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합성은 진핵생물, 세균, 고세균에서 나타나는 생명 현상으로,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광합성은 클로로필을 사용하는 클로로필형과 로돕신을 사용하는 레티날형으로 분류되며, 클로로필형은 산소 발생형과 산소 비발생형으로 나뉜다.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의존적 반응(명반응)과 캘빈 회로로 이루어지는 광비의존적 반응(암반응)으로 진행된다. 식물은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약 3~6%이며,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광합성은 지구 대기 중 산소의 주요 공급원이며, 진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광합성에 대한 연구는 17세기부터 시작되어,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 조지프 프리스틀리, 얀 잉엔하우스, 멜빈 캘빈 등 많은 과학자들의 기여로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 에너지 -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류 전기로 변환 후 교류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 간헐성, 환경적 영향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태양 에너지 - 최대 전력점 추적
최대 전력점 추적(MPPT)은 태양 전지판과 같은 전력원에서 최대 전력을 추출하기 위해 전압과 전류를 조절하는 기술이며, DC-DC 컨버터와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구현된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코르티솔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혈당, 면역, 대사 조절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며, 과다 분비 시 질환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해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비량은 HPA 축에 의해 조절되고 일주기 리듬에 따라 변화한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 생태계 - 생태 피라미드
생태 피라미드는 생태계의 각 영양 단계에 있는 생물의 양을 나타내는 도구이며, 에너지, 생물량, 개체 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생태계의 건강과 먹이 사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생태계 - 온대림
온대림은 온대 기후대에 위치하며 활엽수림, 상록수림, 혼합림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어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생물 다양성 감소로 위협받고 있다.
광합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생물학적 과정 |
어원 | 그리스어 φῶς (phos, 빛)와 σύνθεσις (synthesis, 조합)에서 유래 |
과정 | |
반응 | 빛 에너지, 이산화탄소, 물을 이용하여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 |
탄소 고정 | 탄소를 유기 화합물에 통합하는 과정 |
명반응 | 빛을 흡수하여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전환하는 단계 |
암반응 | 빛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계, 칼빈 회로를 통해 탄소 고정 |
생물학적 역할 | |
주요 역할 | 지구 생태계의 에너지원 제공 및 산소 생산 |
생물 종 | 식물, 조류, 일부 세균 |
탄소 순환 |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역할 |
역사 | |
초기 광합성 | 고세균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 |
산소 발생 광합성 | 약 25억 년 전에 진화한 것으로 추정 |
에너지 및 생산량 | |
탄소 고정량 | 연간 약 1000억 톤의 탄소 고정 |
에너지 저장량 | 연간 약 4 x 10^18 kJ의 자유 에너지 저장 |
평균 전력 | 약 130 TW의 평균 전력 생산 |
종류 | |
산소 발생 광합성 | 물을 이용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방식 |
무산소 광합성 | 산소를 생성하지 않는 광합성 방식 |
헬리오박테리아 광합성 | 특별한 종류의 광합성 세균 |
기타 | |
참고 | 광합성은 지구 생명체의 기초적인 에너지 생산 과정 |
2. 광합성의 유형
광합성은 크게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 발생 광합성과 산소를 발생하지 않는 산소 비발생 광합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색소의 종류에 따라 클로로필형 광합성과 레티날형 광합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광합성 생물은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이며,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직접 영양분을 합성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생물이 탄소 원자의 공급원으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광합성 종속 영양 생물은 이산화탄소 대신 유기 화합물을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한다.[2]
광합성과 세포 호흡은 서로 다른 일련의 화학 반응과 서로 다른 세포 소기관에서 일어나므로 구별되는 과정이다(세포 호흡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15][16]
1893년에 찰스 레이드 반스는 "엽록소의 존재 하에 빛의 영향을 받아 이산화 탄소로부터 복잡한 탄소 화합물을 합성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용어로 "photosyntax"와 "photosynthesis"라는 두 가지 용어를 제안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나중에 산소 비발생 광합성 세균과 광인산화의 발견은 "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용어의 재정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220]
산소 발생 광합성과 산소 비발생 광합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2. 1. 산소 발생 광합성
식물, 조류,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방출한다. 이를 산소발생 광합성이라고 하며, 이는 생물이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광합성 유형이다. 식물, 조류, 남세균의 산소발생 광합성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과정은 매우 유사하다.[147]산소발생 광합성에서 물은 전자공여체로 사용되며, 광합성 결과 산소가 부산물로 생성된다. 산소발생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H2O)을 산화시켜 산소(O2)를 생성하고, 이산화탄소(CO2)를 환원시켜 탄수화물([CH2O])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코르넬리스 반 닐이 처음 제안한 광합성의 일반적인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57]
: CO2 + 2H2O+ 광자 → [CH2O] + 2A + H2O
산소발생 광합성에서는 물이 전자공여체로 사용되므로 이 과정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CO2 + 2H2O + 광자 → [CH2O] + O2 + H2O
위 반응식은 물이 광의존적 반응에서 반응물, 광비의존적 반응에서 생성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양변에서 소거 가능한 물 분자를 제거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CO2 + H2O + 광자 → [CH2O] + O2
광합성은 크게 두 단계로 일어난다. 첫 번째 단계는 광의존적 반응으로,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분자인 ATP와 NADPH를 생성한다. 두 번째 단계는 광비의존적 반응으로, ATP와 NADPH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환원시킨다.
산소발생 광합성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생물은 광의존적 반응에 가시광선을 사용하지만, 단파 적외선이나 원적외선을 사용하는 생물도 있다.[160]
광합성에서 전자의 공급원으로 물을 사용하는 생화학적 능력은 현재 존재하는 남세균(과거 남조류)의 공통 조상에서 한 번 진화했다. 지질학적 기록에 따르면 이 획기적인 사건은 지구 역사 초기, 적어도 24억 5천만 년 전에서 23억 2천만 년 전에 발생했으며, 이보다 훨씬 이전일 가능성도 있다.[83][84]
2. 2. 산소 비발생 광합성
녹색황세균, 홍색황세균, 녹색비황세균, 홍색비황세균 등 일부 세균은 물 대신 황화수소, 황, 수소, 유기산 등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는 산소 비발생 광합성을 한다.[74] 이들은 광계 I 또는 광계 II 중 하나만 사용하며, 혐기성 환경에서 주로 발견된다.2. 3. 클로로필형 광합성
클로로필형 광합성은 클로로필 또는 박테리오클로로필을 주 색소로 사용하는 광합성 방식이다. 대부분의 광합성 생물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광의의) 광합성은 진핵생물, 세균, 고균 모두에 분포하며(협의로는 진핵생물과 세균에 한정됨), 클로로필을 이용하는 광합성 생물 중 광합성 진핵생물을 제외한 것을 광합성세균이라고 총칭한다. 클로로필 형 광합성에서 광화학반응에는 두 가지 기구(Photosystem; PS)가 알려져 있으며, 각각 '''광계 I'''(PS I) 및 '''광계 II'''(PS II)라고 부른다. 산소 발생형 광합성에서는 PS I과 PS II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반면, 산소 비발생형 광합성에서는 한쪽만 사용된다.
