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은 성숙 B 세포가 활성화된 후 B 세포 수용체를 통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B 세포가 생성하는 항체의 종류를 변경하는 과정이다. 활성화된 B 세포는 T 도우미 세포의 신호에 따라 IgM, IgD에서 IgG, IgA, IgE 항체로 전환하며, 이는 항체 중쇄의 불변 부위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클래스 스위치 재조합(CSR)이라는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며, 사이토카인(cytokines)이 관여한다.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 과정의 이상은 X 연관 고IgM 증후군, AID 결손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적 과정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생물학적 과정 - 혈관신생
    혈관신생은 기존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생리적 과정으로, 상처 치유, 종양 성장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과 질병에 관여하며, 의학적으로는 혈관 형성 촉진 또는 억제를 위한 치료 표적으로 활용된다.
  • 면역계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면역계 - 면역억제
    면역억제는 면역계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는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방지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비의도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결핍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면역학 - 체취
    체취는 인간의 피부상재균이 분비물을 대사하여 발생하는 냄새로, 유전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데오드란트 등으로 관리하거나 심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 면역학 - 면역계
    면역계는 물리적 장벽, 선천 면역, 후천 면역으로 구성되어 감염으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하는 다층적인 방어 시스템이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 질환, 과민 반응,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
면역학 개요
유형면역글로불린
하위 유형IgA
IgD
IgE
IgG
IgM
상세 정보
과정체세포 과돌연변이(Somatic hypermutation)
관련 유전자AID
관련 질병고IgM 증후군
식별자
MeSHD055428

2. 메커니즘

클래스 전환은 성숙 B세포가 활성화된 이후에 발생한다. 미성숙 B세포에서 만들어진 항체는 V(D)J 재조합 과정을 거치는데, 항체의 가변부(variable domains)는 모두 동일하지만 중쇄(heavy chains)의 불변부(constant domains)는 다르다.

나이브(Naïve) 성숙 B 세포는 IgMIgD를 생성하는데, 이는 면역글로불린 자리(locus)의 첫 두 중쇄(heavy chain) 부분이다.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 B 세포는 증식하며, CD40이나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통해 특정 신호 분자를 만나면 항체 종류 변환을 통해 IgG, IgA 또는 IgE 항체를 생성한다. 종류 변환 중에는 항체 중쇄의 불변부위만 변하고 가변부위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항원에 대한 특이성은 유지된다.

중쇄(heavy chain) 엑손(exons)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23]


  • μ - IgM
  • δ - IgD
  • γ3 - IgG3
  • γ1 - IgG1
  • α1 - IgA1
  • γ2 - IgG2
  • γ4 - IgG4
  • ε - IgE
  • α2 - IgA2


종류 전환은 종류 전환 재조합(class switch recombination(CSR))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난다. 활성화된 B세포가 만드는 항체의 종류가 종류변환(isotype or class switch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변하는 것이다. CSR 중에 항체 중쇄 부위는 염색체에서 제거되고, 삭제된 부분을 둘러싸는 유전자 조각이 재결합하여 다른 아이소타입(isotype)의 항체를 만든다.

이중가닥 손상은 DNA의 보존된 뉴클레오티드 모티프(nucleotide motifs) 부위인 스위치(S)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이는 항체 중쇄의 불변부를 인코딩하는 유전자 상류에 있으며, δ-체인을 제외한 모든 중쇄 불변부 주위에서 일어난다. DNA는 AID(Activation-Induced(Cytidine) Deaminase), 우라실 DNA glycosylase, AP(apyrimidic/apurinic)-endonuclease 등 효소들의 활성에 의해 두 선택된 S 지역에 금이 가고 손상된다. S지역에 끼어든 DNA는 염색체에서 제거되어 μ 또는 δ 중쇄 불변부 엑손(exon)을 제거하고, γ, α 또는 ε 불변부 유전자 조각으로 대체된다. DNA 끝 부위는 NHEJ(non-homologous end joining) 과정을 통해 재결합하여 가변부 엑손을 원하는 항체 중쇄의 하류 불변부 도메인 엑손과 연결한다.

동일하지 않은(non-homologous) 말단 접합이 없을 때, 자유로운 DNA 끝은 미세동일부(microhomology) 쪽으로 결합하는 다른 방법으로 재결합할 수도 있다. μ 와 δ 유전자를 제외하고, B세포는 한가지 종류의 항체만을 발현한다. 종류 전환 재조합은 대부분 삭제 과정이지만, 염색체를 재배열하는 것은 발생할 수 있으며(Ig 종류에 따라 10에서 20%), 이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부위 양쪽에서 섞이는 염색체간 전위로써 발생할 수 있다.

3. 종류 변환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

T 세포 사이토카인은 쥐와 인간에서 종류변환을 조절하며, IgM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

3. 1. 쥐의 종류 변환

T 세포 사이토카인(cytokines)은 종류변환을 조절함이 쥐에서 확인됐다.[1] 이러한 사이토카인(cytokines)은 IgM 생성을 억제할 수도 있다.[1]

3. 2. 인간의 종류 변환

T 세포 사이토카인(cytokines)은 쥐([1])와 인간([2])에서 종류변환을 조절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이토카인(cytokines)은 IgM 생성을 억제할 수도 있다.

