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드 비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드 비버는 17세기 북아메리카의 모피 무역에서 사용된 계산 단위로, 고품질 비버 가죽 한 개를 의미했다. 영국 허드슨 베이 회사가 캐나다에서 모피 무역을 독점하면서 원주민과의 거래를 위해 도입했으며, 다양한 상품의 가치를 비버 가죽으로 환산하여 교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허드슨 베이 회사는 메이드 비버를 대신하여 자체 제작한 동전을 발행하기도 했다. 사적 포획 규제 및 비버 개체수 감소로 인해 메이드 비버의 사용은 점차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치류 관련 문화 - 자 (지지)
자는 십이지의 첫 번째 동물로 쥐를 의미하며, 총명하고 근검절약하며 사교적인 특징을 지니고, 수의 속성과 북쪽 방위를 가지며, 12년 주기로 돌아오는 쥐띠 해는 갑자, 병자, 무자, 경자, 임자의 해가 있으며, 11월에 해당하고 시장의 번영과 정변의 발생과 연관되기도 한다. - 비버과 - 유럽비버
유럽비버는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가장 큰 설치류로 멸종 위기를 극복하고 개체 수가 증가하여 습지 조성 등 생태계 유지에 기여하지만, 인간과의 갈등이 발생하고 유전적으로 북아메리카비버와 교배가 불가능하며 아종 분류는 유효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 비버과 - 아메리카비버
아메리카비버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가장 큰 설치류이자 댐 건설을 통해 습지를 조성하는 핵심종으로, 모피 무역으로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어 현재는 세계 각지에 외래종으로 분포하며, 캐나다의 국가적 상징 중 하나이다.
메이드 비버 | |
---|---|
기본 정보 | |
![]() | |
수도 | 야렌 (사실상 수도) |
공용어 | 나우루어, 영어 |
종족 구성 | 나우루인 (58%), 기타 태평양 제도민 (26%), 중국인 (8%), 유럽인 (8%) |
국교 | 기독교 |
면적 | 21.3 km² |
인구 | 10,876명 (2019년) |
인구 밀도 | 510명/km² |
정치 | |
정치 체제 | 의원내각제 공화국 |
대통령 | 데이비드 아데앙 |
의회 | 나우루 의회 |
역사 | |
독립 | 1968년 1월 31일 (영국으로부터) |
경제 | |
통화 |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AUD) |
1인당 GDP (명목) | 11,493 USD (2018년) |
산업 | 인산염 채굴, 코코넛 가공, 수공예품 제조, 어업 |
기타 | |
국가 코드 | NRU |
ISO 3166-1 | NR |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 | .nr |
전화 지역 번호 | +674 |
2. 역사
17세기 북아메리카로 건너온 유럽인 어부들과 원주민들은 모피 무역에 종사했다. 어부들은 사냥꾼과 직접 거래하지 않고 원주민 중개업자와 상품을 거래했다. 허드슨 베이 회사 설립 이전 프랑스 정착민과 원주민 상인들은 오타와강과 세인트로렌스강 인근에서 모피와 상품을 교환하였다.[1]
1670년 잉글랜드의 허드슨 베이 회사(HBC)가 설립되었다. HBC는 북미대륙에 여러 곳의 무역소를 세웠고 1718년에는 허드슨 만 유역의 모든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갖게 되었다.[2]
영국은 캐나다에 처음 식민지 정착을 시작한 이래 250년에 달하는 세월 동안 표준 통화를 도입하지 않았다.[3] 이는 당시 대부분의 무역이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다양한 외국 동전을 상품가치 단위로 활용하였다. HBC도 이와 다르지 않았으나 원주민과 거래하기 위해 '메이드 비버'(made beaver), 즉 고품질 비버 가죽 한 개를 계산 단위로 정했던 것이다.