구분 | 종류 | 생물 | 광계 | 비고 |
---|---|---|---|---|
클로로필 형 (진핵생물, 세균) | 산소 발생형 (진핵생물, 세균) | PS I & PS II | 모두 호기성 | |
산소 비발생형 (세균) | ||||
레티날 형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 | - | 모두 호기성[129][130][131][132] |
''(''''✳︎''''' 표시는 탄소 고정을 수반하지 않는 광종속영양성임을 나타냄)''
산소 발생형 광합성은 모든 생물에 걸쳐 반응 중심, 전자전달계 등의 유사성이 높다. 유일하게 집광 색소만이 상당히 다르며, 클로로필에서는 클로로필 a만, 안테나 색소인 카로티노이드에서는 β-카로틴만이 공통적이다. 산소 비발생형 광합성 세균은 클로로필 대신 구조적으로 유사한 박테리오클로로필을 사용한다. 산소 비발생형 광합성 세균은 대부분 혐기성이기 때문에 오늘날 지구에서는 제한된 생태계에서만 볼 수 있다. 모든 산소 발생형 광합성 생물은 환원적 펜토스 인산 경로에 의해 탄소를 고정한다. 한편, 산소 비발생형 광합성 생물은 환원적 펜토스 인산 경로 외에 환원적 시트르산 회로(녹색황세균)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이중 사이클(일부 녹색비황세균)을 사용한다(자세한 내용은 탄소고정 문서 참조).
각 광합성의 수지식은 다음과 같다. 전자 공여체 및 전자 수용체를 '''굵은 글씨'''로 표시한다.
- 일반식
- :
CO2 + 2 H2D (전자 공여체)-> (CH2O)_n (탄수화물)+ H2O + 2D (산화를 받은 전자 공여체) - * 산소 발생형 광합성
- *:
6CO2 + 12H2O -> C6H12O6 + 6H2O + 6O2 - * 녹색황세균
- *:
6CO2 + 12H2S -> C6H12O6 + 6H2O + 12S - * 적색비황세균
- *:
6CO2 + 12CH3CHOHCH3 (이소프로판올)-> C6H12O6 + 6H2O + 6CH3COCH3 (아세톤)
2. 4. 레티날형 광합성
레티날을 주 색소로 사용하는 광합성 방식이다. 일부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에서 발견된다. 클로로필형 광합성과는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온 펌프 및 광수용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123]레티날 형 광합성은 클로로필을 이용하는 광합성과는 전혀 다른 기구로 작동하며, 별개로 탄생하여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로돕신은 광합성 외에도 이온 펌프 및 광수용체 등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원래 기능은 광합성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 로돕신의 아미노산 배열의 상동성으로부터 여러 범주가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프로톤 펌프로서 기능하는 것은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 모든 도메인에 분포한다.[123]
레티날 형 광합성을 하는 생물은 다음과 같다:[129][130][131][132]
- 극호염균(극호염성 고세균)
- 해양 그룹 II (Poseidoniales; 고세균)
- 펠라지박터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 일부 균류
- 기타 다수
3. 광합성의 메커니즘
광합성 생물은 광독립영양생물로, 빛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직접 음식물을 합성할 수 있다. 식물, 조류,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방출하는 산소발생 광합성을 한다. 이들 생물의 광합성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일부 세균은 산소를 방출하지 않는 산소비발생 광합성을 하기도 한다.
광합성은 크게 두 단계로 일어난다. 첫 번째 단계는 광의존적 반응으로,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분자인 ATP와 NADPH를 생성한다. 두 번째 단계는 광비의존적 반응으로, ATP와 NADPH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포도당으로 환원시킨다.
광합성의 일반적인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57]
: CO2 + 2H2O+ 광자 → [CH2O] + 2A + H2O
산소발생 광합성에서 물은 전자공여체로 사용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CO2 + 2H2O + 광자 → [CH2O] + O2 + H2O
광합성 세균에서 광합성을 위해 빛을 흡수하는 단백질은 세포막에 존재한다.[163] 이 막은 틸라코이드라고 불리는 원통형 시트로 접혀 세포 내부를 채울 수 있어, 넓은 표면적을 통해 빛 흡수량을 증가시킨다.[165]
식물과 조류는 엽록체라는 세포소기관에서 광합성을 한다. 엽록체는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를 가지며, 내막으로 둘러싸인 스트로마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층이 쌓인 그라나가 있다. 틸라코이드 막에는 광합성 색소와 전자전달계 효소, ATP 생성효소 등이 있어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한다.
식물은 주로 엽록소를 사용하여 빛을 흡수하며, 엽록소 외에도 카로틴, 잔토필 등의 색소를 사용한다.[166] 조류는 엽록소 외에도 피코시아닌, 피코에리트린, 갈조소 등 다양한 색소를 가진다.[167]
광비의존적 반응(암반응)은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며, 광의존적 반응(명반응)의 산물인 ATP와 NADPH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CO2)로부터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G3P)을 합성한다. G3P는 포도당 합성에 사용된다. 녹색 식물에서 광비의존적 반응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68]
:3 CO2 + 9 ATP + 6 NADPH + 6 H+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G3P) + 9 ADP + 8 Pi + 6 NADP+ + 3 H2O
3. 1. 엽록체
1, 외막2, 막간 공간
3, 내막
4, 스트로마
5, 틸라코이드 내강
6, 틸라코이드막
7, 그라나
8, 틸라코이드 라멜라
9, 녹말
10, 리보솜
11, DNA
12, 플라스토글로불리(지질 과립)]]

엽록체는 세포 내에 1개에서 1000개 정도 존재하며, 크기와 모양은 다양하지만 평균적인 형태는 길이 약 5μm의 회전 타원체이다. 엽록체는 전투과성 외막과 반투과성 내막의 두 겹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내막 안쪽을 스트로마라고 부른다. 스트로마에는 효소, DNA, 리보솜, 그리고 막으로 둘러싸인 틸라코이드가 있다. 틸라코이드막의 내부는 틸라코이드 내강이라고 부른다. 틸라코이드는 쌓여서 그라나를 구성하며, 그라나는 곳곳에서 '''틸라코이드 라멜라'''(또는 '''스트로마 틸라코이드''')로 연결되어 있다. 엽록체 내 그라나의 수는 10개에서 100개 정도이다. 틸라코이드막은 엽록체 내막이 함입되어 만들어진다.[121]
틸라코이드막에서는 엽록소(광합성 색소)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여 프로톤(H+)과 산소 분자(O2) 그리고 전자(e-)를 만든다.[133] 이때 생성된 전자에 의해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티드 인산(NADP+)(산화형)으로부터 NADPH(환원형)가 만들어진다. 또한, 틸라코이드막 안팎의 프로톤 농도 기울기를 이용하여 ATP 합성 효소에 의해 아데노신 삼인산(ATP)이 만들어진다. 이상이 광화학 반응(명반응)이다. 다음으로 틸라코이드막 바깥쪽에 있는 스트로마(엽록체 기질)에서 광화학 반응에서 만들어진 NADPH와 ATP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환원하여 당이 만들어진다. 이 일련의 반응은 효소 반응(암반응)이다. 이와 같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산화시키고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설탕을 생성하는 반응이 엽록체 내에서 완결된다. 생성된 설탕은 녹말의 형태로 저장하는 식물이 많지만, 예를 들어 사탕수수와 같이 설탕 그대로 저장하는 식물이나, 설탕을 분해하여 포도당이나 과당의 형태로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3. 2. 광의존적 반응 (명반응)
광의존적 반응(명반응)은 엽록소가 광자를 흡수하여 전자를 방출하고, 이 전자가 페오피틴을 거쳐 전자전달계로 전달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틸라코이드 막을 경계로 H+(양성자) 농도 기울기가 형성되어 ATP 생성효소를 통해 ATP가 생성된다. 또한, 전자는 최종적으로 NADP+에 전달되어 NADPH가 생성된다. 광계 II의 반응 중심 색소(P680)는 물(H2O)의 광분해로 방출된 전자로 환원되며,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산소(O2)가 생성된다.[168]녹색 식물에서 비순환적 전자 흐름 조건 하에 광의존적 반응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2 H2O + 2 NADP+ + 3 ADP + 3 Pi + 빛 → 2 NADPH + 2 H+ + 3 ATP + O2
모든 파장의 빛이 광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광합성의 작용 스펙트럼은 보조 색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녹색 식물은 청자색광과 적색광에서 흡수 피크를 갖는 엽록소 및 카로티노이드의 흡수 스펙트럼과 유사하다. 홍조류는 청녹광을 흡수하므로, 육상 녹색 식물이 사용하기 어려운 적색광을 걸러내는 깊은 물 속에서 청색광을 이용할 수 있다. 광 스펙트럼의 비흡수 부분은 광합성 생물의 색깔(예: 녹색 식물, 홍조류, 홍색 세균)을 결정하며, 이는 광합성에 덜 사용되는 파장 영역이다.
