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정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정은 고려 문종 때의 문신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병부시랑, 좌간의대부 등을 역임했다. 형부상서, 참지정사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로 승진했으며, 1080년 동번의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추충찬화탕구정새공신 칭호를 받았다. 1093년 수태위 문하시중으로 물러난 뒤 사망하여 선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십이공도의 하나인 정헌공도를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했다.

2. 약력

문정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병부시랑, 좌간의대부, 형부상서,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080년에는 판행영병마사로서 동번의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추충찬화탕구정새공신 칭호를 받았으며, 1081년에는 장연현개국백에 봉해졌다. 1093년 (선종 10) 수태위 문하시중으로 물러난 뒤 사망했고, 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2]

2. 1. 문종 대

문종 초 과거에 급제해 병부시랑, 좌간의대부를 역임하였다. 형부상서, 참지정사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로 승진했다.[2]

1075년(문종 29) 형부상서 지중추원사에 임명되었다.[3]

1077년(문종 31) 음력 11월에 참지정사 겸 서경유수사로,[4] 음력 12월에 태자소보에 임명되었다.[5]

1078년(문종 32) 지공거로서 과거를 주관했다.[6]

1080년(문종 34) 판행영병마사로서 병마사 최석, 염한과 함께 동번(東蕃)의 반란을 진압하고 추충찬화탕구정새공신(推忠贊化蕩寇靜塞功臣) 칭호를 받았다.[2]

1081년(문종 35) 장연현개국백(長淵縣開國伯) 칭호를 받았다.[7]

3. 학문적 업적

(내용 없음)

3. 1. 정헌공도 설립

십이공도의 하나인 정헌공도(貞獻公徒)를 설립하였다.[8]

4. 평가

문정은 최충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고려의 인물이다.

4. 1. 고려사 기록

문정은 최충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며, 1068년(문종 22) 과거에 급제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087년(선종 4)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가 되었다. 1094년(헌종 즉위년) 예빈경(禮賓卿)으로서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요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귀국 후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로 승진하였다.

참조

[1] 서적 고려사 1093-04-03
[2] 서적 고려사
[3] 서적 고려사 1075-07-20
[4] 서적 고려사 1077-11-09
[5] 서적 고려사 1077-12-29
[6] 서적 고려사 1078-03
[7] 서적 고려사 1081-01-09
[8]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