2. 1. 초기 모피 무역
17세기 북아메리카로 건너온 유럽인 어부들은 원주민들과 모피 무역에 종사했다. 어부들은 사냥꾼과 직접 거래하지 않고 원주민 중개업자와 상품을 거래했다. 오타와강과 세인트로렌스강 인근에서 허드슨 베이 회사 설립 이전의 프랑스 정착민과 원주민 상인들은 모피와 상품을 교환하였다.[1]1670년 잉글랜드의 허드슨 베이 회사(HBC)가 설립되었다. HBC는 북미대륙에 여러 곳의 무역소를 세웠고 1718년에는 허드슨 만 유역의 모든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갖게 되었다.[2]
영국은 캐나다에 처음 식민지 정착을 시작한 이래 250년에 달하는 세월 동안 표준 통화를 도입하지 않았다.[3] 이는 당시 대부분의 무역이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다양한 외국 동전을 상품가치 단위로 활용하였다. HBC도 이와 다르지 않았으나 원주민과 거래하기 위해 '메이드 비버' 즉, 고품질 비버 가죽 한 개를 계산 단위로 정했던 것이다.
2. 2. 허드슨 베이 회사(HBC) 설립과 독점
원주민들과 유럽에서 건너온 어부들은 모피 무역을 했다. 어부들은 사냥꾼과 직접 거래하는 대신 원주민 중개업자와 상품을 거래했다. 허드슨만 회사 설립 이전 프랑스 정착민과 원주민 상인들은 오타와강과 세인트로렌스강 근처에서 모피와 상품을 교환했다.[1]1670년 잉글랜드의 허드슨만 회사(HBC)가 설립되었다. HBC는 북아메리카 대륙 여러 곳에 무역소를 세웠고, 1718년에는 허드슨 만 유역의 모든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획득했다.[2]
영국은 캐나다에 처음 식민지를 건설한 이후 250년 동안 표준 통화를 도입하지 않았다.[3] 당시 대부분의 무역이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다양한 외국 동전을 상품 가치 단위로 활용하였다. HBC도 마찬가지였으나, 원주민과의 거래를 위해 '메이드 비버'(made beaver), 즉 고품질 비버 가죽 한 개를 계산 단위로 정했다.
2. 3. 통화 부재와 메이드 비버의 등장
17세기 북아메리카로 건너온 유럽인 어부들과 원주민들은 모피 무역에 종사했다. 어부들은 사냥꾼과 직접 거래하지 않고 원주민 중개업자와 상품을 거래했다. 허드슨만 회사 설립 이전의 프랑스 정착민과 원주민 상인들은 오타와강과 세인트로렌스강 인근에서 모피와 상품을 교환하였다.[1]1670년 잉글랜드의 허드슨만 회사 (HBC)가 설립되었다. HBC는 북미대륙에 여러 곳의 무역소를 세웠고 1718년에는 허드슨 만 유역의 모든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갖게 되었다.[2]
영국은 캐나다에 처음 식민지 정착을 시작한 이래 250년에 달하는 세월 동안 표준 통화를 도입하지 않았다.[3] 이는 당시 대부분의 무역이 물물교환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다양한 외국 동전을 상품가치 단위로 활용하였다. HBC도 이와 다르지 않았으나 원주민과 거래하기 위해 '메이드 비버' (made beaver), 즉 고품질 비버 가죽 한 개를 계산 단위로 정했던 것이다.