3. 2. 1. Z-스킴
광의존적 반응에서 엽록소는 광자를 흡수하고 전자를 방출한다. 이 전자는 페오피틴을 거쳐 전자전달계를 따라 이동하며, 최종적으로 NADP+를 NADPH로 환원시킨다. 전자전달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H+(양성자)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고, ATP 생성효소는 이 기울기를 이용해 ATP를 생성한다. 광계 II의 반응 중심 색소(P680)는 물(H2O)의 광분해로 방출된 전자로 환원되며,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산소(O2)가 생성된다.녹색 식물의 비순환적 전자 흐름 조건 하에서 광의존적 반응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68]
:2 H2O + 2 NADP+ + 3 ADP + 3 Pi + 빛 → 2 NADPH + 2 H+ + 3 ATP + O2
광계 II와 광계 I을 보여주는 Z 모식도에서, 식물의 광의존적 반응은 엽록체의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며, 빛에너지를 흡수해 ATP를 합성하고, NADP+를 NADPH로 환원시킨다. 광의존적 반응에는 비순환적 광인산화(비순환적 전자 흐름)과 순환적 광인산화(순환적 전자 흐름)가 있다.
비순환적 광인산화에서 광자는 광계 II의 광수집 복합체에 포획된다. 광수집 복합체에 의한 광자의 흡수는 광유도 전하 분리를 통해 전자를 방출한다. P680은 고에너지 전자를 방출하고, 방출된 전자는 광계 II의 1차 전자수용체인 페오피틴으로 전달된다. 전자가 전자전달계를 통해 이동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서 H+(양성자)를 스트로마에서 틸라코이드 내부로 능동수송하여 틸라코이드 막을 경계로 H+(양성자)의 농도 기울기가 형성된다. ATP 생성효소는 광인산화 과정에서 ATP를 생성하고, NADPH는 비순환적 전자 흐름에서 최종적인 산화환원반응의 산물이다. 전자는 광계 I의 엽록소 분자로 전달된다. 전달된 전자는 광계 I 에 의해 흡수된 빛에너지에 의해 더 들뜨게 된다. 그런 다음 전자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전자전달계를 통해 전자수용체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스트로마에서 틸라코이드 내부로 H+(양성자)를 능동수송 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자는 최종 전자수용체인 NADP+로 전달되어 NADPH를 생성하고, 생성된 NADPH는 캘빈 회로에서 사용된다.
순환적 광인산화는 비순환적 광인산화와 유사하지만 ATP만 생성하고 NADPH는 생성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순환적 광인산화는 광계 I 만 관여한다. 광계 I 이 빛을 흡수한 후 P700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전자가 NADP+에 전달되지 않고 전자전달계를 거친 후 다시 P700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순환적 광인산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자전달계에서 전자의 에너지 기울기를 보여주는 Z 기구(Z-scheme)에서,[135] 식물에서 광화학반응은 엽록체의 틸라코이드막에서 일어나며,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ATP와 NADPH를 합성한다. 좁은 의미의 광화학반응은 비순환적 전자전달계와 순환적 전자전달계의 두 과정으로 나뉜다. 비순환적 전자전달계에서는, 광화학계 II 내 안테나 복합체에 빛이 포착됨으로써 양성자가 얻어진다. 광화학계 II의 광화학 반응중심(Reaction Center; RC)에 있는 클로로필 분자가 안테나 색소로부터 충분한 여기 에너지를 얻으면, 전자는 전자수용체 분자(페오피틴)로 이동한다. 이 전자의 움직임을 광유도 전하분리라고 한다. 이 전자는 전자전달계를 이동하는데, 이것을 에너지 기울기로 나타낸 것이 Z 기구(Z-scheme)이다.

광화학 반응은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는 계이다. 좁은 의미로는 빛에너지가 관여하는 광계 II(PSII) 및 광계 I(PSI)의 반응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전자전달계 전체 반응을 가리킨다. 광화학 반응은 광계 II(PSII), 시토크롬 ''b''6''f'', 광계 I(PSI)의 3종의 단백질 복합체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한다. PSII와 시토크롬 ''b''6''f'' 사이는 플라스토퀴논(PQ), 시토크롬 ''b''6''f''와 PSI 사이는 플라스토시아닌(PC)으로 연결되어 있다.
3. 2. 2. 물의 광분해
광계 II의 반응 중심 색소(P680)는 물 분자를 분해하여 전자를 얻고, 이 과정에서 산소 분자(O2)와 수소 이온(H+)을 방출한다.[168] 물의 산화는 4개의 망가니즈 이온과 1개의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산화환원 활성 구조인 산소발생 복합체에 의해 광계 II에서 촉매된다.[169] 이 복합체는 두 개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물 분해 반응을 일으킨다. 광계 II는 물의 산화를 수행하는 유일한 생물학적 효소로 알려져 있다.[169]물의 광분해에서 형성된 수소 이온(H+)은 틸라코이드 내부로 방출되어 틸라코이드 막을 경계로 수소 이온(H+)의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고, 이러한 화학삼투적 위치 에너지를 이용해서 ATP 생성효소를 통해 ATP를 합성한다. 산소는 광의존적 반응의 부산물이지만, 광합성 생물을 포함한 지구 상의 많은 생물들은 세포 호흡에 산소를 사용한다.[170][171]
3. 3. 광비의존적 반응 (암반응)
명반응에서 효소 RuBisCO는 대기 중 CO2를 포획하여 캘빈 회로라는 과정에서 새롭게 생성된 NADPH를 이용해 3탄당을 방출한다. 이 3탄당은 나중에 결합되어 설탕과 녹말을 형성한다. 녹색 식물에서 명반응이 없는 반응(광비의존적 반응)에 대한 전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26]탄소 고정은 3탄당 중간체를 생성하며, 이는 최종 탄수화물 생성물로 전환된다. 광합성으로 생성된 단순 탄수화물은 셀룰로스 같은 다른 유기 화합물의 구성 물질, 지질 및 아미노산 생합성을 위한 전구체, 또는 세포 호흡의 연료로 사용된다. 세포 호흡은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에서도 발생하는데, 이는 식물의 탄소와 에너지가 먹이 사슬을 통해 전달될 때 일어난다.
탄소 고정 또는 환원은 이산화탄소가 5탄당인 리불로스 1,5-이인산과 결합하여 3탄소 화합물인 글리세르산 3-인산(3-포스포글리세르산으로도 알려짐) 두 분자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명반응 단계에서 생성된 ATP와 NADPH가 존재하는 경우 글리세르산 3-인산은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으로 환원된다. 이 생성물은 3-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PGAL) 또는 더 일반적으로 트리오스 인산으로도 불린다.
광합성의 전반적인 과정은 다음 표와 같이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11]
단계 | 과정 | 위치 | 시간 척도 |
---|---|---|---|
1 | 에너지 전달 in 안테나 엽록소 | 틸라코이드 막 in the 엽록체s | 펨토초 to 피코초 |
2 | 전자 전달 in 광화학 반응 | 피코초 to 나노초 | |
3 | 전자 전달계 and ATP 합성 | 마이크로초 to 밀리초 | |
4 | 탄소 고정 and 안정적인 생성물의 수출 | 엽록체의 스트로마 and 세포 세포질 | 밀리초 to 초 |
3. 3. 1. 캘빈 회로

'''캘빈 회로'''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환원시켜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대표적인 탄소 고정 반응 경로이다. NADPH와 ATP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CO2)로부터 탄소수 3개의 화합물인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G3P)을 합성한다.[26]
캘빈 회로는 리불로스 1,5-이중인산 카복실화효소/산소화효소(RubisCO)를 초기 효소로 하여, 탄소수 5개인 리불로스 1,5-이중인산(RuBP)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탄소수 3개인 3-포스포글리세르산(3PG) 2분자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고정 반응으로 시작한다.
