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앙통 유나이티드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앙통 유나이티드 FC는 1989년 노리요리 피타야누소른 FC로 창단된 태국의 축구 클럽이다. 2007년 시암 스포츠 신디케이트에 인수되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썬더돔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3년 3챔피언'으로 불렸으며, 2012년에는 무패 우승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드림팀' 캠페인을 통해 태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영입하여 타이 리그와 리그컵에서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주빌로 이와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등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앙통 유나이티드 FC - 선더돔 스타디움
선더돔 스타디움은 태국 방콕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98년 개장하여 2007년부터 무앙통 유나이티드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최대 15,000명을 수용하고 축구 경기 외 다양한 행사 장소로 활용된다. - 타이 리그 1 구단 - 시암 네이비 FC
시암 네이비 FC는 태국 왕립 해군에 뿌리를 둔 1956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로열 타이 네이비 FC 시절 타이 리그 컵과 퀸스 컵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연고지 이전과 함께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타이 리그 1 구단 - 부리람 유나이티드 FC
부리람 유나이티드 FC는 태국 부리람 주를 연고로 하며 네윈 칫촙에게 인수된 후 연고지를 이전하고 현재 명칭으로 변경, 타이 리그 1에서 10회 우승, 태국 FA컵 6회 우승, 태국 리그컵 7회 우승 등 태국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창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무앙통 유나이티드 FC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1989년 설립된 축구단 - 성남 FC
1988년 창단되어 K리그 3연패와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뤘으나 시민구단 전환 후 재정적 어려움과 구단 매각 논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프로축구단이 성남 FC이다. - 1989년 설립된 축구단 - 브리오베카 우라야스
브리오베카 우라야스는 1989년 창단되어 켈트 신화와 지역 특산물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지바현 우라야스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JFL 복귀 후 2024년 이치카와시를 연고지에 추가하여 J리그 진출을 목표하고 있다.
무앙통 유나이티드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무앙통 유나이티드 풋볼 클럽 Muangthong United Football Club สโมสรฟุตบอลเมืองทอง ยูไนเต็ด |
별칭 | 더 키린스(The Kirins), 트윈 킬린스(Twin Qilins) (กิเลนผยอง, 길렌 파용) |
약칭 | MTUTD |
창단 | 1989년, 노르조르그 핏타야누손 스쿨 풋볼 팀으로 창단 |
경기장 | 썬더돔 스타디움 빡 끄렛, 논타부리, 태국 |
수용 인원 | 15,000명 |
구단주 | 시암 스포츠 신디케이트 |
회장 | 윌락 로통 |
감독 | 지노 레티에리 |
리그 | 타이 리그 1 |
시즌 | 2023–24 시즌 |
리그 순위 | 타이 리그 1, 16개 팀 중 5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 |
![]() | |
![]() | |
![]() | |
현재 시즌 |
2. 역사
1989년 워라위 마크디에 의해 Norgjorg Pittayanusorn Football Club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2002년 FC Norgjorg Black Pearl, 2003년 FC Globlex Norgjorg로 개명했으며, 2004년 Norgjorg Pittayanusorn FC로 돌아왔지만, 이 시기에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2007년, 사얌 깰라 등을 발행하는 태국 최대의 스포츠 미디어 기업인 사이암 스포츠 신디케이트에 인수되어, 홈구장을 선더돔 스타디움으로 이전하고 무앙통 유나이티드 FC로 개명했다.
사이암 스포츠 신디케이트의 인수와 함께 자금력을 갖춘 클럽은 빠르게 성장하였다. 2007년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당시 3부)에서 우승하여 디비전 1(2부)로 승격했으며, 불과 1년 만에 타이 프리미어리그(1부)로 승격했다. 타이 프리미어리그 첫 시즌에 티라텝 위노타이, 티라신 댕다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여 2009년, 2010년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12년 2월 사얌 시멘트 그룹이 클럽의 주식 30%를 6억태국 밧에 취득했다. 같은 해,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감독을 영입하여 리그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요카노비치 감독은 이후 잉글랜드에서 왓퍼드 FC와 풀럼 FC를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시키기도 했다.
2016년에는 피라팟 노차이야영어, 티라톤 분마탄, 아디삭 크라이손, 타나분 케사랏, 차나팁 송크라신, 트리스탄 도, 아디손 프롬락영어 등 태국 대표팀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고, 시스코를 영입하여 전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타이 리그 1과 타이 리그 컵에서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했다.