3. 교환 방식
허드슨 베이 회사(HBC)의 런던 본사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에게 일관된 표준 교환비를 적용하도록 지시했다.[7] 위원회는 또한 관리인이 회계장부를 작성하여 자금 내역을 추적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하도록 했다. 메이드 비버는 공식 교환비와 상대 교환비라는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교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가격 경쟁을 억제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며 관리자 간의 부정행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었다.[6]
공식 교환비는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모든 품목을 메이드 비버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고, 상대 교환비는 원주민들이 물물교환을 위해 가져온 가죽 하나당 메이드 비버의 가치를 매긴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인에게 3비버에 점토 항아리 하나를 팔라는 지시를 내리는 것은 공식 교환비에 해당하고, 큼직한 고품질 비버 가죽 하나에 5메이드 비버를 산정하는 것은 상대 교환비에 해당한다.[8]
3. 1. 상품 교환
HBC가 운영했던 각 무역소에서는 비버 가죽과 기타 다양한 상품을 교환했다.[4] 1795년에는 비버 가죽 1개로 칼 8개, 주전자 1개를 살 수 있었고, 총 한 자루로 비버 가죽 10개를 살 수 있었다.[5]무역소 관리인은 실제 비버 가죽뿐만 아니라, 메이드 비버라는 이름의 자체 발행한 동전도 교환하였다. 관리인들이 통에서 구리와 황동을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잘라내고 자신의 이니셜과 HBC라는 문자를 새겨서 동전을 제작했다. 1854년~1870년에는 1/2 비버, 1/4 비버 등의 동전도 등장했다.[6]

HBC의 런던 본사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이 일관된 표준 교환비를 적용하도록 명령했다.[7] 위원회는 또한 관리인이 회계장부를 작성하여 자금 내역을 추적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하도록 했다. 메이드 비버는 공식 교환비와 상대 교환비라는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환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준은 가격 경쟁을 억제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며 관리자 간의 부정행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6]
공식 교환비는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모든 품목을 메이드 비버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인에게 3비버에 점토 항아리 하나를 팔라는 지시를 내리는 식이다. 상대 교환비는 원주민들이 물물교환을 위해 가져온 가죽 하나당 메이드 비버의 가치를 매기는 것이다. 예컨대 큼직한 고품질 비버 가죽 하나에 5메이드 비버를 산정하는 식이다.[8]
3. 2. HBC 동전 발행
HBC가 운영했던 각 무역소에서는 비버 가죽과 기타 다양한 상품을 교환했다.[4] 1795년에는 비버 가죽 1개로 칼 8개, 주전자 1개를 살 수 있었고, 총 한 자루로 비버 가죽 10개를 살 수 있었다.[5]무역소 관리인은 실제 비버 가죽을 취급했을 뿐만 아니라, 메이드 비버라는 자체 발행한 동전도 교환하였다. 관리인들은 통에서 구리와 황동을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잘라내고 자신의 이니셜과 HBC라는 문자를 새겨서 동전을 제작했다. 1854년~1870년에는 1/2 비버, 1/4 비버 등의 분수 단위 화폐도 도입되었다.[6]
3. 3. 공식 및 상대 교환비
허드슨 베이 회사(HBC)가 운영했던 각 무역소에서는 비버 가죽과 기타 다양한 상품을 교환했다.[4] 1795년에는 비버 가죽 1개로 칼 8개, 주전자 1개를 살 수 있었고, 총 한 자루로 비버 가죽 10개를 살 수 있었다.[5]무역소 관리인은 실제 비버 가죽뿐만 아니라, 메이드 비버라는 이름의 자체 발행한 동전도 교환하였다. 관리인들은 통에서 구리와 황동을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잘라내고 자신의 이니셜과 HBC라는 문자를 새겨서 동전을 제작했다. 1854년~1870년에는 1/2 비버, 1/4 비버 등의 동전도 등장했다.[6]
HBC의 런던 본사 위원회에서는 무역소 관리인이 일관된 표준 교환비를 적용하도록 명령했다.[7] 위원회는 또한 관리인으로 하여금 회계장부를 작성하도록 하여 자금 내역을 추적하고 부정행위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메이드 비버는 공식 교환비와 상대 교환비라는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환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준은 가격 경쟁을 무마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며 관리자 간의 부정행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6]