3-포스포글리세르산은 명반응 단계에서 생성된 ATP와 NADPH를 이용하여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 환원된다.
이산화탄소 고정 반응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부터 RubisCO의 기질인 리불로스 1,5-이중인산을 재생산해야 한다. 따라서 6분자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중 5분자는 3분자의 리불로스 1,5-이중인산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일련의 "이산화탄소의 고정·환원·기질의 재생산" 과정이 환원적 펜토스 인산 경로를 구성한다. 캘빈 회로가 3회전하면 3분자의 이산화탄소가 고정되어 1분자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NADPH와 ATP가 소비된다.
캘빈 회로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3 CO2 + 9 ATP + 6 NADPH + 6 H+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 9 ADP + 8 Pi + 6 NADP+ + 3 H2O
생성된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의 대부분(6개 분자 중 5개)은 리불로스 1,5-이중인산을 재생성하는 데 사용되어 캘빈 회로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재활용"되지 않은 트라이오스 인산은 종종 헥소스 인산을 형성하기 위해 축합되며, 궁극적으로 포도당, 과당, 설탕, 녹말, 셀룰로스를 생성한다. 탄소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당은 아미노산과 지질 생성과 같은 다른 대사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탄소 골격을 생성한다.
3. 3. 2. 탄소 농축 메커니즘
이산화 탄소(CO2) 농도가 증가하면 광비의존적 반응에서 당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른 요인에 의해 제한될 때까지 증가한다. 광비의존적 반응에서 이산화 탄소를 포획하는 효소인 루비스코는 이산화 탄소와 산소(O2) 모두에 결합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이산화 탄소 농도가 높으면 루비스코가 이산화 탄소를 고정한다. 그러나 이산화 탄소 농도가 낮으면 루비스코는 이산화 탄소 대신 산소와 결합한다. 광호흡이라고 하는 이 과정은 에너지를 소모하지만 당을 생성하지는 않는다.루비스코의 산소화효소 활성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식물에게 불리하다.
- 산소화효소 활성의 생성물은 3-포스포글리세르산(3탄소 화합물)이 아닌 2-포스포글리콜산(2탄소 화합물)이다. 2-포스포글리콜산은 캘빈-벤슨 회로에 의해 대사되지 않으며, 광호흡 과정에서 CO2를 방출한다. 그러므로 산소화효소의 높은 활성은 리불로스 1,5-이중인산을 재생성하고, 캘빈-벤슨 회로를 계속 돌리기 위해 필요한 당을 배출시킨다.
- 2-포스포글리콜산은 높은 농도에서 식물에게 독성이 있는 글리콜산으로 빠르게 대사되는데 이것은 광합성을 저해한다.
- 글리콜산을 회수하는 것은 글리콜산 경로를 사용하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과정이며, 탄소의 75%만이 3-포스포글리세르산의 형태로 캘빈-벤슨 회로로 되돌아간다. 글리콜산 경로는 또한 암모니아(NH3)를 생성하는데, 암모니아는 식물 밖으로 확산되어 질소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글리콜산 + ATP → 3-포스포글리세르산 + CO2 + ADP + NH3
루비스코의 산소화효소 활성의 생성물에 대한 회수 경로는 광의존적 산소 소비와 이산화 탄소 방출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호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보통 약 3%의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광합성 반응이 최대가 되며, 현재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 농도(0.03%)로도 식물의 광합성에는 충분하다.
4. 광합성 효율
식물은 보통 3~6%의 광합성 효율로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한다.[178] 흡수한 빛 중에서 화학 에너지로 변환되지 않는 것은 주로 열로 방출되며, 소량(1~2%)[179]은 더 긴 파장에서 엽록소 형광으로 재방사된다. 이러한 사실은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사용하여 광합성의 명반응을 측정 가능하게 한다.[180]
실제 식물의 광합성 효율은 전환되는 빛의 파장, 빛의 세기, 온도, CO2의 농도에 따라 다르며 0.1%~8%까지 다양하다.[181] 비교해 보면, 태양광 모듈은 양산된 모듈의 경우 약 6~20%의 효율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실험실 장치에서는 약 40% 이상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명반응과 암반응의 효율은 둘 다 측정할 수 있지만, 명반응과 암반응 간의 관계는 복잡할 수 있다.[182] 예를 들어, 명반응에서 생성된 ATP와 NADPH는 캘빈 회로 또는 C3 식물의 광호흡에 사용될 수 있다.[182] 전자들은 또한 다른 전자 싱크(sink)들로 흐를 수 있다.[183][184][185] 이러한 이유로 광호흡 조건과 광호흡이 아닌 조건 하에서 수행된 반응을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86][187][188]
광계 II의 엽록소 형광 측정기로 명반응을 측정할 수 있고, 적외선 가스 분석기로 암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189] 또한 엽록소 형광 측정기와 적외선 가스 분석기를 통합하여 사용하거나 두 개의 개별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여 명반응과 암반응을 조사할 수도 있다.[190] 적외선 가스 분석기와 일부 수분 센서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광합성에 따른 CO2 변화와 ΔH2O를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다.[191] CO2는 일반적으로 μmols/m2/s−1, ppm(parts per million) 단위로 측정되며, H2O는 일반적으로 mmol/m2/s−1 또는 mbar 단위로 측정된다.[191] CO2의 동화, ΔH2O, 잎의 온도, 기압, 잎의 면적, 광합성 유효복사(PAR)를 측정함으로써 탄소 동화("A"), 증산("E"), 기공 전도도("gs"), 세포 내 CO2(또는 Ci)를 추정할 수 있다.[191]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매개 변수인 FV/FM과 Y(II) 또는 F/FM’을 몇 초 만에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식물 스트레스 측정에 엽록체 형광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보다 더 큰 식물 개체군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188]
주변 공기의 위와 아래의 CO2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교환 시스템은 서로 다른 CO2 수준에서 탄소 동화(C)/세포 내 CO2(Ci) 곡선을 측정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특성화한다.[191]
엽록소 형광 측정기와 가스 교환 시스템의 통합은 광합성 반응과 광합성 메커니즘의 보다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189][157] 표준 가스 교환 광합성 시스템은 Ci(세포 내 CO2) 또는 기공 아래 공간의 CO2 수준을 측정할 수 있지만, 엽록소 형광 측정을 추가하면 Ci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한 CC로 대체할 수 있다.[190][192] 엽록체의 카복실화 부위에서의 CO2의 추정 또는 CC는 통합된 시스템을 이용한 엽육 전도도 또는 gm의 측정으로 가능해진다.[189][190][193]
광합성 측정 시스템은 잎이 흡수하는 빛의 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엽록소 형광, P700 및 P515의 흡광도, 기체 교환 측정의 분석은 광계, 양자 효율 및 CO2의 동화 속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다른 측정 장비로도 광합성 효율의 파장 의존성을 분석할 수 있다.[194]
5. 광합성의 진화
녹색황세균, 홍색황세균, 녹색비황세균, 홍색비황세균과 같은 초기 광합성 생물들은 산소 비발생 광합성을 한 것으로 생각되며, 전자공여체로 물이 아닌 다른 다양한 분자들을 사용했다. 녹색황세균과 홍색황세균은 전자공여체로 수소와 황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녹색비황세균은 전자공여체로 다양한 아미노산들과 다른 유기산들을 사용했다. 홍색비황세균은 전자공여체로 다양한 비특이적 유기 분자들을 사용했다. 이러한 분자들의 사용은 당시에 원시 지구의 대기가 매우 환원성이었다는 지질학적 증거와 일치한다.[198]
필라멘트 모양의 광합성 생물이라고 생각되는 화석은 34억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199][200] 2018년 3월에 보고된 보다 최근의 연구는 광합성이 약 34억년 전부터 시작되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201][202]
지구 대기에서 산소의 주요 공급원은 산소 발생 광합성에서 생성되는 산소이며, 산소의 첫 출현은 종종 산소대폭발 사건이라고 불린다. 지질학적 증거는 남세균과 같은 산소 발생 광합성 생물이 약 20억년 전 고원생대 시기에 중요해졌음을 시사한다. 현존하는 식물들과 대부분의 광합성 원핵생물들은 산소 발생 광합성을 한다. 산소 발생 광합성은 물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하는데, 물은 광합성 반응중심에서 산소(O2)로 산화된다.
