오는 성장하여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되었다.[39]
7. 말년과 죽음, 유산
로렌초 사후, 피렌체 시뇨리아와 의회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음과 같은 성명서를 발표했다.[111]
로렌초는 산 로렌초 성당의 붉은색 반려암 석관에 남동생 줄리아노 옆에 안치되었다. 이 석묘는 미켈란젤로가 설계하여 만든 새 성당이 아닌, 피에로와 조반니를 위해 만들어졌다. 이 예배당에는 로렌초와 줄리아노 외에도, 로렌초의 손자이자 동명이인 로렌초 2세(우르비노 공작)와 로렌초의 삼남 줄리아노(느무르 공작)의 무덤도 있다.[112] 1559년 로렌초와 동생 줄리아노의 시신은 새 성당 안 미켈란젤로의 성모 마리아 상 아래 만들어진 표시 없는 무덤에 안치됐다.[112]
로렌초의 장남 피에로("불운한 피에로")는 아버지의 재산을 탕진하고 1494년 피렌체에서 메디치 가문을 몰락시켰다. 차남 조반니는 교황 레오 10세가 되어 1512년 도시를 탈환했다.[47] 로렌초가 아들처럼 키운 조카 줄리오는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된 후, 1531년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피렌체의 초대 세습 공작으로 임명했다.[48]
7. 1. 질병과 죽음
로렌초는 카레지에 있는 가문의 저택에서 오랜 기간을 보내다 1492년 4월 8일 늦은 밤에 사망했다.[41] 그는 메디치 가문의 지병이라고 할 수 있는 통풍으로 고통받고 있었다.[59]로렌초 재임 기간 동안 가문 은행의 여러 지점이 부실 대출로 인해 파산했고, 말년에는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신탁 및 국고를 횡령하기에 이르렀다.
로렌초의 생애 말년, 피렌체는 사보나롤라의 영향 아래 놓였다. 사보나롤라는 그리스-로마 문화에 기독교가 지나치게 물들었다고 믿었다. 로렌초는 사보나롤라를 피렌체로 데려오는 데 일조했다.[40] 로렌초는 사보나롤라를 자택으로 초청하여 죄의 고백을 했다고 하나, 이는 사보나롤라 측의 선전이며 날조라는 말도 있다. 사보나롤라는 로렌초의 임종을 지켰다.[41] 사보나롤라가 로렌초의 임종 자리에서 저주했다는 소문은 로베르토 리돌피의 저서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삶''에서 반박되었다. 로렌초의 죽음을 목격한 사람들이 쓴 편지에는 그가 그날의 복음을 듣고 평화롭게 죽었다고 적혀 있다.[42] 그의 죽음 순간에는 피렌체 대성당 돔이 낙뢰를 맞고 유령이 나타나며 비아 레오네에 있던 사자들이 서로 싸우는 등 많은 징조와 징후가 있었다고 한다.[43]
바사리가 그린 로렌초의 사후 초상화(16세기)가 있다.

피렌체의 시뇨리아와 의회는 다음과 같은 법령을 발표했다.
로렌초는 그의 형 줄리아노와 함께 산 로렌초 성당에 있는 붉은색 반려암 석관에 안치되었다.
7. 2. 유산
로렌초 데 메디치 시대에 메디치 가문 은행의 여러 지점들이 부실 대출로 인해 파산했고, 말년에 그는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신탁 및 국고를 횡령하기에 이르렀다.[108]로렌초의 생애 말년, 피렌체는 사보나롤라의 영향 아래 놓였다. 사보나롤라는 그리스-로마 문화에 기독교가 지나치게 물들었다고 믿었다. 로렌초는 사보나롤라를 피렌체로 데려오는 데 일조했다.[109]
조르조 바사리가 그린 로렌초의 사후 초상화(16세기)가 있다.
로렌초는 1492년 4월 8일 늦은 밤, 오랜 가문의 저택인 카레지(Careggi)에서 사망했다.[41] 사보나롤라는 로렌초의 임종을 지켰다. 사보나롤라가 로렌초의 임종 자리에서 저주했다는 소문은 로베르토 리돌피의 저서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삶''에서 반박되었다. 로렌초의 죽음을 목격한 사람들이 쓴 편지에는 그가 그날의 복음을 듣고 평화롭게 죽었다고 적혀 있다.[42] 그의 죽음 순간에는 피렌체 대성당 돔이 낙뢰를 맞고 유령이 나타나며 비아 레오네에 있던 사자들이 서로 싸우는 등 많은 징조와 징후가 있었다고 한다.[43]
피렌체의 시뇨리아와 의회는 다음과 같은 법령을 발표했다.
