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클로니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노클로니우스는 1876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코프는 몬태나주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모식종인 M. crassus를 기재했으나, 이후 켄트로사우루스 등 다른 종의 발견과 재분류를 거치며 모노클로니우스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현재 M. crassus는 의문명으로 간주되며,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은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모노클로니우스는 영화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문명 - 폴리오낙스
폴리오낙스는 1873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불분명한 분류의 각룡류로 여겨지며, 뿔과 프릴을 가진 사족보행 초식 공룡으로 추정된다. - 의문명 - 아가타우마스
아가타우마스는 1872년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한때 육상 동물 중 가장 큰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불확실한 분류로 트리케라톱스의 화석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 187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프테라노돈
프테라노돈은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이빨 없는 익룡 속으로, 날개폭이 최대 9미터에 달하며 수컷은 큰 머리 볏을 가지고 있고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1876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닉토사우루스
닉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익룡 속으로, 긴 날개와 일부 표본에서 발견되는 거대한 볏이 특징이며, 캔자스의 스모키 힐 백악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어 서부 내륙 해로의 해수 퇴각 시기에 서식했음을 알 수 있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는 뿔 대신 납작한 돌기가 있는 초식 공룡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번성했으며 코 돌기 형태에 따라 여러 종으로 구분된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에 정의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분지군으로,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보다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에 더 가깝고 콧뿔이 혹 모양으로 진화한 아켈로우사우루스와 파키리노사우루스를 포함한다.
모노클로니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Monoclonius |
명명자 | Cope, 1876 |
속 | †모노클로니우스속 (Monoclonius) |
종 | 본문 참조 |
시대 | 백악기 후기,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강 | 이궁아강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
미분류 아목 | †신조반류 |
아목 | †각각아목 |
하목 | †각룡하목 |
과 | †케라톱스과 |
아과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종 (하위 분류) | |
대표 종 | † M. crassus Cope, 1876 |
특징 | |
![]() |
2. 역사
모노클로니우스는 1876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몬태나주에서 발견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한 각룡류 공룡이다. 처음에는 하드로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트리케라톱스 등 다른 각룡류가 발견되면서 각룡류로 재분류되었다.[3]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의 여러 종을 추가로 명명했지만,[35][36] 이들은 나중에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으로 간주되었다.
1902년 로렌스 램은 캐나다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모노클로니우스 종들을 명명했지만,[38] 이들 역시 카스모사우루스나 켄트로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38][39] 1914년 바넘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비교 연구하여 대부분의 모노클로니우스 종을 기각하고 ''M. crassus''만을 남기며, 두 속을 동물이명으로 간주했다.[40] 그러나 램은 ''M. crassus''를 의문명으로 간주하고 다른 모노클로니우스 종들을 브라키케라톱스나 스티라코사우루스로 옮기며 반박했다.[41]
이후 R.S. 럴,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 등 여러 고생물학자들이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분류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며 논쟁이 이어졌다.[43][44][45] 1990년 피터 도드슨은 ''M. crassus''가 켄트로사우루스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고 주장했지만,[50] 1997년 스콧 샘슨은 ''M. crassus''를 포함한 유사 표본들이 모두 어린 개체이거나 아성체이므로 의문명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1] 2006년 마이클 라이언은 ''M. lowei'' 표본이 예외적으로 큰 아성체라고 결론내리며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를 의문명으로 취급했다.[32]
결론적으로,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분류되었던 대부분의 종들은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되었으며, 현재는 모식종인 ''M. crassus''만 모노클로니우스 속에 포함되고, 이 종 역시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2. 1. 코프의 최초 발견 (1876)