광합성에서 전자공여체로 물을 사용하는 생화학적 능력은 현존하는 남세균(예전에는 남조류로 불림)의 공통조상에서 딱 한 번 진화하였다. 지질학적 기록에 따르면 남세균의 조상이 광합성에 물을 사용한 사건은 적어도 24억 5000만년~23억 2000만년 전에 지구 역사의 초기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11][212] 광합성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 동안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최초의 광합성 남세균은 산소를 생성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여겨진다.[213] 시생누대(약 38억년 전~약 25억년 전)의 퇴적암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로부터 얻은 증거는 생명체가 35억년 전에 존재했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산소 발생 광합성이 언제 진화했는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다. 남세균의 진화는 약 20억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고, 이미 다양한 남세균의 생물상이 드러났다. 남세균은 원생누대(약 25억년 전~5억 4200만년 전)에 걸쳐 산소의 주된 생산자로 남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바다의 산화환원 구조가 질소 고정이 가능한 광독립영양생물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녹조류는 원생누대 말기에 대륙붕에서 산소의 주된 생산자였으며, 중생대의 쌍편모조류, 원석조류, 규조류의 방사와 함께 녹조류는 바다에서 산소의 일차적인 생산을 담당했다. 남세균은 해양 환류에서 산소의 주요 생산자, 생물학적 질소 고정자, 변형된 형태의 해양 조류의 색소체로서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4]
엽록체의 기원은 더욱 밀접한 공생 형태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엽록체는 원형 염색체, 원핵생물형 리보솜, 그리고 유사한 광합성 반응 중심의 단백질을 포함하여 광합성 세균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69][70] 내공생설은 초기 진핵 세포가 광합성 세균을 (내포작용에 의해) 획득하여 최초의 식물 세포를 형성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엽록체는 식물 세포 내부에서 생활에 적응한 광합성 세균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와 마찬가지로 엽록체는 숙주 식물 세포의 핵 DNA와 분리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엽록체 DNA의 유전자는 시아노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와 유사하다.[71]
6. 광합성 연구의 역사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는 17세기 중반에 식물이 사용한 토양의 질량과 식물이 자라면서 증가한 질량을 측정하면서 광합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헬몬트는 토양의 질량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성장한 식물의 질량 증가는 화분에 첨가한 유일한 물질인 물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헬몬트의 가설은 부분적으로 정확했는데, 식물의 증가한 질량의 대부분은 물 뿐만 아니라 이산화 탄소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식물의 생물량 대부분이 토양 그 자체가 아니라 광합성의 투입물로부터 유래한다는 발상의 전환점이었다.
영국의 화학자이자 신학자인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밀폐된 유리 종 속에서 양초를 태우면(CO2를 방출했다) 양초의 밀랍이 소진되기 전에 촛불이 매우 빨리 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생쥐의 호흡이 양초를 태우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프리스틀리는 밀폐된 유리 종 속에 식물과 생쥐를 함께 두면 모두 산다는 것을 실험하고, 이 실험을 통하여 식물은 해로운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1778년에 네덜란드의 생물학자이자 화학자인 얀 잉엔하우스는 프리스틀리의 실험을 반복했다. 그는 식물에 빛을 비춰주었을 때만 쥐가 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광합성에 햇빛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스위스의 목사, 식물학자이자 박물학자인 장 제네비어(Jean Senebier)는 1796년에 녹색 식물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빛의 영향을 받아 산소를 방출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니콜라스 시어도어 드 소쉬르(Nicolas Théodore de Saussure)는 식물이 자라면서 질량이 증가하는 것은 CO2 흡수량 뿐만 아니라 CO2 흡수량과 물의 양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로써 포도당을 생산하는 광합성의 기본 반응이 윤곽을 드러내게 되었다.
코르넬리우스 반 니엘(Cornelis Van Niel)은 광합성 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발견을 했다. 그는 홍색황세균과 녹색황세균을 연구함으로써 광합성이 광의존적인 산화환원 반응이며, 이산화 탄소가 환원되는 반응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로버트 에머슨(Robert Emerson)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식물의 생산성을 시험함으로써 명반응이 두 개의 광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적색광만으로는 명반응이 억제되었다. 청색광과 적색광이 함께 주어졌을 때 광합성량이 훨씬 더 많았다. 따라서 두 개의 광계가 존재했는데 하나는 680nm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하는 광계 II 이고, 다른 하나는 700nm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하는 광계 I이다. 광계 I 은 엽록소 a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광계 II는 주로 엽록소 a를 포함하며, 다른 광합성 색소 중에 이용가능한 엽록소 b를 포함하고 있다. 홍조류에는 붉은색 색소인 피코빌린이 있고, 갈조류와 규조류에는 푸코잔톨(fucoxanthol)이 있다. 이 과정은 광계 II 와 광계 I에서 양자의 흡수가 동일할 때 가장 생산성이 높으며, 안테나 복합체로부터 전달된 에너지가 광계 II 와 광계 I 사이에 나뉘어 전달된다.[156]
로버트 힐(Robert Hill)은 사이토크롬 b6(현재는 플라스토퀴논)와 사이토크롬 f로 구성된 반응 복합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충분한 환원제이기 때문에 사이토크롬 f를 환원시키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한 플라스토퀴논에 의해 연결된다. 녹색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된 산소(O2)가 물(H2O)로부터 기원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은 1937년과 1939년에 힐에 의해 수행되었다. 힐은 잎에서 분리한 엽록체들이 옥살산철(III), 페리사이아나이드 또는 벤조퀴논과 같은 인공적인 환원제의 존재 하에 빛을 비추면 산소를 방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힐 반응[215]은 다음과 같다.
:2 H2O + 2 A + (빛, 엽록체) → 2 AH2 + O2
여기서 A는 전자수용체이다. 따라서 빛이 없으면 전자수용체는 환원되고 산소가 발생한다.
