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거는 일반적으로 이전에 일어난 일, 경험, 또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일상 용어에서 개인의 경험, 직책, 위치 등을 나타내며, 특정 시점 전후의 시간이나 생물학적 단계를 지칭하기도 한다. 영어, 한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롤'에서는 과거의 의인화된 유령이 등장한다. 철학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오모리 소우조가 과거에 대한 독자적인 관점을 제시했으며, 학문 분야에서는 시간, 역사,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과거는 또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과거를 배우지 않는 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는 격언과 같이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거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 과거 - 방문 기록
방문 기록은 사용자가 방문한 웹 페이지 정보를 저장하여 이전 페이지 접근성을 높이고, 타겟 광고 등에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침해와 같은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태양력
태양력은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를 예측하는 역법으로,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으로 발전하며 현재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 시간 - 오전
- 시간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과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현재를 기준으로 이전의 모든 시간 |
시간상의 위치 | 현재의 앞 |
역사와의 관계 | 역사는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기록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는 학문 |
철학적 관점 | |
불교 | 과거, 현재, 미래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의존적인 관계 |
서양 철학 | 과거는 이미 존재하지 않으며, 현재의 관점에서 재해석 가능 |
문화적 관점 | |
기록 보존 |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 세대에 전달하기 위해 기록을 남김 |
전통과 문화 | 과거의 문화와 전통은 현재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침 |
개인의 기억 | 과거의 개인적인 경험은 현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
시간 관점 | |
상대적 개념 | 과거는 현재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개념 |
시간의 흐름 | 과거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요소 |
언어적 관점 | |
과거 시제 |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문법적 형태 |
어원 | 한국어 '과거'는 '지나간 것'을 의미하며, 영어 'past'는 '지나쳐 간'을 의미 |
기타 | |
기록 방법 | 과거는 기록으로 남겨져 있으며, 다양한 기록 방법이 존재 |
2. 어원 및 일상 용어
'과거'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에서 '과거'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 한국어: 어떤 사람이 이전에 겪었거나 경험한 일, 직장 경력, 결혼이나 이성 관계와 같은 특정한 경험을 의미한다.
- 영어: 이전 직책, 특정 지점을 넘어선 위치, 시간, 나이나 단계, 역사를 뜻한다.
- 일본어: 기억이라는 양식을 의미한다.
찰스 디킨스는 소설 크리스마스 캐롤에서 '과거'를 의인화한 크리스마스 과거의 유령을 등장시켰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현재, 현재의 현재, 미래의 현재가 있다고 주장했다.
2. 1. 한국어
한국어에서 과거는 어떤 사람이 이전에 벌이거나 경험한 것을 의미하며, 때때로 직장 경력이나 결혼, 남녀 관계 등 특정한 경험을 의미하기도 한다.2. 2. 영어
영어에서 "과거(past)"는 다양한 품사로 사용되며 여러 의미를 가진다.[6] "과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이전 직책: "전임 회장(past president)"처럼 이전 직책을 나타낸다.[6]
- 특정 지점 너머: "기차역을 지나서(past the train station)"처럼 특정 지점 너머의 위치를 가리킨다.[7]
- 시간: "12시 반(half past twelve)"처럼 특정 시점 이후의 시간을 나타낸다.[8][6]
- 나이/단계: "보모가 필요한 나이를 지났습니다"와 같이 특정 생물학적 연령이나 단계를 넘어섰음을 의미한다.[6]
- 역사: "과거 군주들"처럼 특정 시대나 사건과 관련된 역사를 가리킨다.[6]
19세기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9]는 소설 "크리스마스 캐롤"에서 "과거"를 의인화한 크리스마스 과거의 유령을 등장시켜 주인공 에비니저 스크루지에게 교훈을 주기도 했다.[10]
2. 3. 일본어
오모리 소우조(1921 - 1997)는 저서 『시간과 자아』에서 과거는 “상기라는 양식”으로 되돌아볼 때에만 존재한다고 말하며, 사람들이 “상기란 과거 경험의 재현 또는 재생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상기라는 양식이 과거인 것이지, 그 외에 과거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13]오모리는 과거란 언어의 과거 시제를 사용한 지각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상기란, 지각의 상기이지 지각의 재생이 아니다. 바다의 푸르름을 눈앞에서 지각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회색 도시 한가운데서 상기할 수도 있다. 즉, 상기란 바다의 푸르름과 관련된 또 하나의 경험 방식으로서 지각과 나란히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경험과 관련된 양식에는 두 가지가 있어서, 그 하나가 지각과 행동의 양식이고, 또 하나가 상기인 것이다.일본어
3. 문법
언어에서 과거 시제는 이미 일어난 일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Past tense영어는 이미 발생했거나 이전에 존재했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문법적 시제이다.