1876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몬태나주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화석을 바탕으로 모노클로니우스를 명명하고, 모식종 ''M. crassus''를 기재했다. [3] 종명은 라틴어로 "뚱뚱한 것"을 의미한다.[34]당시에는 뿔이 있는 공룡, 즉 각룡류의 화석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화석도 불완전했기 때문에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를 하드로사우루스과의 일종이라고 생각했다. 코프는 화석의 많은 부분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으며, 코뿔이나 눈 위의 뿔이 화석 뿔의 일부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는 두개골 프릴을 가슴뼈의 골화된 부분인 가슴뼈의 상단부로, 융합된 경추는 앞쪽 등뼈로 해석했다.[3]
이 화석들은 1876년 여름, 리틀 빅혼 전투 현장에서 약 150km 떨어진 몬태나 주 추토 군의 주디스 강 부근에서 코프와 그의 조수였던 찰스 H. 스턴버그가 발견했다. 발견된 화석들은 단일 개체의 연결된 골격이 아니었고, 서로 다른 장소에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동물의 대부분의 부위(발은 완전히 없음)를 포함하며, 긴 코뿔의 기저부, 두개골 프릴의 일부, 눈썹 뿔, 3개의 융합된 경추, 천골, 어깨뼈, 장골, 좌골, 두 개의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및 앞다리의 일부를 포함했다.[34]
2. 2. 추가 종 명명과 재분류 (1889-1895)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89년에 트리케라톱스를 보고한 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 표본을 다시 조사하여 트리케라톱스, 모노클로니우스, 그리고 아가타우마스가 비슷한 종류의 공룡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같은 해에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가 커다란 코뿔 하나와 눈 위의 작은 뿔 두 개, 그리고 넓은 구멍이 있는 마루뼈로 이루어진 커다란 목 부위의 프릴을 가지는 것으로 다시 기재했다. 같은 논문에서 코프는 ''M. crassus'' 외에 모노클로니우스의 종 세 개를 추가로 명명했다.[35]종명 | 어원 | 표본 | 특징 |
---|---|---|---|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비코르니스(Monoclonius recurvicornis) | "뒤로 휘어진 뿔" | AMNH 3999 | 짧고 휘어진 코뿔의 뿔심과 두 개의 눈 위 뿔 |
모노클로니우스 스페노케루스(Monoclonius sphenocerus) | "쐐기 모양의 뿔" | AMNH 3989 | 찰스 H. 스턴버그가 1876년에 몬태나 주 카우 아일랜드에서 발견한 325 mm 길이의 긴 코뿔 |
모노클루니우스 피수스(Monoclonius fissus) | (없음) | AMNH 3988 | 코프는 쪼개진 인상골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익형골(pterygoid) |
1895년에 코프는 재정적인 이유로 자신의 화석 컬렉션 일부를 미국 자연사박물관에 팔아야 했다. 여기에는 모노클로니우스 표본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결과 모노클로니우스 표본들은 AMNH 표본번호를 가지게 되었다. ''M. crassus'' 화석은 AMNH 3998 로 등재되었다.[37]
2. 3. 존 벨 해처의 연구 (1907)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89년에 트리케라톱스를 보고한 후,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 표본을 다시 조사하여 트리케라톱스, 모노클로니우스, 그리고 아가타우마스가 비슷한 종류의 공룡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존 벨 해처는 마쉬와 함께 일했고 코프와 마쉬 사이의 라이벌 관계인 공룡 화석 전쟁에서 '예일대학' 진영에 있었지만, 코프와 마쉬가 죽은 후 해처는 코프의 표본들도 이용하여 각룡류에 대한 마쉬의 전문논문(monograph)을 마무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37]해처는 코프의 발굴 방식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코프는 야외조사에서 표본을 감정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정확한 위치도 남기지 않았으며, 여러 개체의 표본을 기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혼합 표본을 기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해처는 ''M. crassus''의 모식표본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다시 조사하고 여러 개체의 부분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총모식표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해처는 이 중 하나로 프릴의 위쪽 부분을 구성하는 왼쪽 마루뼈를 후모식표본으로 채택했다. 프릴의 옆부분을 이루는 몇 개의 인상골은 이 후모식표본과 같은 개체에서 온 것으로 생각되지 않았으며, 해처는 코프의 눈 위 뿔 (표본번호가 달랐다) 역시 같은 개체에서 온 것이라고 보지 않았다. 결국 이 논문은 해처 역시 죽은 후에 리차드 스완 럴에 의해 1907년에 출판되었다.[37]
2. 4. 켄트로사우루스의 등장과 논쟁 (1902-1940)
1902년 로렌스 램은 캐나다에서 발견된 각룡류 화석을 바탕으로 모노클로니우스의 새로운 종들을 명명했다. 이 중 모노클로니우스 벨리(''Monoclonius belli'')와 모노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Monoclonius canadensis'')는 나중에 카스모사우루스 벨리로 재분류되었다. 세 번째 종인 모노클로니우스 다우소니(''Monoclonius dawsoni'')는 조지 머서 도슨의 이름을 딴 것으로, 두개골 일부 표본 NMC 1173 에 기반했다.[38] 1904년 램은 이 표본이 별개의 속 및 종을 나타낸다고 보고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로 명명했다.[39]찰스 H. 스턴버그가 새로운 표본들을 수집하면서, 램은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와는 별개의 속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그러나 1914년 바넘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비교 연구하면서 ''M. crassus'' 하나만 남기고 대부분의 모노클로니우스 종을 기각했다.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마루뼈를 비교하고서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M. crassus'' 의 표본이 나이 든 개체의 것이고 침식 때문에 훼손되었기 때문이라고 결론내렸다. 이는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가 동물이명이며 모노클로니우스가 우선권을 가진다는 의미였다.[40]
