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의료 활동을 총괄하는 사령부이다. 1993년 임시 의무사령부로 시작하여, 미국 육군 보건사령부와 의무부의 기능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2019년 국방보건국(DHA) 설립 이후, 군 병원 및 진료소의 행정 및 관리 책임이 DHA로 이관되었으며, 현재는 지역 보건 사령부(RHC)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의무사령부 - 제18의무사령부
제18의무사령부는 1967년 창설되어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담당하다가, 현재는 태평양 지역 미군 의료 지원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한다. - 텍사스주의 부대 - 미국 남부 육군
미국 남부 육군은 1904년 파나마 운하 경비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고,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군 원정 기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텍사스에 본부를 두고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주요 사령부이다. - 텍사스주의 부대 - 미국 북부 육군
미국 북부 육군은 미국 북부 사령부의 육군 구성군으로서 미국 본토 방위와 민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창설된 제5군을 모체로 9.11 테러 이후 국토 방위 임무를 부여받아 재편되었다. - 1993년 설립된 단체 -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은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시민환경단체로서, 생명, 평화, 생태, 참여의 가치를 추구하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지구의 벗 회원으로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환경법률센터 등 전문기관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며 한국 사회의 환경 의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1993년 설립된 단체 - 중국 국가항천국
중국 국가항천국은 1993년 설립되어 중국의 우주 개발을 총괄하는 정부 기관으로, 창어 계획, 톈원 1호, 선저우 계획, 톈궁 우주정거장 건설 등의 주요 사업을 통해 국제 우주 개발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명칭 |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United States Army Medical Command) |
약칭 | MEDCOM |
활동 기간 | 1993년 - 현재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의무부 |
종류 | 의무 사령부 |
본부 |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 |
별칭 | MEDCOM |
표어 | (정보 없음) |
색상 | (정보 없음) |
군가 | (정보 없음) |
마스코트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
지휘부 | |
현재 사령관 | 메리 K. 이자귀레 중장 |
주요 지휘관 | (정보 없음) |
휘장 | |
![]() |
2. 역사
미국 육군 보건사령부(HSC)는 냉전 이후 미국 육군이 축소되면서, 기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6] 1992년, HSC는 "관문으로의 치료(Gateway To Care)"라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기업적 접근 방식을 시작했다. 이것은 품질, 접근성, 비용을 개선한 지역 관리 치료가 될 예정이었다. 이전의 "CHAMPUS 개혁 이니셔티브"(CRI)보다 수용 지역 관리를 기반으로 한 설계에서 미국 육군 병원 사령관은 더 많은 책임과 관리 권한을 받았다. 1992년 봄에 11개의 "관문으로의 치료" 사이트가 개설되었고, 그해 가을까지 모든 HSC 시설이 사업 계획을 제출했다. 1994년부터 "관문으로의 치료"는 CRI를 모델로 한 새로운 지역 미국 국방부 3군 관리 치료 계획인 TRICARE에 점진적으로 흡수되었다.
1993년 8월, 미국 육군 참모총장은 육군 의무 부서(AMEDD)를 재편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군의감 산하에 새로운 확장된 의료 주요 사령부가 생겨났다. 1993년 10월, "미국 육군 의료사령부(임시)"는 HSC를 대체하고 다른 AMEDD 부서를 흡수하는 1년의 과정을 시작했다.[1] 군의감인 앨시드 M. 라누 중장이 임시 MEDCOM을 지휘했고, 리처드 D. 캐머런 소장은 HSC 사령관으로 계속 근무했다. 1993년 11월, 치과 및 수의 부대의 보다 효율적인 통제를 위해 DENCOM과 VETCOM이 MEDCOM 산하의 임시 사령부로 설립되었다. 이는 해당 전문 분야가 기술 지침을 제공하는 동일한 당국에 의해 지휘된 최초의 사례였다. 그 다음 달, 7명의 MEDCEN 사령관이 해당 지역의 진료에 대한 지휘 및 통제권을 인수했다. MEDCOM 산하의 새로운 "보건 서비스 지원 지역"(HSSA)은 이전 HSC 지역보다 더 많은 책임과 권한을 가졌다.