2021년 9월 16일, J리그의 우라와 레즈와 파트너십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양 클럽은 인재 교류, 이벤트 개최, 사업 개발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며, Goal.com 태국어판에 따르면, 우라와의 토가리 준 풋볼 본부장은 차나팁 송크라신과 티라톤 분마탄과 같은 수준의 선수를 J리그로 영입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다.[8]
2. 1. 초창기 (1989-2006)
1989년, 무앙통 유나이티드는 '''노리요리 피타야누소른 FC'''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8] 2002년, 정치인 비라 무시카퐁에 의해 '''FC 노리요리 블랙펄'''로 클럽명이 변경되었으나, 비라 무시카퐁은 1년 만에 팀을 떠났다.[8] 2003년, 솜삭 첸차오와니치 감독 부임 후 '''FC 글로블렉스 노리요리'''로 클럽명이 다시 변경되었으나, 2003-2004 시즌 동안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결국 2004-2005 시즌에 최초의 클럽명으로 돌아갔다.[8]2006년, 태국 축구 협회는 태국 디비전 2 리그를 창설하여 태국 리그의 경쟁 수준을 높이고자 하였고, 노리요리 피타야누소른 FC는 이 새로운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9]
2. 2. 무앙통 유나이티드로의 변화와 3연속 우승 (2007-2009)
2007년, 사얌 깰라 등을 발행하는 태국 최대 스포츠 미디어 기업인 시암 스포츠 신디케이트가 클럽을 인수하면서 '''무앙통 유나이티드 FC'''로 구단명이 변경되었고, 무앙 통 타니의 썬더돔 스타디움으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9] 자금력을 갖춘 클럽은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다. 2007년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당시 3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타이 디비전 1 리그(2부 리그)로 승격했다.2008년에는 타이 디비전 1 리그에서 우승하며 타이 프리미어리그(1부 리그)로 승격했다.[9] 2009년, 타이 프리미어리그 승격 첫 해에 티라텝 위노타이, 론나차이 랑시요, 티라신 댕다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여 우승을 차지했다.[11][12] 이로써 3년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연도 | 리그 | 순위 |
---|---|---|
2007 | 디비전 2 | 우승 |
2008 | 디비전 1 | 우승 |
2009 | 타이 프리미어 리그 | 우승 |
2. 3. 타이 프리미어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 (2010-2015)
Muangthong United영어는 2010년 타이 프리미어리그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3] 벨기에 클럽 리르서 SK와의 협력으로 티라텝 위노타이를 영입하고, 논타부리 출신 스트라이커 로나차이 랑시요와 티라신 댕다를 영입하여 강력한 공격진을 구축했다.AFC 챔피언스리그 2010 예선 플레이오프에 참가하여 베트남 클럽 다낭 FC를 3-0으로 꺾었으나, 싱가포르 암드 포스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AFC 컵 2010으로 진출했다. AFC 컵에서는 4강까지 진출했으나, 시리아 클럽 알이티하드 SC 알레포에게 1-2로 패했다.
2011년, 리버풀 FC의 전설 로비 파울러와 1년 계약을 맺었다.[14][15] AFC 챔피언스리그 2011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스리위자야 FC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고, AFC컵 2011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다. 이후 엔히키 칼리스투 감독이 경질되고, 파울러가 선수 겸 감독직을 맡았다.[16][17][18] 2011년 타이 프리미어리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19]
2012년,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감독 체제에서 마리오 주로프스키, 리광천, 아드난 바라카트 등 유명 선수들과 몽콜 남누앗 등 유망주를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20]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2 시즌, 태국 역사상 최초로 태국 최상위 리그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부리람 유나이티드 FC에 밀려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다음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록이다.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타이 FA컵 | 타이 리그컵 | 코 로열컵 | ACL | AFC컵 |
---|---|---|---|---|---|---|---|---|---|---|---|---|---|---|
2010 | 프리미어 | 1위 | 30 | 67 | 20 | 7 | 3 | 64 | 19 | 준우승 | 3라운드 | 우승 | 플레이오프 결승 | 4강 |
2011 | 프리미어 | 3위 | 34 | 60 | 17 | 9 | 8 | 54 | 32 | 준우승 | 8강 | 준우승 | 플레이오프 준결승 | 8강 |
2012 | 프리미어 | 1위 | 34 | 84 | 25 | 9 | 0 | 78 | 31 | 8강 | 8강 | |||
2013 | 프리미어 | 2위 | 32 | 71 | 21 | 8 | 3 | 61 | 33 | 4강 | 3라운드 | 준우승 | 조별 리그 | |
2014 | 프리미어 | - | 38 | 준우승 | 플레이오프 3라운드 | |||||||||
다음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AFC 주관 대회 기록이다.