1915년 램은 ''M. dawsoni''를 브라키케라톱스로, ''M. sphenocerus''를 스티라코사우루스로 옮기면서 브라운에게 반박했다. 램은 ''M. crassus''는 훼손되어 있고 코뿔도 없기 때문에 종을 구분할 만한 특징이 부족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브라운의 ''M. flexus''를 켄트로사우루스의 모식종인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Centrosaurus apertus'') 로 분류했다.[41]
1933년 R.S. 럴은 "각룡류의 재검토"를 출판하여 당시까지 알려진 모든 각룡류 표본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분류를 명확히 하려는 시도를 했다. 럴은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의 동물이명이지만 아속으로 볼 수 있을 만큼은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43]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는 1938년에 모노클로니우스형 화석이 켄트로사우루스형 화석보다 더 이른 시기의 지층에서 발견되며 더 희귀하므로,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4] 1940년 C.M. 스턴버그는 모노클로니우스 로웨이 (''Monoclonius lowei'')를 명명했다. 종명은 해롤드 로빈슨 로우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이다.[45]
2. 5. 모노클로니우스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 (1990-2006)
피터 도드슨은 1990년에 ''M. crassus''의 후모식표본인 AMNH 3998이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완모식표본과 프릴 가장자리에 매우 얇은 머리뼈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도드슨은 이것이 단지 개체간의 변이에 의한 차이가 아니며, ''M. lowei'' 역시 비슷하게 얇은 프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증명될 수 있다고 했다.[50] 그러나 1997년에 스콧 샘슨은 ''M. crassus''의 후모식표본 및 그와 유사한 모노클로니우스의 모든 표본들을 의문명으로 간주했다. 뼈의 구조를 볼 때 이들이 모두 어린 개체이거나 아성체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었다. 샘슨은 어떤 경우에는 성체가 이미 알려진 종일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성체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종류일 수도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종들이 개체발생과정에서 모노클로니우스와 비슷한 형태의 단계를 거친다면, 모노클로니우스의 표본들이 왜 그렇게 시간 및 공간적으로 넓은 분포를 가지는지 설명된다고 하였다.[51]1998년에 도드슨과 앨리슨 투마르킨은 뼈의 구조가 해당 종에서만 나타나는 유형보존(성체가 어린 개체의 특징을 그대로 보존하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드슨은 ''M. lowei''의 완모식표본인 NMC 8790이 길이 609 mm 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표본들 중 가장 긴 마루사이뼈 (interparietal bone)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그 증거로 제시했다. 두 번째로 긴 마루사이뼈를 가진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표본인 NMC 5429는 545 mm 이므로 NMC 8790이 아성체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았다.[52]
하지만 2006년 마이클 라이언은 ''M. lowei'' 완모식표본이 예외적으로 큰 아성체라고 결론내렸다. 라이언은 프릴 가장자리의 세번째 마루뼈뒷돌기 골편이 막 생기기 시작했고 두개골의 봉합선이 완전히 닫히기 전이라는 점 등을 그 이유로 제시했다. 결국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는 의문명으로 취급된다.[32]
2. 6. 모노클로니우스 속 종들의 재분류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모노클로니우스를 명명한 이후, 여러 고생물학자들이 모노클로니우스 속에 새로운 종을 추가하거나 기존 종을 재분류했다. 하지만 모노클로니우스의 모식종인 ''M. crassus''의 표본이 불완전하고 종을 구분할 만한 특징이 부족했기 때문에, 모노클로니우스 속의 분류는 계속 논쟁거리였다.1889년, 코프는 ''M. crassus'' 외에 세 종(''M. recurvicornis'', ''M. sphenocerus'', ''M. fissus'')을 모노클로니우스 속에 추가했다.[35][36] 하지만 이 종들은 나중에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으로 간주되거나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1902년, 로렌스 램은 캐나다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세 개의 새로운 모노클로니우스 종(''M. belli'', ''M. canadensis'', ''M. dawsoni'')을 명명했다.[38] 그러나 이 종들은 후에 카스모사우루스와 켄트로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38][39]
1914년, 바넘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비교 연구하여 ''M. crassus''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노클로니우스 종을 기각하고,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동물이명으로 간주했다.[40] 하지만 램은 이에 반박하며 ''M. dawsoni''를 브라키케라톱스로, ''M. sphenocerus''를 스티라코사우루스로 옮기고, ''M. crassus''는 의문명으로 간주했다.[41]