1994년 3월, 의료 연구 개발 사령부, 미국 육군 의료 자재국 및 보건 시설 계획국의 합병으로 임시 MEDCOM 산하의 미국 육군 의료 연구 개발 사령부(USAMRMC)가 창설되었다. 1994년 6월, 제7 의료 사령부를 대체하여 유럽의 의료 서비스를 감독하기 위해 추가 HSSA가 형성되었다. 그해 여름, 육군 환경 위생국은 임시 건강 증진 및 예방 의학 센터(CHPPM)의 기초를 형성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국 육군 의료는 군의감의 지휘 하에 통합되었다. 전투 사령관이 지휘하는 야전 의료 부대를 제외하고 사실상 모든 육군 의료가 MEDCOM의 일부가 되었다. MEDCOM은 1994년 10월에 "임시"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완전히 운영되었다. 1996년, HSSA는 지역 의료 사령부로, 2016년에는 지역 보건 사령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국방보건국(DHA)은 2019년 10월 1일부터 모든 군 병원 및 진료소에 대한 육군, 해군 및 공군의 행정 및 관리 책임을 인수했다.[7] 의회는 보다 유연하고, 적응 가능하며, 효과적이고 통합된 시스템을 통해 [미국 군 의료] 시설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이러한 행정 및 관리 변경을 시작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MEDCOM에 이전에 할당되었던 다른 책임도 이전되었다. 물류 및 자재 연구 및 공급은 미국 육군 물자사령부에 할당되었으며, 의료 교육은 현재 훈련 및 교리 사령부(TRADOC)의 책임이다. 미국 육군 의무 부서 센터 및 학교(AMEDDC&S)는 육군 의학 우수 센터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http://www.bethesda.med.navy.mil/ 월터 리드 국립 군사 의료 센터]는 국방보건국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93년 ~ 1994년)
1993년 10월, 임시 의무사령부가 설립되어 1년 동안 미국 육군 보건사령부(HSC)와 의무부의 기능을 통합하는 과정을 시작하였다. 1993년 11월 1일, 임시 치의사령부(Dental Command영어)가 예하사령부로 편성되었다. 보건근무사령부의 지역대는 ''보건근무지원지역대''로 변경되어 의무사령부 예하조직으로 지정되어 임무 대응과 책임감을 높였다.[9]1994년 3월, 의료연구개발사령부(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and영어), 의료물자국, 보건시설기획국(Health Facilities Planning Agency영어)을 통합하여 ''의료연구개발획득물류사령부''(Medical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and Logistics Command영어)를 의무사령 예하에 편성하였고, 이후 의료연구물자사령부(MRMC)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1994년 6월, 제7의무사령부를 대체하여 유럽에 보건근무지원지역대가 추가로 편성되었다. 1994년 8월 2일, 육군 환경 위생국을 보건증진예방의료원으로 재편성하였다.[10] 1994년 10월 2일, 수의사령부(Veterinary Command영어)가 의무사령부와 같은 포트 샘휴스턴에 본부를 두고 주요 예하사령부로 지정되었다.[10]
2. 2. 구조 개편 및 통합 (2009년 ~ 2016년)
2009년 10월 1일, 미국 육군 보건증진예방의료원은 수의사령부를 병합하기 시작하여 1년 뒤인 2010년 10월 1일에 공중보건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11] 2011년에는 치의사령부 또한 공중보건사령부에 통합되었다.2012년 12월 16일, 걸프지구 치의사령부가 해산되었다.[12]
2016년 10월 1일, 공중보건사령부는 공중보건소로 개명되었다.
2. 3. 국방보건국(DHA) 설립과 변화 (2019년 ~ 현재)
국방보건국(Defense Health Agency, DHA)은 2019년 10월 1일부터 육군, 해군, 공군이 관리하던 모든 군 병원 및 진료소에 대한 행정 및 관리 책임을 인수했다.[7] 의회는 보다 유연하고, 적응 가능하며, 효과적이고 통합된 시스템을 통해 [미국 군 의료] 시설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이러한 변화를 추진했다.DHA는 초기에는 군 의료 부서의 중간 관리 조직과 직접적인 지원 관계를 통해 이러한 시설을 감독할 것이다. 특정 의료 및 행정 기능에 대한 책임이 군 부서에서 DHA로 완전히 이전되는 전환 기간 동안, DHA는 군 부서의 지원을 해제할 것이다.
DHA는 병원 및 진료소를 관리하기 위해 시장 기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조직은 해당 지역의 병원 및 진료소에 공유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해당 지역의 현역 구성원과 가족의 의료 준비 태세를 확립하고, 의료 인력의 준비 태세를 보장할 책임이 있다.
2019년 10월 1일부터 이전의 육군 의무사령부(MEDCOM)에 할당되었던 다른 책임도 이전되었다. 물류 및 자재 연구, 공급은 미국 육군 물자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에 할당되었으며, 의료 교육은 현재 훈련 및 교리 사령부(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TRADOC)의 책임이다. 미국 육군 의무 부서 센터 및 학교(United States Army Medical Department Center and School, AMEDDC&S)는 육군 의학 우수 센터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http://www.bethesda.med.navy.mil/ 월터 리드 국립 군사 의료 센터](Walter Reed National Military Medical Center, Bethesda, MD)는 국방보건국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
3. 구조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MEDCOM)는 1993년 10월 미국 육군 보건사령부(HSC)를 대체하고 다른 AMEDD 부서를 흡수하는 1년의 과정을 시작하면서 "미국 육군 의료사령부(임시)"로 설립되었다.[6] 군의감인 앨시드 M. 라누 중장이 임시 MEDCOM을 지휘했으며, 1994년 10월 "임시"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완전히 운영되기 시작했다.