연도 | 대회 | 라운드 | 국적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10 | AFC 챔피언스리그 | 플레이오프 준결승 | 다낭 | 3-0 | 3-0 | ||
플레이오프 결승 | 암드 포스 | 0-0 (연장) | 0-0 (승부차기 3-4) | ||||
2010 | AFC컵 | G조 | 사우스 차이나 | 0-1 | 0-0 | 2위 | |
VB 스포츠 클럽 | 3-1 | 3-2 | |||||
페르시와 와메나 | 4-1 | 2-2 | |||||
16강 | 알 라이안 | 1-1 (연장) | 1-1 (승부차기 4-2) | ||||
8강 | 알 카라마 | 2-0 | 0-1 | 2-1 | |||
준결승 | 알 이티하드 | 1-0 | 0-2 | 1-2 | |||
2011 | AFC 챔피언스리그 | 플레이오프 준결승 | 스리위자야 | 2-2 (연장) | 2-2 (승부차기 6-7) | ||
2011 | AFC컵 | G조 | 하노이 T&T | 4-0 | 0-0 | 1위 | |
탐피네스 로버스 | 4-0 | 1-1 | |||||
빅토리 | 1-0 | 4-0 | |||||
16강 | 알 아헤드 | 4-0 | 4-0 | ||||
8강 | 알 쿠웨이트 | 0-0 | 0-1 | 0-1 | |||
2013 | AFC 챔피언스리그 | F조 | 전북 현대 모터스 | 2-2 | 0-2 | 4위 | |
우라와 레즈 | 0-1 | 1-4 | |||||
광저우 헝다 | 1-4 | 0-4 | |||||
2014 | AFC 챔피언스리그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하노이 T&T | 2-0 | 2-0 | ||
플레이오프 3라운드 | 멜버른 빅토리 | 1-2 | 1-2 | ||||
2. 4. 드림팀 캠페인과 부활 (2016-현재)
무앙통 유나이티드는 2016년, 세 시즌 연속 우승을 놓친 후 "드림팀" 캠페인을 시작했다. 피라팟 노차이야, 티라톤 분마탄, 아디삭 크라이손, 타나본 케사랏, 차나팁 송끄라신, 트리스탄 도, 아디손 프롬락 등 태국 국가대표 선수들과 시스코 같은 외국인 선수를 영입했다. 또한, 톳치타완 스리판 감독을 선임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타이 리그 1과 태국 리그컵에서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했다.[22]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7 조별 예선에서 가시마 앤틀러스를 2-1, 울산 현대를 1-0, 브리즈번 로어를 3-0으로 꺾으며 E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23][24] 그러나 16강에서 가와사키 프론탈레에 합계 2-7 (1차전 1-3, 2차전 1-4)로 패했다.[25]
2021년 9월 16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 파트너십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인재 교류, 이벤트 개최, 사업 개발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며, Goal.com 태국어판에 따르면 우라와의 토가리 준 풋볼 본부장은 차나팁 송끄라신과 티라톤 분마탄 같은 수준의 선수를 J리그로 영입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다.
3. 경기장
논타부리 주에 있는 썬더돔 스타디움은 무앙통 유나이티드 FC의 홈 경기장으로, 태국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67] 태국 오픈이 열리는 임팩트 아레나와 가깝다. 13,000명에서 15,00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썬더돔 스타디움이었지만, 2009년에 '''야마하 스타디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012년 2월, 시암 시멘트 그룹(SCG)이 6억태국 밧에 명명권을 사들여 '''SCG 스타디움'''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 계약은 2020-21 시즌에 끝났다.
경기장은 축구 전용이라 피치가 매우 가까워 현장감이 뛰어나다. 서포터가 많고, 콜레오그래피를 사용하거나 스탠드별로 콜을 주고받는 등 세련된 응원을 펼친다.