로렌초는 그의 형 줄리아노와 함께 피에로와 조반니 데 메디치를 위해 디자인된 붉은색 반려암 석관에 안치되어 산 로렌초 성당에 묻혔다. 예상과는 달리 미켈란젤로가 디자인한 새 성당에 묻히지 않았다. 새 성당에는 로렌초와 줄리아노의 덜 알려진 동명이인인 우르비노 공작 로렌초와 네무르 공작 줄리아노의 두 개의 기념비적인 묘비가 있다.[45] 윌리엄슨 등에 따르면, 덜 유명한 로렌초와 줄리아노의 조각상은 미켈란젤로가 유명한 사람들의 본질을 담아 조각했다고 한다. 1559년, 로렌초 데 메디치("위대한 자")와 그의 형 줄리아노의 시신은 미켈란젤로의 마돈나상 아래에 있는 표지 없는 묘에 새 성당에 안치되었다.[45]
의학 연구자들은 로렌초가 그의 보고된 증상 해석과 나중에 그의 해골과 사후 가면 분석을 바탕으로 성장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한 희귀 질환인 말단비대증을 앓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46]
로렌초의 상속인은 그의 장남인 피에로 디 로렌초 데 메디치로, "불운한 피에로"로 알려져 있다. 1494년 그는 아버지의 재산을 탕진하고 피렌체에서 메디치 가문을 몰락시켰다. 그의 차남 조반니는 교황 레오 10세가 되어 1512년 스페인 군대의 지원을 받아 도시를 탈환했다.[47] 1531년, 로렌초가 자신의 아들로 키운 조카 줄리오 디 줄리아노는 1523년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된 후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도시의 첫 번째 세습 공작으로 임명하여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통치를 공식화했다.[48]
참조
[1]
백과사전
Medici, Lorenzo de', detto il Magnifico
http://www.treccani.[...]
2018-05-10
[2]
백과사전
Medici, Lorenzo de', detto il Magnifico
http://www.treccani.[...]
2018-05-10
[3]
학술지
Medici Money: Banking, Metaphysics, and Art in Fifteenth-Century Florence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4]
웹사이트
Fact about Lorenzo de' Medici
https://web.archive.[...]
Kenneth E. Behring
2008-11-15
[5]
서적
Lorenzo De' Medici and the Art of Magnificence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7-02-01
[6]
서적
Living on the Edge in Leonardo's Flor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03-21
[7]
서적
Lorenzo the Magnificent
Michael Joseph
[8]
서적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www.oxfordbib[...]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5
[9]
서적
Lorenzo the Magnificent
[10]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11]
학술지
Luigi Pulci's ''Stanze per la Giostra'': Verse and Prose Accounts of a Florentine Joust of 1469
http://openurl.ingen[...]
[12]
서적
The Florentine History
https://archive.org/[...]
London: Archibald Constable and Co. Limited
1906
[13]
서적
The Stanze of Angelo Poliziano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3
[14]
서적
[15]
서적
History of Florence
[16]
서적
Lorenzo the Magnificent
[17]
서적
Florentine Palaces & Their Stories
2016-08-14
[18]
잡지
Lorenzo der Prächtige: Mäzen, Schöngeist und Tyrann
[19]
잡지
Die langsame Aushöhlung der Republik
[20]
서적
History of Italy and History of Florence
Twayne Publishers
[21]
서적
Renaissance Europe: Age of Recovery and Reconciliation
D.C. Heath and Company
[22]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23]
서적
Lorenzo de' Medici
https://books.google[...]
Mondadori
2016-10-31
[24]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5]
서적
Lorenzo de' Medici: Florence's Great Leader and Patron of the Arts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26]
서적
April Blood: Florence and the Plot Against the Medici
[27]
서적
The Ottoman Empire: The Classical Age 1300–1600
Orion Publishing Group
[28]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the Medici Bank, 1397–1494
Harva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Florentine History
https://archive.org/[...]
London: Archibald Constable and Co. Limited
1906
[30]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31]
강연
La Poesia di Lorenzo di Medici
[32]
학술지
Mäzene auf den Spuren der Antike
[33]
서적
The Society of Renaissance Florence: A Documentary Study
Harper & Row
[34]
서적
Humanism and Renaissance Historiography
[35]
서적
Lucrezia Tornabuoni de' Medici and the Medici family in the fifteenth century
https://www.worldcat[...]
Peter Lang
2006
[36]
서적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Ashgate
[37]
웹사이트
Piero de Medici (the Unfortunate) Timeline 1472-1503
https://www.thetimel[...]
2020-07-09
[3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3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Clement VII
http://www.newadvent[...]
[40]
서적
Savonarola: The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New Haven
[41]
서적
Cuvier's History of the Natural Sciences: Nineteen lessons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Publications scientifiques du Muséum
2019-10-24
[42]
서적
The Late Medieval Age of Crisis and Renewal, 1300–1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학술지
Acromegaly in Lorenzo the Magnificent, father of the Renaissance
[4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edici
http://www.historywo[...]