1993년 11월, 치과 및 수의 부대의 효율적인 통제를 위해 DENCOM과 VETCOM이 MEDCOM 산하의 임시 사령부로 설립되었다.[6] 이는 해당 전문 분야가 기술 지침을 제공하는 동일 당국에 의해 지휘된 최초의 사례였다.
1994년 3월, 의료 연구 개발 사령부, 미국 육군 의료 자재국, 보건 시설 계획국의 합병으로 임시 MEDCOM 산하의 의료 연구, 개발, 획득 및 물류 사령부(MRDALC)가 창설되었고,[6] MRDALC는 곧 미국 육군 의료 연구 개발 사령부(USAMRMC)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4년 6월, 제7 의료 사령부를 대체하여 유럽의 의료 서비스를 감독하기 위해 추가 HSSA가 형성되었다.[6] 그해 여름, 육군 환경 위생국은 임시 건강 증진 및 예방 의학 센터(CHPPM)의 기초를 형성했다.
국방보건국(Defense Health Agency, DHA)은 2019년 10월 1일부터 모든 군 병원 및 진료소에 대한 육군, 해군, 공군의 행정 및 관리 책임을 인수했다.[7] 2019년 10월 1일부터 MEDCOM에 이전에 할당되었던 다른 책임도 이전되었는데,[7] 물류 및 자재 연구 및 공급은 미국 육군 물자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에 할당되었으며, 의료 교육은 현재 훈련 및 교리 사령부(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TRADOC)의 책임이다. 미국 육군 의무 부서 센터 및 학교(United States Army Medical Department Center and School, AMEDDC&S)는 육군 의학 우수 센터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MEDCOM은 각 지역의 의료 시설을 감독하고 지휘하는 4개의 지역 건강 사령부(RHC)로 나뉜다.
- '''지역 건강 사령부-유럽'''[6]
- 란츠툴 육군 의료 센터, 독일
- 기타 병원 및 시설
- '''지역 건강 사령부-중앙'''[6]
- 베인-존스 ACH, 포트 존슨, LA
- 샌안토니오 군사 의료 센터, 합동 기지 샌안토니오, 텍사스
- 칼 R. 다넬 육군 의료 센터, 포트 후드, 텍사스
- 에반스 ACH, 포트 카슨, 콜로라도
- 레오나르드 우드 장군 ACH, 포트 레오나드 우드, 미주리
- 윌리엄 보몽 육군 의료 센터, 포트 블리스, 텍사스
- 기타 병원 및 시설
- '''지역 건강 사령부-대서양'''[6]
- 워맥 육군 의료 센터, 포트 브래그, 노스캐롤라이나
- 기타 병원 및 시설
- '''지역 건강 사령부-태평양'''[6]
- 매디건 육군 의료 센터, 합동 기지 루이스-맥코드, 워싱턴
- 기타 병원 및 시설
- '''의료 연구 개발 사령부'''[6]
- 제6 의료 물류 관리 센터
- 재생 의학 무력 연구소
- 무력 의료 검시관 시스템
- 무력 의학 연구소
- 폭발 부상 연구 프로그램
- 임상 및 재활 의학 연구 프로그램
- 전투 부상 치료 연구 프로그램
- 의회 지시 의료 연구 프로그램
- 정신 건강 및 외상성 뇌 손상 우수 국방 센터
- 국립 보건 및 의학 박물관
- 미국 육군 항공 의료 연구소
- 미국 육군 환경 보건 연구 센터
- 미국 육군 치과 및 두개안면 외상 연구 부서
- 미국 육군 외과 연구소
- 미국 육군 의료 물자국
- 미국 육군 의료 물자 센터 - 유럽
- 미국 육군 의료 물자 개발 활동
- 미국 육군 의료 연구 획득 활동
- 미국 육군 감염병 연구소
- 미국 육군 화학 방어 의료 연구소
- 미국 육군 환경 의학 연구소
- 월터 리드 육군 연구소
- 미국 육군 연구소 - 케냐
3. 1. 의무감실
- 상의용사 재활프로그램 (AW2 프로그램)[8]
- 미국 육군 공중 보건 센터 (USAPHC)[8]
- 2009년 10월 1일 이전에는 미국 육군 건강 증진 및 예방 의학 센터 (USACHPPM)로 불렸으며, 2011년 미국 육군 수의사 사령부(VETCOM)와 통합되어 USAPHC가 설립되었다.[8]
- 재활 및 재통합 부서[8]
- 예비군 문제[8]
- 전사자 관리 및 전환[8]
3. 2. 주요 예하사령부
- 제6의무군수관리원
- 국군재활의료학회
- 국군 의무 검사관 시스템
- 국군 의료과학연구소
- 폭발부상연구프로그램
- 전투 사상자 치료 연구 프로그램
- 의회 감독 의료연구프로그램
- 국립보건의료박물관
- 미국 육군 항공의료연구실험실
- 미국 육군 치의 및 두개안면외상연구국
- 의료물자개발처
- 미국 육군 의료연구취득처
- 미국 육군 전염병연구학회
- 미국 육군 환경의학연구학회
- 월터 리드 육군 연구학회
- 미국 육군 보건계약처 (USAHCA)
3. 3. 의무즉응사령부 (지역보건사령부)
