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비인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비인후과는 귀, 코, 목의 질환을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귀', '코', '후두', '연구'의 조합에서 유래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의과대학 졸업 후 5~7년의 수련 과정을 거치며, 이후 하위 전문 분야에서 펠로우십을 받을 수 있다. 하위 전문 분야로는 두경부 종양 수술, 이과학, 비과학, 소아 이비인후과학, 후두학, 안면 성형 및 재건 수술, 수면 의학 등이 있다.

2. 어원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네 개에서 파생된 신 라틴어 고전 결합 형태(''oto-'' + ''rhino-'' + ''laryngo-'' + ''-logy'')의 조합이다. (참조: 그리스어 ωτορινολαρυγγολόγος|이비인후과 의사el).

순서그리스어 단어의미설명
1οὖς|ousgrc이 단어의 속격은 ὠτός|otosgrc이다.
2ῥίς|rhisgrc
3λάρυγξ|larynxgrc후두
4-λογία|logiagrc연구


3. 수련 과정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평균 5~7년 동안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수련을 받는다.[2] 수련 과정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 교육 및 수련 기간은 총 12~14년이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수련을 평균 5~7년 동안 받아야 한다. 여기에는 일반외과 수련 3~6개월과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전문 수술 4년 6개월이 포함된다.[2] 레지던트 수련 후에는 일부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의사들이 1~2년의 고급 하위 전문 분야 펠로우십을 완료하기도 한다. 펠로우십에는 두경부 외과 종양학, 안면 성형 수술, 비과학 및 부비동 수술, 신경이과, 소아 이비인후과, 후두학 등이 있다.[3][4]

3. 2. 미국 및 캐나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비인후과 전문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MD, DO, MBBS, MBChB 등) 5~7년 동안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수련을 받는다.[2] 미국에서는 수련생들이 최소 5년의 외과 레지던트 수련을 받는데,[2] 여기에는 일반외과 수련 3~6개월과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전문 수술 4년 6개월이 포함된다.

레지던트 수련 후, 일부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의사들은 1~2년의 고급 하위 전문 분야 펠로우십을 완료한다. 펠로우십에는 두경부 외과 종양학, 안면 성형 수술, 비과학 및 부비동 수술, 신경이과, 소아 이비인후과, 후두학 등이 포함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비인후과는 의과대학 졸업 후 레지던트 자리를 얻는 것이 가장 경쟁적인 의학 전문 분야 중 하나이다.[3][4] 2022년 평균 연간 소득은 469000USD였다.[6]

3. 3. 영국

영국에서는 상위 외과 수련 진입이 경쟁적이며 엄격한 국가 선발 과정을 거친다.[5] 수련 프로그램은 6년의 상위 외과 수련으로 구성되며, 이후 수련생들은 컨설턴트가 되기 전에 하위 전문 분야에서 펠로우십을 받는 경우가 많다.

고등학교 졸업 후 일반적인 총 교육 및 수련 기간은 12~14년이다.

4. 하위 전문 분야

두경부 종양 수술안면 성형 및 재건 수술*이과학신경이과학*비과학/부비동/전두개저 수술후두 및 음성 질환소아 이비인후과학*수면 의학*
외과 종양학, 미세 혈관 재건술, 내분비 외과안면 미용 수술, 악안면 수술, 외상 재건, 두개안면 수술귀, 중이 및 내이, 측두골, 인공 와우 / 골도 보청기청력, 균형, 어지럼증, 인공 와우/골도 보청기부비동염, 알레르기, 두개저 수술, 전두개저, 내시경 수술음성 장애, 음성 수술, 삼킴 장애, 기관절개술연구개열 부전, 구순구개열, 혈관 기형수면 장애, 수면 무호흡증 수술, 무호흡 및 코골이, 수면 검사



(*현재 미국 의학 전문 분야 분과 위원회에서 인정)