이후 브라운과 램의 논쟁은 계속되었고, R.S. 럴,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 등 여러 고생물학자들이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분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43][44][45]
1990년대에 피터 도드슨은 ''M. crassus''의 표본이 켄트로사우루스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지만,[50] 1997년 스코트 샘슨은 ''M. crassus'' 및 유사한 표본들을 모두 어린 개체 또는 아성체로 간주하여 의문명으로 처리했다.[51] 2006년 마이클 라이언은 ''M. lowei'' 표본이 예외적으로 큰 아성체라고 결론내리고,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를 의문명으로 취급했다.[32]
결론적으로,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은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되었다. 현재 모노클로니우스 속에는 모식종인 ''M. crassus''만이 포함되며, 이 종 역시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다음은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의 목록이다.
원래 학명 | 재분류 결과 |
---|---|
M. albertensis |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 |
M. apertus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
M. belli |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
M. canadensis | 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 |
M. crassus | 모식종, 의문명 |
M. cutleri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
M. dawsoni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
M. fissus | 무자격명 |
M. flexus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
M. lammersi |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 |
M. longirostris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
M. lowei | 의문명 |
M. montanensis |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 |
M. nasicornus |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혹은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의 동물이명. 혹은 켄트로사우루스 나시코르누스 |
M. recurvicornis |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 |
M. sphenoceras |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아가타우마스와 폴리오낙스에 이어 세 번째로 명명한 각룡류인 모노클로니우스는 1876년에 명명되었다. 모노클로니우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에서 다른 각룡류와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모노클로니우스는 다른 잘 알려진 각룡류 공룡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등장했다. 1984년 필 티펫이 제작한 단편 영화 "선사 시대 야수"에서 주연을 맡았으며,[57] 1985년에는 이 영화에 사용된 장면이 로버트 게네트의 TV 다큐멘터리 "공룡!"에 사용되었다.[57] 티펫 스튜디오는 2011년 4월 6일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디지털 복원된 "선사 시대 야수"를 공개했다.[57]
[1]
서적
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Ancient Ecosystem Revealed
Indiana University Press
3. 분류
코프는 처음에 모노클로니우스의 화석 대부분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고 코뿔이나 이마 뿔이 뿔의 일부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두개골 프릴은 가슴뼈 일부로, 봉합된 경추는 몸 앞부분으로 해석했다.[34] 1889년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트리케라톱스를 보고한 후,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 표본을 재검토하여 트리케라톱스, 모노클로니우스, 아가타우마스가 유사한 종류임을 인지했다. 그는 모노클로니우스가 큰 코뿔, 작은 눈 위 뿔, 넓은 구멍이 있는 마루뼈 프릴을 가진다고 재기재했다.[35]
코프의 1889년 논문 이후 주디스 강 지층에서 발견된 각룡류 화석은 대부분 모노클로니우스로 분류되었다. 1902년 로렌스 램은 캐나다에서 최초로 보고된 각룡류에 모노클로니우스의 새 종 3개를 포함시켰는데, 이 중 2종은 후에 카스모사우루스 벨리로 재분류되었다.[38] 1904년 램은 마루뼈가 별개의 속 및 종을 나타낸다고 보고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로 명명했다.[39]
찰스 H. 스턴버그가 새로운 표본을 수집하면서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와 별개 속이라는 것이 램에게 분명해졌다. 1914년 바넘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마루뼈 차이가 ''M. crassus'' 후모식표본이 늙은 개체이며 훼손되었기 때문이라고 결론내려 모노클로니우스가 우선권을 가진다고 주장했다.[40] 램은 1915년 논문에서 ''M. dawsoni''를 브라키케라톱스로, ''M. sphenocerus''를 스티라코사우루스로 옮기며 반박했다.[41]
이후 브라운과 램의 논쟁은 R.S. 럴이 1933년 "각룡류의 재검토"를 출판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럴은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의 동물이명이지만 아속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43]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는 1938년에 모노클로니우스형 화석이 더 이른 지층에서 발견되며 희귀하므로 조상 형태일 가능성을 제시했다.[44]