4. 종류 변환 관련 유전자 조절 서열

종류 전환 재조합(Class switch recombination, CSR)은 활성화된 B 세포가 생산하는 항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이다. 이 과정에서 항체 중쇄(heavy chain) 유전자의 불변부(constant region)는 바뀌지만, 가변부(variable region)는 그대로 유지되어 항원에 대한 특이성은 변하지 않는다.

CSR은 DNA의 보존된 뉴클레오타이드 반복 서열인 스위치(S) 지역에서 이중 가닥 절단(double-strand break)을 통해 일어난다. 이 S 지역은 항체 중쇄 불변부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상류에 위치한다(δ-사슬 제외). DNA 절단은 활성화 유도 시티딘 탈아미노효소(AID), 우라실 DNA 글리코실레이스, AP 엔도뉴클레이스와 같은 효소들의 작용으로 발생한다.

절단된 DNA 사이의 S 지역은 제거되고, 중쇄 불변부 엑손(exon) μ 또는 δ는 γ, α, 또는 ε 불변부 유전자 조각으로 대체된다. 이후 DNA 말단은 비상동 말단 접합(NHEJ) 과정을 통해 다시 연결되어, 가변부 엑손이 원하는 중쇄 불변부 도메인 엑손과 결합하게 된다.

종류 변환 과정은 S 지역의 전사 및 면역글로불린 중쇄 부위 전사물의 스플라이싱을 필요로 한다. 크로마틴 리모델링, 전사, AID 접근성, 그리고 손상된 S 지역의 결합은 3' 조절 지역(3'RR)이라는 슈퍼인핸서에 의해 조절된다. 3'RR은 때때로 AID의 표적이 되어 DNA 파괴와 Sµ와의 결합을 유도하며, 이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부위 자살 재조합(LSR)을 일으킬 수 있다.[23]

다음은 쥐와 사람에서의 종류 변환을 나타내는 표이다.

쥐에서의 종류 변환[24]
T 세포사이토카인IgG1IgG2aIgG2bIgG3IgEIgA
Th2IL-4
IL-5
Th1IFNy
TregTGFß
IL-10



사람에서의 종류 변환[25][26]
T 세포사이토카인IgG1IgG2IgG3IgG4IgAIgE
Th2IL-4
IL-5
Th1IFNy
TregTGFß
IL-10


5. 관련 질환

CD40 리간드(CD154) 결손을 보이는 X 연관 고IgM 증후군에서는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클래스 스위칭)이 일어나지 않아 IgM과 IgD 이외의 면역글로불린(IgG, IgE, IgA)을 생성할 수 없어 면역 부전에 빠진다. 또한, 고빈도 체세포 돌연변이를 수행하는 활성화 유도 시티딘 탈아미나제(AID)는 클래스 스위칭에도 관여하므로 이를 결손하는 AID 결손증에서도 클래스 스위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IgM 혈증을 보인다.

참조

[1] 논문 The variability of the serological response to SARS-corona virus-2: Potential resolution of ambiguity through determination of avidity (functional affinity)
[2] 간행물 V(D)J Recombin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Adaptive Immune System http://biology.plosj[...]
[3] 논문 Evolution of isotype switching
[4] 서적 The Immune System Garland Science 2015
[5] 논문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 a dual role in class-switch recombination and somatic hypermutation
[6] 논문 Class switching and Myc translocation: how does DNA break?
[7] 논문 Mechanism and Regulation of Class Switch Recombination
[8] 논문 Roles of nonhomologous DNA end-joining, V(D)J recombination, and class switch recombination in chromosomal translocations
[9] 논문 IgH class switching and translocations use a robust non-classical end-joining pathway
[10] 논문 Interallelic class switch recombina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class switching in mouse B cells 2005-05
[11] 논문 Immunoglobulin genes undergo legitimate repair in human B cells not only after cis- but also frequent trans-class switch recombination 2014
[12] 서적 Immunobiology. https://archive.org/[...] Garland Publishing
[13] 서적 Immunology, 7th ed. Mosby Elsevier 2006
[14] 웹사이트 IL-10 selectively regulates murine Ig isotype switching 1996-05-01
[15] 논문 Human interleukin 10 induces naive surface immunoglobulin D+ (sIgD+) B cells to secrete IgG1 and IgG3 1994-02
[16] 논문 Interleukin-10 induces immunoglobulin G isotype switch recombination in human CD40-activated naive B lymphocytes 1996-03
[17] 서적 The IgH locus 3' regulatory region: pulling the strings from behind 2011
[18] 논문 AID-driven deletion causes immunoglobulin heavy chain locus suicide recombination in B cells 2012-05
[19] 웹사이트 免疫グロブリンクラススイッチ https://jglobal.jst.[...] 과학기술진흥기구 2011-02-06
[20] 서적 標準免疫学 医学書院 2016-02-01
[21] 서적 標準免疫学 医学書院 2016-02-01
[22] 서적 分子細胞生物学 東京科学同人
[23] 서적 The Immune System https://archive.org/[...] Garland Science 2015
[24] 저널 인용 IL-10 selectively regulates murine Ig isotype switching 1996-05-01
[25] 저널 인용 Human interleukin 10 induces naive surface immunoglobulin D+ (sIgD+) B cells to secrete IgG1 and IgG3 1994-02
[26] 저널 인용 Interleukin-10 induces immunoglobulin G isotype switch recombination in human CD40-activated naive B lymphocytes 199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