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은 뇌에서 기원하여 머리와 목 부위의 감각 및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12쌍의 신경을 의미한다. 각 뇌신경은 고유한 이름과 번호를 가지며, 후각, 시각, 안구 운동, 얼굴 표정, 청각, 미각, 삼킴, 어깨 및 혀의 움직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뇌신경은 뇌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뇌졸중, 외상, 종양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뇌신경 검사를 통해 뇌신경의 기능 이상을 평가하며, 다른 척추동물에게도 존재한다. 뇌신경에 대한 연구는 갈레노스 시대부터 시작되어, 18세기 사무엘 쑴메링에 의해 현재의 12쌍으로 정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뇌신경 - 삼차신경 삼차신경은 뇌신경 중 하나로, 얼굴과 입의 감각 및 저작근 운동을 담당하며, 눈신경, 위턱신경, 아래턱신경의 세 가지 가지로 구성되고, 삼차신경통 등 다양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뇌신경 - 미주신경 미주신경은 뇌에서 시작하여 내장을 지배하며 심박수 조절, 위장관 운동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미주신경 자극술은 치료에 사용되며 기능 장애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뇌신경은 구조나 기능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예를 들어 후각 신경(I)은 냄새를, 얼굴 신경(VII)은 얼굴 근육을 담당한다. 뇌신경이 처음 기록될 당시 라틴어가 해부학 연구의 공용어였기 때문에, 많은 뇌신경이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르래신경(IV)은 도르래(trochleael)에 부착되는 근육에 분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삼차 신경(V)은 세 개의 구성 요소(는 세 쌍둥이를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미주 신경(X)은 광범위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27]
뇌신경은 뇌의 앞쪽에서 뒤쪽(전두-미측)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6]앞뇌와 뇌간를 아래에서 보면 뇌신경 번호를 순서대로 볼 수 있다. 후각 신경(I)과 시신경(II)은 앞뇌 기저부에서 발생하고, 나머지 뇌신경(III~XII)은 뇌간에서 발생한다.[6]
뇌신경은 두개골 안팎으로 경로를 가진다. 두개골 내 경로는 "두개 내", 두개골 외부 경로는 "두개 외"라고 한다. 뇌신경이 두개골에서 빠져나가는 구멍을 "foramina"라고 한다. 모든 뇌신경은 쌍으로 존재하며, 신체의 좌우 양쪽에 모두 존재한다. 신경이 기원하는 쪽과 같은 쪽에 있는 근육, 피부 또는 추가 기능은 ''동측'' 기능, 반대쪽에 있는 경우는 ''대측'' 기능이라고 한다.[7]
육안적으로 모든 뇌신경은 핵을 가진다. 후각 신경(I)과 시신경(II)을 제외한 모든 핵은 뇌간에 존재한다.[2]
각 신경은 여러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신경을 구성하는 신경 섬유는 둘 이상의 핵에 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각과 운동 역할을 하는 삼차 신경(V)은 최소 4개의 핵을 가진다.[8][13]
뇌신경은 머리 신경 능선과 외배엽 기원 플라코드라는 두 가지 특화된 배아 세포 집단의 기여로 형성된다. 머리의 감각 신경계 구성 요소는 신경 능선과 인접하여 발달하는 배아 세포 집단인 두개 감각 플라코드(후각, 렌즈, 이개, 삼차, 상새, 고실 주위 플라코드)에서 유래한다.