샘 루벤(Sam Ruben)과 마틴 카멘(Martin Kamen)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가 물에서 기원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멜빈 캘빈과 앤드루 벤슨(Andrew Benson)은 제임스 배스햄(James Bassham)과 함께 식물의 탄소 동화 경로(광합성 탄소 환원 회로)를 밝혀냈다. 탄소 환원 회로는 캘빈 회로로 알려져 있는데, 캘빈 회로라는 이름은 이 회로를 밝혀내는데 크게 기여한 벤슨과 배스햄의 공로를 무시하는 이름이다. 많은 과학자들은 탄소 환원 회로를 캘빈-벤슨 회로, 벤슨-캘빈 회로라고 부르며, 일부 과학자들은 캘빈-벤슨-배스햄 회로, 줄여서 CBB 회로라고도 부른다.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루돌프 마커스는 전자전달계의 기능과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오토 하인리히 바르부르크와 딘 버크(Dean Burk)는 호흡에 의해 활성화된 CO2를 분열시키는 I-양자 광합성(I-quantum photosynthesis)을 발견했다.[216]
1950년에 오토 칸들러(Otto Kandler)는 클로렐라 세포를 사용하여 생체 내에서 광인산화에 대한 최초의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그의 발견은 광의존적 ATP 합성으로 해석되었다.[217] 1954년에 다니엘 I. 아논(Daniel I. Arnon) 등은 32P를 이용하여 분리된 엽록체에서 광인산화를 발견했다.[218][219]
루이스 N. M. 두이센스(Louis N. M. Duysens)와 얀 아메즈(Jan Amesz)는 엽록소 a가 빛을 흡수한 다음 사이토크롬 f를 산화시키는데, 다른 엽록소 a는 빛을 흡수한 다음, 사이토크롬 f를 환원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명반응이 두 개의 광계로 이루어진 반응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hotosynthesi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7-15
[2]
논문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https://www.scienced[...]
2006-11-01
[3]
서적
Biology
https://archive.org/[...]
Pearson Education
[4]
논문
Photosynthesis in the Archean era
2006-05-01
[5]
논문
When did oxygenic photosynthesis evolve?
2008-08-01
[6]
논문
Life: past, present and future
1999-12-01
[7]
서적
Concepts in photobiology: photosynthesis and photomorphogene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2-07-07
[8]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the energy secto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2-21
[9]
웹사이트
World Consumption of Primary Energy by Energy Type and Selected Country Groups, 1980–2004
https://web.archiv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6-07-31
[10]
논문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http://www.escholars[...]
1998-07-01
[11]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12]
서적
Plants: Diversit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13]
논문
An overview of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and their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biotechnology for sustainable Resource recovery
2020-01-01
[14]
논문
Carbon Dioxide as a Source of Carbon: Biochemical and Chemical Uses
Springer Netherlands
1987-01-01
[15]
논문
Mitochondria, Chloroplasts in Animal and Plant Cells: Significance of Conformational Matching
2015-07-17
[16]
논문
Crosstalk betwee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microbes
https://pubmed.ncbi.[...]
2024-01-01
[17]
간행물
Anaerobic Photosynthesis
2008-08-18
[18]
논문
Arsenic(III) fuels anoxygenic photosynthesis in hot spring biofilms from Mono Lake, California
https://semanticscho[...]
2008-08-01
[19]
웹사이트
Scientists discover unique microbe in California's largest lake
https://web.archive.[...]
2005-01-01
[20]
서적
Plants: Diversit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21]
논문
Development of the bacterial photosynthetic apparatus
2006-12-01
[22]
논문
The thylakoid membranes of cyanobacteria: structure, dynamics and function
[23]
논문
Atomic-level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el of a bacterial photosynthetic membrane vesicle
2007-10-01
[24]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s://web.archive.[...]
Prentice Hall
[25]
논문
Molecular mechanism of SRP-dependent light-harvesting protein transport to the thylakoid membrane in plants
2018-12-01
[26]
서적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27]
웹사이트
Yachandra / Yano Group
https://web.archive.[...]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8]
논문
Structural changes in the Mn4Ca cluster and the mechanism of photosynthetic water splitting
2008-02-01
[29]
논문
Phenotypic landscape inference reveals multiple evolutionary paths to C4 photosynthesis
2013-09-01
[30]
서적
Plant Physiology
https://archive.org/[...]
Sinauer Associates
[31]
서적
C4 plant biology
Academic Press
[32]
논문
C 2 photosynthesis: a promising route towards crop improvement?
2020-12-01
[33]
논문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plastic, fantastic
2002-04-01
[34]
논문
Alarm Photosynthesis: Calcium Oxalate Crystals as an Internal CO2 Source in Plants
2016-08-01
[35]
논문
Decomposition of Calcium Oxalate Crystals in ''Colobanthus quitensis'' under CO2 Limiting Conditions
2020-10-01
[36]
논문
CO2 concentrating mechanisms in cyanobacteria: molecular components, their diversity and evolution
2003-02-00
[37]
논문
The diversity and coevolution of Rubisco, plastids, pyrenoids, and chloroplast-based CO2-concentrating mechanisms in algae
[38]
웹사이트
Chapter 1 – Biological energy productio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9-01-04
[39]
논문
The photosynthesis fix
https://www.knowable[...]
Annual Reviews
2018-04-03
[40]
논문
Chlorophyll fluorescence – a practical guide
2000-04-00
[41]
웹사이트
What is Photosynthesis?
http://www.life.illi[...]
Biology at Illinois
2014-04-17
[42]
서적
Practical Application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in Plant Bi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9-04-17
[43]
서적
Chlorophylla Fluorescence a Signature of Photosynthesis
Springer
2019-04-17
[44]
논문
Water stress induces different levels of photosynthesis and electron transport rate regulation in grapevines
1999-01-00
[45]
논문
Relationship between CO{{sub|2}} assimilation,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nd active O{{sub|2}} metabolism in leaves of maize in the field during periods of low temperature
[46]
논문
Estimating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via chlorophyll fluorometry without Photosystem II light saturation
[47]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um yield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nd quenching of chlorophyll fluorescence
[48]
논문
Chlorophyll fluorescence: A probe of photosynthesis ''in vivo''
[49]
논문
Temperature response of mesophyll conductance. Implica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Rubisco enzyme kinetics and for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in vivo
[50]
논문
''In vivo'' measurement of plant respiration
[51]
논문
Gas exchange measurements, what can they tell us about the underlying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Procedures and sources of error
[52]
논문
Temperature response of nesophyll conductance. Implica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Rubisco enzyme kinetics and for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in vivo''
[53]
논문
Theoretical reconsiderations when estimating the mesophyll conductanceto CO{{sub|2}} diffusion in leaves of C3 plants by analysis of combined gas exchang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ements
[54]
논문
Assessment of wavelength-dependent parameters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with a new type of multi-color PAM chlorophyll fluorometer
[55]
뉴스
Plants 'seen doing quantum physics'
https://www.bbc.com/[...]
2018-06-21
[56]
웹사이트
Quantum Biology: Better living through quantum mechanics
https://www.pbs.org/[...]
Nova: PBS Online; WGBH Boston
2017-09-08
[57]
논문
Quantum coherent energy transfer over varying pathways in single light-harvesting complexes
2013-06-00
[58]
논문
Sexual Reproduction and the Evolution of Sex
https://www.nature.c[...]
2008-00-00
[59]
뉴스
On The Origin Of Sexual Reproduction
https://www.science.[...]
2009-06-05
[60]
간행물
Photosynthesis got a really early start
https://www.newscien[...]
2017-09-08
[61]
간행물
Revealing the dawn of photosynthesis
https://www.newscien[...]
2017-09-08
[62]
논문
Early Archean origin of heterodimeric Photosystem I
2018-03-00
[63]
웹사이트
Photosynthesis Originated A Billion Years Earlier Than We Thought, Study Shows
https://www.astrobio[...]
2018-03-23
[64]
논문
Oldest thylakoids in fossil cells directly evidence oxygenic photosynthesis
https://orbi.uliege.[...]
2024-00-00
[65]
논문
Photosynthetic symbioses in animals
[66]
논문
Solar-powered sea slugs. Mollusc/algal chloroplast symbiosis
2000-05-00
[67]
논문
Chloroplasts and algae as symbionts in molluscs
[68]
논문
Horizontal gene transfer of the algal nuclear gene psbO to the photosynthetic sea slug Elysia chlorotica
2008-11-00
[69]
논문
Plastid evolution: origins, diversity, trends
1998-12-00
[70]
논문
The origin and establishment of the plastid in algae and plants
[71]
논문
Genomics and chloroplast evolution: what did cyanobacteria do for plants?