영어의 경우 하위 섹션에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과거"라는 단어는 다양한 품사로 사용될 수 있다.
3. 1. 영어
영어 문법에서 동작은 열두 가지 동사 시제 중 하나에 따라 분류되는데, 과거 시제는 과거, 과거 진행, 과거완료, 과거완료진행으로 나뉜다.[4] 과거 시제는 이미 일어난 동작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녀는 걸었다"는 과거에 걸었던 소녀를 나타낸다.과거 진행 시제는 "그녀는 걷고 있었다"처럼 일정 기간 동안 계속된 동작을 가리키며, 화자가 언급하는 과거 특정 시점에 여전히 진행 중이었던 동작을 설명한다. 과거완료 시제는 "그녀는 걸었었다"와 같이 과거 특정 시점까지 이미 완료된 동작을 설명한다.
과거완료진행 시제는 과거 특정 시점까지 진행되고 있었지만 완료된 동작을 가리킨다.[4] 과거완료 시제와 달리, 과거완료진행 동사는 현재 시점까지 완료된 동작이 아니라 과거 다른 시점 이전 기간 동안 활동적으로 일어났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나는 그녀를 만나기 전에 그녀는 정기적으로 공원에서 산책을 했었다"에서 사용된 동사 시제는 과거완료진행 시제인데, 이는 과거에 다른 일("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이 일어나기 이전에 활동적으로 일어나고 있었던 동작("산책")을 설명하기 때문이다.
문장에서 "과거"는 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형용사로서 "과거"의 동의어에는 "이전의", "지난", "이른", "앞서는", "이전의"가 있다. 명사로서 "과거"의 동의어에는 "역사", "배경", "인생 이야기", "전기"가 있다. 전치사로서 "과거"의 동의어에는 "앞에", "넘어서", "~을 지나서", "~을 초과하여"가 있다.[5]
4. 철학 및 종교
과거에 대한 철학적, 종교적 관점은 다양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과거를 현재의 기억으로 보았고, 오모리 소우조는 과거를 상기라는 양식으로 파악했다. 일부 미국 원주민 인디언들은 과거가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현재에도 존재한다고 믿었다.[13]
4. 1. 철학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저서 『고백록』 제11권에서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과거의 현재'(과거가 현재에 존재하는 것, 과거를 현재 마음속에 그리고 있는 것), '현재의 현재', '미래의 현재'가 있다고 했다. 즉, 우리가 과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결국 이미 일어난 일의 상기(기억)라고 말했다.오모리 소우조(1921 - 1997)는 『시간과 자아』에서 과거는 “상기라는 양식”으로 되돌아볼 때에만 존재한다고 말하며, 사람들이 “상기란 과거 경험의 재현 또는 재생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상기라는 양식이 과거인 것이지, 그 외에 과거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상기란, 지각의 상기이지 지각의 재생이 아니다. 바다의 푸르름을 눈앞에서 지각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회색 도시 한가운데서 상기할 수도 있다. 즉, 상기란 바다의 푸르름과 관련된 또 하나의 경험 방식으로서 지각과 나란히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경험과 관련된 양식에는 두 가지가 있어서, 그 하나가 지각과 행동의 양식이고, 또 하나가 상기인 것이다.|시간과 자아, 41쪽일본어
오모리는 과거란 언어의 과거 시제를 사용한 지각이라고 한다.