공식 교환비는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모든 품목에 대해 메이드 비버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인에게 3비버에 점토 항아리 하나를 팔라는 지시를 내리는 식이다. 상대 교환비는 원주민들이 물물교환을 위해 가져온 가죽 하나당 메이드 비버의 가치를 매기는 것이다. 예컨대 큼직한 고품질 비버 가죽 하나에 5메이드 비버를 산정하는 식이다.[8]
4. 사적 포획의 규제
무역소 관리인들은 원주민들이 수집한 비버 가죽을 다양한 형태의 화폐로 교환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실링은 1.42개의 비버 가죽과 교환되었고, 1개의 비버 가죽은 0.7실링에 구매할 수 있었다.[12]
비버 가죽의 사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해 상선의 선장과 무역 관리인들에게는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되었다. 선장은 월급 12GBP와 항해 1건당 추가급여 100GBP를 받았다. 비버 100마리를 거래할 때마다 관리인에게는 3실링, 선장에게는 1실링 6펜스가 지급됐다.[13] 관리인은 연봉 130GBP를 지원받았다. 관리인이 사기를 저지르거나 사적 거래에 관여하거나, 비버 가죽을 저품질로 바꿔치기한 것이 적발되면 급여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10]
1821년 비버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자 영국의 무역 관리인들은 어린 비버의 가죽 매매를 중단하였다. 이에 따라 메이드 비버라는 계산 단위의 활용도 점차 줄어들었다.[14]
4. 1. 초기 사적 포획 허용
HBC는 원래 무역소 관리인들이 사냥을 통해 모피를 직접 수집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를 통해 관리인의 추가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9] 런던 본사의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들에게 모든 종류의 작은 모피를 수집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10]그러나 이후 런던 본사는 관리인들이 사적으로 구입한 저품질 모피와 비버 가죽을 교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관행의 규제에 나섰다. 이에 따라 사적으로 보유한 모피는 전부 장부에 공개적으로 기록되어야 했다. 그리고 수집한 모피를 판매하려면 런던 본사를 통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의 절반이 관리인에게 돌아가도록 했다.[11] 1770년에는 사적 포획이 금지되기에 이르렀다.[10]
4. 2. 규제 강화와 사적 포획 금지
허드슨 베이 회사(HBC)는 원래 무역소 관리인들이 사냥을 통해 모피를 직접 수집하는 것을 허용했는데, 이는 관리인들의 추가 수입원이었다.[9] 런던 본사의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들에게 모든 종류의 작은 모피를 수집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10]그러나 이후 런던 본사는 관리인들이 사적으로 구입한 저품질 모피와 비버 가죽을 교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관행을 규제했다. 사적으로 보유한 모피는 전부 장부에 공개적으로 기록해야 했고, 수집한 모피를 판매하려면 런던 본사를 통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의 절반이 관리인에게 돌아갔다.[11] 1770년에는 사적 포획이 금지되었다.[10]
무역소 관리인들은 원주민들이 수집한 비버 가죽을 다양한 형태의 화폐로 교환했다. 예를 들어 1실링은 1.42개의 비버 가죽과 교환할 수 있었고, 1개의 비버 가죽은 0.7실링에 구매할 수 있었다.[12]
비버 가죽의 사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선의 선장과 무역 관리인들에게는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되었다. 선장의 경우 월급 12파운드와 항해 1건당 추가급여 100파운드를 받았다. 비버 100마리를 거래할 때마다 관리인에게는 3실링, 선장에게는 1실링 6펜스가 지급됐다.[13] 관리인은 연봉 130GBP를 지원받았다. 관리인이 사기를 저지르거나 사적 거래에 관여하거나, 비버 가죽을 저품질로 바꿔치기한 것이 적발되면 급여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10]
1821년 비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자 영국의 무역 관리인들은 어린 비버의 가죽 매매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메이드 비버라는 계산 단위의 활용도 점차 줄어들었다.[14]
4. 3. 금전적 인센티브와 처벌
HBC는 원래 무역소 관리인들이 사냥을 통해 모피를 직접 수집하는 것을 허용하여 추가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9] 런던 본사의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들에게 모든 종류의 작은 모피를 수집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10]그러나 이후 런던 본사는 관리인들이 사적으로 구입한 저품질 모피와 비버 가죽을 교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관행을 규제했다. 이에 따라 사적으로 보유한 모피는 전부 장부에 공개적으로 기록해야 했고, 수집한 모피를 판매하려면 런던 본사를 통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의 절반이 관리인에게 돌아가도록 했다.[11] 1770년에는 사적 포획이 금지되었다.[10]