[72]
논문
The CoRR hypothesis for genes in organelles
2017-12-00
[73]
논문
The endosymbiotic origin, diversification and fate of plastids
2010-03-00
[74]
서적
Astrobiology of Earth: The emergence, evolution and future of life on a planet in turmoi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4-17
[75]
논문
Heimdallarchaeota harness light energy through photosynthesis.
2020-02-00
[76]
논문
Early evolution of purple retinal pigments on Earth and implications for exoplanet biosignatures
2021-06-00
[null]
뉴스
Purple reign: life on Earth might once have been dominated by purple microorganisms
https://www.cbc.ca/r[...]
2018-10-26
[77]
논문
The trouble with oxygen: The ecophysiology of extant phototrophs an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oxygenic photosynthesis
2019-08-00
[78]
논문
Evolution of rhodopsin ion pumps in haloarchaea
2007-05-00
[79]
논문
Photosynthesis: what color was its origin?
2006-00-00
[80]
논문
Biosynthetic potential of the global ocean microbiome
2022-07-00
[81]
논문
Reaction centers of the thermophilic microaerophile, Chloracidobacterium thermophilum (Acidobacteria) I: biochemical and biophysical characterization
https://scholarworks[...]
2019-10-00
[82]
논문
Functional type 2 photosynthetic reaction centers found in the rare bacterial phylum Gemmatimonadetes
2014-05-00
[83]
논문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cyanobacteria: molecular-phylogenetic and paleontological perspectives
2006-04-00
[84]
웹사이트
Cyanobacteri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2010-08-26
[85]
서적
Plant biology
https://books.google[...]
Garland Science
2019-04-17
[86]
논문
Cyanobacterial Diazotrophy and Earth's Delayed Oxygenation
2016-00-00
[87]
논문
Cyanobacteria and biogeochemical cycles through Earth history
https://www.cell.com[...]
2022-00-00
[88]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Caister Academic Press
2019-04-17
[89]
논문
A paradigm of fragile Earth in Priestley's bell jar
2012-09-00
[90]
논문
Bicentenary homage to Dr Jan Ingen-Housz, MD (1730-1799), pioneer of photosynthesis research
[91]
서적
Photosynthesis and Related Processes
https://www.biodiver[...]
2019-12-14
[92]
논문
'And whose bright presence' – an appreciation of Robert Hill and his reaction
http://www.life.uiuc[...]
2015-08-27
[93]
웹사이트
Otto Warburg – Biography
http://nobelprize.or[...]
2011-11-03
[94]
논문
Über die Beziehungen zwischen Phosphathaushalt und Photosynthese. I. Phosphatspiegelschwankungen bei Chlorella pyrenoidosa als Folge des Licht-Dunkel-Wechsels
http://zfn.mpdl.mpg.[...]
2018-06-26
[95]
논문
Photosynthesis by isolated chloroplasts. II. Photophosphorylation, the conversion of light into phosphate bond energy
[96]
논문
Phosphorus metabolism and photosynthesis
[97]
웹사이트
Photosynthesis
http://www.etymonlin[...]
2013-05-23
[98]
백과사전
φῶς
https://www.perseus.[...]
Perseus Project
[99]
백과사전
σύνθεσις
https://www.perseus.[...]
Perseus Project
[100]
논문
History of the word photosynthesis and evolution of its definition
[101]
논문
Forty years of photosynthesis and related activities
1989-07-00
[102]
논문
A table of photosynthesis rates under optimal, near natural conditions.
[103]
논문
Maximal photosynthetic rates in nature
1959-07-00
[104]
논문
Photosynthesis under field conditions. IV. Light studies with individual corn leaves
[105]
논문
Variation in the response of photosynthesis to light
[106]
논문
Photosynthesis among specie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leaf anatomy and CO2 diffusion resistances
[107]
논문
Citation Classic-Photosynthesis among specie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leaf anatomy and CO2 diffusion resistances
http://www.garfield.[...]
2023-12-06
[108]
서적
Physiologische Pflanzanatomie
https://books.google[...]
Engelmann
2019-04-17
[109]
논문
Factors Limiting Photosynthetic Rates of Different Plant Species
The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110]
논문
The distribution of radioactvity in carbon-14 among the products of photosynthesis in maize
[111]
논문
Carbon dioxide fixation in sugarcane leaves
[112]
논문
Photosynthesis by sugar-cane leaves. A new carboxylation reaction and the pathway of sugar formation
[113]
논문
Photosynthesis: basics, history and modelling
https://academic.oup[...]
2023-02-09
[114]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4-17
[115]
서적
Plants and Microclimate: a Quantitative Approach to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4-17
[116]
논문
The amazing phycobilisome
2020-04
[117]
논문
Photosynthesis: Microbial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1-10-15
[118]
간행물
植物化学調節実験マニュアル
全国農村教育協会
[119]
논문
Photosynthesis {{!}} The Heliobacteria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1-10-15
[120]
논문
The rise of oxygen in Earth’s early ocean and atmosphere
2014-02
[121]
서적
ヴォート生化学 第3版
東京化学同人
2005-02-28
[122]
논문
The Phototrophic Way of Life
Springer
2006
[123]
논문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2006-11
[124]
잡지
Newton 2008年4月号
ニュートンプレス
2008-04-07
[125]
간행물
最新農薬生物検定法
全国農村教育協会
[126]
논문
Candidatus Chloracidobacterium thermophilum: An Aerobic Phototrophic Acidobacterium
2007-07-27
[127]
논문
Functional type 2 photosynthetic reaction centers found in the rare bacterial phylum Gemmatimonadetes
2014-05-27
[128]
논문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Anoxygenic Phototrophy in the Bacterial Phylum Candidatus Eremiobacterota (WPS-2)
2019
[129]
논문
Leptosphaeria rhodopsin: Bacteriorhodopsin-like proton pump from a eukaryote
https://www.pnas.org[...]
2005-05-10
[130]
논문
A phylogenomic and ecological analysis of the globally abundant Marine Group II archaea (Ca. Poseidoniales ord. nov.)
2019-03
[131]
논문
An Australian halobacterium contains a novel proton pump retinal protein: Archaerhodopsin
1988-03
[132]
논문
Proteorhodopsin in the ubiquitous marine bacterium SAR11
2005-11
[133]
서적
植物化学キーノート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134]
서적
生化学キーノート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웹사이트
光合成の効率 - 光合成事典
https://photosyn.jp/[...]
2022-06-30
[139]
간행물
Renewable biological systems for un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http://www.fao.org/d[...]
FAO Agricultural Services Bulletins
[140]
웹사이트
4.光エネルギーの変換
https://info.ouj.ac.[...]
2022-06-30
[141]
웹사이트
산소발생의 기원 - 광합성사전
https://photosyn.jp/[...]
2022-08-06
[142]
서적
중학교의 「리과」를 철저공략
PHP연구소
[143]
웹사이트
심건인 선생님
https://www.sekaiwok[...]
2023-05-07
[144]
웹인용
photosynthesis
http://www.etymonlin[...]
[145]
LSJ
[146]
LSJ
[147]
저널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2006-11-01
[148]
서적
Biology
Pearson Education
[149]
저널
Photosynthesis in the Archean era
2006-05-01
[150]
저널
When did oxygenic photosynthesis evolve?
2008-08-01
[151]
저널
Life: past, present and future
1999-12-01
[152]
서적
Concepts in photobiology: photosynthesis and photomorphogene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3]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the energy sector
https://books.google[...]
Springer
[154]
웹사이트
World Consumption of Primary Energy by Energy Type and Selected Country Groups, 1980–2004
http://www.eia.doe.g[...]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6-07-31
[155]
저널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http://www.escholars[...]