1990년대에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관계는 여전히 논쟁적이었다. 피터 도드슨은 ''M. crassus'' 후모식표본이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완모식표본과 프릴 가장자리에 얇은 뼈를 가졌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50] 1997년 스콧 샘슨은 ''M. crassus'' 후모식표본 및 유사 표본들이 어린 개체이거나 아성체이므로 의문명으로 간주했다.[51] 1998년 도드슨과 투마르킨은 뼈 구조가 유형보존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52] 2006년 마이클 라이언은 ''M. lowei'' 완모식표본이 예외적으로 큰 아성체라고 결론내렸다.[32]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가 의문명이라는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모식종인 ''M. crassus''만이 모노클로니우스에 포함되며, 몬태나 주 주디스강 층에서 발견된 후모식표본 프릴만이 유일한 표본이 되었다.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분류되었던 여러 종들은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아래는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된 종 목록이다.종 재분류 및 상태 M. albertensis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로 재분류 M. apertus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로 재분류 M. belli 카스모사우루스 벨리로 재분류 M. canadensis 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로 재분류 M. crassus 모식종, 의문명 M. cutleri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M. dawsoni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M. "fissus" 무자격명 M. flexus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M. lammersi 아바케라톱스 라메르시로 재분류 M. longirostris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의 동물이명 M. lowei 의문명 M. montanensis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로 재분류 M. nasicornus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 혹은 스티라코사우루스 알베르텐시스의 동물이명. 혹은 켄트로사우루스 나시코르누스 M. recurvicornis 뇌머리뼈, 세 개의 뿔, 뼈조각.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 M. sphenoceras 코뿔과 전상악골. 무자격명 혹은 의문명
4. 대중문화
찰스 R. 나이트는 1897년 코프를 위해 아가타우마스 스페노케루스(''Agathaumas sphenocerus'')를 그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보존된 두개골, 큰 코 뿔, 그리고 눈 위에 작은 뿔이 있는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비코르니스''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28] ''아가타우마스 스페노케루스''는 원래 모노클로니우스 속에 분류되었고, 나중에는 스티라코사우루스로 분류되었다.[28]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비코르니스''는 유효한 종일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새로운 속명을 받지 못했다.[28] 몸통은 O.C. 마쉬가 1896년에 묘사하고 그린 트리케라톱스 프르서스(''Triceratops prorsus'') 종의 더 완전한 골격을 기반으로 했다.[28] 이 그림은 1925년 영화 "잃어버린 세계"에서 아가타우마스 모델의 기초로 사용되었다.[29]
참조
[2]
논문
The status of the problematic taxon ''Monoclonius'' (Ornithischia: Ceratopsidae) and the recognition of adult-sized dinosaur taxa
https://gsa.confex.c[...]
[3]
논문
Descriptions of some vertebrate remains from the Fort Union Beds of Montana
[4]
논문
Why Monoclonius Cope Was Not Named for Its Horn: The Etymologies of Cope's Dinosaurs
1992-09
[5]
논문
On Reptilian remains from the Dakota Beds of Colorado
[6]
논문
The horned Dinosauria of the Laramie
[7]
서적
The Ceratopsia, Monograph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9
[8]
논문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9]
논문
On the squamoso-parietal crest of the horned dinosaurs ''Centrosaurus apertus'' and ''Monoclonius canadensis'' from the Cretaceous of Alberta
[10]
논문
A complete skull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from the Belly River of Alberta
[11]
논문
On ''Eoceratops canadensis'', gen. nov., with remarks on other genera of Cretaceous horned dinosaurs, ''Canada Geological Survey Museum Bulletin''
[12]
논문
A complete skeleton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and description of a second skeleton showing skin impressions
[13]
서적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14]
논문
''Monoclonius'' from southeastern Alberta compared with ''Centrosaurus''
[15]
논문
Ceratopsidae from Alberta
[16]
논문
The Edmonton Fauna and description of a New ''Triceratops'' from the Upper Edmonton Member: Phylogeny of the Ceratopsidae
[17]
서적
Ornithischia: Fossilium Catalogus I, Animalia, pars 105
[18]
간행물
"The gradual extinction of dinosaurs: face or artifact?"
