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니터링과 평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니터링과 평가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핵심적인 도구이다. 모니터링은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며, 평가는 활동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다. 모니터링은 단기적인 평가로, 진행 상황에 대한 조기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평가는 결과와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의 의사 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교훈과 권고 사항을 제공한다. 성과 측정은 모니터링과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국제 사회, 특히 유엔 기구들은 모니터링과 평가를 위한 기준과 지침을 마련하여 프로젝트의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가 - 설명책임
    설명책임은 개인이나 조직이 자신의 행동과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그 결과를 설명해야 하는 의무를 뜻하며,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선거 외에도 시민 사회 활동이나 여론 조사 등으로 추궁될 수 있으며, 조직 내부 윤리, 보안, 개인의 책임과 공공-민간 영역의 책임 공백 문제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확보 및 강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평가 - REACH
    REACH는 유럽 연합의 화학 물질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에 관한 규정으로, 사람의 건강과 환경 보호, EU 화학 산업 경쟁력 강화, 그리고 고위험성 물질의 대체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모니터링과 평가
개요
분야국제 개발
보건
환경 보호
사회 정책
목적
모니터링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추적
평가프로그램의 효과와 영향 평가
주요 활동
모니터링데이터 수집
지표 추적
정기 보고서 작성
평가평가 질문 정의
평가 설계 개발
데이터 분석
결과 보고
유형
모니터링활동 모니터링
결과 모니터링
재정 모니터링
평가형성 평가
총괄 평가
영향 평가
경제적 평가
중요성
모니터링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
책임성 강화
효율성 향상
평가프로그램 개선
학습 촉진
자원 할당 최적화
과제
모니터링과 평가
모니터링과 평가(Monitoring and Evaluation, M&E)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필수 도구
주요 목표사업의 성공적인 수행 및 목표 달성
모니터링사업 진행 상황의 지속적 추적 및 점검
평가사업의 효과성, 효율성, 지속가능성, 관련성, 영향력 분석
모니터링
주요 활동사업 계획 대비 실적 비교 분석
문제점 및 개선점 파악
사업 진행 상황 보고
방법정기적인 현장 방문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필요 역량데이터 분석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평가
주요 활동평가 질문 정의
평가 설계 및 방법론 결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평가 결과 보고
방법질적 연구 방법 (인터뷰, 사례 연구 등)
양적 연구 방법 (통계 분석, 설문 조사 등)
혼합 방법 (질적 및 양적 연구 방법 결합)
필요 역량평가 설계 능력
데이터 분석 능력
보고서 작성 능력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 구축
핵심 요소명확한 목표 설정
적절한 지표 선정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구축
평가 계획 수립
평가 결과 활용 체계 구축
성공적인 M&E 시스템사업의 효율성 및 효과성 향상에 기여
ODA 사업 M&E
특징개발 효과성 제고 목표
수원국과의 협력 강조
결과 중심의 평가
성과 지표 체계화 방안사업 목표와 연계된 지표 설정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지표 개발
지표의 정기적 측정 및 분석

2. 모니터링 (Monitoring)

모니터링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확인하는 과정이다.[1] 효과적인 모니터링은 개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과거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파악하여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는다.[4]

2. 1. 모니터링의 목적

모니터링은 진행 중인 평가 활동의 진행 상황이나 지연에 대해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자세한 조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속적인 평가이다.[1] 이는 활동의 이행 단계를 감독하는 것이다. 모니터링의 목적은 계획된 산출물, 결과물이 일정에 맞춰 달성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가능한 한 빨리 결함을 수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2. 효과적인 모니터링

효과적인 모니터링은 개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4] 모니터링을 통해 과거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파악하여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는다.[4] 이를 통해 현재 및 미래의 계획을 개선하여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3. 평가 (Evaluation)

평가는 특정 목표를 기준으로 프로젝트, 프로그램, 정책 등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영향, 지속 가능성 등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다. 평가는 종종 회고적이지만, 그 목적은 본질적으로 미래 지향적이다.[5]

2005년 2월 파리 원조 효과성 선언과 아크라에서 열린 후속 회의에서는 평가 과정의 중요성과 프로젝트 주최국의 주도권에 대해 강조했다. 현재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M&E(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그 추세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6]

3. 1. 평가의 목적

평가는 특정 목표에 비추어 활동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영향 및 지속 가능성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2] 프로젝트 평가의 목적은 오류를 찾아내어 반복을 피하고, 현재 및 미래 프로젝트에 대한 성공적인 메커니즘을 강조하고 홍보하는 것이다.

평가의 중요한 목표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프로젝트 관리자 및 실행 팀과 유사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작업할 사람들에게 권고 사항과 교훈을 제공하는 것이다.