'''신경 능선 세포와 플라코드가 신경절 및 뇌신경에 기여'''
뇌신경
신경절 및 유형
뉴런의 기원
CNI – 후각
텔렌케팔론/후각 플라코드; 앞뇌의 NCCs
CNIII – 눈돌림
섬모체, 내장 원심성
앞뇌-중간뇌 접합부(미측 간뇌 및 전방 중간뇌)의 NCCs
CNV – 삼차
삼차, 일반 구심성
앞뇌-중간뇌 접합부(r2에서 1 PA로), 삼차 플라코드의 NCCs
CNVII – 얼굴
-상부, 일반 및 특수 구심성
-후뇌 NCCs(r4에서 2nd PA로), 1st 상새 플라코드
CNVIII – 속귀
-음향: 와우, 특수 구심성; 및 전정, 특수 구심성
-이개 플라코드 및 후뇌 (r4에서) NCCs
CNIX – 설인두
-상부, 일반 및 특수 구심성
-후뇌 NCCs (r6에서 3rd PA로)
CNX – 미주
-상부, 일반 구심성
-후뇌 NCCs (r7-r8에서 4th & 6th PA로)
CNXI – 부
신경절 없음 *
후뇌 (r7-r8에서 PA 4로); NCCs (4th PA)
약어: CN, 뇌신경; m, 순수 운동 신경; mix, 혼합 신경 (감각 및 운동); NC, 신경 능선; PA, 인두궁(새궁); r, 롬보머; s, 순수 감각 신경. * 부신경의 알려진 신경절은 없다. 부신경의 두개 부분은 미주 신경의 상위 신경절로 간혹 가지를 보낸다.
2. 1. 뇌신경의 종류
일반적으로 인간은 12쌍의 뇌신경(I–XII)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최근에는 종말 신경(0)이 추가로 분류되었다.[2] 뇌신경은 다음과 같다: 후각 신경(I), 시신경(II), 눈돌림 신경(III), 도르래신경(IV), 삼차 신경(V), 갓돌림 신경(VI), 얼굴 신경(VII), 속귀신경(VIII), 혀인두 신경(IX), 미주 신경(X), 더부 신경(XI), 혀밑 신경(XII).
뇌신경은 뇌에서 나온 후 두개골 내에서 순환하며, 일부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뼈로 둘러싸인 통로나 구멍을 통해 두개골 밖으로 나간다. 이러한 통로와 구멍에는 하나 이상의 뇌신경과 혈관이 포함될 수 있다.[11]
후각신경(I): 사골의 사상판에 있는 여러 구멍을 통과하는 많은 신경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강 윗부분에서 냄새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시신경(II): 접형골의 시신경관을 통과하여 눈으로 이동하며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눈돌림신경(III), 도르래신경(IV), 갓돌림신경(VI), 삼차신경의 눈 분지(V1): 해면정맥동을 거쳐 상안와열을 통해 두개골에서 안와로 나간다.
삼차신경의 상악 분지(V2): 접형골의 정원공을 통과한다.
삼차신경의 하악 분지(V3): 접형골의 난원공을 통과한다.
얼굴신경(VII)과 속귀신경(VIII): 측두골의 내이도로 들어간다. 얼굴신경은 경유돌공을 통해 얼굴 측면에 도달하여 얼굴 표정 근육을 제어하고, 속귀신경은 측두골 내에서 균형과 청각 기관에 도달한다.
혀인두신경(IX), 미주신경(X), 더부신경(XI): 경정맥공을 통해 두개골을 빠져나와 목으로 들어간다. 혀인두신경은 상부 인두와 혀 뒤쪽에 감각을 제공하고, 미주신경은 후두 근육과 흉부 및 복부의 부교감신경을 담당하며, 더부신경은 목과 어깨의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을 제어한다.
뇌신경의 개략적인 3D 모델설하신경(XII): 후두골의 설하신경관을 통해 두개골에서 나간다.