[19]
간행물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
간행물
"On the status of the ceratopsids ''Monoclonius'' and ''Centrosaur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1]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x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22]
기타
"A heterochronic analysis of enigmatic ceratopsids"
[23]
논문
The horned dinosaurs of the Laramie
https://www.biodiver[...]
[24]
기타
Notes on the Fossil Vertebrates Collected on the Cope Expedition to the Judith River and Cow Island Beds, Montana, in 1876
[25]
간행물
On the status of the ceratopsids Monoclonius and Centrosauru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us apertus''
[28]
기타
"Review List of Casts, Models, and Photographs of fossil Vertebrates."
[29]
웹사이트
The Lost World: Marcel Delgado
http://silentmoviemo[...]
[30]
Youtube
''Prehistoric Beast'' digital restoration, as published on April 6, 2011 by the Phil Tippett Studio's official channel in Youtube
https://www.youtube.[...]
[31]
간행물
"The ge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32]
간행물
"[https://gsa.confex.com/gsa/2006NC/finalprogram/abstract_102994.htm The status of the problematic taxon ''Monoclonius'' (Ornithischia: Ceratopsidae) and the recognition of adult-sized dinosaur taxa.]"
[33]
논문
Why Monoclonius Cope Was Not Named for Its Horn: The Etymologies of Cope's Din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 12, No. 3
1992-09
[34]
논문
"Descriptions of some vertebrate remains from the Fort Union Beds of Montana"
[35]
논문
"On Reptilian remains from the Dakota Beds of Colorado"
[36]
논문
"The horned Dinosauria of the Laramie"
American Naturalist
1889
[37]
서적
The Ceratopsia, Monograph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9
1907
[38]
간행물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Geological Survey of Canada Contributions to Canadian Palaeontology"
1902
[39]
간행물
"On the squamoso-parietal crest of the horned dinosaurs ''Centrosaurus apertus'' and ''Monoclonius canadensis'' from the Cretaceous of Alberta"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Canada, series 2"
1904
[40]
간행물
"A complete skull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from the Belly River of Albert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14
[41]
간행물
"On ''Eoceratops canadensis'', gen. nov., with remarks on other genera of Cretaceous horned dinosaurs"
"Canada Geological Survey Museum Bulletin 12, Geological Series"
1915
[42]
간행물
"A complete skeleton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and description of a second skeleton showing skin impression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1917
[43]
간행물
"A revision of the Ceratopsia or horned dinosaurs"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1933
[44]
논문
"''Monoclonius'' from southeastern Alberta compared with ''Centrosaurus''"
"Journal of Palaeontology"
1938
[45]
논문
"Ceratopsidae from Alberta"
"Journal of Palaeontology"
1940
[46]
간행물
"The Edmonton Fauna and description of a New ''Triceratops'' from the Upper Edmonton Member: Phylogeny of the Ceratopsidae"
"Annual Report of the National Museum of Canada, Bulletin"
1949
[47]
서적
Ornithischia: Fossilium Catalogus I, Animalia, pars 105
1964
[48]
간행물
"The gradual extinction of dinosaurs: face or artifact?"
"Fourth Symposium on Mesozoic Terrestrial Ecosystems, Short Papers"
1987
[49]
서적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0
[50]
서적
"On the status of the ceratopsids ''Monoclonius'' and ''Centrosaur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0
[51]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x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997
[52]
논문
"A heterochronic analysis of enigmatic ceratopsi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998
[53]
서적
"Neoceratop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90
[54]
서적
"Ornithischian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2005
[55]
간행물
"Upper Cretaceous dinosaur faunas of North America"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30
[56]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57]
Youtube
Prehistoric Beast digital restoration, as published on April 6, 2011 by the Phil Tippett Studio's official channel in Youtub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