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르틸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르틸로스는 기원전 270년경 디라키온과 아폴로니아 배후 지역을 통치했던 일리리아 왕이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새긴 청동 동전을 주조했으며, 이는 그가 도시를 통제했음을 보여준다. 미틸루스는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와 프론티누스의 기록에 등장하며, 기원전 270년경 피로스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2세와 전쟁을 벌였다. 그는 알렉산더 2세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두레스에서 권력을 유지했으며, 에피루스 영토로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 이 시기에 로마는 발칸 반도에 처음으로 개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는 로마 공화정의 정치가로서, 평민과 귀족 간의 갈등을 종식시킨 호르텐시우스 법을 제정하고, 눈디나에를 디에스 파스티로 지정하는 법률에도 관여했으며, 독재관으로 재임 중 사망했다.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미르틸로스
기본 정보
칭호
통치 기간기원전 270년경 – 231년경
선임자모우니오스
추정 아버지모우니오스
이름
그리스어Μύτιλος (뮈틸로스)
라틴어Mytilus (뮈틸루스)

2. 생애

미르틸로스는 디라키온과 아폴로니아 배후지에서 통치한 일리리아의 왕이었다.[3] 기원전 270년경부터 자신의 청동 동전을 주조했으며, 동전에는 디라키온의 상징과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아폴로니아에서 발견된 동전에는 그의 모노그램과 함께 에피루스의 적대 세력인 아이톨리아 동맹의 상징과 유사한 상징이 새겨져 있었다.[5] 청동 동전 앞면에는 헤라클레스의 머리가, 뒷면에는 헤라클레스의 상징인 화살통, 활, 철퇴와 함께 ΒΑΣΙΛΕΩΣ ΜΥΤΙΛ (바실레오스 미틸)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3]

폼페이우스 트로구스(기원전 1세기)와 프론티누스(서기 1세기)는 미르틸로스가 기원전 270년경 피로스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2세와 전쟁을 벌였다고 기록했다.[1]

2. 1. 통치

미틸루스는 디라키온과 아폴로니아 배후지에서 통치했다.[3] 기원전 270년경부터 자신의 청동 동전을 주조했으며, 동전에는 디라키온의 상징과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3] 그의 동전이 디라키온의 도시 조폐창에서 주조되었다는 사실은 그가 어느 정도 도시를 통제했음을 보여준다. 모니니우스 이후 미틸루스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을 주조한 두 번째 일리리아 왕이다.[4][3]

미틸로스는 고대 작가 폼페이우스 트로구스 (기원전 1세기)와 프론티누스 (서기 1세기)의 역사 기록에도 등장하며, 이들은 그가 기원전 270년경 피로스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2세와 벌인 전쟁을 묘사하고 있다.[1] 미틸루스는 알렉산더 2세가 기원전 270년경 자신의 영토를 침략한 후에도 두레스에서 권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두레스와 아폴로니아의 통치는 미틸루스 시대에 일리리아인들이 글라우키아스 시대에 누렸던 권위와 세력을 되찾았음을 의미한다. 미틸루스는 심지어 에피루스의 영토로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9]

2. 2. 주화

미틸루스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을 주조한 두 번째 일리리아 왕이다.[4][3] 기원전 270년경부터 주조된 그의 청동 동전에는 디라키온의 상징과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아폴로니아에서 발견된 동전에는 그의 모노그램과 함께 에피루스의 적대 세력인 아이톨리아 동맹의 상징과 유사한 상징이 새겨져 있었다.[5]

미틸루스 청동 동전의 앞면에는 헤라클레스의 머리가, 뒷면에는 헤라클레스의 상징인 화살통, 활, 철퇴와 함께 ΒΑΣΙΛΕΩΣ ΜΥΤΙΛ (바실레오스 미틸)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3] 이러한 일리리아 동전의 사본은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고고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6]