무역소 관리인들은 원주민들이 수집한 비버 가죽을 다양한 형태의 화폐로 교환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실링은 1.42개의 비버 가죽과 교환할 수 있었고, 1개의 비버 가죽은 0.7실링에 구매할 수 있었다.[12]
비버 가죽의 사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상선의 선장과 무역 관리인들에게는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되었다. 선장의 경우 월급 12GBP와 항해 1건당 추가급여 100GBP를 받았다. 비버 100마리를 거래할 때마다 관리인에게는 3실링, 선장에게는 1실링 6펜스가 지급됐다.[13] 관리인은 연봉 130GBP를 지원받았다. 관리인이 사기를 저지르거나 사적 거래에 관여하거나, 비버 가죽을 저품질로 바꿔치기한 것이 적발된다면 급여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10]
1821년 비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자 영국의 무역 관리인들은 어린 비버의 가죽 매매를 중단하였다. 이에 메이드 비버라는 계산 단위의 활용도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14]
5. 메이드 비버의 쇠퇴
HBC는 원래 무역소 관리인들이 사냥을 통해 모피를 직접 수집하는 것을 허용하여 추가 수입을 얻을 수 있게 했다.[9] 런던 본사의 위원회는 무역소 관리인들에게 모든 종류의 작은 모피를 수집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10]
그러나 이후 런던 본사는 관리인들이 사적으로 구입한 저품질 모피와 비버 가죽을 교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관행을 규제했다. 사적으로 보유한 모피는 전부 장부에 공개적으로 기록해야 했고, 수집한 모피를 판매하려면 런던 본사를 통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의 절반이 관리인에게 돌아갔다.[11] 1770년에는 사적 포획이 금지되었다.[10]
무역소 관리인들은 원주민들이 수집한 비버 가죽을 다양한 형태의 화폐로 교환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실링은 1.42개의 비버 가죽과 교환할 수 있었고, 1개의 비버 가죽은 0.7실링에 구매할 수 있었다.[12]
비버 가죽의 사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상선의 선장과 무역 관리인들에게는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되었다. 선장의 경우 월급 12GBP와 항해 1건당 추가급여 100GBP를 받았다. 비버 100마리를 거래할 때마다 관리인에게는 3실링, 선장에게는 1실링 6펜스가 지급됐다.[13] 관리인은 연봉 130GBP를 지원받았다. 관리인이 사기를 저지르거나 사적 거래에 관여하거나, 비버 가죽을 저품질로 바꿔치기한 것이 적발된다면 급여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10]
1821년 비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자 영국의 무역 관리인들은 어린 비버의 가죽 매매를 중단하였다. 이에 메이드 비버라는 계산 단위의 활용도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14]
참조
[1]
논문
Agency Problems in Early Chartered Companies: the Case of the Hudson's Bay Company
[2]
논문
Agency Problems in Early Chartered Companies: the Case of the Hudson's Bay Company
[3]
논문
Agency Problems in Early Chartered Companies: the Case of the Hudson's Bay Company
[4]
논문
Agency Problems in Early Chartered Companies: the Case of the Hudson's Bay Company
[5]
웹인용
Fur Trade Stories
https://web.archive.[...]
2015-12-14
[6]
간행물
Medals and Tokens of the HBC
[7]
간행물
Medals and Tokens of the HBC
[8]
간행물
Medals and Tokens of the HBC
[9]
서적
The History of the Hudson's Bay Company
[10]
논문
Indians, the Beaver, and the Bay: The Economics of Depletion in the Lands of the Hudson's Bay Company, 1700–1763
[11]
논문
Indians, the Beaver, and the Bay: The Economics of Depletion in the Lands of the Hudson's Bay Company, 1700–1763
[12]
논문
Indians, the Beaver, and the Bay: The Economics of Depletion in the Lands of the Hudson's Bay Company, 1700–1763
[13]
논문
Indians, the Beaver, and the Bay: The Economics of Depletion in the Lands of the Hudson's Bay Company, 1700–1763
[14]
논문
Indians, the Beaver, and the Bay: The Economics of Depletion in the Lands of the Hudson's Bay Company, 1700–17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