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키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키케라톱스(Brachyceratops)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번성했던 초식성 각룡류 공룡의 일종이다. 1913년 몬태나 주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1914년 명명되었으며, 짧은 주둥이와 작은 뿔, 목 부위의 프릴을 특징으로 한다. 어린 개체 화석만 발견되어 모노클로니우스의 유아 형태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2011년 연구를 통해 루베오사우루스의 어린 개체로 밝혀졌다. 브라키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며, 현재는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문명 - 폴리오낙스
    폴리오낙스는 1873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불분명한 분류의 각룡류로 여겨지며, 뿔과 프릴을 가진 사족보행 초식 공룡으로 추정된다.
  • 의문명 - 아가타우마스
    아가타우마스는 1872년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한때 육상 동물 중 가장 큰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불확실한 분류로 트리케라톱스의 화석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 찰스 휘트니 길모어가 명명한 분류군 - 테스켈로사우루스
    테스켈로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으며, 튼튼한 체형의 이족 보행 초식 공룡으로, 굴을 파는 습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최근 연구를 통해 흔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찰스 휘트니 길모어가 명명한 분류군 - 알라모사우루스
    알라모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만 발견되었지만 몸길이가 26~30m에 달하며, 기원에 대해서는 남아메리카 기원설과 아시아 기원설이 존재하고 백악기 대멸종 이후 생존 가능성도 논의된다.
  • 19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카스모사우루스
    카스모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각룡류 공룡 속으로, 길고 넓은 프릴과 짧은 뿔이 특징이며 카스모사우루스 벨리와 카스모사우루스 루셀리 두 종이 유효하다.
  • 19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고르고사우루스
    고르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미에 살았던 몸길이 8~9m의 티라노사우루스과 육식 공룡으로, 알베르토사우루스와 가까운 친척이며 성장 계열이 잘 알려져 있고, 성장 단계에 따라 식단이 변화했다.
브라키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홀로타입 표본 USNM 7951, 스미소니언에 전시됨
브라키케라톱스속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
명명자길모어, 1914년
시기백악기 후기,

2. 발견과 종

1913년 8월, 찰스 휘트니 길모어와 그의 조수 J. F. 스트레이어는 몬태나 주 북부 티턴 카운티 블랙풋 인디언 보호구역의 투메디신 층(샹파뉴절, 7400만년 전)에서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Brachyceratops montanensis'')의 화석을 처음 발견했다.[15] 1년 후, 길모어는 이 화석을 바탕으로 브라키케라톱스 속을 명명하고 보고했다. 속명은 "짧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브라키스'(βραχύς), "뿔"을 의미하는 '케라스'(κέρας), "얼굴"을 의미하는 '옵스'(ὤψ)를 조합한 것으로, 주둥이가 짧은 특징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몬태나 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6]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될 표본을 노만 로스가 최종 손질하고 있다.


발견된 화석은 몸길이 약 1.5m 정도의 어린 개체 5마리의 불완전하고 뒤섞인 골격이었다.[15] 이들은 한 둥지에서 태어나 함께 자랐을 것으로 추정된다.[15] 완모식표본은 '''USNM 7951'''로 지정된 불완전한 두개골이다. 부모식표본으로는 USNM 7952(주둥이), USNM 7953(골격 일부와 두개골), USNM 7957(발) 등이 있다. 이 표본들은 분리되어 있지만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17] 1917년, 길모어는 브라키케라톱스에 대한 전문 논문을 발표하면서 골격 전체를 재구성한 복원도를 함께 실었다.[18]

1939년, 길모어는 이전에 발견된 표본들보다 큰 아성체 표본인 USNM 14765를 브라키케라톱스로 분류했다.[19] 모든 표본들은 현재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으며,[15] 복원된 전체 골격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오랫동안 브라키케라톱스의 표본은 어린 개체 5마리와 아성체 표본 1개만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각룡류 공룡, 특히 모노클로니우스의 미성숙한 형태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15][14] 그러나 2011년까지 발표된 몇몇 연구에 따르면, USNM 14765 표본은 충분히 성장한 상태이며, 이후 루베오사우루스의 어린 개체로 판명되었다.

3. 두개골

최초에 발견된 다섯 개의 표본 중 두개골은 몸통과 분리되어 일부가 유실된 상태로 세 개가 발견되었다.[15] 이 두개골에서 눈 위에 트리케라톱스와 같은 완전한 뿔 대신에 작은 돌기에 가까운 것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5] 코 위의 뿔은 굵고 낮게 위치하고 있었으며 목의 프릴은 어느 정도 컸다.[15] 불행히도 이 표본들은 불완전해서 어떤 각룡류 공룡들처럼 프릴의 마루뼈에 구멍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15]

