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뿔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뿔근은 모뿔연골 뒤쪽의 오목한 면을 채우는 근육으로, 빗모뿔근과 가로모뿔근으로 구성된다. 양쪽 되돌이후두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양쪽 모뿔연골을 가깝게 하여 성대문의 구멍을 닫는 기능을 한다. 되돌이후두신경의 기능 평가를 위한 근전도 검사에 활용되며, 갑상샘절제술 시 신경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개와 같은 동물에게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모뿔근 | |
---|---|
일반 정보 | |
![]() | |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arytaenoideus |
위치 및 부착 | |
이는곳 | 한쪽 모뿔연골 |
닿는곳 | 반대쪽 모뿔연골 |
혈액 공급 | |
동맥 | 위후두동맥 |
신경 분포 | |
신경 |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신경 가지 |
기능 | |
작용 | 모뿔연골을 서로 가깝게 하여 성대문틈새를 닫는다. |
2. 구조
모뿔근은 모뿔연골 뒤쪽의 오목한 면을 채우고 있으며, 한쪽 모뿔연골의 뒷면과 가쪽 경계에서 시작하여 반대쪽 모뿔연골의 뒷면과 가쪽 경계에 닿는다.[4]
2. 1. 구성
모뿔근은 모뿔연골 뒤쪽의 오목한 면을 채우고 있는데, 한쪽 모뿔연골의 뒷면과 가쪽 경계에서 시작하여[4] 반대쪽 모뿔연골의 뒷면과 가쪽 경계에 닿는다. 빗모뿔근과 가로모뿔근으로 구성되어 있다.[4]2. 2. 신경 분포
미주신경(10번 뇌신경)의 가지인 되돌이후두신경이 모뿔근에 분포한다.[5] 모뿔근은 다른 한 쌍으로 이루어진 후두 근육들과 다르게 양쪽 되돌이후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6]3. 기능
모뿔근은 양쪽 모뿔연골을 가깝게 한다. 이로 인해 (특히 뒤쪽) 성대문의 구멍이 닫히면서 성대의 뒤쪽 연결부가 없어진다.
4. 임상적 중요성
모뿔근의 기능은 반회 후두 신경의 기능을 알아보는 좋은 방법이다.[2]
4. 1. 근전도 검사
모뿔근의 기능은 되돌이후두신경(반회 후두 신경)의 기능을 알아내는 데에 좋은 방법이다.[5][2] 갑상샘절제술과 같은 목 수술을 할 때 목뿔근의 근전도 검사를 계속 측정하여 되돌이후두신경이 손상되지 않았다는 것을 외과의들이 확인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5] 모뿔근의 지속적인 근전도 검사는 이비인후과 수술, 예를 들어 갑상선 절제술과 같은 목 수술 중 외과의사들에게 반회 후두 신경이 손상되지 않았다는 확신을 줄 수 있다.[2]5. 다른 동물들에서
6.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www.worldcat[...]
[2]
논문
Modified arytenoid muscle electrode recording method for neuromonitoring during thyroidectomy
2019-10
[3]
논문
イヌ披裂筋の構造と運動神経支配に関する研究
https://www.jstage.j[...]
1991
[4]
간행물
Anatomy, Head and Neck, Larynx Arytenoid Cartilag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7-21
[5]
논문
Modified arytenoid muscle electrode recording method for neuromonitoring during thyroidectomy
2019-10
[6]
논문
イヌ披裂筋の構造と運動神経支配に関する研究
https://www.jstage.j[...]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