4. 2. 종교
아우구스티누스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현재'(과거를 현재 마음속에 그리는 것), '현재의 현재', '미래의 현재'가 있다고 보았다. 즉, 과거는 이미 일어난 일을 기억하는 것이라고 했다.오모리 소우조는 과거는 “상기라는 양식”으로 되돌아볼 때에만 존재한다고 했다. 사람들이 “상기란 과거 경험의 재현 또는 재생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며, 상기라는 양식이 곧 과거이지 그 외에 다른 과거는 없다고 한다.
상기란, 지각의 상기이지 지각의 재생이 아니다. 바다의 푸르름을 눈앞에서 지각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회색 도시 한가운데서 상기할 수도 있다. 즉, 상기란 바다의 푸르름과 관련된 또 하나의 경험 방식으로서 지각과 나란히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경험과 관련된 양식에는 두 가지가 있어서, 그 하나가 지각과 행동의 양식이고, 또 하나가 상기인 것이다.|시간과 자아|41쪽일본어
오모리는 과거란 언어의 과거 시제를 사용한 지각이라고 한다.
일부 미국 원주민 인디언들은 과거가 “영원히 지나간 것이 아니라, 아직 어딘가에 현존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13] 또한, 과거와 미래를 뚜렷하게 구분하지 않고 혼동된 것으로 보았다.[13]
5. 학문 분야
과거는 시간, 역사, 고고학, 고생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 대상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을 이해하고, 현재와 미래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5. 1. 주요 연구 분야
시간, 생명, 역사, 노스탤지어(향수), 고고학, 고천문학, 연대학, 지질학, 역사지질학, 역사언어학, 존재론, 고생물학, 고식물학, 고지리학, 고기후학, 어원학, 물리 우주론, 고민족식물학, 고환경학, 고해양학, 고우주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과거를 연구한다.6. 의사 결정
7. 관련 격언
8. 예술 작품
19세기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9]는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에서 "과거"를 의인화한 크리스마스 과거의 유령을 등장시켰다. 이 유령은 주인공 에비니저 스크루지에게 어린 시절과 젊은 시절을 보여주며, 부(富)가 행복의 একমাত্র 원천은 아니라는 가르침을 준다.[10]
9. 한국 현대사
과거사 진실 규명 및 과거사 청산은 대한민국 사회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past
http://www.dictionar[...]
2018-06-25
[2]
웹사이트
Record Keeping and History: How We Chronicle the Past
https://www.khanacad[...]
Khan Academy
2018-06-25
[3]
웹사이트
Past
https://www.merriam-[...]
Merram-Webster.com
2018-07-24
[4]
웹사이트
Verb tens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25
[5]
웹사이트
past
https://web.archive.[...]
Engl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2018-08-27
[6]
웹사이트
past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8-08-27
[7]
웹사이트
past
https://dictionary.c[...]
Cambridge.org
2018-08-27
[8]
웹사이트
half-past 12
https://eightpastfiv[...]
EightPastFive
[9]
웹사이트
Charles Dicken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08-27
[10]
웹사이트
A Christmas Carol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08-27
[11]
백과사전
広辞苑
[12]
백과사전
デジタル大辞泉
[13]
서적
マヤ・アステカの神話
[14]
웹사이트
Focusing on past successes can help you make better decisions
https://www.health.h[...]
2022-01-30
[15]
서적
The Monist
http://books.google.[...]
Open Court
1890
[16]
웹인용
Record Keeping and History: How We Chronicle the Past
https://www.khanacad[...]
Khan Academy
2018-06-25
[17]
웹인용
Past
https://www.merriam-[...]
Merram-Webster.com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