두개골에서 뇌신경의 출구[8][11]
위치
신경
사상판
종말 신경 (0)
사상판
후각 신경 (I)
시신경관
시신경 (II)
상안와열
눈돌림 신경 (III) 도르래 신경 (IV) 갓돌림 신경 (VI) 삼차 신경 V1 (눈 신경)
정원공
삼차 신경 V2 (상악 신경)
난원공
삼차 신경 V3 (아래턱 신경)
경유돌공
얼굴 신경 (VII)
내이도
속귀신경 (VIII)
경정맥공
혀인두 신경 (IX) 미주 신경 (X) 더부 신경 (XI)
설하신경관
설하신경 (XII)
2. 3. 뇌신경과 뇌줄기 연결
대부분의 뇌신경 뉴런 세포체는 뇌줄기에 하나 이상의 세포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포핵은 뇌신경 기능 이상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뇌졸중이나 외상으로 세포핵이 손상되면 뇌신경의 많은 가지에도 비슷한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33] 뇌줄기 중 중간뇌에는 눈돌림신경(III)과 도르래신경(IV)의 세포핵이, 다리뇌에는 삼차신경(V), 갓돌림신경(VI), 얼굴신경(VII), 속귀신경(VIII)의 세포핵이, 숨뇌에는 혀인두신경(IX), 미주신경(X), 더부신경(XI), 혀밑신경(XII)의 세포핵이 위치한다. 이 뇌신경들의 섬유질은 세포핵으로부터 뇌줄기를 향해 나온다.[33]
후각신경(I)과 시각신경(II)은 전뇌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뇌신경들은 뇌줄기와 연결되어 있다.[33]
육안해부학적으로 모든 뇌신경은 핵을 가지고 있다. 후각 신경(I)과 시신경(II)을 제외한 모든 핵은 뇌줄기에 존재한다.[2]
중뇌는 눈돌림 신경(III)과 도르래 신경(IV)의 핵을, 다리뇌는 삼차 신경(V), 갓돌림 신경(VI), 얼굴 신경(VII) 및 속귀신경(VIII)의 핵을, 숨뇌는 혀인두 신경(IX), 미주 신경(X), 더부 신경(XI) 및 혀밑 신경(XII)의 핵을 가지고 있다.[8] 후각 신경(I)은 후구에서 나오며,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시신경(II)은 가쪽무릎핵에서 나오는 것으로 간주된다.[8]
각 신경은 여러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신경을 구성하는 신경 섬유는 둘 이상의 핵에 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각과 운동 역할을 하는 삼차 신경(V)은 최소 4개의 핵을 가지고 있다.[8][13] 눈돌림신경(III)과 도르래신경(IV)은 중뇌에서, 삼차신경(V), 갓돌림신경(VI), 얼굴신경(VII) 및 속귀신경(VIII)은 다리뇌에서, 혀인두신경(IX), 미주신경(X), 더부신경(XI) 및 혀밑신경(XII)은 숨뇌에서 나온다.[9]
후각신경(I)과 시신경(II)은 별도로 나온다. 후각신경은 후구에서 나와 이마엽 아래 뼈 돌출부인 닭벼슬능선 양쪽에 위치하며, 시신경(II)은 뇌 관자엽 양쪽 융기인 가쪽 둔덕에서 나온다.[9]
3. 기능
뇌신경은 주로 머리와 목 안의 구조에 운동 및 감각을 전달한다. 감각 전달에는 온도 및 촉각과 같은 "일반" 감각과 미각, 시각, 후각, 균형 및 청각과 같은 "특수" 감각이 포함된다.[13] 미주 신경(X)은 목의 구조물과 가슴 및 복부의 대부분의 기관에 감각 및 자율(부교감) 신경을 전달한다.[4][2]
종말 신경 (0)은 인간에게는 역할이 없을 수 있지만,[4] 냄새에 대한 호르몬 반응, 성적 반응 및 짝 선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후각 신경 (I)은 냄새를 감지하는 정보를 전달한다.[20]
시신경 (II)은 시각 정보를 전달한다.[2]
동안(III), 활차(IV) 및 외전(VI) 신경은 눈의 근육에 공급합니다. 손상은 여기에 표시된 대로 다양한 방식으로 눈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안 신경 (III), 활차 신경 (IV) 및 외전 신경 (VI)은 안구 운동을 조절한다. 동안 신경 (III)은 활차 신경 (IV)에 의해 제어되는 상사근과 외전 신경 (VI)에 의해 제어되는 외측 곧은 근을 제외한 눈의 모든 근육을 제어한다. 즉, 눈이 아래와 안쪽을 볼 수 있는 능력은 활차 신경 (IV)에 의해 제어되고, 바깥쪽을 볼 수 있는 능력은 외전 신경 (VI)에 의해 제어되며, 다른 모든 움직임은 동안 신경 (III)에 의해 제어된다.[20]
삼차 신경 (V)과 그 세 개의 주요 가지인 눈(V1), 위턱(V2), 아래턱(V3)은 얼굴 피부의 감각을 담당하며 씹는 근육을 제어한다.[20]
얼굴 신경(VII)은 얼굴 표정 근육에 공급된다. 신경 손상은 영향을 받은 쪽의 근육 긴장도 부족을 유발하며, 여기서는 얼굴 오른쪽에서 볼 수 있다.