  • 두경부 종양 외과: 두경부(머리와 목)의 암/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외과 분야
  • 두경부 점막 악성 종양 (상부 호흡 소화관, 즉 입, 코, 목구멍 안쪽의 분홍색 내벽 암):
  • 구강암 (입술, 잇몸, 혀, 경구개(입천장), 뺨, 구강 바닥의 암)
  • 구강인두암 (구강인두, 연구개, 편도, 혀 기저부의 암)
  • 후두암 (성대 암)
  • 하인두암 (하부 인두 암)
  • 부비동암, 비인두암
  • 두경부 피부암, 갑상선암, 타액선암, 두경부 육종
  • 두경부 내분비 외과: 갑상선 수술, 부갑상선 수술
  • 미세 혈관 유리 피판 재건 수술: 환자의 신체에서 복합 조직 조각(피부, 뼈, 지방, 근육 등)을 떼어내 머리와 목 부위로 옮기는 수술[8]로, 후두와 인두, 구강, 침샘, 턱, 두개골, 부비동, 혀 및 피부의 암을 포함한 머리 및 목 부위의 암 치료에 사용되며, 조직 이식편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지름 1~3mm)을 목의 새로운 혈관에 현미경으로 연결한다.
  • 두개저 수술: 외이, 중이, 유양돌기(귀 뒤쪽 뼈), 내이 및 주변 구조(안면 신경 및 측두개저 등)의 질병 연구
  • 외이 질환: 외이도염(외이 또는 외이도 염증), 외골종 또는 서퍼의 귀(외이도에 뼈가 자라는 현상)[7]
  • 중이 및 유양돌기 질환: 중이염(중이 염증), 고막 천공(감염, 외상, 폭발 또는 큰 소리로 인한 고막 구멍), 유양돌기염
  • 내이 질환: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미로염/전정 신경염, 메니에르병/내림프 수종, 이림프 누공, 청신경초종, 전정 신경초종
  • 안면 신경 질환: 특발성 안면 마비(벨 마비), 안면 신경 종양, 람세이 헌트 증후군
  • 증상: 난청, 이명(귀에서 주관적인 소리), 이충만감(귀의 꽉 찬 느낌), 이통(귀로 전해지는 통증), 이루(귀에서 액체 배출), 어지럼증, 불균형
  • 비과학: 코 기능 장애와 부비동 질환
  • 코 막힘: 하비갑개 비대 (코 안쪽 살이 커짐), 비중격 만곡증 (코 가운데 뼈가 휘어짐), 코 폴립을 동반한 만성 부비동염
  • 부비동염(급성, 만성), 환경 알레르기, 비염, 뇌하수체 종양, 빈 코 증후군, 심각하거나 재발하는 코피
  • 소아 이비인후과: 아데노이드 절제술, 부식성 물질 섭취, 윤상기관 절제술, 기관절개술 제거, 후두연화증, 후두기관 재건술, 고막 절개술 및 튜브 삽입, 소아 수면 무호흡증, 편도 절제술
  • 후두학: 발성장애/애성 (쉰 목소리), 후두염, 뢴케 부종, 성대 결절 및 성대 폴립, 연축성 발성장애, 기관절개술, 후두암, 발성학(음성 재활)
  • 쉰 목소리(사성) 원인: 성문이 제대로 진동하지 않아서 생기며, 조형성 사성(성대 폴립, 폴립양 성대(흡연이 원인)[9], 성문암) , 기식성 사성(반회 신경 마비 등)으로 분류됨.
  • 안면 성형 및 재건 수술: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위한 1년 과정의 펠로우십(전문의 자격 취득 후 추가 수련 과정)
  • 코 성형술 및 비중격 성형술, 안면 거상술, 눈썹 거상술, 눈꺼풀 성형술, 이개 성형술 (귀 성형), 턱 성형술, 주사 가능한 미용 치료
  • 얼굴의 외상: 코뼈 골절, 하악골 골절, 안와 골절, 전두동 부비동 골절, 복잡한 열상 및 연조직 손상, 피부암 (예: 기저 세포 암종)
  • 수면 수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잠잘 때 숨을 잘 못 쉬는 증상)을 완화하는 수술
  • 비강 / 비인두: 비중격 성형술, 아데노이드 절제술 (특히 소아과에서)
  • 구강 / 구인두: 편도 절제술 (특히 소아과에서), 구개인두 성형술, 경구강 정중선 설절제술, 이설근 전진술
  • 기타: 설골 현수술, 상악골 및 하악골 전진술, 설하 신경 자극기 삽입
  • 이과학: 귀의 모든 것(바깥귀, 가운데귀, 속귀)에 대한 학문
  • 외이염, 중이염, 이성 대상 포진 (람세이 헌트 증후군(Ramsay-Hunt syndrome영어)), 메니에르병(Ménière프랑스어병),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기증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영어),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onitis영어), 약물에 의한 속귀 장애,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코피, 상악동암, 코물혹
  • 구강외과와 연계되는 분야: 편도염, 편도 비대, 인두 편도 비대증
  • 후두과학: 후두암, 쉰 목소리(사성)
  • 두경부외과: 뇌와 안구를 제외한 머리의 외과적 치료
  • 인두 악성 종양(상인두암, 중인두암, 하인두암 등), 후두 악성 종양(성문상암, 성문암, 성문하암 등), 비부비동 악성 종양(상악동암 등), 침샘암(이하선암, 악하선암 등), 갑상선암, 안면 외상

5. 관련 학회

학회명
두개저 외과학
두경부 외과학
신경이과학
어지럼증 평형 의학
비과학
안면 신경
수면 무호흡
음성 외과학
연하학
안면 외상


참조

[1] 서적 otolaryngologist Elsevier Health Sciences 2009
[2] 웹사이트 Otolaryngology Specialty Description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4-10-30
[3] 웹사이트 Is There a Crisis in the Otolaryngology Match? https://www.enttoday[...] 2020-04-16
[4] 웹사이트 National Residency Match Program 2020 https://web.archive.[...] 2020-04-02
[5] 웹사이트 Training and development (otorhinolaryngology) https://www.healthca[...] 2020-04-16
[6] 웹사이트 Medscape, Otolaryngologist Compensation Report 2022 https://www.medscape[...]
[7] 웹사이트 Exostoses (Surfer's Ear) https://stanfordheal[...] 2024-07-21
[8] 웹사이트 Microvascula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 Conditions & Treatments https://www.ucsfheal[...] 2018-12-06
[9] 서적 声帯の病気 https://kompas.hosp.[...] 慶應義塾大学病院 2012-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