의무즉응사령부(Regional Health Command)는 1996년에 지역의무사령부(Regional Medical Command)로 창설되어, 2016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 각 지역별 의료 시설을 감독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예하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태평양 의무즉응사령부 (MRC-Pacific)
- 서부 의무즉응사령부 (MRC-W)
- 동부 의무즉응사령부 (MRC-E)
- 유럽 의무즉응사령부 (MRC-Europe)
3. 3. 1. 태평양 의무즉응사령부 (MRC-Pacific)
- 태평양 의무즉응사령부 (MRC-Pacific)
- * 태평양 공중보건사령부 (PHC-P)
- * 태평양 치의보건사령부 (DHC-P)
- * 제18의무사령부 (배치지원) - 하와이주 스코필드 막사
- * 제65의무여단 (주한) - 대한민국 용산기지
- * 주일 의무부처 (MEDDAC-Japan)
3. 3. 2. 서부 의무즉응사령부 (MRC-W)
서부 의무즉응사령부 (MRC-W) 예하에는 다음 부대가 있다.- 서부 공중보건사령부 (PHC-C)
- 서부 치의보건사령부 (DHC-C)
3. 3. 3. 동부 의무즉응사령부 (MRC-E)
- 동부 공중보건사령부 (PHC-A)
- 동부 치의보건사령부 (DHC-A)
3. 3. 4. 유럽 의무즉응사령부 (MRC-Europe)
유럽 의무즉응사령부(MRC-Europe) 예하에는 다음 부대가 있다.- 유럽 공중보건사령부 (PHC-E)
- 유럽 치의보건사령부 (DHC-E) - 독일 셈바치
- 바이예른 의무부처 (MEDDAC-Bavaria)
4. 역대 사령관
역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4. 1. 보건근무사령부 사령관
4. 2. 의무사령부 사령관
참조
[1]
논문
A first report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external civilian peer review of medical care
https://www.ncbi.nlm[...]
1988-11-11
[2]
논문
The Department of Defense Civilian External Peer Review Program: an interim report
https://www.ncbi.nlm[...]
1992-01
[3]
웹사이트
MAP is the New PROFIS: 1st AML Embracing the Change
https://www.army.mil[...]
2019-04-17
[4]
간행물
Expeditionary Resuscitation Surgical Team: The US Army's Initiative to Provide Damage Control Resuscitation and Surgery to Forces in Austere Settings
https://www.research[...]
2017-12-01
[5]
웹사이트
Expeditionary Resuscitation Surgical Team (ERST) Training/Support Team
https://www.army.mil[...]
2017-12-22
[6]
웹사이트
AMEDD Center of History & Heritage (ACHH)
https://history.amed[...]
[7]
웹사이트
Military-Health-Topics/MHS-Transformation
https://health.mil/M[...]
2020-08
[8]
웹사이트
Commands
https://armymedicine[...]
2020-08
[9]
웹인용
Chapter 6–Moving Forward: Growth and Realignment
https://mrdc.amedd.a[...]
U.S. Army Medical Research and Materiel Command
2019-12-07
[10]
웹인용
U.S. Army Public Health Command History
https://phc.amedd.ar[...]
U.S. Army Public Health Command Public Affairs Office
2019-12-07
[11]
웹인용
Creation of the U.S. Army Public Health Command
https://www.army.mil[...]
2019-12-07
[12]
뉴스
Veterinary command inactivates, services remain same
https://www.army.mil[...]
2019-12-07
[13]
웹인용
Commanders of U.S. Army Health Services Command
http://history.amedd[...]
Office of Medical History
2018-08-30
[14]
웹인용
Commanders of the U.S. Army Medical Command
http://history.amedd[...]
Office of Medical History
2018-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