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림답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림답부는 고구려 연나부의 조의선인으로, 165년 차대왕을 시해하고 신대왕을 옹립한 쿠데타를 일으켰다. 신대왕 즉위 후 최초의 국상에 임명되었으며, 한나라의 침략에 청야전술을 펼쳐 격퇴하고 좌원 전투에서 승리하여 공을 세웠다. 179년 11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고구려의 국정에 60년간 헌신하며 폭군 암살, 왕권 강화, 침략자 격퇴 등 많은 공헌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년 출생 - 켈수스
    켈수스는 로마 제국의 법률가이자 정치가로서 프라에토르, 트라키아 총독, 집정관 등 고위 공직을 역임하고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자문으로서 법률 제정에 기여했으며, 그의 법률 격언들은 현대 민법의 핵심 원칙으로 남아있다.
명림답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명림답부
원어 이름明臨答夫
로마자 표기Myeongnim Dapbu
한글명림답부
한자明臨答夫
가나ミョンニム・ダプ
관직 정보
작위고구려의 연나부 조의
군주고구려 차대왕
군주 칭호국왕
작위 2고구려의 제1대 국상
군주 2고구려 신대왕
군주 칭호 2국왕
영지 2질산
재임 2166년 ~ ?
개인 정보
출생일67년
출생지미상
사망일179년 음력 9월 (112세)
사망지미상
성별남성
국적고구려
가문연나부
왕조고구려
군사 정보
계급패자
지휘고구려군
참전좌원 전투

2. 생애

명림답부는 연나부(椽那部) 조의(皂衣)였다가 165년 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시해하고 왕의 동생 백고를 신대왕으로 옹립했다. 166년 최초의 국상(國相)에 임명되었고, 패자(沛者) 벼슬을 더해 내외 병마(兵馬) 통수권과 양맥(梁貊)부락 지배권을 받았다.

172년, 현도태수 경림(耿臨)이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자 왕이 요격과 농성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 물었다. 명림답부는 청야전술을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군사들이 굶주림에 지쳐 퇴각하자, 명림답부는 수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추격하여 좌원(坐原)에서 크게 섬멸하였다. 이 공으로 좌원과 질산(質山)을 식읍으로 받았다.

179년 9월 113세로 죽자 신대왕이 직접 애도하고 예를 갖추어 질산에 장사지냈다.

2. 1. 정권 장악

165년(차대왕 20년) 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시해하고 왕의 동생 백고(佰固)를 신대왕으로 옹립했다.[1] 166년(신대왕 2년) 최초의 국상(國相)에 임명되었고, 패자(沛者) 벼슬을 더해 내외 병마(兵馬)의 통수권과 함께 양맥(梁貊)부락에 대한 지배권을 받았다.[1]

명림답부는 고구려 연나부(椽那部)의 조의(皂衣)였다. 그는 태조왕 재위 기간 동안 벼슬이 높아졌으며, 태조왕이 사망할 무렵에는 이미 조정에 있었다. 146년 차대왕이 즉위하자, 명림답부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고 폭군의 통치 아래 고통을 겪었다.

165년 차대왕 재위 20년에 명림답부는 군대를 이끌고 일부 귀족과 조정 관리들의 지원을 받아 왕을 시해하고, 99세의 나이로 고구려 정부를 장악했다.

그는 태조왕의 동생인 고백고를 다음 왕으로 초청했다. 고백고는 그해 고구려의 제8대 왕으로 추대되었고, 명림답부에게는 국상(國相) 자리가 주어져 고구려 역사상 최초로 이 칭호를 받았다.

2. 2. 국상 임명 및 권력 행사

165년(차대왕 20년) 연나부(椽那部) 조의(皂衣)로 있다가 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시해하고 왕의 동생 백고(佰固)를 신대왕으로 옹립했다.[1] 166년(신대왕 2년) 최초의 국상에 임명되었고, 패자(沛者) 벼슬을 더해 내외 병마(兵馬)의 통수권과 함께 양맥(梁貊)부락에 대한 지배권을 받았다.[1]

172년, (漢)의 현도태수(玄菟太守) 경림(耿臨)이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자 왕이 이를 요격할 것인지 아니면 농성할 것인지 의견을 물었는데, 청야전술을 주장하여 이를 관철시켰다.[1] 결국 의 군사들이 굶주림에 지쳐 퇴각하였고, 이에 명림답부가 수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추격하여 좌원(坐原)에서 크게 섬멸하였다.[1] 이 공으로 좌원과 질산(質山)을 식읍으로 받았다.[1]

2. 3. 한나라와의 전쟁

172년, (漢)의 현도태수(玄菟太守) 경림(耿臨)이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자 이 이를 요격할 것인지 아니면 농성할 것인지 의견을 물었는데, 명림답부는 청야전술을 주장하여 이를 관철시켰다.[1] 의 군사들이 굶주림에 지쳐 퇴각하자, 명림답부가 수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추격하여 좌원(坐原)에서 크게 섬멸하였다.[1] 이 공으로 좌원과 질산(質山)을 식읍으로 받았다.[1]

2. 4. 사망

179년 9월 113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신대왕은 직접 애도를 표하고 예를 갖추어 질산에 장사지냈다. 명림답부는 한나라 군대를 상대로 고구려 군대를 승리로 이끈 후였다. 그는 고구려를 위해 60년간 국정에 헌신하며 폭군을 암살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침략자를 격퇴하고, 부패한 정부를 상대로 성공적인 혁명을 이끄는 등 많은 공헌을 했다.

3. 평가

명림답부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평가는 다양하다. 고구려의 초대 국상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지만, 신대왕은 보장왕이 연개소문에게 휘둘렸던 것처럼 명림답부에게 조종당하는 꼭두각시는 아니었다. 명림답부가 권력을 남용하거나 잔혹했다는 기록은 없으며, 많은 역사학자와 학자들은 그를 진정한 애국자이자 잊혀진 영웅으로 평가한다.

3. 1. 긍정적 평가

명림답부는 179년, 113세(만 112세)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이는 엄청난 한나라 군대를 상대로 고구려 군대를 승리로 이끈 후였다. 명림답부는 고구려를 위해 60년간 국정에 헌신하며 많은 공헌을 했다. 그는 폭군을 암살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침략자를 격퇴했고, 마지막으로 부패한 정부를 상대로 성공적인 혁명을 이끌었다.

3. 2. 권력에 대한 논란

역사학자들은 명림답부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의 초대 국상은 막강한 정치 권력과 영향력을 소유하여 거의 독재적이라고 여겨질 정도였다. 그러나 신대왕은 보장왕이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영향 아래 있었던 것처럼 명림답부의 영향 아래 놓인 꼭두각시 군주는 아니었다. 명림답부가 권력을 남용하거나 특별히 잔혹하거나 폭력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역사적 기록은 없다. 이로부터 많은 역사학자들과 학자들은 명림답부가 진정한 애국자이자 잊혀진 영웅이라고 추론한다.

참조

[1] 웹사이트 명림답부(明臨答夫) http://encykorea.aks[...] 2020-05-25
[2] 문서 『三国史記』新大王本紀2年条の明臨答夫への昇進記事に続けて、「改左右輔爲國相始於此」と記されている。左輔・右輔は、[[大武神王]]代に始まる最高位の官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