안면 신경 (VII)은 얼굴 표정을 담당하는 대부분의 근육을 제어하고, 혀 앞쪽 2/3 부분의 미각을 담당하며, 등골근을 제어한다.[20]
전정와우 신경 (VIII)은 두 개의 가지인 전정과 달팽이 신경을 통해 균형과 청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정 부분은 속귀의 전정과 반고리관에서 감각을 제공하며, 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머리를 안정시키고 눈이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갈 수 있게 해주는 전정안반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달팽이 신경은 달팽이관에서 정보를 전달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준다.[2]
손상된 설인 신경(IX)은 목젖이 영향을 받은 쪽으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설인 신경 (IX)은 경돌인두근에 분포하고, 구강 인두와 혀 뒤쪽에 감각을 제공한다.[4] 설인 신경은 또한 이하선에 부교감 신경 입력을 제공한다.[4]
미주신경 (X)은 목의 구조물과 흉부 및 복부 대부분의 장기에 감각 및 부교감 신경 공급을 제공한다.[2]
뇌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뇌신경은 두개내압 증가, 뇌내출혈, 종양 등에 의해 압박될 수 있으며,[21] 뇌신경 기능 상실은 두개골이나 두개저 암의 첫 증상일 수도 있다.[22]
두개내압이 증가하면 유두부종(안구 부종)이 생길 수 있고,[23]시신경교종이나 뇌하수체 종양은 시신경(II)을 압박하여 시야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뇌하수체 종양이 해면정맥동으로 확장되면 눈돌림신경(III), 도르래신경(IV), 갓돌림신경(VI)을 압박하여 복시나 사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대뇌낫을 통해 뇌의 측두엽이 탈출하면서 이 신경들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21]
삼차신경통은 신경이 뇌간에서 나올 때 동맥에 의해 압박되어 발생할 수 있다.[21] 청신경초종은 얼굴신경(VII)과 안뜰달팽이신경(VIII)을 압박하여 청력 및 감각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21][25]
허혈성 뇌졸중은 손상된 부위에 따라 특정 징후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중뇌, 교, 연수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다양한 뇌신경이 손상되어 여러 기능 장애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4] 해면정맥동 혈전증은 시신경(II), 눈돌림신경(III), 도르래신경(IV), 삼차신경의 안와지(V1), 갓돌림신경(VI)에 영향을 미친다.[25]
뇌신경 염증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안면신경(VII) 염증은 벨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26]다발성 경화증은 뇌신경을 둘러싼 수초 손실을 유발하는 염증 과정으로, 여러 뇌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사르코이드증, 속립결핵, 혈관염 등도 뇌신경 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25]
두개골 외상, 파제트병과 같은 뼈 질환, 수술 중 신경 손상도 뇌신경 손상의 원인이다.[25]
4. 1. 뇌신경 검사
의사, 신경과 의사를 포함한 의료 전문가는 뇌신경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신경학적 검사의 일부로 뇌신경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 검사는 각 신경에 대한 특정 검사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단계로 이루어진다.[20] 검사 중 특정 신경에서 기능 장애가 발견되면, 이는 해당 신경 또는 뇌의 특정 부위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20]