평가는 또한 간접적으로 기부자에게 수행된 활동을 보고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기부된 자금이 잘 관리되고 투명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이다. 평가자는 예산 항목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작업에서 결과를 보고해야 한다.[3]

모니터링 및 평가는 시설(병원)에서도 유용하며, WHO 및 유니세프와 같은 기부자가 제공된 자금이 병원에서 의약품 및 장비 구매에 잘 활용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3. 2. 평가의 활용

평가는 현재 및 미래 프로그램에 대한 결정에 교훈과 권고 사항을 적용한다.[5] 또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정부의 지원을 받고, 공공 또는 민간 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며, 다양한 활동에 대해 일반 대중에게 알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4. 모니터링과 평가의 차이점

모니터링과 평가는 둘 다 관리 도구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모니터링은 업무 범위에 따라 진행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정보 수집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평가는 평가 중에 또는 평가를 위해 데이터 및 정보 수집이 이루어진다. 모니터링은 단기적인 평가이며 결과와 영향은 고려하지 않지만, 평가 프로세스는 결과와 때로는 장기적인 영향까지 평가한다. 이러한 영향 평가는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때때로 이루어지지만, 관찰된 결과에 대한 책임이 프로젝트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드물게 이루어진다.[2]

모니터링에서 피드백과 권고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필수적이지만, 평가는 그렇지 않다. 평가는 매월 또는 매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되는 반면, 모니터링은 지속적인 평가이며 이해 관계자에게 조기 정보를 제공한다.

모니터링은 마지막 [실행 단계]의 모든 활동을 점검하지만, 평가는 기부된 자금이 잘 관리되고 투명하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5. 성과 측정 (Performance Measurement)

성과 측정은 모니터링 및 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시행 전에 목표 결과와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선택해야 한다.[7]

5. 1. 성과 지표

프로젝트 시행 전에 목표 결과와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해야 한다. 성과 지표는 기준선(프로젝트 시작 전 상황)과 목표(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예상되는 상황)로 구성된다. 산출 지표는 기준선이 없다. (산출물의 목적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도입하는 것이기 때문)[7]

6. 국제 사회와 M&E

2005년 2월 파리 원조 효과성 선언과 아크라 후속 회의는 평가 과정의 중요성과 프로젝트 주최국의 주도권을 강조했다. 현재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M&E(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그 추세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6]

6. 1. 유엔(UN)과 M&E

대부분의 유엔 전문 기구는 모니터링 및 평가 부서를 갖추고 있다. 이 모든 기구는 유엔 평가 그룹(UNEG)의 공통 기준을 따라야 한다. 이러한 기준은 평가 기능의 제도적 틀과 관리, 역량 및 윤리, 그리고 평가 수행 및 보고서 작성 방식(설계, 프로세스, 팀 선정, 실행, 보고 및 후속 조치)에 관한 것이다. 이 그룹은 또한 유엔에 속해 있거나 그렇지 않은 모든 평가 기관에 지침과 관련 문서를 제공한다.[8]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대부분의 기구는 공통 UNEG 표준을 따르더라도 자체적인 M&E 수행 지침 및 매뉴얼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UN 기구는 서로 다른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M&E에 접근하는 방식과 필요도 다르다. 유엔 공동 감찰반은 28개 참여 기관의 평가 기능을 정기적으로 전반적으로 검토한다.[9]

7. 한국의 M&E 현황과 과제

한국은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모니터링과 평가(M&E)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M&E 관련 지침 및 매뉴얼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Handbook on Monitoring and Evaluating for Results http://web.undp.org/[...]
[2] 간행물 A UNICEF Guide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 Making a Difference http://library.cphs.[...] 2020-02-27
[3] 간행물 US Spending in Haiti: The Need for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4] PDF http://web.undp.org/[...] 2022-03
[5] 저널 Impact, theory of change, and the horizons of scientific practice 2020-08-25
[6] 웹사이트 Why is it important to strengthen Civil Society's evaluation capacity? | MY M&E http://www.mymande.o[...] mymande.org 2014-05-27
[7] 간행물 Handbook on Monitoring and Evaluating for Results http://web.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evaluation office
[8] 웹사이트 About http://www.uneval.or[...] United Nations Evaluation Group (UNEG) 2014-05-27
[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Joint Inspection Unit https://www.unjiu.or[...]
[10] 서적 Handbook on Monitoring and Evaluating for Results http://web.undp.org/[...] 2020-01-07
[11] 웹인용 A UNICEF Guide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 Making a Difference http://library.cphs.[...] 2020-01-07
[12] 저널 공공행정 분야 ODA사업 모니터링과 평가(M&E)를 위한 성과지표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https://www.dbpia.co[...] 2020-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