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티프 (이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티프는 구전 설화, 소설, 연극,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이야기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물, 인물, 사건 등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모티프는 이야기의 주제가 되기도 하고, 한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신화나 전설에서 기원한 경우가 많지만, 시간 여행과 같이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 모티프는 장르를 불문하고 나타나며, 여러 이야기에 등장하면서 특정한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모티프를 분류하여 일람표로 만든 것을 모티프 색인이라고 하며, 민담이나 구비 문학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 개념 - 소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유럽에서는 17세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기점으로 근대 소설이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 문학 개념 - 시 (문학)
    시는 운율과 리듬을 사용하여 작가의 감정을 표현하는 운문 문학 장르로, 서사시, 서정시, 극시 등 다양한 형태와 동서양의 독자적인 시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모티프 (이야기)

2. 모티프의 개념 및 특징

모티프는 구전 설화, 소설, 연극, 영화, 만화,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를 말한다. "주인공만이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숨겨진 보물", "영웅", "마법사" 등이 그 예시이며, 이야기의 주제가 되기도 하고, 한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모티프는 신화전설에서 기원한 것이 많지만, 시간 여행과 같이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 또한 장르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며, 만화나 애니메이션에도 신화에서 유래한 모티프가 많이 보인다.

모티프는 여러 이야기에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은 '그림자', '아니마', '노현자' 등을 원형이라고 불렀는데, 이 또한 인물 모티프를 강하게 상징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1. 모티프의 예시

이야기에는 공통된 사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인물, 비슷한 사건이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주인공만이 쓸 수 있는 무기'[6]
  • '숨겨진 보물'[6]
  • '영웅', '마법사', '은둔자', '유혹하는 여자' 등의 전형적인 인물[6]
  • '삼각 관계', '심중(心中)', '자기희생' 등 반복되는 사건이나 상황[6]


이들을 통칭하여 모티프라고 부른다. 모티프는 이야기의 주제(테마) 자체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이야기의 한 요소로 사용된다.[6]

모티프의 상당수는 신화전설에까지 그 계보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시간 여행과 같이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6]

2. 2. 모티프와 주제

모티프는 때때로 그 이야기의 주제(테마) 자체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이야기의 한 요소로 사용된다. 영어권에서는 '주제(Theme)'와 모티프를 상호 교환 가능한 개념으로 보기도 하지만,[6] 일반적으로 주제는 추상적이고, 모티프는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 주제는 메시지, 진술 또는 아이디어로 정의되는 반면, 모티프는 더 큰 상징적 의미를 위해 반복되는 세부 사항일 뿐이다.[8]

2. 3. 모티프의 기원과 상징성

많은 모티프가 신화전설에서 기원했으며, 시간 여행과 같이 비교적 새로운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티프는 장르를 불문하고 나타나며, 만화나 애니메이션에도 신화에서 비롯된 모티프가 많이 나타난다.[6]

모티프는 여러 이야기에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상징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심리학자 C. G. 융이 원형이라고 부른 '그림자', '아니마', '노현자' 등도 인물 모티프를 강하게 상징화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3. 모티프 색인

모티프를 분류하여 일람표로 만든 것을 '모티프 색인'이라고 하며, 민화나 구비 문학 연구 등에 이용된다. 스티스 톰슨은 민간 문예의 모티프 색인(Motif-index of folk-literature, 1955) 전 6권을 출판했다. 이 책에는 모티프가 세세하게 체계화되어 있으며, 각 항목에는 참고 문헌 등이 기록되어 있다.

3. 1. 모티프 색인의 활용

모티프를 분류해 일람표로 만든 것을 모티프 색인이라고 하며, 민담이나 구비 문학 연구 등에 사용된다. 스티스 톰슨은 『민간 문예의 모티프 색인』(Motif-index of folk-literature, 1955) 전 6권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모티프는 세밀하게 체계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 F는 "경이(marvels)", 그 하위 분류인 F500-F599는 "놀라운 인물(remarkable persons)", F510은 "괴물 인물(monstrous persons)", F511은 "머리가 이상한 인물(person unusual as to his head)", F511.1은 "얼굴이 이상한 인물(person unusual as to his face)", F511.1.3은 "짐승 얼굴의 인물(person with animal face)", F511.1.3.1은 "원숭이 얼굴의 인물(person with face o ape)"과 같은 식이다. 각 항목에는 하나에서 수십 개의 참고 문헌과 (경우에 따라) 관련이 있지만 다른 곳에 있는 모티프 인덱스 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3. 2. 모티프 색인의 체계 (톰슨의 분류)

스티스 톰슨의 『민간 문예의 모티프 색인(Motif-index of folk-literature, 1955)에서 모티프는 세밀하게 체계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 F는 "경이(marvels)"이며, 그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F500-F599: "놀라운 인물(remarkable persons)"
  • F510: "괴물 인물(monstrous persons)"
  • F511: "머리가 이상한 인물(person unusual as to his head)"
  • F511.1: "얼굴이 이상한 인물(person unusual as to his face)"
  • F511.1.3: "짐승 얼굴의 인물(person with animal face)"
  • F511.1.3.1: "원숭이 얼굴의 인물(person with face o ape)"


각 항목에는 하나에서 수십 개의 참고 문헌과 (경우에 따라) 관련이 있지만 다른 곳에 있는 모티프 인덱스 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4. 한국 문학/문화 속 모티프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답변 역시 빈칸으로 출력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Myths and Legends from Korea: An Annotated Compendium of Ancient and Modern Materials Routledge Curzon 2000
[2] 서적 Film Noir Reader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Corporation 1996
[3] 간행물 Kurt Vonnegut, Jr. Thomson Gale 2004
[4] 웹사이트 Blade Runner 1982 http://www.aboutfilm[...] 2000
[5] 문서 Bukatman, pp. 9–11.
[6] 웹사이트 WordNet 3.0 http://wordnetweb.pr[...] Princeton University 2006
[7]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Reviewed work(s)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Arabian Nights by David Pinaul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