뇌신경 검사는 환자 관찰에서 시작되는데, 일부 뇌신경 병변은 눈이나 얼굴의 대칭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20]시야 검사나 검안경을 이용한 망막 검사(안저 검사)를 통해 시력을 평가할 수 있다. 시야 검사는 시신경 또는 시각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구조적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15] 눈의 움직임을 검사하고 눈 떨림 등의 이상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얼굴 감각을 검사하고, 환자에게 볼을 부풀리는 등의 다양한 얼굴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목소리와 음차를 사용하여 청력을 확인한다. 환자의 목젖을 검사한다. 어깨를 으쓱하고 머리를 돌리는 동작과 혀의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혀 기능을 평가한다.[20]
일반적으로 냄새 검사는 시행하지 않지만, 냄새 감각 변화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커피나 비누와 같이 익숙한 냄새 물질을 사용하여 각 콧구멍을 검사한다. 암모니아와 같이 냄새가 강한 물질은 비강 내 삼차 신경(V)의 통각 수용기를 자극하여 후각 검사 결과를 왜곡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0][15]
대부분의 뇌신경 뉴런의 세포체는 뇌간에 하나 이상의 세포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포핵은 뇌신경의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 중요한데, 뇌졸중이나 외상과 같은 손상이 뇌신경에 뻗어 있는 많은 가지에도 비슷한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 뇌간의 중뇌에는 눈돌림신경(III)과 도르래신경(IV)의 세포핵이, 다리뇌에는 삼차신경(V), 갓돌림신경(VI), 얼굴신경(VII)과 속귀신경(VIII)의 세포핵이, 연수에는 혀인두신경(IX), 미주신경(X), 더부신경(XI), 혀밑신경(XII)의 세포핵이 위치한다.
몇몇 뇌신경들은 뇌 바깥쪽에 감각 또는 부교감 신경절(세포체 군집)을 가지고 있다. 감각 신경절은 척수 신경의 배근신경절과 연결되어 있으며, 뇌신경 감각 신경절로 알려져 있다. 감각 신경절은 감각 기능을 가지는 V, VII, VIII, IX, X 신경에 존재한다. 부교감 신경절은 III, VII, IX, X 신경에 존재한다.
삼차신경(V)의 삼차 신경절은 삼차 동굴이라 불리는 경뇌막에 위치하며, 삼차 신경 섬유의 세포체를 가진다.
속귀신경(VII)의 슬신경절은 신경이 안면 통로로 들어간 직후 발견되며, 얼굴신경 섬유의 세포체를 가진다.
혀인두신경(IX)의 superior, inferior 신경절은 신경이 목정맥구멍을 통과한 직후 위치하며 감각 신경 섬유의 세포체가 모여 있다.
미주신경의 inferior 신경절은 목정맥구멍 아래에 위치하고 미주신경(X) 섬유의 세포체가 모여 있다.
후각 신경 (I) 손상은 후각 상실증(냄새 맡지 못함), 후각 과민증(냄새 감각 왜곡), 미각 왜곡이나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20][15]
시신경 (II) 손상은 손상 부위에 따라 시각 특정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동측 반맹(좌우 시야 물체 못 봄), 양측 측두 반맹(시신경 교차 손상 시 바깥쪽 시야 물체 보기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시신경염은 시력 선명도 또는 색상 감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동안 신경 (III), 활차 신경 (IV), 외전 신경 (VI) 손상은 눈 움직임에 영향을 미쳐 복시를 유발할 수 있다. 시각 운동 이상은 눈 떨림(안진)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15]
동안 신경 (III) 손상은 복시, 양안 움직임 조정 불가능(사시), 눈꺼풀 처짐(안검하수), 동공 확장(산동)을 유발할 수 있다.[16] 상안검거근 마비로 눈을 뜰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동안 신경 병변이 있는 개인은 머리를 기울여 증상을 완화하기도 한다.[15]
활차 신경 (IV) 손상은 눈이 내전, 상승된 상태에서 복시를 유발할 수 있다.[16]상사근 손상으로 눈이 제대로 아래로 움직이지 않는다(특히 안쪽 위치에서).[15]
삼차 신경 (V) 손상은 해당 부위 감각 상실, 삼차 신경통, 대상 포진, 부비동염 통증, 치아 농양 발생, 군발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17][20]