4. 분류

1913년 찰스 휘트니 길모어와 그의 조수 J.F. 스트레이어가 몬태나 주 북부 티턴 카운티 블랙풋 인디언 보호구역의 투메디신 층(샹파뉴절, 7400만년)에서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Brachyceratops montanensis'')를 처음 발견했다.[15] 속명은 "짧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브라키스'와 "뿔"이라는 의미의 '케라스', "얼굴"이라는 의미의 '옵스'를 조합한 것으로 주둥이가 짧은 것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몬태나 주의 이름을 땄다.[16]

발견된 화석은 몸길이 약 1.5m 정도의 불완전하고 뒤죽박죽이 된 다섯 마리의 어린 개체들이었다.[15] 완모식표본은 '''USNM 7951'''로 불완전한 두개골이며, 부모식표본은 USNM 7952 의 주둥이, USNM 7953 의 골격 일부와 두개골, 그리고 USNM 7957 인 발 등이다.[17] 1939년에는 길모어가 위의 표본들보다 큰 아성체 표본 USNM 14765를 브라키케라톱스로 분류했다.[19] 모든 표본들은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15]

브라키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지만, 어린 개체의 표본들만 알려져 있어 정확한 위치는 정하기 힘들었다. 1997년 스코트 샘슨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재조사하고 각룡류를 구분하는 많은 특징들은 성체가 된 이후에야 나타나기 때문에 이미 알려진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어린 형태인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지적하며, 브라키케라톱스를 의문명으로 분류했다.[20]

2007년 마이클 J. 라이언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가 스티라코사우루스 오바투스(''Styracosaurus ovatus'')의 어린 개체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종은 후에 루베오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13] 2011년의 연구에서는 브라키케라톱스의 가장 성숙한 표본인 USNM 14765가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공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루베오사우루스만의 파생형질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같은 연구에서 브라키케라톱스의 완모식표본이 너무 불완전하고 어린 개체이기 때문에 종을 결정지을 만한 파생형질을 찾아볼 수 없고, 따라서 브라키케라톱스는 루베오사우루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지는 동물이명이 아니라 의문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브라키케라톱스는 각룡류의 일종으로, 앵무새와 같은 부리를 가진 초식공룡이며, 백악기 후기(약 6500만 년 전까지) 북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 대륙에서 번성했다. 모든 각룡류는 K-T 경계에서 멸종했다.

5. 고생태

''브라키케라톱스''와 함께 살았던 공룡으로는 기저 조각류인 ''오로드로메우스'', 하드로사우루스과 (''하이파크로사우루스'', ''마이아사우라'', ''프로사우롤로푸스'' 등),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스텔라사우루스''와 ''아이니오사우루스'', 안킬로사우루스인 ''에드몬토니아''와 ''유오플로케팔루스'', 티라노사우루스과의 ''다스플레토사우루스''(각룡류를 잡아먹는 데 특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소형 수각류인 ''밤비랩터'', ''키로스테노테스'', ''트로오돈'', ''아비사우루스'' 등이 있다.

브라키케라톱스는 다른 모든 각룡류 공룡과 마찬가지로 초식성이었다. 백악기에는 이른바 속씨식물의 분포가 아직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당시 우점종이었던 양치류소철, 그리고 침엽수 종류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룡류의 날카로운 부리는 그러한 식물의 잎(침엽)을 갉아먹기 위한 것이었다고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A revision of the late Campanian centrosaurine ceratopsid genus ''Styracosaurus'' from the Western Interior of North America http://www.bio.ucalg[...] 2010-08-19
[2] 서적 "New Material of "Styracosaurus" ovatu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3] 서적 Brachyceratops
[4] 간행물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tana, with note on ''Hypacrosaurus''" https://repository.s[...]
[5] 서적 The Horned Dinosaurs —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Brachyceratops',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notes on associated fossil reptiles" https://pubs.er.usgs[...]
[7] 간행물 "Ceratopsian dinosaur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Montana"
[8]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ph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9] 논문 A Subadult Specimen of Rubeosaurus ovatus (Dinosauria: Ceratopsidae), with Observations on Other Ceratopsid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10] 논문 A Subadult Specimen of Rubeosaurus ovatus (Dinosauria: Ceratopsidae), with Observations on Other Ceratopsid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11] 문서 ギルモアは、5体が発見された場所よりも1マイル下流で発見した亜成体の個体もブラキケラトプスであると主張している。これを加えれば6体である。
[12] 서적 Brachyceratops
[13] 논문 A revision of the late Campanian centrosaurine ceratopsid genus ''Styracosaurus'' from the Western Interior of North America http://www.bio.ucalg[...] 2010-08-19
[14] 서적 "New Material of "Styracosaurus" ovatu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15] 서적 Brachyceratops
[16] 간행물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tana, with note on ''Hypacrosaurus''"
[17] 서적 The Horned Dinosaurs —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Brachyceratops',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notes on associated fossil reptiles" http://pubs.er.usgs.[...]
[19] 간행물 "Ceratopsian dinosaur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Montana"
[20] 논문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ph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losone.o[...] 2015-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