4. 서포터
무앙통 유나이티드는 태국 축구 역사상 최초로 울트라스 서포터를 보유한 클럽이다. 울트라스의 명칭은 '''울트라 무앙통'''이며, 거대한 배너와 깃발, 메가폰을 사용한다.[41] 이들은 울트라스 운동을 태국 무대에 처음으로 도입했다.[42]
무앙통 유나이티드는 두꺼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촌부리 FC, 방콕 글라스 FC와의 경기는 2009 시즌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였다. 특히 이들과의 경기에는 처음으로 티켓 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5. 라이벌
부리람 유나이티드 FC와는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2012년 무앙통의 무패우승 직후, 3년간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리그를 지배하면서 두 팀 간의 라이벌 관계는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또한 각 구단의 연고지를 바탕으로 무앙통은 도시 사람을, 부리람은 시골 사람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갖추면서 인기는 더욱 올라갔다. 현재 타이 리그1는 두 구단만이 나누어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패권 다툼이 치열하다.[39]
6.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
타이 리그 1 | 4 (2009, 2010, 2012, 2016) | 3 (2013, 2015, 2017) |
타이 리그 2 | 1 (2008) | - |
타이 리그 4 | 1 (2007) | - |
코 로열컵 | 1 (2010) | 4 (2011, 2013, 2014, 2016) |
태국 FA컵 | - | 3 (2010, 2011, 2015) |
타이 리그컵 | 2 (2016, 2017) | 1 (2023–24) |
태국 챔피언스컵 | 1 (2017) | - |
메콩 클럽 챔피언십 | 1 (2017) | - |
6. 1. 국내 대회
무앙통 유나이티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포트를 주요 라이벌로 여기고 있다. 특히 부리람 유나이티드와의 경기는 타이 리그 1 타이틀을 놓고 경쟁하는 관계로, 역사상 가장 훌륭한 타이 리그 경기 중 하나로 꼽힌다.[44] 포트 FC와의 관계는 2009년 관중 폭동 사건[43]과 2014년, 2016년 팬들 간의 무장 폭동[43]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대회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
타이 리그 1 | 우승 (4) | 준우승 (3) |
타이 리그 2 | 우승 (1) | - |
타이 리그 4 | 우승 (1) | - |
코 로열컵 | 우승 (1) | 준우승 (4) |
타이 FA컵 | - | 준우승 (3) |
타이 리그컵 | 우승 (2) | 준우승 (1) |
타이 챔피언스컵 | 우승 (1) | - |
6. 1. 1. 리그
연도 | 소속 리그 | 순위 | 경기 수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7 | 디비전 2 | 1위 | 22 | 50 | 15 | 5 | 2 | 39 | 19 |
2008 | 디비전 1 | 1위 | 30 | 65 | 19 | 8 | 3 | 58 | 17 |
2009 | 타이 프리미어리그 | 1위 | 30 | 65 | 19 | 8 | 3 | 48 | 20 |
2010 | 프리미어 | 1위 | 30 | 67 | 20 | 7 | 3 | 64 | 19 |
2011 | 프리미어 | 3위 | 34 | 60 | 17 | 9 | 8 | 54 | 32 |
2012 | 프리미어 | 1위 | 34 | 84 | 25 | 9 | 0 | 78 | 31 |
2013 | 프리미어 | 2위 | 32 | 71 | 21 | 8 | 3 | 61 | 33 |
2014 | 프리미어 | - | 38 | - | - | - | - | - | - |
- '''타이 리그 1'''
- * '''우승 (4):''' 2009, 2010, 2012, 2016
- * 준우승 (3): 2013, 2015, 2017
- '''타이 디비전 1 리그'''
- * '''우승 (1):''' 2008
- '''리저널 리그 디비전 2'''
- * '''우승 (1):''' 2007
6. 1. 2. 컵
대회 | 우승 | 준우승 |
---|---|---|
꼬르 로얄컵 | 1 (2010) | 4 (2011, 2013, 2014, 2016) |
태국 FA컵 | 0 | 3 (2010, 2011, 2015) |
태국 리그컵 | 2 (2016, 2017) | 1 (2023–24) |
태국 챔피언스컵 | 1 (2017) | 0 |
6. 2. 국제 대회
(3–4 승부차기)(4–2 승부차기)
(6–7 승부차기)
(3–0 승부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