안면 신경 (VII) 손상은 안면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벨 마비이다.[20] 벨 마비 환자는 입 처짐, 음식 씹기 어려움 등을 겪는다.[3] 안면 신경은 둔상에서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뇌신경이다.[18]
전정와우 신경 (VIII) 손상 시 전정 신경 손상은 현훈(회전 감각,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전정 신경 기능은 칼로리 자극으로 검사할 수 있다.[4][15] 전정와우 신경 손상은 반복적, 불수의적 안구 운동(안진)으로 나타날 수 있다(특히 수평 움직임).[15] 달팽이 신경 손상은 난청을 유발한다.[15]
설인 신경 (IX) 손상은 구역 반사 실패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미주 신경 (X) 손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20]
미주신경 (X) 기능 상실은 부교감 신경 공급 손실로 이어져 혈압, 심박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반회후두신경 기능 장애는 쉰 목소리를 유발할 수 있다.[8] 신경 손상은 삼킴 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15]
부신경(XI) 손상은 어깨 으쓱 시 견갑골이 날개진 위치로 돌출되는 증상을 유발한다.[4] 병변 위치에 따라 흉쇄유돌근 약화로 얼굴이 반대쪽을 향하도록 머리를 돌리는 작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20]
설하신경 (XII) 손상은 혀 근육 연축, 소모(위축)를 유발하여 혀 움직임 약화를 초래한다. 손상된 쪽으로 혀가 움직인다.[15] 혀 연축은 "벌레 떼"처럼 보이기도 한다. 신경 통로나 핵 손상은 위축, 연축 없이 손상된 쪽 근육 약화만 나타낸다.[15]
뇌신경은 두개내압 증가, 덩어리 효과로 인한 뇌내 출혈, 종양 등으로 압박될 수 있다.[21] 뇌신경 기능 상실은 두개골, 두개저 암의 첫 증상일 수 있다.[22]
두개내압 증가는 유두 부종(안구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23] 시신경 교종, 뇌하수체 종양은 시신경(II)을 압박하여 시야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뇌하수체 종양은 해면 정맥동으로 확장되어 눈돌림신경(III), 도르래신경(IV), 갓돌림신경(VI)을 압박, 복시, 사시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신경은 대뇌 낫을 통해 뇌 측두엽 탈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21]
삼차 신경통은 신경이 뇌간에서 나올 때 동맥 압박으로 발생할 수 있다.[21] 청신경초종은 얼굴신경(VII), 안뜰달팽이신경(VIII)을 압박하여 청력, 감각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21][25]
허혈성 뇌졸중은 손상 부위 관련 특정 징후,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중뇌, 교, 숨뇌 뇌졸중은 다양한 뇌신경 손상으로 여러 기능 장애,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24] 해면 정맥동 혈전증은 시신경(II), 동안신경(III), 활차신경(IV), 삼차신경 안와지(V1), 외전신경(VI)에 영향을 미친다.[25]
뇌신경 염증은 바이러스 감염, 안면 신경 (VII) 염증(벨 마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26]
다발성 경화증은 뇌신경 수초 손실을 초래하는 염증 과정으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염증은 사르코이드증, 속립 결핵, 혈관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25]
두개골 외상, 파제트병, 수술 중 신경 손상도 신경 손상 원인이다.[25]
제1 뇌신경: 후각신경 손상은 추락, 타박, 수막염, 뇌종양 등으로 인해 후각 장애를 유발한다.
제2 뇌신경: 시신경 손상은 뇌하수체 선종, 뇌혈관 장애 등으로 인해 양측성 반맹, 동측성 반맹 등 다양한 시각 장애를 유발한다.
제3 뇌신경: 동안신경 마비는 뇌동맥류, 뇌종양, 뇌경색, 당뇨병 등으로 인해 대광반사, 융합반사 소실, 안근마비로 인한 복시를 유발한다.