1998-07-01
[156]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157]
서적
Concepts in Photobiology: Photosynthesis and Photomorphogenes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8]
뉴스
Anaerobic Photosynthesis
Chemical & Engineering News
2008-08-18
[159]
저널
Arsenic(III) fuels anoxygenic photosynthesis in hot spring biofilms from Mono Lake, California
2008-08-01
[160]
웹사이트
Scientists discover unique microbe in California's largest lake
http://www.bio-medic[...]
[161]
서적
Plants: Diversit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162]
웹사이트
Evolutionary Novelties: Opsins: An amazing evolutionary convergence
http://evolutionaryn[...]
2008-12-19
[163]
저널
Development of the bacterial photosynthetic apparatus
2006-12-01
[164]
저널
Atomic-level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el of a bacterial photosynthetic membrane vesicle
2007-10-01
[165]
저널
The thylakoid membranes of cyanobacteria: structure, dynamics and function
[166]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rentice Hall
[167]
저널
Molecular mechanism of SRP-dependent light-harvesting protein transport to the thylakoid membrane in plants
2018-12-01
[168]
서적
Biology of Plants
W. H. Freeman and Company
[169]
저널
Chemical Scheme of Water-Splitting Process during Photosynthesis by the Way of Experimental Analysis
[170]
웹사이트
Yachandra/Yano Group -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https://www2.lbl.gov[...]
[171]
저널
Structural changes in the Mn4Ca cluster and the mechanism of photosynthetic water splitting
2008-02-01
[172]
저널
Phenotypic landscape inference reveals multiple evolutionary paths to C4 photosynthesis
2013-09-01
[173]
서적
Plant Physiology
https://archive.org/[...]
Sinauer Associates
[174]
서적
C₄ plant biology
Academic Press
[175]
저널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plastic, fantastic
2002-04-01
[176]
저널
CO2 concentrating mechanisms in cyanobacteria: molecular components, their diversity and evolution
2003-02-01
[177]
저널
The diversity and coevolution of Rubisco, plastids, pyrenoids, and chloroplast-based CO2-concentrating mechanisms in algae
[178]
웹인용
Chapter 1 – Biological energy productio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9-01-04
[179]
저널
Chlorophyll fluorescence--a practical guide
2000-04-01
[180]
저널
Chlorophyll fluorescence – a practical guide
[181]
웹인용
What is Photosynthesis
http://www.life.illi[...]
Biology at Illinois
[182]
서적
Practical Application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in Plant Bi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3]
서적
Chlorophylla Fluorescence a Signature of Photosynthesis
Springer
[184]
저널
Water stress induces different levels of photosynthesis and electron transport rate regulation in grapevines
1999-01-01
[185]
저널
Relationship between CO2 Assimilation,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nd Active O2 Metabolism in Leaves of Maize in the Field during Periods of Low Temperature
[186]
저널
Estimating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via chlorophyll fluorometry without Photosystem II light saturation
[187]
저널
M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um yield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nd quenching of chlorophyll fluorescence
[188]
저널
Chlorophyll Fluorescence: A Probe of Photosynthesis In Vivo
[189]
저널
Temperature response of mesophyll conductance. Implica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Rubisco enzyme kinetics and for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in vivo
[190]
저널
In vivo measurement of plant respiration
[191]
저널
Gas exchange measurements, what can they tell us about the underlying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Procedures and sources of error
[192]
저널
R., Nakano H., von Caemmerer S., and Long S.P. (2002) Temperature Response of Mesophyll Conductance. Implica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Rubisco Enzyme Kinetics and for Limitations to Photosynthesis in Vivo
[193]
저널
Theoretical reconsiderations when estimating the mesophyll conductanceto CO2 diffusion in leaves of C3 plants by analysis of combined gas exchang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ements pce_2016 1513..1
[194]
저널
Assessment of wavelength-dependent parameters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with a new type of multi-color PAM chlorophyll fluorometer
2012-01-01
[195]
뉴스
Plants 'seen doing quantum physics'
https://www.bbc.com/[...]
2013-06-21
[196]
웹인용
Quantum Biology: Better Living Through Quantum Mechanics – The Nature of Reality
https://www.pbs.org/[...]
Nova: PBS Online, WGBH Boston
2014-03-10
[197]
저널
Quantum coherent energy transfer over varying pathways in single light-harvesting complexes
2013-06-01
[198]
서적
Astrobiology of Earth: The emergence, evolution and future of life on a planet in turmoil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1-01
[199]
저널
Photosynthesis got a really early start
https://www.newscien[...]
2004-10-02
[200]
저널
Revealing the dawn of photosynthesis
https://www.newscien[...]
2006-08-19
[201]
저널
Early Archean origin of heterodimeric Photosystem I
https://www.heliyon.[...]
2018-03-06
[202]
웹인용
Photosynthesis Originated A Billion Years Earlier Than We Thought, Study Shows.
https://www.astrobio[...]
2018-03-07
[203]
저널
Photosynthetic symbioses in animals
[204]
저널
Solar-powered sea slugs. Mollusc/algal chloroplast symbiosis
2000-05-01
[205]
서적
Chloroplasts and algae as symbionts in molluscs
[206]
저널
Horizontal gene transfer of the algal nuclear gene psbO to the photosynthetic sea slug Elysia chlorotica
2008-11-01
[207]
저널
Plastid evolution: origins, diversity, trends
1998-12-01
[208]
저널
The origin and establishment of the plastid in algae and plants
[209]
저널
Genomics and chloroplast evolution: what did cyanobacteria do for plants?
[210]
저널
The CoRR hypothesis for genes in organelles
2017-12-01
[211]
저널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cyanobacteria: molecular-phylogenetic and paleontological perspectives
2006-04-00
[212]
웹사이트
Cyanobacteri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Ucmp.berkeley.edu
2010-08-26
[213]
서적
Plant biology
https://books.google[...]
Garland Science
[214]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Caister Academic Press
[215]
저널
'And whose bright presence' – an appreciation of Robert Hill and his reaction
http://www.life.uiuc[...]
[216]
웹사이트
Otto Warburg – Biography
http://nobelprize.or[...]
2011-11-03
[217]
저널
Über die Beziehungen zwischen Phosphathaushalt und Photosynthese. I. Phosphatspiegelschwankungen bei Chlorella pyrenoidosa als Folge des Licht-Dunkel-Wechsels
http://zfn.mpdl.mpg.[...]
[218]
저널
Photosynthesis by isolated chloroplasts. II. Photophosphorylation, the conversion of light into phosphate bond energy
[219]
저널
Phosphorus metabolism and photosynthesis
[220]
저널
History of the word photosynthesis and evolution of its definition
[221]
저널
Forty years of photosynthesis and related activities
1989-07-00
[222]
저널
A table of photosynthesis rates under optimal, near natural conditions.
[223]
저널
Maximal photosynthetic rates in nature
[224]
저널
Photosynthesis under field conditions. IV. Light studies with individual corn leaves
[225]
저널
Variation in the response of photosynthesis to light.
[226]
저널
Photosynthesis among specie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leaf anatomy and CO2 diffusion resistances
[227]
저널
Citation Classic-Photosynthesis among specie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leaf anatomy and CO2 diffusion resistances.
http://www.library.u[...]
[228]
서적
Physiologische Pflanzanatomie
https://books.google[...]
Engelmann
[229]
학위논문
Factors Limiting Photosynthetic Rates of Different Plant Species
The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USA.
[230]
저널
The distribution of radioactvity in carbon-14 among the products of photosynthesis in maize
[231]
저널
Carbon dioxide fixation in sugarcane leaves
[232]
저널
Photosynthesis by sugar-cane leaves. A new carboxylation reaction and the pathway of sugar formation
[233]
서적
Principles of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34]
서적
Plants and Microclimate: a Quantitative Approach to Environmental Plant Physi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