[48]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1510–1537) {{*}} BlackPast
https://www.blackpas[...]
2007-12-09
[49]
웹사이트
Revisiting the renaissance with Assassin's Creed 2
https://www.pcgamer.[...]
Future US, Inc.
2017-03-09
[50]
웹사이트
Revisiting the renaissance with Assassin's Creed 2
https://www.pcgamer.[...]
Future US, Inc.
2017-03-09
[51]
뉴스
Who's who in 'Da Vinci's Demons' Season 2
https://www.usatoday[...]
2014-03-19
[52]
웹사이트
Daniel Sharman and Bradley James Join Netflix's 'Medici'
https://variety.com/[...]
Penske Business Media, LLC.
2017-08-10
[53]
서적
メディチ家
講談社現代新書
1999-03-20
[54]
서적
わが友 マキアヴェッリ
中央公論社
1987-09-15
[55]
서적
フィレンツェ史(下)
岩波書店
1954-04-05
[56]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の生涯 飛翔する精神の軌跡
白水社
2009-01-10
[57]
서적
帳簿の世界史
文藝春秋
2018-04-10
[58]
웹사이트
そこそこアレな感じで
http://cesareborgia.[...]
[59]
서적
物語 イタリアの歴史〈2〉皇帝ハドリアヌスから画家カラヴァッジョまで
中公新書
2004-11-01
[60]
서적
ルネッサンス的人間像
岩波書店
1975-06-20
[61]
서적
西欧近世軍事思想史
甲陽書房
1977-06-10
[62]
웹사이트
Medici, Lorenzo de', detto il Magnifico
http://www.treccani.[...]
[63]
서적
Medici Money: Banking, Metaphysics, and Art in Fifteenth-Century Florence
W.W. Norton & Co
[64]
웹인용
Fact about Lorenzo de' Medici
http://100leaders.or[...]
2008-11-15
[65]
서적
Lorenzo De' Medici and the Art of Magnificence
JHU Press
[66]
서적
Living on the Edge in Leonardo's Flor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7]
서적
Lorenzo the Magnificent
Michael Joseph
[68]
서적
[69]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70]
서적
[71]
서적
The Florentine history
https://archive.org/[...]
London : A. Constable and co. limited
1906
[72]
서적
History of Florence
[73]
서적
[74]
잡지
Lorenzo der Prächtige: Mäzen, Schöngeist und Tyrann
[75]
잡지
Die langsame Aushöhlung der Republik
[76]
서적
History of Italy and History of Florence
Twayne Publishers
[77]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78]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the Medici Bank, 1397–1494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80]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8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2]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83]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84]
서적
The Florentine history
https://archive.org/[...]
London : A. Constable and co. limited
1906
[85]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86]
서적
Renaissance Europe: Age of Recovery and Reconciliation
https://archive.org/[...]
D.C. Heath and Company
[87]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88]
서적
Humanists and Reformers: A History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89]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90]
서적
Lorenzo de' Medici: Florence's Great Leader and Patron of the Arts
https://archive.org/[...]
Rosen Publishing|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91]
서적
April Blood: Florence and the Plot Against the Medici
[92]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3]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94]
서적
The Ottoman Empire: The Classical Age 1300–1600
https://archive.org/[...]
Orion Publishing Group
[95]
백과사전
메디치가 [Medici family]
두산백과
[96]
서적
말하지 않는 세계사
페이퍼 로드
[97]
서적
말하지 않는 세계사
페이퍼 로드
[98]
서적
말하지 않는 세계사
페이퍼 로드
[99]
서적
회계의 세계사
위즈덤하우스
2019-06-28
[100]
서적
회계의 세계사
위즈덤하우스
2019-06-28
[101]
서적
회계의 세계사
위즈덤하우스
2019-06-28
[102]
서적
회계의 세계사
위즈덤하우스
2019-06-28
[103]
오디오
The Poetry of Lorenzo di Medici
iarchive:La.Poesia.d[...]
1985
[104]
잡지
Mäzene auf den Spuren der Antike
[105]
서적
The Society of Renaissance Florence: A Documentary Stud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0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107]
서적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Ashgate
[108]
서적
부의 지도를 바꾼 회계의 세계사
위즈덤 하우스
[109]
서적
Savonarola the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New Haven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웹사이트
http://www.historywo[...]
[114]
웹사이트
http://www.blackpast[...]
[115]
웹사이트
Leonardo on IMDB
https://www.imdb.com[...]
[116]
웹인용
Daniel Sharman and Bradley James Join Netflix’s ‘Medici’ (EXCLUSIVE)
https://variety.com/[...]
버라이어티
2017-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