제10 뇌신경: 미주신경 손상은 손상 부위에 따라 소화관 연동 운동 장애, 연하 곤란, 구토 반사 장애(구마비) 등을 유발한다.
제11 뇌신경: 부신경 단독 손상은 드물고, 제IX, X, XII 뇌신경 손상을 동반한다.[32]
제12 뇌신경: 설하신경 손상은 연하 반사, 구토 반사 장애를 유발한다.
5. 다른 동물
뇌신경은 다른 척추동물에게도 존재한다. 다른 양막류(비-양서류 사지형류)는 사람과 유사한 뇌신경을 가지고 있다. 무양막류(어류와 양서류)에서는 부신경(XI)과 설하신경(XII)이 존재하지 않으며, 부신경(XI)은 미주신경(X)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설하신경(XII)은 후두골로 융합된 척추 분절에서 나오는 가변적인 수의 척수 신경에 의해 나타난다. 이 두 신경은 양막류의 조상에서만 별개의 신경이 되었다.[28] 매우 작은 종말 신경(신경 N 또는 O)은 인간에게 존재하지만 기능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동물에서는 페로몬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성적 수용성에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4][29]
6. 역사
그리스-로마 시대의 해부학자 갈레노스(서기 129–210)는 7쌍의 뇌신경 이름을 지었다.[27] 1664년, 영국의 해부학자 토마스 윌리스 경은 9쌍의 신경이 있다고 제안했다. 1778년, 독일의 해부학자 사무엘 쑴메링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12쌍의 신경을 명명했다.[27] 그러나 많은 신경이 뇌간에서 뿌리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실제로 신경이 몇 쌍이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룹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27] 예를 들어, 후각신경(I) 및 시신경(II)을 뇌신경보다는 뇌로로 간주해야 할 이유가 있다.[27]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McGraw Hill
[3]
서적
The Clinical Anatomy of the Cranial Nerves: The Nerves of "On Olympus Towering Top"
Wiley-Blackwell
[4]
서적
'Board Review Series – Neuro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웹사이트
Trigeminal Nerve
http://www.etymonlin[...]
2014-05-02
[6]
서적
Human anatomy
Benjamin Cummings
[7]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Saunders/Elsevier
2012
[8]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Wolters Kluwer
[9]
서적
Fundamentals of anatomy and physiology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0]
서적
Neuroscience. 4th ed.
Sinauer Associates
[11]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2]
간행물
Neurogenesis From Neural Crest Cells: Molecular Mechanisms in the Formation of Cranial Nerves and Ganglia
2020-08-07
[13]
서적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science
Saunders/Elsevier
[14]
간행물
Neuroanatomy, Cranial Nerve 0 (Terminal Nerve)
2019-01
[15]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McGraw Hill
[16]
서적
Netter's head and neck anatomy for dentistry
Saunders Elsevier
[17]
Review
Cluster headache
2012-04-11
[18]
간행물
Facial nerve palsy following mild mastoid trauma on trampoline
2018-04
[19]
간행물
A case with unilateral hypoglossal nerve injury in branchial cyst surgery
2014-01-01
[20]
서적
Clinical examination
Elsevier
[21]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2]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Saunders/Elsevier
[23]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2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26]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7]
간행물
The naming of the cranial nerves: A historical review
[28]
서적
Functional anatomy of the vertebrates.
http://babel.hathitr[...]
McGraw-Hill
[29]
간행물
The neglected cranial nerve: nervus terminalis (cranial nerve N)
2014-01
[30]
문서
島田ほか「舌咽,迷走神経障害をともなったChurg-Strauss症候群の1例」臨床神経学52巻7号 (2012)
[31]
웹사이트
頸静脈孔神経鞘腫の手術について
http://plaza.umin.ac[...] [32]
문서
佐久間亨「下位脳神経の解剖と病変」耳鼻咽喉科展望,44:1; p.59, 2001
[33]
서적
알기 쉽게 배우는 신경해부실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