2. 3. 에피루스와의 전쟁

폼페이우스 트로구스(기원전 1세기)와 프론티누스(서기 1세기)는 미르틸로스가 피로스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2세와 벌인 전쟁을 묘사하고 있다.[1] 미틸루스는 알렉산더 2세가 기원전 270년경 자신의 영토를 침략한 후에도 두레스에서 권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번은 일부 에피로테인들이 일리리아 옷을 입고 자기 땅을 약탈하게 했다. 의심하지 않은 일리리아인들은 방어 태세를 풀고 그들을 따라 하려고 달려들었는데, 눈앞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탐색 부대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에피루스의 쉬운 희생양이 되었다.[7][8] 두레스와 아폴로니아 통치는 미틸루스 시대에 일리리아인들이 글라우키아스 시대에 누렸던 권위와 세력을 되찾았음을 의미한다. 미틸루스는 심지어 에피루스 영토로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9] 이 시기에 로마가 처음으로 발칸 반도의 일리리아인, 에피로테인, 아이톨리아인에 대한 개입을 요청받았다.[10]

3. 역사적 기록

폼페이우스 트로구스(기원전 1세기)와 프론티누스(서기 1세기)는 미틸루스가 기원전 270년경 피로스의 후계자인 알렉산더 2세와 벌인 전쟁을 묘사하고 있다.[1] 미틸루스는 알렉산더 2세가 기원전 270년경 자신의 영토를 침략한 후에도 두레스에서 권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번은 일부 에피로테인들이 일리리아 옷을 입고 자기 땅을 약탈하게 했는데, 의심하지 않은 일리리아인들은 방어 태세를 풀고 그들을 따라 하려고 달려들었다. 이는 눈앞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탐색 부대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에피루스의 쉬운 희생양이 되었다.[7][8] 두레스와 아폴로니아의 통치는 미틸루스 시대에 일리리아인들이 글라우키아스 시대에 누렸던 권위와 세력을 되찾았음을 의미한다. 미틸루스는 심지어 에피루스의 영토로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9]

4. 참고 문헌

Crawford, Michael Hewson|크로포드, 마이클 휴슨|ko=마이클 크로포드 (역사학자)영어 (1985). 《Coinage and Money under the Roman Republic: Italy and the Mediterranean Economy|로마 공화정 하의 화폐와 통화: 이탈리아와 지중해 경제영어》. The Library of Numismatics|ko=화폐학 도서관영어 (영어).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ISBN 0-520-05506-3.

Dzino, Danijel|지노, 다니옐영어 (2010). 《Illyricum in Roman Politics, 229 BC–AD 68|로마 정치에서의 일리리쿰, 기원전 229년 – 서기 68년영어》 (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19419-8.

Mesihović, Salmedin|메시호비치, 살메딘bs; Šačić, Amra|샤치치, 암라bs (2015). 《Historija Ilira|일리리아인들의 역사bs》 (보스니아어). 사라예보: Univerzitet u Sarajevu|사라예보 대학교bs. ISBN 978-9958-600-65-4.

Šašel Kos, Marjeta|샤셸 코스, 마르예타영어 (2002). 〈Pyrrhus and Illyrian Kingdom(s?)|피로스와 일리리아 왕국(들?)영어〉. 《Greek Influence Along the East Adriatic Coast|동부 아드리아 해안을 따른 그리스의 영향영어》. Knjiga Mediterana|ko=지중해 총서영어 (영어) 26. ISBN 9531631549.

Šašel Kos, Marjeta|샤셸 코스, 마르예타영어 (2005). 《Appian and Illyricum|아피아노스와 일리리쿰영어》 (영어). Narodni muzej Slovenije|슬로베니아 국립 박물관sl. ISBN 961616936X.

Wilkes, John|윌크스, 존영어 (1992). 《The Illyrians|일리리아인영어》 (영어). 와일리-블랙웰. ISBN 0-631-19807-5.

Winnifrith, Tom|위니프리스, 톰영어 (2020). 《Nobody's Kingdom: A History of Northern Albania|누구의 왕국도 아닌: 북부 알바니아의 역사영어》 (영어). 시그널 북스. ISBN 9781909930919.

5. 같이 보기

참조

[1] 학술
[2] 학술
[3] 학술
[4] 학술
[5] 학술
[6] 논문 Illyrian rulers' coins from the Archaeological Museum in Zagreb
[7] 학술
[8] 학술 Les Origines ...
[9] 학술
[10] 학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